맨위로가기

라글라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글라이족은 참파를 세운 참족과 언어적, 문화적 관계가 깊은 베트남의 소수 민족이다.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을 하며 산지에서 거주했으나, 전쟁과 정부 정책으로 인해 평지로 이동하여 거주하게 되었다. 모계 사회이며, 샤머니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고유한 악기를 사용한다. 1997년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았으며, 베트남 언론에서는 'Rắc-lây' 또는 'Raàk-lei'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민족 - 흐레족
    흐레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거주하며 과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논농사를 주로 하며 물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치엥 바'라는 꽹과리 축제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라글라이족
기본 정보
라글라이족의 한 줄 짜리 현악기 차피 - 베트남 민족학 박물관
차피 - 라글라이족의 한 줄 짜리 현악기 - 베트남 민족학 박물관
총 인구146,613 (2019년, 베트남)
주요 거주 지역카인호아성, 빈투언성, 닌투언성
언어라글라이어, 베트남어
관련 민족참족, 자라이족
민족 명칭
베트남어NgườRa Glai (응으어이 라 글라이)
역사 및 문화
기원프로토-말레이
종교
종교전통 종교

2. 역사

라글라이족은 역사적으로 참파 왕국을 건설한 참족과 언어 및 문화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3] 참족의 전승에서는 15세기 중반 참파 왕가의 후손이 현재의 라글라이족이라는 설도 있다.

전통적으로 이들은 산지에서 이동하며 화전농업을 생업으로 삼았고, 경작지를 찾아 북부 산지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생활을 했다. 그러나 항불 전쟁 시기에는 전란을 피해 이동을 반복해야 했다. 전쟁이 끝난 후, 1976년 베트남 정부의 산지 민족 정착 정책과 1985년 토지법 시행으로 많은 라글라이족이 평지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후 문화적 독자성을 인정받아 1997년에는 베트남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았다.

2. 1. 명칭과 기원

라글라이족은 Rànglairad, Ràglairad, Ràdlairad, Rơglairad, Ràng-chơkrad, Ràng-ngơkrad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지만, 이는 단순히 "산악 민족"을 부정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일 뿐 다른 의미는 없다. 응우옌 왕조의 기록에는 이들을 'mọi Lá Vàng' ("황엽 야만인")이라고 부른 기록도 있다. 현대 베트남 언론과 문화계에서는 이 민족의 이름을 주로 '''Rắc-lâyvie''' 또는 라데어 표기인 '''Raàk-leirad'''로 표기한다.

라글라이족은 오랫동안 남중부 해안 평원에 사는 참족과 인접한 칸호아, 닌투언, 빈투언 성의 서쪽에 있는 높고 험준한 산악 지대에 거주해 왔다. 참파 왕국을 건설한 참족과는 언어적, 문화적으로 강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두 집단은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천 년 된 격언인 '''''"Cam sa-ai Raglai adeicja"''''' (참족 맏언니, 라글라이족 막내 여동생)는 두 민족 간의 혈연적 관계를 보여준다.[3] 참족의 전승에 따르면, 15세기 중반 참파의 분가인 밧티눙 참 왕조를 세운 포카테이트의 후손이 현재의 라글라이족이라는 설도 있다.

과거에는 언어, 의상 및 일부 관습의 유사성 때문에 라글라이족을 참족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참족은 기본적으로 우상마스코트를 금지하는 신앙으로 변화한 반면, 라글라이족은 중부 고원의 다른 공동체들처럼 나무 조각상 형태의 조상을 숭배하는 전통적인 신앙 관습을 유지했다. 이러한 차이점 등을 바탕으로 1989년부터 행정 문서와 문화 관리들의 검토를 거쳐, 1997년 베트남 정부는 라글라이족을 공식적인 소수 민족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라글라이족은 이동하며 화전농업을 생업으로 삼았으며, 달랏 등 북부 산지에서 경작지를 찾아 남쪽으로 이동하곤 했다. 그러나 항불 전쟁 시기에는 전쟁을 피해 이동을 반복해야 했고, 전쟁이 끝난 후 1976년 베트남 정부의 산지 민족 정착 정책과 1985년 토지법 시행에 따라 많은 라글라이족이 평지에 정착하게 되었다.

2. 2. 참족과의 관계

라글라이족은 참파 왕국을 세운 참족과 언어 및 문화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족의 전승에 따르면, 15세기 중반 참파의 분가인 밧티눙 참 왕조를 세운 포카테이트의 후손이 오늘날의 라글라이족이라고 전해진다.

오랫동안 라글라이족은 칸호아, 닌투언, 빈투언 서쪽의 높고 험준한 산악 지대에 거주하며, 남중부 해안 평원에 사는 참족과 인접해 왔다. 두 민족 집단은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어왔으며, 이는 "Cam sa-ai Raglai adei" (참족 맏언니, 라글라이족 막내 여동생)라는 천 년 된 격언에서도 드러난다.[3] 이 격언은 두 민족 간의 혈연적 유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과거에는 언어, 의상, 일부 관습의 유사성 때문에 라글라이족을 참족의 한 갈래로 여기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신앙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참족은 기본적으로 우상 숭배를 금지하는 신앙 체계로 변화한 반면, 라글라이족은 떠이응우옌(중부 고원)의 다른 공동체들처럼 조상을 나무 조각상 형태로 숭배하는 전통적인 관습을 유지하거나 혹은 그러한 방식으로 회귀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와 함께, 1989년부터 베트남 행정 당국과 문화 관리들의 검토를 거쳐 1997년에는 라글라이족이 독립된 소수 민족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후 베트남의 공식 문서나 언론에서는 이 민족을 '''Rắc-lây'''(킨어) 또는 '''Raàk-lei'''(라데어)로 표기하고 있다.

2. 3. 근현대사

전통적으로 이동하며 화전농업을 생업으로 삼아 달랏 등 북부 산지에서 경작지를 찾아 남하하곤 했지만, 항불 전쟁 시기에는 전쟁의 참화를 피하기 위해 이동을 반복해야 했다. 전쟁이 끝난 후, 1976년 베트남 정부의 산지 민족 정착 정책과 1985년 토지법 시행에 따라 많은 라글라이족이 평지에 정착하게 되었다.

라글라이족은 역사적으로 남중부 해안 평원에 사는 참족과 인접한 칸호아성, 닌투언성, 빈투언성의 서쪽 산악 지대에 거주하며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천 년 된 격언인 `Cam sa-ai Raglai adei|참 사아이 라글라이 아데이cja` (참족 맏언니, 라글라이족 막내 여동생)는 두 민족 간의 혈연적 관계를 보여준다.[3] 참족의 전승에 따르면, 15세기 중반 참파 왕국의 분가인 바티눙 참 왕부를 세운 포카테이트의 후손이 현재의 라글라이족이라고도 한다.

과거에는 언어, 의상 및 일부 관습의 유사성 때문에 라글라이족을 참족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참족우상마스코트를 금지하는 신앙으로 변화한 반면, 라글라이족은 중부 고원의 다른 공동체처럼 조상을 "나무 조각상"으로 숭배하는 전통적인 관습을 유지했다. 이러한 문화적 독자성을 바탕으로, 1989년부터 행정 문서 검토와 문화 관리들의 노력을 통해 1997년 베트남 정부는 라글라이족을 공식적인 소수 민족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라글라이족은 여러 이름으로 불렸는데, 응우옌 왕조의 기록에는 `mọi Lá Vàng|모이 라 방vie` ("황엽 야만인")이라는 명칭이 등장하기도 한다. 현대 베트남 언론과 엔터테인먼트에서는 이 민족의 이름을 주로 `Rắc-lây|락라이vie`(킨어) 또는 `Raàk-lei|라글라이rad`(라데어)로 표기한다.

3. 문화

라글라이족은 모계제 사회 구조를 기반으로 독특한 관습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양(yang)'이라는 신령 세계관에 기반한 샤머니즘 신앙을 유지해왔으며, 이는 도이머이 정책 이후 다시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작은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현대 베트남 문화, 특히 음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유한 전통 악기를 사용한다.[4]

3. 1. 사회 제도

라글라이족은 모계제 사회이며, 모계제 씨족 외혼제나 모계 막내딸 상속 등의 규칙이 있다. 과거에는 라글라이족은 아들 이름에는 아버지의, 딸 이름에는 어머니의 이름과 비슷한 음운을 사용하는 독자적인 작명 관행을 가지고 있었지만, 항불 전쟁 이후 킨족과의 협력 관계 속에서 군사적 필요에 따라 모계 씨족의 성에 킨족풍의 이름을 채용하게 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금지되었던 이족 간의 결혼을 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라글라이족은 양(yang)이라는 신들이 모이는 신령 세계관을 가지며, 동물 희생과 비자우라고 불리는 샤먼에 의한 의례를 행하고 있다. 샤머니즘에 의한 신앙 체계는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도이머이 정책에 따른 자유화로 전통적인 의례는 재활성화되고 있다.

3. 2. 신앙

라글라이족은 양(yang)이라는 신들이 모이는 신령 세계관을 가지며, 동물 희생과 비자우(비야우)라고 불리는 샤먼에 의한 의례를 행한다. 샤머니즘에 기반한 이러한 신앙 체계는 과거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으나, 도이머이 정책 이후 자유화되면서 전통적인 의례가 다시 활성화되고 있다.

3. 3. 음악

라글라이족은 작은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현대 문화, 특히 음악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여러 음악 경연 대회에서 라글라이족 출신 참가자들이 높은 순위를 기록하거나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서 많은 인기를 얻는 사례가 자주 나타난다. 이러한 성공은 라글라이족 특유의 활발한 공동체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라글라이족은 고유한 전통 악기를 사용하며, 대표적인 악기들은 다음과 같다.[4]

  • Đàn đá|단 다vie (라글라이어: PATƠU TILẼNG)
  • Gong|공vie (라글라이어: CHHAR / CHĨNG)
  • Đàn nhị|단 니vie (라글라이어: CANHĨ)
  • Kèn bầu|켄 버우vie (라글라이어: CHAPI VILUAI)
  • Đàn bầu|단 버우vie

4.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2] 웹사이트 Committee of Ethnic Minority Affairs - Introduction about Raglai people http://www.cema.gov.[...] 2022-04-20
[3] 웹사이트 The relation between Chams and Raglai peoples https://dantocmiennu[...] 2017-06-22
[4] 웹사이트 Vietnam National Museum of History - Hero Pinăng Tắc https://baotanglichs[...] 2022-04-08
[5] 웹사이트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of the Raglai people https://baoninhthuan[...] 2023-07-26
[6] 웹인용 The 2009 Vietnam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mpleted Results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Centr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eering Committee 2010-06-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