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계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계제는 가문과 혈통을 어머니의 핏줄을 기준으로 삼는 사회 체제를 의미하며, 부계 사회와 대조된다. 이는 성씨가 어머니 가문으로 전해지고, 자녀가 모계의 성을 따르며, 딸이 모계의 지위와 재산을 상속받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모계제는 모권제와는 구분되며,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과거에는 초기 인류 사회가 모계 중심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유대교에서는 모계 혈통을 따르는 관습이 있으며, 미국의 노예 제도에서 노예 여성의 자녀가 어머니의 신분을 물려받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신화 속에서도 모계 사회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권제 - 아마조네스
    아마조네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전사 부족으로, 트로이아 전쟁 시기 흑해 연안에 여인 왕국을 건설한 것으로 전해지며, 다양한 어원 설과 함께 예술 작품 및 현대 매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모권제 - 아서 에번스
    아서 에번스는 영국의 고고학자로서 크레타 크노소스 유적을 발굴하여 미노아 문명을 세상에 알렸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애슈몰린 박물관 학예관을 역임했고, 크노소스에서 발굴된 선문자 A와 B 연구에 기여했지만, 선문자 B 해독을 독점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친족 - 혈통
    혈통은 중세 영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단일 계통 상속을 특징으로 하는 친족 집단을 의미하며, 모계, 부계, 또는 양쪽 계통을 통해 조상을 추적한다.
  • 친족 -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 간의 교배를 의미하며, 유전 질환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등 생물학적 영향과 품종 개량 및 연구에 활용된다.
모계제
기본 정보
모계 사회의 확산
모계 사회의 확산
유형혈통
반대부계제
개요
정의어머니를 통해 혈통을 추적하는 것
설명"모계"라는 용어는 어머니 또는 여성 조상을 통해 개인의 가계를 추적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계 사회에서 개인은 어머니의 가계에 속하며, 어머니의 혈통을 통해 상속과 계승을 받는다.
특징
혈통 결정어머니의 혈통을 통해 혈통을 결정
상속 및 계승어머니의 혈통을 통해 재산, 지위, 칭호 등을 상속 및 계승
사회적 역할여성의 역할이 강조되며, 여성의 권한과 영향력이 크다.
분포
다양한 문화권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난다.
모계 사회는 특정 지역이나 문화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예시미얀마의 일부 부족
인도네시아미낭카바우족
가나의 아샨티족
중국의 모쒀족
관련 용어
모권제 (Matriarchy)여성이 사회적, 정치적 권력을 가지는 체제
모부제 (Matrifocality)어머니가 가족의 중심이 되는 사회 구조
같이 보기
관련 문서가족
친족
성차
사회학
문화 인류학

2. 정의 및 특징

모계제는 가문과 혈통을 어머니의 핏줄을 기준으로 삼는 사회를 말한다. 이는 아버지 가문을 기준으로 하는 부계 사회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모계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성씨가 어머니 가문에서 외손주로 전해진다. 모계 사회와 부계 사회는 가문과 혈통을 따르는 기준에 따라 구별되며, 가정이나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중 누구의 권한이 더 큰지에 따라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계 사회는 모권제와는 다른 개념이다.

모계 사회는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지만, 전체적으로 부계 사회에 비해 드물게 나타난다.

모계 성씨는 어머니에게서 딸로 이어지는 이름을 말하며, 오늘날 성씨의 가장 일반적인 패턴인 아버지에게서 아들로 이어지는 부계 성씨와 대조된다.[18]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에서는 모계 사회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일부 나타났는데, 이는 아라비아 민족 중 극히 일부(가장 먼저 예멘아모리인과 북부 아라비아의 일부 나바테아인)에서 발견되었다.[19] 남아프리카의 현대 사례로는 모계 장자 상속 문화에서 비의 여왕의 지위 계승 순서가 있다. 왕조의 계보는 여성 혈통을 통해 계산될 뿐만 아니라 여성만이 상속 자격을 갖는다.[20]

일부 전통 사회와 문화에서 집단의 구성원은 모계 방식으로 상속되었으며, 현재도 그러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체로키, 초크토, *깃크산*, 하이다, 호피, 이로쿼이, 레나페, 나바호틀링깃 (북아메리카); *카베카르*와 *브리브리* (코스타리카); *나소*와 *쿠나족* (파나마); *코기*, *와유* 및 카리브 (남아메리카);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 및 말레이시아 느게리셈빌란의 *미낭카바우* 사람들; 멜라네시아의 *트로브리안더*, *도부* 및 "나고비시"; 케랄라의 나이르, 일부 티야 및 무슬림과 남부 인도의 카르나타카의 모가비라, 빌라바 및 번트; 인도 북동부 메갈라야와 방글라데시의 *카시*, *자인티아* 및 *가로*; 부탄의 *응갈롭*과 *샤르초프*; 중국의 *모수오*; 동남아시아의 *카야*, 스코틀랜드의 픽트, 스페인프랑스바스크; 일본아이누, 가나의 *아칸*(아샨티 포함), *보노*, *아콰무*, *판테*; 소위 "모계 벨트"로 불리는 아프리카 중남부의 대부분의 집단; 이집트수단 남부의 누비아인과 서부 및 북부 아프리카의 *투아레그*; 세네갈, 감비아모리타니의 *세레르* 등이 있다.

모계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자녀가 모계의 성을 따른다 (모계 성씨 계승).
  • 딸(들)이 모계의 지위를 계승한다 (모계 지위 계승).
  • 딸(들)이 모계의 재산을 상속한다 (모계 상속).
  • 결혼 후에도 부부는 별거하거나, 처가(모계)의 공동체에 거주한다 (모계 거주).


모계제는 계승과 상속이 모계의 혈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가리키며, 모권제와는 다른 개념이다. 모계제를 채택하는 사회에서는 오히려 어머니의 형제나 장녀의 남편과 같은 남성이 정치적인 지배권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모계제에서 성씨가 부계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씨족 이름은 모계를 따르지만, 출자에는 부계의 성씨도 포함될 수 있다. 고대 씨족의 대부분은 권위를 얻기 위해 황실이나 유력 호족의 후손을 자처했고, 『신찬성씨록』 등에는 황조신으로부터 많은 씨족이 기록되는 결과(이를 다조현상이라고 부름[124])가 되었다고 생각된다.[125]

이집트 파라오의 계승 제도도 사회 제도와는 조금 다르지만, 이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2. 1. 모권제와의 관계

모계제는 가문과 혈통을 어머니의 핏줄을 기준으로 삼는 사회 제도를 말하며, 아버지 가문을 기준으로 하는 부계사회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모계제는 성씨, 지위, 재산 상속 등이 어머니 가문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가정이나 사회에서 여성의 권한이 반드시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모권제와는 구분된다.

모권제는 여성, 특히 어머니가 권력과 권위를 가지는 사회 체제를 의미한다. 스위스의 요한 야코프 바흐오펜은 저서 『모권제론』(1861년)에서 난혼으로 인해 혈통을 어머니로부터 밖에 추적할 수 없었던 사회를 모권제의 기반으로 보았다. 그는 가부장제 이전 단계에 모권제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프리드리히 엥겔스에게도 지지받아 마르크스주의의 교의가 되었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여러 비판을 받으며 현재의 문화 인류학자 중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에마뉘엘 토드는 부계제 사회의 인간이 쌍계적 사회를 여권 지배적인 사회로 오해한다고 지적하며, 바흐오펜 역시 이러한 함정에 빠졌다고 비판했다. 다만, 오래된 사회 시스템에서 여성의 지위가 높았다는 생각 자체는 옳다고 보았다.[126]

현대에도 이로쿼이 연맹처럼 여성이 수장 임면권을 가지는 등, 여성이 우월한 지위를 가지는 경우가 존재한다.[127] 와이앤도트족 여성 또한 남성 수장의 임면권을 쥐고 있었다.[128]

3. 역사적 배경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에서는 모계 사회의 흔적이 일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라비아 민족 중 극히 일부인 예멘의 아모리인과 북부 아라비아의 일부 나바테아인에게서 나타났다.[19] 남아프리카의 현대 사례로는 모계 장자 상속 문화에서 비의 여왕 지위 계승 순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왕조의 계보는 여성 혈통을 통해 계산되며, 여성만이 상속 자격을 갖는다.[20]

일부 전통 사회와 문화에서는 집단의 구성원이 모계 방식으로 상속되었으며, 현재도 그러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지역해당 민족
북아메리카체로키, 초크토, *깃크산*, 하이다, 호피, 이로쿼이, 레나페, 나바호, 틀링깃
코스타리카*카베카르*, *브리브리*
파나마*나소*, *쿠나족*
남아메리카*코기*, *와유*, 카리브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 및 말레이시아 느게리셈빌란*미낭카바우*
멜라네시아*트로브리안더*, *도부*, "나고비시"
남부 인도 케랄라 및 카르나타카나이르, 일부 티야 및 무슬림, 모가비라, 빌라바, 번트
인도 북동부 메갈라야와 방글라데시*카시*, *자인티아*, *가로*
부탄*응갈롭*, *샤르초프*
중국*모수오*
동남아시아*카야*
스코틀랜드픽트
스페인프랑스바스크
일본아이누
가나*아칸*(아샨티 포함), *보노*, *아콰무*, *판테*
아프리카 중남부"모계 벨트"로 불리는 대부분의 집단
이집트수단 남부 및 서부, 북부 아프리카누비아인, *투아레그*
세네갈, 감비아모리타니*세레르*



위에 언급된 문화의 대부분은 (모계) 씨족에 기반을 두고 있다. 모든 씨족은 하나에서 여러, 혹은 많은 ''강하 집단'' 또는 ''가족 집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든 모계 씨족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관련 없는 여성 조상에게서 유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강하 집단은 하나의 가능한 문화적 패턴으로서 자체적인 성씨 또는 ''성''을 가질 수 있다.

미낭카바우 구성원은 ''성'' 또는 ''성씨''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개인의 이름은 단지 이름일 뿐이다. 아칸의 (모계) 씨족 문화 구성원들은 모계 ''성''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그들의 중요한 ''씨족 이름''도 이름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이름에는 흔히 두 번째 이름이 포함되는데, 이 이름은 ''성씨''라고 불리지만, ''가족 이름''처럼 아버지나 어머니로부터 모든 자녀에게 통상적으로 전해지는 ''성''은 ''아니다''.[21] 만약 어떤 문화가 개인의 ''씨족 이름''을 포함시키고 이를 ''강하 집단''의 모든 자녀에게 일상적으로 물려준다면, 그것은 자동적으로 해당 강하 집단의 ''성'' 또는 ''성씨''가 될 것이다.

3. 1. 원시 모계 사회

19세기 후반, 루이스 모건의 저서 《고대 사회》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논문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의 영향으로 초기 인류 사회가 모계 사회였다는 주장이 널리 퍼졌다.[133][1] 모건과 엥겔스는 초기 인류가 모계 중심 사회였으며, 이는 공산주의의 초기 형태라고 주장했다.[134][135]

20세기 대부분의 사회 인류학자들은 이러한 모계 우선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2][3]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일부 페미니즘 학자들이 이 이론을 되살리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4]

최근 진화 생물학자, 유전학자, 고인류학자들은 이 문제를 다시 검토하면서 초기 인류의 친족 관계가 모계적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5][6][7][8][136][137][138][139]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수렵 채집인 여성들이 결혼 후에도 자신의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경향이 있다는 유전적 데이터가 있다.[9] 또한, 자매와 어머니가 서로 육아를 돕는 경우, 혈통이 모계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0] 생물학적 인류학자들은 협력적인 육아가 인간의 큰 뇌와 독특한 심리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본다.[11]

일부 학자들은 수렵 채집 사회가 거주지를 유연하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동등한 권리가 주어지는 평등 사회로 이어진다고 주장하며, 모거주 또는 부거주의 보편성을 주장하는 것에 반박한다.[12][13] 그러나 일부 수렵 채집인들 사이에서는 부거주가 농부들보다 덜 흔하다. 예를 들어 아카의 피그미족의 경우 첫 아이를 낳은 후 남편의 캠프에 정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남편이 아내의 공동체에 머물거나 형제나 자매가 합류할 수 있다.[15]

일부 과학자들은 수렵 채집 사회의 친족 관계와 거주지가 복잡하며, 과거 데이터 재검토 결과 약 40%의 집단이 양가 거주, 22.9%가 모거주, 25%가 부거주였다고 지적한다.[16] 많은 과학자들은 예외적인 모거주(모계) 또는 부거주(부계) 개념을 반박하며 다중 거주를 옹호한다.[12][17]

대부분의 모계 사회는 씨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씨족은 여러 강하 집단 또는 가족 집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강하 집단은 자체적인 성씨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모계 사회에서는 "삼촌-아버지"가 조카를 돌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회적 아버지'가 삼촌이라는 의미이다. 아버지의 역할과 생물학적 아버지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모계 거주 형태의 사회에서는 남성이 자신이 낳은 아이가 아닌 자매의 아이들을 양육하며, 이들은 '자신의 살'로 여겨진다. 이 아이들의 생물학적 아버지는 어머니의 형제이자 양육자인 삼촌과는 달리, 친밀하더라도 '낯선 사람'으로 여겨질 수 있다.[22]

스티븐 핑커는 크리스틴 호크스의 주장을 인용하며, 채집 집단에서 모계 사회가 부계 사회보다 여자아이 유아 살해를 덜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23]

3. 2. 고대 사회

루이스 헨리 모건의 저서 ''고대 사회''(1877)의 영향으로 19세기 후반에는 초기 인류의 친족 관계가 모계적이었다는 믿음이 널리 퍼졌다.[1]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가족, 사유 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1884)에서 이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공산주의 이론에 포함시켰다.[2][3] 그러나 20세기 대부분의 사회 인류학자들은 이 이론을 지지하지 않았지만,[4]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일부 페미니즘 학자들이 다시 주목했다.

최근 진화 생물학자, 유전학자, 고인류학자들은 초기 인류 친족 관계가 모계적이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유전적 증거 등을 제시하며 재평가하고 있다.[5][6][7][8]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수렵 채집인 여성들이 결혼 후에도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경향이 있다는 유전적 데이터가 그 예시이다.[9] 자매와 어머니가 육아를 협력하면 모계 계보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10]

출생지 선택 또는 다중 거주지 경향이 수렵 채집 사회에서 나타난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거주지를 선택할 권리가 있어 평등한 사회로 이어진다는 것이다.[12][13]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수렵 채집인들 사이에서 부거주(남편의 가족과 함께 거주)가 농부들보다 덜 흔하다고 주장한다.[15]

일부 과학자들은 수렵 채집 사회의 친족 관계와 거주지가 복잡하며, 양가 거주, 모거주, 부거주 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고 말한다.[16]

스파르타에서는 남성이 종교적, 정치적 권력을 행사했지만, 상속과 재산 소유권은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이어졌다.[102] 픽트족 사회에서는 지도자 계승이 모계 원칙을 따라 이루어졌으며, 지배자의 형제나 조카가 계승했다.[103]

4. 현대 사회의 모계 사회

이슬람교 이전 아라비아에서 극히 일부 민족에게서 모계 사회의 증거가 나타났으며,[19] 남아프리카에서는 비의 여왕 지위 계승에서 모계 장자 상속 문화가 나타난다.[20]

일부 전통 사회와 문화에서 집단의 구성원은 모계 사회 방식으로 상속되었으며, 현재도 그러한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모계제는 대략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자녀가 모계의 성을 따른다 (모계 성씨 계승).
  • 딸(들)이 모계의 지위를 계승한다 (모계 지위 계승).
  • 딸(들)이 모계의 재산을 상속한다 (모계 상속).
  • 결혼 후에도 부부는 별거하거나, 처가(모계)의 공동체에 거주한다 (모계 거주).


모계제는 계승·상속이 모계의 혈연에 의한 것을 가리키며, 모권제와는 다른 개념이다. 모계제를 채택하는 사회에서는 오히려 어머니의 형제나 장녀의 남편과 같은 남성이 정치적인 지배권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모계제에서 성씨가 보다 부계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씨족 이름은 모계를 따르지만, 출자에는 부계의 성씨도 포함될 수 있다. 사회 제도와는 조금 다르지만, 이집트 파라오의 계승 제도도 이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에마뉘엘 토드는 부계제적인 사회의 인간은 쌍계적인 사회를 여권 지배적인 사회라고 생각하며, 오래된 시스템 쪽이 여성의 지위가 높았다는 생각은 옳다고 했다.[126] 현대에도 이로쿼이 연맹처럼, 수장의 임면권에 있어서 여성이 우월한 예도 있으며,[127] 와이앤도트족의 여성 또한, 남성 수장의 임면권을 쥐고 있었다.[128]

인도 메갈라야주의 Khasi people영어(Pnar people영어)는 모계제의 처가 거주 혼을 하며, 막내딸이 최대의 재산을 상속받는다.[130] 인도네시아미낭카바우족 또한 모계제의 처가 거주 혼을 하며, 그 사회에서는 여성이 재산을 상속하고, 전통 의식이나 천연 자원·가계의 관리에 있어서 실권을 쥐고 있다.[131] 기니비사우의 비자고스 제도에서는, 여성이 사회 복지·경제·사법·종교·혼인에 있어서 우위에 있다.[132]

4. 1. 아프리카

카나리아 제도의 관체로 불리는 베르베르 원주민들은 스페인에 정복될 당시 그란 카나리아 섬에서 모계 사회를 이루고 있었다.[32]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에 걸쳐 사는 세르족은 부계와 모계 사회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파팀 베예(1335)와 은도예 뎀바(1367) 등 여러 세르 모계 씨족과 여족장이 존재한다. 재산 상속은 부계와 모계 모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속되는 자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36]

투아레그족은 니제르, 말리, 알제리 등 북아프리카 국가에 걸쳐 사는 베르베르 민족 연합이다. 씨족 기반의 사회이며,[37] 2007년 기준으로 "대부분 모계 사회"를 유지하고 있다.[37][38][39] 무슬림이지만, 모계 사회를 포함한 기존 신념이 강하게 남아있다.[37][39] 투아레그 여성은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누리며, 사회적 지위는 여성을 통해 전달된다. 대부분의 여성은 글을 읽고 쓸 수 있었던 반면, 남성은 문맹인 경우가 많았다.[38] 다른 이슬람 문화권과 달리 남성이 베일을 착용하고 여성은 착용하지 않는다.[37][39]

4. 1. 1. 아칸족

아칸은 아프리카, 특히 가나코트디부아르에 약 2천만 명이 거주하는 민족이다.[24][25] 이들은 전통적으로 모계 혈통을 따르는 사회 조직을 가지고 있다.

아칸족의 전통적인 경제, 정치, 사회 조직은 모계 혈통에 기반하며, 이는 상속과 계승의 기초가 된다. 혈통은 특정 여성 조상으로부터 모계 계승으로 연결된 모든 사람으로 정의된다. 여러 혈통은 추장과 원로회로 구성된 '정치 단위'로 묶이며, 각 구성원은 혈통의 선출된 대표이다. 공직은 토지 소유권 및 기타 혈통 재산과 마찬가지로 혈통에 귀속되며, 혈통 재산은 모계 친족에 의해서만 상속된다.[24][26]

상속의 원칙은 성별, 세대, 나이를 강조한다. 남자가 여자보다 먼저, 연장자가 연소자보다 먼저 상속받는다. 여자의 형제가 있는 경우, 형제의 계보가 소진된 후에야 조카(자매의 아들)의 세대로 상속권이 넘어간다. 모든 남성 상속인이 소진된 후에야 여자가 상속받을 수 있다.[28]

각 혈통은 구성원이 경작하는 혈통 토지를 통제하고, 조상 숭배에 함께 참여하며, 구성원의 결혼을 감독하고, 구성원 간의 내부 분쟁을 해결한다.[27]

정치 단위는 아두아나, 아고나, 아사키리, 아세니, 아소나, 브레투오, 에쿠오나, 오요코라는 8개의 더 큰 그룹(아부수아, 씨족과 유사)으로 묶인다. 같은 '아부수아' 구성원은 모두 동일한 고대 여성 조상으로부터 유래했다는 믿음으로 결속되며, 이들 간의 결혼은 금지된다. 개인은 어머니의 혈통, 정치 단위, '아부수아'를 상속받거나 평생 동안 그 구성원이 된다. 어머니와 자녀는 한 가구에서 함께 생활하고 일하며, 남편/아버지는 다른 가구에서 생활하고 일한다.[24][26]

아칸족 사회에서 남자는 어머니의 형제(워파)와 강하게 관계를 맺지만, 아버지의 형제와는 약하게 관계를 맺는다. 이는 일부다처 사회의 맥락에서 어머니/자녀 유대가 아버지/자녀 유대보다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속에서 남자의 조카(자매의 아들)는 자신의 아들보다 우선권을 갖는다.[28]

아칸족 문화의 다른 측면은 모계가 아닌 부계로 결정된다. 12개의 부계 은토로(영을 의미) 그룹이 있으며, 모든 사람은 아버지의 은토로 그룹에 속하지만, 아버지의 가족 혈통과 '아부수아'에는 속하지 않는다. 각 부계 은토로 그룹은 고유한 성,[29] 금기, 의례 정화, 에티켓을 가지고 있다.[26]

최근에는 일부 가족이 핵가족으로 변화하고 있다.[30] 주거, 육아, 교육, 일상 업무, 노인 간호 등은 특히 도시에서 '아부수아' 또는 씨족이 아닌 해당 개별 가족이 처리한다.[31] 자신의 아부수아 내에서의 결혼에 대한 금기는 때때로 무시되지만, "씨족 구성원"은 여전히 중요하며,[30]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아부수아' 틀에서 생활하고 있다.[24]

4. 1. 2. 세레르족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에 거주하는 세르족은 부계 사회(세르어로 ''simanGol''[33])이면서 모계 사회(''tim''[34])이기도 하다. 여러 세르 모계 씨족과 여족장이 있다. 이들 여족장 중에는 파팀 베예 (1335)와 은도예 뎀바 (1367)가 있는데, 이들은 주스 모계 씨족의 여족장이며, 이 씨족은 왈로(세네갈)에서 왕조가 되었다. 일부 모계 씨족은 세르 중세 시대 및 왕조 역사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예를 들어 게로우와르가 있다. 가장 존경받는 씨족은 비교적 오래된 경향이 있으며 세르 고대사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들 원시 세르 씨족은 세르교와 신화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원시 세르 모계 씨족 중에는 세르 종교, 신화, 전통에 역사적 기록이 담겨 있는 ''Cegandum''과 ''Kagaw''가 있다.[35]

세르 문화에서 상속은 모계와 부계 모두에 의해 이루어진다.[36] 이는 상속되는 자산에 따라 달라진다. 즉, 자산이 부계 자산(부계 상속을 요함 - ''kucarla''[36])인지, 모계 자산(모계 상속을 요함 - ''den yaay''[34] 또는 ''ƭeen yaay''[36])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모계 자산(예: 보석, 토지, 가축, 장비 또는 가구 등)의 실제 처리에 대한 내용은 토쿠르의 역할 소제목에서 논의된다.

4. 1. 3. 투아레그족

투아레그족(아랍어: طوارق, 프랑스어로는 때때로 Touareg로 표기, 영어로는 Twareg로 표기)은 니제르, 말리, 알제리를 포함한 북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발견되는 대규모 베르베르 민족 연합이다. 투아레그족은 씨족 기반이며,[37] 2007년에도 여전히 "대부분 모계 사회"이다.[37][38][39] 무슬림이지만, 모계 사회를 포함한 기존 신념이 강하게 혼합되어 있다.[37][39]

투아레그 여성은 아랍 여성 및 다른 베르베르 부족에 비해 사회 내에서 높은 지위를 누리고 있다. 투아레그의 사회적 지위는 여성을 통해 전해지며, 거주지는 종종 모계적이다.[38] 대부분의 여성은 읽고 쓸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남성은 문맹이었으며 주로 가축을 돌보는 일과 기타 남성 활동에 종사했다.[38] 가축과 기타 동산은 여성의 소유였으며, 개인 재산은 성별에 관계없이 소유하고 상속되었다.[38] 다른 대부분의 이슬람 문화 집단과 달리 남성은 베일을 착용하지만 여성은 착용하지 않는다.[37][39] 이 관습은 투아레그족의 의복 부분에서 더 자세히 논의되며, 이는 사하라 사막을 횡단할 때 부는 모래로부터 필요한 보호일 수 있다고 언급한다.[40]

4. 2. 아메리카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는 모계 사회가 널리 퍼져 있었다.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브리브리족: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의 브리브리족은 모계 씨족 제도를 가지고 있다. 자녀는 어머니의 씨족에 속하며, 여성만이 토지를 상속받을 수 있다.
  • 카베카르족: 코스타리카의 카베카르족은 모계 씨족을 기반으로 사회가 조직되어 있으며, 어머니가 가구의 중심이다. 각 모계 씨족은 결혼, 토지 소유권, 재산 상속 등을 통제한다.
  • 구나족: 파나마와 콜롬비아의 구나족은 가족이 모계 중심이며, 남편은 아내의 가족으로 이주하고 아내의 성을 따른다.
  • 레나페족: 현재 뉴저지 지역에 거주했던 레나페족은 모계 씨족 사회였다. 이들은 농경과 수렵, 어업을 하며 이동 생활을 했다. 여성 원로들은 지도자를 해임할 권한을 가질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 초기 유럽인들은 레나페족의 모계 사회 조직을 낯설게 여겼다.[52]
  • 나바호족: 미국 남서부의 나바호족은 친족 관계, 자녀, 가축, 가족의 역사가 모두 여성에게서 전해지는 모계 사회이다. 결혼하면 남편은 아내의 가족과 함께 살았고, 아이들은 어머니의 씨족 출신으로 여성 가족의 호건에서 생활했다.
  • 기타: 보로로족, 코기족, 만단족, 나소족, 타나나 아사바스칸, 포우하탄족, 어퍼 쿠스코큄족, 와유족 등도 모계 사회의 특징을 보인다.

4. 2. 1. 호피족

앨리스 슐레겔에 따르면, 애리조나 북동부에 있는 현재의 호피 보호구역에 거주하는 호피족은 "성 이념은 여성 우월주의였으며, 이는 성적 평등의 사회적 현실 속에서 작동했다".[41] 슐레겔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르보는 호피족의 "성 역할은 평등주의적이며 ... [그리고] [어느] 성도 열등하지 않다".[42]고 하였으며, 호피 여성들이 "정치적 의사 결정에 완전히 참여한다"고 결론 내렸다.[43] 슐레겔은 호피족이 "모계 사회였고 지금도 그렇다"[45]고 하며 "가구는 모계 사회였다"[45]고 말했다.

슐레겔은 여성 우월주의가 존재했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호피족은 "삶을 최고의 선으로 믿었기 때문... [여성] 원리는 여성과 어머니 지구에서 활성화되었다... 그 근원으로서"[47], "동등한 경쟁 상대를 상대로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있지 않았기 때문"[46]이며 "정규 군대가 없었기 때문"[46]이었다. 따라서 "호피족은 남성 우월주의를 촉발할 요인이 없었다"[46]고 하며, 그 안에서 여성은 씨족과 가구 제도의 중심이었고 "경제 및 사회 시스템 내에서 (정치 및 의례 시스템 내 남성 우위와 대조적으로)" 주도했다.[46] 씨족 어머니는 불공정하다고 판단될 경우 남성에 의한 토지 분배를 뒤집을 권한을 가졌는데,[47] 이는 "상쇄되는 ... 강력한 중앙 집권적 남성 중심 정치 구조"가 없었기 때문이다.[47]

슐레겔은 "호피족은 더 이상 여기서 설명하는 대로 살지 않는다"[44]고 하며 "여성 우월주의의 태도는 사라지고 있다".[44]

4. 2. 2. 이로쿼이족

이로쿼이 연맹은 미국이 국가가 되기 전, 5~6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호데노소니 부족을 결합한 것이다. 이 연맹은 평화의 위대한 결합의 법이라는 헌법에 의해 운영되었는데, 이 헌법에서는 여성들이 모계 권리를 유지하고 전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리그의 정치적 의사 결정에 참여했다.[49] 이는 모계 사회[49] 또는 "여성 통치"[50]로 볼 수 있다. 이 헌법이 시행된 정확한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리그는 대략 1000~1450년에 결성되었고, 헌법은 1880년경에 기록될 때까지 구두로 전해졌다.[51] 이 리그는 현재도 존재한다.

와이앤도트와 메헤린과 같이 이로쿼이어를 사용하는 다른 민족들은 이로쿼이 리그의 일부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모계 가족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4. 3. 아시아

중국성씨는 원래 모계에서 유래되었지만, 상 왕조 시대(기원전 1600년~1046년)에 이르러 부계로 바뀌었다.[55] 고고학적 자료는 중국 신석기 시대 (기원전 7000년~2000년) 동안 중국의 모계 씨족이 과도기적인 부계 씨족 단계를 거쳐 일반적인 부계 가족으로 진화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55]

인도 헌법에 따라 등록된 부족으로 인정받는 공동체 중 일부는 모계적이고 모계 혈통을 따른다.[56] 남인도의 여러 힌두 공동체는 모계 혈통을 따랐으며, 이 제도는 서양 역사 기록에서 여성에게 어느 정도 자유와 재산 소유권을 부여한 인도 내 몇 안 되는 전통적인 시스템 중 하나였다.

인도네시아미낭카바우족은 모계 씨족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씨족 이름은 결혼 및 기타 문화 관련 행사에서 중요하다.[63][64][65] 미낭카바우족은 모계 전통과 이슬람교 신앙으로 잘 알려져 있다.[63] 미낭카바우족은 여성 상속이 이루어지는 모계 문화의 전형적인 예시이며, 상속과 소유권은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넘어간다.[68] 미낭카바우족 외에도 인도네시아의 수쿠 멜라유 베빌랑, 수쿠 쿠부 및 케린치족도 모계 사회이며 미낭카바우족과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스리랑카 동부 지역의 무슬림타밀족 사이의 모계제는 1200년 이전 무슬림 상인들을 통해 인도 케랄라에서 유입되었다.[74][75][76] 모계제는 친족 관계 및 사회 조직, 상속 및 재산권을 포함한다.[77][93][78] 싱할라족은 스리랑카 동부 지역의 세 번째 민족 집단이며,[81] 모계제와 부계제 사이의 "중간" 친족 관계를 가지고 있고,[82][83] 모계 및 부계 상속의 중간 형태인 "양계 상속"도 가지고 있다.[93][84]

부계제 사회 구조는 스리랑카 전체에 적용되지만, 동부 지역에서는 모계적 특징과 혼합되어 있다. 칸차나 N. 루완푸라에 따르면, 스리랑카 동부는 페미니스트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여성의 상대적으로 유리한 지위"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인간 개발 지수 (HDI)에서 여성의 동등한 성과뿐만 아니라 모계 및 "양계" "상속 패턴과 재산권"에 반영된다.[87][88]

4.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호주제가 폐지될 때 서울대학교 교수 최재천미토콘드리아 DNA는 온전히 암컷으로부터 온다는 생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부계 혈통주의가 생물학적으로는 모순임을 언급해 호주제 폐지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데 일조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기관이고 사람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90%를 생성하는 세포 속 발전소인데, 유전적 기여 비율로 본다면 생명에게 유전학적 호주(戶主)는 여성이라고 볼 수 있다.[140]

신(新)모계사회는 출생자수 급감, 1인 가구 급증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으로,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처가 중심 가정 공동체, 남아 선호 사상 약화, 비혼모 가정 증가 등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공 육아 체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141][142][143]

스텔싱, 성병, 임신중단권 부재, 성교 불법 촬영 등으로 성관계를 거부하는 여성들이 늘었다.[144][145][146] 그러면서 '성교 임신' 대신 정자 기증을 받아 '인공수정 임신'을 하려는 여성들도 증가했다.[147][148][149] 또 출산파업, 4B(비성교, 비연애, 비결혼, 비출산) 운동이 등장했다.[150][152]

4. 3. 2. 중국

중국의 성씨는 원래 모계에서 유래되었지만,[54] 상 왕조 시대(기원전 1600년~1046년)에 이르러 부계로 바뀌었다.[55]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신석기 시대(기원전 7000년~2000년) 동안 중국의 모계 씨족은 과도기적인 부계 씨족 단계를 거쳐 일반적인 부계 가족으로 진화했다.[55] 초기 신석기 시대의 양사오 문화에서 발견된 젊은 여성들의 "풍부하게 장식된" 무덤과 여러 집단 매장은 모계 씨족 문화를 보여준다.[55] 신석기 시대 후기에 이르러 부부의 무덤이 나타나고, 족장의 무덤이 점점 더 정교해지는 것은 가부장제의 반영으로 추정된다.[55]

중국 남서부의 모소족(나)과 같이 비교적 고립된 소수 민족은 고도로 모계적이다.

4. 3. 3. 인도

국가 헌법에 따라 등록된 부족으로 인정받는 공동체 중 일부는 모계적이고 모계 혈통을 따르며, 따라서 더 평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6][57] 남인도의 여러 힌두 공동체는 케랄라 주에 거주하는 나이르[58][59] (또는 '나야르')와 티야스[60], 카르나타카 주에 거주하는 분트와 빌라바를 포함하여 모계 혈통을 따랐다. '나이르' 공동체의 상속 제도는 마루마카타얌, '분트'와 '빌라바' 공동체의 상속 제도는 알리야산타나로 알려졌으며, 두 공동체 모두 씨족으로 세분되었다. 이 제도는 서양 역사 기록에서 여성에게 어느 정도 자유와 재산 소유권을 부여한 인도 내 몇 안 되는 전통적인 시스템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예외적이었다.

모계 사회에서 어머니, 그녀의 형제와 여동생, 그리고 그녀의 자녀들은 타라바두에 함께 살았다. 가장 나이가 많은 남성 구성원은 '카라나바르'로 알려졌으며, 가문의 족장으로서 가문의 재산을 관리했다. 혈통은 어머니를 통해 추적되었고, 자녀는 어머니의 가족에 속했다. 이전에는 성씨가 모계 쪽이었다. 모든 가족 재산은 공동 소유였다. 분할의 경우, 자녀의 몫은 어머니의 몫과 합쳐졌다. 카라나바르의 재산은 자신의 아들이 아닌 여동생의 아들이 상속했다. 아미타브 고쉬는 남인도 해안의 공동체에 모계 상속 시스템이 많이 있었지만, 나이르는 "모계성에 대한 인류학 문헌에서 비할 데 없는 명성을 얻었다"고 말했다.[61]

인도 북동부의 메갈라야 주에서 카시, 가로, 자인티아족은 막내딸이 부모의 재산을 상속받아 그들을 돌보는, 광범위한 모계 혈통 시스템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62]

4. 3. 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미낭카바우족은 모계 씨족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씨족 이름은 결혼 및 기타 문화 행사에서 중요하다.[63][64][65] 같은 씨족 이름을 가진 두 사람은 같은 씨족 어머니 출신으로 간주되어 결혼할 수 없다. 미낭카바우족은 인도네시아 어디에서든 같은 씨족 이름을 가진 낯선 사람을 만나면 먼 친척이라고 느낀다.[66] 미낭카바우족은 성이나 가족 이름이 없고, 개인의 이름만이 유일한 이름이다.[67]

미낭카바우족은 세계에서 가장 큰 모계 사회 중 하나로, 서수마트라 자치주에 400만 명,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 약 400만 명이 거주한다. 미낭카바우족은 모계 전통과 이슬람교 신앙으로 잘 알려져 있다.[63] 이러한 전통 관습과 종교의 조화는 1821–37 파드리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63]

미낭카바우족은 여성 상속이 이루어지는 모계 문화의 전형적인 예시이다. 상속과 소유권은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넘어간다.[68]

미낭카바우족 외에도 인도네시아의 여러 다른 민족도 모계 사회이며 미낭카바우족과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수쿠 멜라유 베빌랑, 수쿠 쿠부 및 케린치족이 그 예이다.

민족거주 지역인구
수쿠 멜라유 베빌랑리아우의 쿠안탄 싱기 군(쿠앙싱)의 코타 텔루크 쿠안탄해당 자료 없음
수쿠 쿠부족잠비와 남수마트라약 20만 명
수쿠 케린치족주로 잠비의 케린치 군약 30만 명



미낭카바우족과 유사한 문화는 네게리슴빌란 주와 말라카 일부 지역에서 15세기에 말레이 반도로 이주한 서수마트라의 산물로서 '아다트 퍼파티' 관습의 기초가 된다.[72][73]

4. 3. 5. 스리랑카

스리랑카 동부 지역의 무슬림타밀족 사이의 모계제는 1200년 이전 무슬림 상인들을 통해 인도 케랄라에서 유입되었다.[74][75][76] 모계제는 친족 관계 및 사회 조직, 상속 및 재산권을 포함한다.[77][93][78] 예를 들어, 어머니의 지참금 재산 및/또는 집은 장녀에게 상속된다.[79][80] 싱할라족은 스리랑카 동부 지역의 세 번째 민족 집단이며,[81] 모계제와 부계제 사이의 "중간" 친족 관계를 가지고 있고,[82][83] 모계 및 부계 상속의 중간 형태인 "양계 상속"도 가지고 있다.[93][84] 앞의 두 집단은 타밀어를 사용하고, 세 번째 집단은 싱할라어를 사용한다. 타밀족은 주로 힌두교를 따르고, 싱할라족은 주로 불교를 믿는다.[85] 세 집단의 인구는 거의 같다.[86]

4. 4. 오세아니아

마셜 제도, 트로브리앤드 제도[104], 팔라우[105], 야프섬[106] 등 일부 오세아니아 사회는 모계 사회의 특징을 보인다. 이 사회에서는 사망한 사람의 누이의 아들이나 형제가 흔히 후계자가 된다.[107]

5. 유대교의 모계 혈통

유대교 혈통을 모계로 추적하는 것을 유대교의 모계 사회 또는 유대교의 모계 혈통이라고 한다. 거의 모든 유대교 공동체는 적어도 초기 타나 시대(서기 10–70년경)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계 혈통을 따랐다.[108]

유대교에서 모계 혈통의 기원과 시기는 불확실하다. 정통 유대교는 모계 혈통이 적어도 시나이 산에서 토라를 받은 때(기원전 1310년경)부터 내려온 구전 율법이라고 주장한다.[109] 일부 현대 학자들은 초기 타나 시대(서기 10–70년경) 또는 에즈라 시대(기원전 460년경)에 제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108]

실제로, 유대교 종파는 혈통에 따라 "유대인은 누구인가?"를 다르게 정의한다. 모든 유대교 종파는 혈통으로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을 위한 개종 절차를 가지고 있다.

정통 유대교[110]와 보수 유대교[108][111]는 여전히 모계 혈통을 따른다. 카라이트 유대교는 구전 율법을 거부하며 일반적으로 부계 혈통을 따른다. 재건 유대교는 1968년부터 부계 혈통의 유대인을 인정했다.[112]

1983년, 미국 랍비 중앙 회의(CCAR)는 개혁 유대교에 대해 적어도 한 명의 유대인 부모를 둔 사람은 공식적인 개종을 면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들은 (a) 개혁 기준에 따라 유대인으로 양육되거나, (b) 적절한 공개 식별 행위에 참여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는 적어도 한 세대 동안 개혁 회당에서 흔히 있었던 관행을 공식화한 것이다. 이 결의안은 유대인 어머니가 없는 자녀에게 유대교로의 공식적인 개종을 요구하는 개혁 운동의 이전 입장에서 벗어난 것이다.[113] 그러나 밀접하게 관련된 이스라엘 개혁 및 진보 유대교 운동은 이 결의안을 거부하고 유대인 어머니가 없는 사람에게 공식적인 개종을 요구한다.[114]

6. 미국의 노예 제도와 모계

미국에서는 노예 여성의 자녀가 어머니의 신분을 물려받았다. 이로 인해 노예 여성과 소유주 사이의 강간 등으로 태어난 자녀는, 노예를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부계 상속 제도 하에서는 가질 수 있었던 아버지의 권리를 전혀 갖지 못하는 중요한 결과가 발생했다.

7. 신화 속 모계 사회

고대 신화 중에는 역사적 기록 이전의 모계적 관습의 오래된 흔적을 드러내는 것이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헤로도토스리키아[115][116]들과 카리아인들이 모계 혈통을 따랐다고 증언했다.[117]

그리스 신화에서 왕위는 남성이 가졌지만, 권력은 종종 여성을 통해 이어졌다. 미래의 왕은 여왕 상속인과 결혼하여 권력을 물려받았다. 헬레네를 차지하기 위해 그리스의 모든 귀족 남성이 경쟁한 호메로스의 신화와, 오이디푸스가 테베 왕위를 계승하며 과부가 된 여왕과 결혼하는 오이디푸스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경향은 켈트 신화에서도 나타난다. 마비노기의 쿨후흐와 올웬 이야기, 얼스터 주기, 특히 쿠 훌린전사 여성 스카하크에게 훈련받고 그녀의 딸과 연인이 된다는 점, 타인 보 쿠얼링에에서 진정한 권력자는 코노트의 왕 아릴이 아니라 그의 아내 메브라는 점 등이 그 예시이다.

픽트족은 모계 사회였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118][119]

브르타뉴인 이야기와 아서 왕 전설도 이러한 관점에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원탁은 기네비어의 아버지 레오데그란스가 아서에게 준 선물이었다.

여러 동화 줄거리도 모계 사회의 흔적을 담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예를 들어, ''알레르라이라우'', ''당나귀 가죽'', ''딸과 결혼하고 싶어하는 왕'', ''암곰''과 같이 자신의 딸과 결혼하고 싶어하는 아버지의 이야기는, 아내가 죽은 후 사위에게 왕위를 잃게 될 것을 우려한 아버지의 통치 연장 욕구로 설명된다.[120] 왕들이 딸의 구혼자들에게 위험한 과제를 제시하는 ''세 개의 5월 복숭아'', ''토끼를 몰았던 예스퍼'', ''그리핀''과 같은 이야기도 비슷한 맥락에서 해석된다.[121]

''마리아의 아이'', ''여섯 마리 백조'', 페로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와 같이 시어머니와 여주인공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동화는, 남편의 충성심이 어머니에게서 아내에게로 옮겨가는 부계 사회로의 전환을 반영한다고 해석되기도 한다.[122]

참조

[1] 서적 Social Structure Macmillan 1949
[2] 서적 Marriage: Past and Present. A debate between Robert Briffault and Bronislaw Malinowski Porter Sargent 1956
[3] 서적 The Rise of Anthropological Theory. Routledge 1969
[4] 서적 Myths of Male Dominance. Collected articles on women cross-culturally. Monthly Review Press 1981
[5] 서적 Mothers and others. The evolutionary origins of mutual understandin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6] 웹사이트 Early human kinship was matrilineal. http://www.radicalan[...] Blackwell 2008
[7] 서적 Grandmothering and Female Coalitions. A basis for matrilineal priority? Blackwell 2009
[8] 웹사이트 Engels was Right: Early Human Kinship was Matriliineal. http://libcom.org/hi[...] 2012
[9] 학위논문 Genetic variation in Khoisan-speaking populations from southern Africa 2010
[10] 논문 Communal breeding promotes a matrilineal social system where husband and wife live apart
[11] 논문 Cooperative breeding and human cognitive evolution
[12] 논문 Co-residence patterns in hunter-gatherer societies show unique human social structure https://pubmed.ncbi.[...] 2011-03-11
[13] 논문 Human behavior. Sex equality can explain the unique social structure of hunter-gatherer bands https://pubmed.ncbi.[...] 2015-05-15
[14] 논문 Sociocultural behavior, sex-biased admixture,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s in Central African Pygmies and non-Pygmies 2013
[15] 논문 Variation of Female and Male Lineages in Sub-Saharan Populations: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Factors https://doi.org/10.1[...] 2004-09-01
[16] 논문 The behavioural ecology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hunter-gatherer social organisation 2016
[17] 논문 Marital Residence among Foragers https://www.africabi[...] 2004
[18] 서적 The Seven Daughters of Eve W.W. Norton 2001
[19] 논문 Were There Any Truly Matrilineal Lineages in the Arabian Peninsula? https://www.academia[...]
[20] 웹사이트 The Balobedu Queenship Recognised and Dignity Restored http://www.cogta.gov[...] 2016-07-27
[21] 서적 Long Live the Dead!: Changing Funeral Celebrations in Asante, Ghana https://books.google[...] Aksant Academic Publishers 2001
[22] 서적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atrilineal descent groups. Int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1
[23] 서적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Why Violence Has Declined Viking 2011
[24] 서적 Long Live the Dead!: Changing Funeral Celebrations in Asante, Ghana https://books.google[...] Aksant Academic Publishers 2001
[25] 서적 Research Review - Institute of African Studi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African Studies. 1988
[26]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William Benton, publisher,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0
[27] 웹사이트 Ghana: The Akan Group http://lcweb2.loc.go[...] 1994-11
[28] 웹사이트 Ashanti Home Page: The Ashanti Family unit http://ashanti.com.a[...] 2010
[29] 문서 2001
[30] 문서 2001
[31] 문서 2001
[32] 서적 An Archaeology of the Margins: Colonialism, Amazighity and Heritage Management in the Canary Island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3] 서적 Médecine traditionnelle religion et divination chez les Seereer L'Harmattan 1997
[34] 서적 Sagesse sereer : Essais sur la pensée sereer ndut https://books.google[...] KARTHALA Editions 1994
[35] 서적 La Civilisation Sereer – Cosaan Nouvelles Editions africaines 1983
[36] 간행물 Vestiges historiques, trémoins matériels du passé clans les pays sereer http://horizon.docum[...] CNRS – ORS TO M 1993
[37] 뉴스 New exhibition highlights the 'artful' Tuareg of the Sahara http://new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07-05-23
[38] 서적 Gendered Spac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2
[39] 논문 Review of Ecology and Culture of the Pastoral Tuareg,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Tuareg of Ahaggar and Ayr 1966
[40] 웹사이트 The Tuareg of the Sahara http://www.bradshawf[...] Bradshaw Foundation 2007
[41] 문서 Hopi Gender Ideology of Female Superiority 1984
[42] 문서 Rethinking Matriliny Among the Hopi
[43] 문서 Rethinking Matriliny Among the Hopi
[44] 문서 Hopi Gender Ideology of Female Superiority
[45] 문서 Hopi Gender Ideology of Female Superiority
[46] 문서 Hopi Gender Ideology of Female Superiority
[47] 문서 Hopi Gender Ideology of Female Superiority
[48] 문서 Iroquois Great Law of Peace and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How the Founding Fathers Ignored the Clan Mothers 1991
[49] 문서 Iroquois Great Law of Peace and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0] 문서 Iroquois Great Law of Peace and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1] 문서 Iroquois Great Law of Peace and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2] 문서 Society Lenape
[53] 웹사이트 A Map of Virginia http://etext.lib.vir[...] Joseph Barnes 1612
[54] 웹사이트 Naming practices http://www.linguisti[...] linguistics.berkeley.edu 2004
[55] 논문 Archaeological Research on Neolithic China 1988
[56] 논문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Bias in the Birth and Survival of Girls in Urban India
[57] 문서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Bias in the Birth and Survival of Girls in Urban India
[58] 논문 Some Aspects of Nayar Life https://archive.org/[...] 1918-07-12
[59] 서적 Matrilineal Kinship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0] 서적 Kerala's Identity: Unity and D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61] 서적 The Imam and the Indian: prose pieces.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62] 서적 Women and Conflict in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02-05
[63] 논문 Commentary: Matriarchy and Islam Post-9/11: A Report from Indonesia https://web.sas.upen[...] 2002-12
[64] 서적 Women at the Center: Life in a Modern Matriarch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4
[65] 뉴스 A matrilineal, Islamic society in Sumatra http://www.roamingta[...] 2009-10-21
[66] 문서 2004
[67] 문서 2004
[68] 논문 The King Is Dead; Long Live the Queen! 2005
[69] 서적 The Kurds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2006-03-07
[70] 논문 Mongol Place-Names in Mukri Kurdistan 1957
[71] 서적 Çêştî Micêvir
[72] 웹사이트 Negeri Sembilan – History and Culture http://go2travelmala[...] 2017-03-04
[73] 웹사이트 The Minangkabau of Negeri Sembilan https://museumvolunt[...] 2016-04-04
[74] 서적 Matrilineal Communities, Patriarchal Realities: A Feminist Nirvana Uncovere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5] 문서 This page 51 of the Ruwanpura book is accessible online via Google Books (books.google.com). The book's TOC and pages 1–11 and 50–62 are currently accessible.
[76] 간행물 Households in Akkaraipattu: Dowry and Domestic Organization among Matrilineal Tamils and Moors of Sri Lanka Sage Publications
[77] 간행물 Gender Ine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St. Martin's Press
[78] 문서 Ruwanpura, 2006, p. 1. Accessible online as above.
[79] 문서 Ruwanpura, 2006, p. 53. Accessible online as above.
[80] 문서 McGilvray, 1989, pp. 201–2.
[81] 문서 Ruwanpura, 2006, pp. 3–4(accessible online as above) and p. 39.
[82] 문서 Ruwanpura, 2006, p. 72.
[83] 서적 Under the Bo Tree: Studies in Caste, Kinship, and Marriage in the Interior of Ceyl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4] 문서 Ruwanpura, 2006, p. 71.
[85] 문서 Ruwanpura, 2006, pp. 3–4. Accessible online as above.
[86] 문서 Ruwanpura, 2006, p. 39.
[87] 문서 Ruwanpura, (2006), p.1. Accessible online as above.
[88] 문서 Humphries, 1993, p. 228.
[89] 문서 Ruwanpura, 2006, p. 3. Accessible online as above.
[90] 문서 Ruwanpura, 2006, p. 10 and see p. 6 ("prevalence of patriarchal structures and ideologies"). Accessible online as above.
[91] 문서 Ruwanpura, 2006, pp. 4–5. Accessible online as above.
[92] 문서 Ruwanpura, 2006, p. 4. Accessible online as above.
[93] 서적 A Field of One's Own: Gender and Land Rights in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문서 Ruwanpura, 2006, p. 182.
[95] 문서 Ruwanpura, 2006, p. 182 (both quotations).
[96] 문서 Ruwanpura, 2006, pp. 145–146.
[97] 문서 Ruwanpura, 2006, p. 142 (both quotations).
[98] 문서 Ruwanpura, 2006, p. 37.
[99] 문서 Ruwanpura, 2006, p. 76 n. 7.
[100] 웹사이트 UNHCR – Document Not Found https://www.unhcr.or[...]
[101] 간행물 Following the Trail of the Fairy-Bird: The Search For a Uniquely Vietnamese Women's Movement Routledge
[102] Youtube The Constitution of the Spartans https://www.youtube.[...]
[103] 백과사전 Picts https://www.worldhis[...]
[104] 문서 Malinowski, Bronisław.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https://archive.org/[...]
[105] 웹사이트 The Palauan culture http://www.everycult[...]
[106] 웹사이트 The Yapese kinship http://www.everycult[...]
[107] 논문 Studies in the Anthropology of Bougainville, Solomon Islands. Douglas L. Oliver.
[108] 간행물 Originally published in Judaism 34.1 (Winter 1985), 55–59. https://louisjacobs.[...]
[109] 문서 Numbers Rabbah
[110] 문서 See Rabbi Moses Feinstein's re-affirmation of matrilineal descent 1984-09
[111] 웹사이트 A Standard of Rabbinic Practice Regarding Determinati·on of Jewish Identity https://www.rabbinic[...] The Rabbinical Assembly 1988
[112] 웹사이트 A Reconstructionist View on Patrilineal Descent https://www.bjpa.org[...] 2001
[113] 웹사이트 Reform Movement's Resolution on Patrilineal Descent (March 1983) https://www.jewishvi[...]
[114] 웹사이트 Reform Judaism in Israel: Progress and Prospects https://web.archive.[...] 2016-03-04
[115] 문서 History of Herodotus http://en.wikisource[...] -0425
[116] 서적 The Greek Myths, Vol. 1 Penguin Books 1955
[117] 문서 1955
[118] 웹사이트 thanks to the practise of matrilineal descent followed by the Picts, and a large number of eligible would-be kings http://www.historyfi[...]
[119] 웹사이트 the Picts are known as strong adherents to the concept of matrilineal descent http://www.historyfi[...]
[120] 서적 Chaucer's Constance and Accused Queens Gordian Press 1969
[121] 문서 1969
[122] 문서 1969
[123] 웹사이트 追撃し、嚙みちぎり、溺れさせ…シャチのシロナガスクジラ狩りを初確認 http://japan.hani.co[...] 2022-06-26
[124] 논문 高群逸枝覚え書(一) : その母系制研究を中心として http://repo.beppu-u.[...] 別府大学国語国文学会
[125] 서적 大日本女性史 第1巻 - 母系制の研究
[126] 서적 家族システムの起源 藤原書店 2016
[127] 서적 母権と父権 弘文堂
[128] 서적 民主主義の人類史――何が独裁と民主を分けるのか? みすず書房
[129] 서적 女たちの王国――「結婚のない母系社会」中国秘境のモソ人と暮らす 草思社
[130] 뉴스 Meghalaya: Where women call the shots https://www.aljazeer[...] Al Jazzera 2013-10-16
[131] 웹사이트 Indonesia’s Minangkabau culture promotes empowered Muslim women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7-01-13
[132] 뉴스 Bijagos of Guinea-Bissau : Meet the African tribe where women rule and choose their own husbands https://nationaldail[...] National Daily Newspaper 2022-01-30
[133] 저널 SOCIAL STRUCTURE. By George Peter Murdock.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949. 387 pp. $6.00 http://dx.doi.org/10[...]
[134] 저널 Marriage, Past and Present: A Debate Between Robert Briffault and Bronislaw Malinowski.M. F. Ashley Montagu http://dx.doi.org/10[...]
[135] 저널 The Rise of Anthropological Theory: A History of Theories of Culture. http://dx.doi.org/10[...]
[136] 서적 Mothers and others. The evolutionary origins of mutual understandin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37] 문서 Early human kinship was matrilineal. http://www.radicalan[...] 2008
[138] 문서 Grandmothering and Female Coalitions. A basis for matrilineal priority? 2009
[139] 웹사이트 Engels was Right: Early Human Kinship was Matriliineal. http://libcom.org/hi[...] 2012
[140] 뉴스 (생명과 과학) 아기 곰 곁엔 왜 아빠 곰이 없을까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8-11-15
[141] 뉴스 아버지 되기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7-05-06
[142] 뉴스 맞벌이 늘며 처가와 점점 더 가까워졌다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7-12-12
[143] 뉴스 시가보다 처가에 의존하는 ‘신모계사회’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8-07-31
[144] 뉴스 "완전한 임신중단권 보장 담아 법개정 나서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5-09
[145] 뉴스 동의없이 콘돔 뺀 남성들…“스텔싱도 성범죄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9-12-26
[146] 뉴스 오늘부터 불법 성적촬영물 소지만 해도 최대 징역 3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5-19
[147] 뉴스 결혼 안 하면 왜 정자 기증 못받나요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6-08-02
[148] 뉴스 임신하러 영국 가야 하나?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6-08-02
[149] 뉴스 "(특파원리포트) “동성 커플·싱글녀에 인공수정 허용”…들끓는 프랑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10-09
[150] 뉴스 2047년, 열에 일곱이 1ㆍ2인가구…'출산 파업'에 경제 '비상'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9-09-18
[151] 뉴스 (인턴액티브) "연애·성관계·결혼·출산 모두 거부"…'4B'를 아시나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1-26
[152] 뉴스 민주당 후보 "비결혼·비출산 막겠다"…"우리가 애 낳는 기계냐" 여성계 반발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20-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