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넌큘러스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넌큘러스속(Ranunculus)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식물 속으로, 전 세계 온대 및 산악 지대에 분포한다. 잎은 턱잎이 없고 손바닥 모양 잎맥을 가지며, 꽃은 노란색, 녹색, 흰색, 빨간색, 보라색, 분홍색 등 다양한 색을 띤다. 일부 종은 약리 작용이 있으며, 생으로 먹으면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분자 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라넌큘러스속은 여러 속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한국에는 미나리아재비, 젓가락나물, 개구리자리, 매화마름 등 다양한 종이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나리아재비속 - 젓가락나물
    젓가락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5-6월에 황색 꽃이 피고 난상 원통형의 열매를 맺으며, 한국에서는 습지에서 자라는 위기종이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라넌큘러스속
기본 정보
에슈숄츠의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eschscholtzii)
에슈숄츠의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eschscholtzii)
학명
속명Ranunculus
명명자L.
분류
식물계 (Plantae)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하위 분류
약 1,700종
종 목록Ranunculus 종 목록
어원
이명
이명Aphanostemma A.St.-Hil.
Batrachium (DC.) Gray
Beckwithia Jeps.
Ceratocephala Moench.
Glossophyllum Fourr.
Kumlienia Greene
Laccopetalum Ulbr.
Myosurus L.
일본어 이름
일본어キンポウゲ属 (킨포우게조쿠)
일본어 (다른 이름)ウマノアシガタ属 (우마노아시가타조쿠)
영어 이름
영어Buttercup
Spearworts
Water crowfoots

2. 분포

미나리아재비속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양쪽 반구에서 발견되며, 주로 온대 또는 산악 지대에 서식한다. 이들은 에오세 후기 또는 올리고세 동안 북부 유라시아에서 기원하여 현재까지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게 되었다.[4][5] 화석 증거에 따르면, 미나리아재비속은 더 이상 남극 대륙에 서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플라이오세 중후기까지, 빙하기가 풍경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에 서식했다.[6]

2. 1. 화석 기록

독일 중부 뢴 산맥의 플라이오세 보르소니 지층에서 ''Ranunculus gailensis''와 ''Ranunculus tanaiticus''의 씨앗 화석이 발견되었다.[7] 중국 헝돤산맥의 플라이오세 지층에서는 ''Ranunculus cf. tachiroei''로 명명된 열매 화석이 발견되었다.[8] 남극 횡단 산맥의 마이어 사막 형성 생물군에서는 신생대 지층에서 불확실한 열매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주빙하 환경에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6]

가장 오래된 화석은 콜로라도의 후기 에오세(처음에는 마이오세로 확인됨) 플로리산트 형성에서 발견되었으며, 1922년 테오도어 드루 앨리슨 코커렐에 의해 확인되었다.[9]

3. 특징

''Ranunculus glaberrimus''의 꽃


미나리아재비속은 주로 여러해살이풀이지만, 가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기도 하며, 초본이고, 수생 또는 육생 식물로, 줄기 밑부분에 잎이 뭉쳐서 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여러해살이 종에서는 덩굴줄기가 뻗어나와 먼 마디에서 뿌리와 잎이 돋아 새로운 식물이 자란다.

잎에는 턱잎이 없고, 잎자루가 있으며, 손바닥 모양 잎맥을 가지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다소 깊게 갈라지거나, 겹잎이며, 수생 종에서는 작은 잎이나 잎 조각이 매우 가늘고 선형일 수 있다.

자웅동주 꽃은 단일이거나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보통 5개(드물게는 3개 또는 7개까지)의 꽃받침과 보통 5개의 노란색, 녹색 또는 흰색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빨간색, 보라색 또는 분홍색을 띠기도 한다(그러나 꽃잎이 없거나 다른, 때로는 훨씬 더 많은 수를 가질 수 있다).

각 꽃잎의 기저부에는 보통 1개의 꿀샘이 있으며, 이는 노출되어 있거나 비늘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수술은 소수일 수 있지만, 종종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노란색 또는 때로는 흰색이며, 노란색 꽃가루를 가지고 있다. 때로는 적지만 대부분 많은 녹색 또는 노란색 암술은 융합되지 않고, 대부분 구형 또는 돔 모양의 꽃받침 위에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발달 중인 수과를 보여주는 ''라넌큘러스''의 열매.


''Ranunculus arvensis''의 열매자루


열매(이 경우 수과라고 함)는 매끄럽거나 털이 있을 수 있으며, 날개가 있거나, 혹이 있거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을 수 있다.[12]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의 꽃잎은, 특히 노란색을 띠는 종에서, 특별한 색상 기전으로 인해 매우 광택이 나는 경우가 많다. 꽃잎의 윗면이 매우 매끄러워 거울과 같은 반사를 일으킨다. 이 반짝임은 수분 곤충을 유인하고 꽃의 생식 기관의 온도 조절을 돕는다.

3. 1. 광택이 나는 꽃잎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의 꽃잎은, 특히 노란색을 띠는 종에서, 특별한 색상 기전으로 인해 매우 광택이 나는 경우가 많다.[10][11] 꽃잎의 윗면이 매우 매끄러워 거울과 같은 반사를 일으킨다. 이 반짝임은 수분 곤충을 유인하고 꽃의 생식 기관의 온도 조절을 돕는다.[3]

4. 속의 분리

분자 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라넌큘러스속은 납작파리풀속(''Ceratocephala''), 할레르페스테스속(''Halerpestes''), 하마드리아스속(''Hamadryas''), 라코페탈룸속(''Laccopetalum''), 쥐꼬리망풀속(''Myosurus''), 옥시그래피스속(''Oxygraphis''), 파록시그래피스속(''Paroxygraphis'') 및 트라우트베테리아속(''Trautvetteria'')과 같은 다른 여러 속과 관련하여 단일 계통군이 아님이 밝혀졌다.[18] 따라서 2010년 라눈쿨레아족에 대한 분류에서 라넌큘러스속을 여러 속으로 분리하자는 제안이 발표되었다.[18] 분리된 속에는 아르크테란티스속(''Arcteranthis''), 베크위시아속(''Beckwithia''), 칼리안테모이데스속(''Callianthemoides''), 코프티디움속(''Coptidium''), 키르토린카속(''Cyrtorhyncha''), 피카리아속(''Ficaria''), 크라프피아속(''Krapfia''), 쿰리니아속(''Kumlienia'') 및 펠토칼라토스속(''Peltocalathos'')이 포함된다. 모든 분류학자와 사용자가 이러한 속의 분리를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넓은 의미로 처리될 수도 있다.

5. 약리 작용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은 전통 의학에서 항류마티스제, 발적제 및 간헐열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19] 일부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에서 발견되는 프로토아네모닌, 아네모닌 등의 성분은 이러한 약리 작용의 근거가 될 수 있다.[19]

6. 독성

모든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은 생으로 먹을 경우 성이 있지만, 매운 맛과 독성으로 인해 입안에 물집이 생기기 때문에 보통 먹지 않는다.[20] 가축은 다른 식물의 생장이 거의 없는 과도한 방목지에서 미나리아재비가 많이 자랄 경우, 절박한 상황에서 이를 먹어 중독될 수 있다. 중독 증상으로는 피가 섞인 설사, 과도한 흘림, 복통, 입, 점막, 위장관의 심각한 물집 등이 있다.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을 취급할 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라눈쿨린이 분해되어 프로토아네모닌을 형성하는데, 이는 사람에게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식물을 광범위하게 취급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20] 등의 가축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키고 심정지 등의 중대한 증상으로 이어질수도 있다.[23] 독소는 건조 과정에서 분해되므로, 마른 미나리아재비를 포함한 건초는 안전하다.[21]

7. 한국의 미나리아재비속

한국에는 다양한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식물들이 자생한다.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R. japonicus''), 젓가락나물(''R. chinensis''), 개구리자리(''R. sceleratus''), 매화마름(R. nipponicus var. submersus) 등이 있다. 이들은 습지, 밭, 산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봄부터 여름에 걸쳐 꽃을 피운다.

미나리아재비(''R. japonicus'')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며, 5~6월에 노란색 꽃을 피운다.

개구리자리(''R. sceleratus'')는 논이나 습지에서 자라며, 5~8월에 꽃을 피운다.

매화마름(''R. nipponicus'' var. ''submersus'')은 5~6월에 흰색 꽃을 피우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일부 종은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8. 주요 종


  • 히메타가라시(일본어: ヒメタガラシ) ''Ranunculus abortivus''
  • 아크리스킨포우게(일본어: アクリスキンポウゲ) ''R. acris''
  • * 코린킨포우게(일본어: コリンキンポウゲ) ''R. acris'' var. ''monticola''
  • * 미야마킨포우게(일본어: ミヤマキンポウゲ) ''R. acris'' var. ''nipponicus''
  • ** 코미야마킨포우게(일본어: コミヤマキンポウゲ) ''R. acris'' var. ''nipponicus f. yuparensis''

케나시미야마킨포우게(일본어: ケナシミヤマキンポウゲ) ''R. acris'' var. ''nipponicus sub''var.'' glabrescens''

  • 모우코킨포우게(일본어: モウコキンポウゲ) ''R. affinis''
  • 알파인 버터컵(영어: Alpine buttercup) ''R. alpestris''
  • 타카네킨포우게(일본어: タカネキンポウゲ) ''R. altaicus subsp. shinanoalpinus''
  • 워터 버터컵(영어: Water buttercup) ''R. aquatilis''
  • 이토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イトキツネノボタン) ''R. arvensis''
  • 오오바이카모(일본어: オオバイカモ) ''R. ashibetsuensis''
  • 하나킨포우게(일본어: ハナキンポウゲ) ''R. asiaticus''
  • 타마킨포우게(일본어: タマキンポウゲ)(세이요킨포우게, 일본어: セイヨウキンポウゲ) ''R. bulbosus''
  • 케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ケキツネノボタン) ''R. cantoniensis''
  • 코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コキツネノボタン) ''R. chinensis''
  • 히메류킨카(일본어: ヒメリュウキンカ) ''R. ficaria''
  • 마츠바킨포우게(일본어: マツバキンポウゲ) ''R. flammula''
  • 타카네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タカネキツネノボタン) ''R. formosa-montanus''
  • 에조킨포우게(일본어: エゾキンポウゲ) ''R. franchetii''
  • 카라쿠사킨포우게(일본어: カラクサキンポウゲ) ''R. gmelinii''
  • 그래스리브드 버터컵(영어: Grass-leaved buttercup) ''R. gramineus''
  • 오오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オオウマノアシガタ) ''R. grandis''
  • * 시코탄킨포우게(일본어: シコタンキンポウゲ) ''R. grandis'' var. ''austrokurilensis''
  • * 군나이킨포우게(일본어: グンナイキンポウゲ) ''R. grandis'' var. ''mirissimus''
  • 츠루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ツルキツネノボタン) ''R. hakkodensis''
  • 키타타킨포우게(일본어: キタカタキンポウゲ) 키타타킨포우게/キタカタキンポウゲ일본어 ''R. hasunumae''
  • 세타나킨포우게(일본어: セタナキンポウゲ) 세타나킨포우게/セタナキンポウゲ일본어 ''R. hondanus''
  • 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ウマノアシガタ) ''R. japonicus''
  • * 아카기킨포우게(일본어: アカギ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akagiensis''
  • ** 야에자키아카기킨포우게(일본어: ヤエザキアカギ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akagiensis f. plenus''
  • * 이부키킨포우게(일본어: イブキ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ibukiensis''
  • * 노하라킨포우게(일본어: ノハラ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pratensis''
  • * 코킨포우게(일본어: コ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rostratus''
  • * 시로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シロウマノアシガタ) ''R. japonicus f. coloratus''
  • * 킨포우게(일본어: キンポウゲ) ''R. japonicus f. pleniflorus''
  • 챠보킨포우게(일본어: チャボキンポウゲ) ''R. junipericola''
  • 키타다케킨포우게(일본어: キタダケキンポウゲ) ''R. kitadakeanus''
  • 그레이터 스피어와트(영어: Greater spearwort) ''R. lingua''
  • 토게미노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トゲミノキツネノボタン) ''R. muricatus''
  • 히나킨포우게(일본어: ヒナキンポウゲ) ''R. nankotaizanus''
  • 이쵸바이카모(일본어: イチョウバイカモ) ''R. nipponicus''
  • * 미시마바이카모(일본어: ミシマ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japonicus''
  • * 오오이쵸바이카모(일본어: オオイチョウ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major''
  • * 히루젠바이카모(일본어: ヒルゼン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okayamensis''
  • * 에치고바이카모(일본어: エチゴ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ohtagawaensis''
  • * 바이카모(일본어: 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submersus''
  • 치시마히키노카사(일본어: チシマヒキノカサ) ''R. nivalis''
  • 라운드-리브드 크로우풋(영어: Round-leaved crowfoot) ''R. omiophyllus''
  • 카라후토킨포우게(일본어: カラフトキンポウゲ) ''R. pallasii''
  • 오토메킨포우게(일본어: オトメキンポウゲ) ''R. pulchellus''
  • 쿠모마킨포우게(일본어: クモマキンポウゲ) ''R. pygmaeus''
  • 하이킨포우게(일본어: ハイキンポウゲ) ''R. repens''
  • 이토킨포우게(일본어: イトキンポウゲ) ''R. reptans''
  • 이보미킨포우게(일본어: イボミキンポウゲ) ''R. sardous''
  • 타가라시(일본어: タガラシ) ''R. sceleratus''
  • * 키츠네노타가라시(일본어: キツネノタガラシ) ''R. sceleratus x R. silerifolius''
  • 시마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シマキツネノボタン) ''R. sieboldii''
  • 야마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ヤマキツネノボタン) ''R. silerifolius''
  • * 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キツネノボタン) ''R. silerifolius'' var. ''glaber''
  • * 하이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ハイキツネノボタン) ''R. silerifolius'' var. ''prostratus''
  • 다후리아킨포우게(일본어: ダフリアキンポウゲ) ''R. smirnovii''
  • 오제킨포우게(일본어: オゼキンポウゲ) ''R. subcorymbosus'' var. ''ozensis''
  • 타카네킨포우게(일본어: タカネキンポウゲ) ''R. sulphureus''
  • 오토코제리(일본어: オトコゼリ) ''R. tachiroei''
  • 히키노카사(일본어: ヒキノカサ) ''R. ternatus''
  • * 류큐히키노카사(일본어: リュウキュウヒキノカサ) ''R. ternatus'' var. ''lutchuensis''
  • * 우스게히키노카사(일본어: ウスゲヒキノカサ) ''R. ternatus f. pilosulus''
  • 히메바이카모(일본어: ヒメバイカモ) ''R. trichophyllus'' var. ''kazusensis''
  • 히메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ヒメキツネノボ탄) ''R. yaegatakensis''
  • 히메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ヒメウマノアシガタ) ''R. yakushimensis''
  • 야츠가타케킨포우게(일본어: ヤツガタケキンポウゲ) ''R. yatsugatakensis''
  • 치토세바이카모(일본어: チトセバイカモ) ''R. yesoensis''

8. 1. 한국 자생종 (예시)

히메타가라시(일본어: ヒメタガラシ) ''Ranunculus abortivus''

아크리스킨포우게(일본어: アクリスキンポウゲ) ''R. acris''

  • * 코린킨포우게(일본어: コリンキンポウゲ) ''R. acris'' var. ''monticola''
  • * 미야마킨포우게(일본어: ミヤマキンポウゲ) ''R. acris'' var. ''nipponicus''
  • ** 코미야마킨포우게(일본어: コミヤマキンポウゲ) ''R. acris'' var. ''nipponicus f. yuparensis''

케나시미야마킨포우게(일본어: ケナシミヤマキンポウゲ) ''R. acris'' var. ''nipponicus sub''var.'' glabrescens''

모우코킨포우게(일본어: モウコキンポウゲ) ''R. affinis''

알파인 버터컵(영어: Alpine buttercup) ''R. alpestris''

타카네킨포우게(일본어: タカネキンポウゲ) ''R. altaicus subsp. shinanoalpinus''

워터 버터컵(영어: Water buttercup) ''R. aquatilis''

이토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イトキツネノボタン) ''R. arvensis''

오오바이카모(일본어: オオバイカモ) ''R. ashibetsuensis''

하나킨포우게(일본어: ハナキンポウゲ) ''R. asiaticus''

타마킨포우게(일본어: タマキンポウゲ)(세이요킨포우게, 일본어: セイヨウキンポウゲ) ''R. bulbosus''

케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ケキツネノボタン) ''R. cantoniensis''

코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コキツネノボタン) ''R. chinensis''

히메류킨카(일본어: ヒメリュウキンカ) ''R. ficaria''

마츠바킨포우게(일본어: マツバキンポウゲ) ''R. flammula''

타카네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タカネキツネノボタン) ''R. formosa-montanus''

에조킨포우게(일본어: エゾキンポウゲ) ''R. franchetii''

카라쿠사킨포우게(일본어: カラクサキンポウゲ) ''R. gmelinii''

그래스리브드 버터컵(영어: Grass-leaved buttercup) ''R. gramineus''

오오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オオウマノアシガタ) ''R. grandis''

  • * 시코탄킨포우게(일본어: シコタンキンポウゲ) ''R. grandis'' var. ''austrokurilensis''
  • * 군나이킨포우게(일본어: グンナイキンポウゲ) ''R. grandis'' var. ''mirissimus''

츠루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ツルキツネノボタン) ''R. hakkodensis''

키타타킨포우게(일본어: キタカタキンポウゲ)

세타나킨포우게(일본어: セタナキンポウゲ)

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ウマノアシガタ) ''R. japonicus''

  • * 아카기킨포우게(일본어: アカギ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akagiensis''
  • ** 야에자키아카기킨포우게(일본어: ヤエザキアカギ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akagiensis f. plenus''
  • * 이부키킨포우게(일본어: イブキ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ibukiensis''
  • * 노하라킨포우게(일본어: ノハラ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pratensis''
  • * 코킨포우게(일본어: コキンポウゲ) ''R. japonicus'' var. ''rostratus''
  • * 시로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シロウマノアシガタ) ''R. japonicus f. coloratus''
  • * 킨포우게(일본어: キンポウゲ) ''R. japonicus f. pleniflorus''

챠보킨포우게(일본어: チャボキンポウゲ) ''R. junipericola''

키타다케킨포우게(일본어: キタダケキンポウゲ) ''R. kitadakeanus''

그레이터 스피어와트(영어: Greater spearwort) ''R. lingua''

토게미노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トゲミノキツネノボタン) ''R. muricatus''

히나킨포우게(일본어: ヒナキンポウゲ) ''R. nankotaizanus''

이쵸바이카모(일본어: イチョウバイカモ) ''R. nipponicus''

  • * 미시마바이카모(일본어: ミシマ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japonicus''
  • * 오오이쵸바이카모(일본어: オオイチョウ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major''
  • * 히루젠바이카모(일본어: ヒルゼン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okayamensis''
  • * 에치고바이카모(일본어: エチゴ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ohtagawaensis''
  • * 바이카모(일본어: バイカモ) ''R. nipponicus'' var. ''submersus''

치시마히키노카사(일본어: チシマヒキノカサ) ''R. nivalis''

라운드-리브드 크로우풋(영어: Round-leaved crowfoot) ''R. omiophyllus''

카라후토킨포우게(일본어: カラフトキンポウゲ) ''R. pallasii''

오토메킨포우게(일본어: オトメキンポウゲ) ''R. pulchellus''

쿠모마킨포우게(일본어: クモマキンポウゲ) ''R. pygmaeus''

하이킨포우게(일본어: ハイキンポウゲ) ''R. repens''

이토킨포우게(일본어: イトキンポウゲ) ''R. reptans''

이보미킨포우게(일본어: イボミキンポウゲ) ''R. sardous''

타가라시(일본어: タガラシ) ''R. sceleratus''

  • * 키츠네노타가라시(일본어: キツネノタガラシ) ''R. sceleratus x R. silerifolius''

시마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シマキツネノボタン) ''R. sieboldii''

야마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ヤマキツネノボタン) ''R. silerifolius''

  • * 키츠네노보탄(일본어: キツネノボタン) ''R. silerifolius'' var. ''glaber''
  • * 하이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ハイキツネノボタン) ''R. silerifolius'' var. ''prostratus''

다후리아킨포우게(일본어: ダフリアキンポウゲ) ''R. smirnovii''

오제킨포우게(일본어: オゼキンポウゲ) ''R. subcorymbosus'' var. ''ozensis''

타카네킨포우게(일본어: タカネキンポウゲ) ''R. sulphureus''

오토코제리(일본어: オトコゼリ) ''R. tachiroei''

히키노카사(일본어: ヒキノカサ) ''R. ternatus''

  • * 류큐히키노카사(일본어: リュウキュウヒキノカサ) ''R. ternatus'' var. ''lutchuensis''
  • * 우스게히키노카사(일본어: ウスゲヒキノカサ) ''R. ternatus f. pilosulus''

히메바이카모(일본어: ヒメバイカモ) ''R. trichophyllus'' var. ''kazusensis''

히메키츠네노보탄(일본어: ヒメキツ네노보탄) ''R. yaegatakensis''

히메우마노아시가타(일본어: ヒメウマノアシガ타) ''R. yakushimensis''

야츠가타케킨포우게(일본어: ヤツガタケキンポウゲ) ''R. yatsugatakensis''

치토세바이카모(일본어: チトセバイカモ) ''R. yesoensis''

8. 1. 1.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미나리아재비(''R. japonicus'')는 한국 전역의 습지나 밭 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노란색 꽃을 피우며, 독성이 있다.

8. 1. 2.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젓가락나물(''Ranunculus chinensis'')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냇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가 젓가락처럼 생겨서 젓가락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8. 1. 3.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는 논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타가라시(일본어: タガラシ)라고도 불린다.

8. 1. 4. 매화마름 (''Ranunculus kazusensis'')

매화마름(''Ranunculus kazusensis'')은 맑은 물에서 자라는 수생식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흰색 꽃을 피우며, 잎은 매화나무 잎과 비슷하게 생겼다. 더불어민주당은 매화마름 서식지 보전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이 식물의 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있다.

9.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Ranunculus'' L., Sp. Pl. : 548 (1753)" https://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
[2] 웹사이트 "''Ranunculus'' L." http://www.worldflor[...] World Flora Online Consortium 2022
[3]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4] 논문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he cosmopolitan genus Ranunculus L. (Ranunculaceae) in the temperate to meridional zones https://doi.org/10.1[...] 2011
[5] 웹사이트 Ranunculales https://www.mobot.or[...] 2024-03-26
[6] 논문 Neogene vegetation of the Meyer Desert Formation (Sirius Group) Transantarctic Mountains, Antarctica https://linkinghub.e[...] 2004-10-07
[7] 논문 The floral change in the tertiary of the Rhön mountains (Germany) 2007
[8] 논문 Rise of herbaceous diversity at the southeastern margin of the Tibetan Plateau: First insight from fossils https://onlinelibrar[...] 2022-09
[9] 논문 A Fossil Buttercup https://www.nature.c[...] 1922
[10] 논문 Functional optics of glossy buttercup flowers 2017
[11] 논문 Buttercups focus light to heat their flowers and attract insects https://www.newscien[...] 2017-02-25
[12] 간행물 Phylogenetic Affinities, Species Delimitation and Adaptive Radiation of New Zealand ''Ranunculus'' https://mro.massey.a[...] Massey University 2024-06-26
[13] 백과사전 rānuncŭlu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79
[14] 서적 Roadside Plants and Flowers: A Traveler's Guide to the Midwest and Great Lakes Area: With a Few Familiar Off-Road Wildflowe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5
[15] 논문 A corpus of inscriptions: Representing slave marks in antiquity https://www.jstor.or[...] 2010
[16] 서적 Nez Perce dictiona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Umatilla dictiona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8]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genera of Ranunculeae (Ranunculaceae) 2010
[19] 논문 The genus ''Ranunculus'': A phytochemical and ethnopharmacological review
[20] 웹사이트 "''Ranunculus''" http://www.botanical[...] Botanical Dermatology Database 2013-10-18
[21] 웹사이트 Are buttercups poisonous to horses? We ask the experts... https://www.horseand[...] 2022-03-24
[22] 웹사이트 "''Ranunculus'' L." http://www.itis.gov/[...] "[[ITIS]]" 2012-01-09
[23] Youtube "Ranunculus" https://www.botanica[...]
[24]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