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도미르 푸트니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도미르 푸트니크는 세르비아의 군인으로, 세르비아-오스만 전쟁과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다. 1863년 베오그라드의 포병 학교를 졸업하고, 1903년 세르비아 참모총장이 되었으며, 1912년 세르비아군 최초의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5월 쿠데타 이후 복권되어 군 개혁을 주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침공을 막아내는 데 기여했다. 1917년 니스에서 사망했으며, 캐나다 앨버타 주의 푸트니크 산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장군 - 밀루틴 쿠카냐츠
밀루틴 쿠카냐츠는 1992년 사라예보 포위전의 사령관으로 유고 인민군을 이끌었고, 도브로볼랴츠카 거리에서 매복 공격을 받았으며, 핵 벙커 철거를 명령했었다. - 세르비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드라자 미하일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체트니크를 결성하여 추축국에 저항했으나, 파르티잔과의 갈등 및 추축국과의 협력으로 연합군의 지원을 잃었고, 전후 반역죄와 전쟁 범죄로 처형되었으나 2015년 명예가 회복되었다. - 세르비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밀룬카 사비치
밀룬카 사비치는 남장으로 세르비아군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뛰어난 용맹을 떨치며 혁혁한 공을 세운 세르비아의 여성 영웅이다. - 1847년 출생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1847년 출생 - 볼레스와프 프루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알렉산데르 그워바츠키라는 본명을 가진 폴란드의 소설가, 언론인, 단편 작가로, 사회 비판적인 주제를 사실주의적, 실증주의적 관점으로 다루었으며, 대표작으로는 《인형》과 《파라오》가 있다.
라도미르 푸트니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육군 원수 |
출생일 | 1847년 1월 24일 |
출생지 | 크라구예바츠, 세르비아 공국 |
사망일 | 1917년 5월 17일 |
사망지 | 니스, 프랑스 |
안장 장소 | 신 묘지 베오그라드 |
배우자 | 류비차 푸트니크 (1879년–1917년; 그의 사망) |
자녀 | 류비샤 푸트니크 보리보예 푸트니크 밀라 푸트니크 밀리차 푸트니크 라도이카 푸트니크 디미트리예 푸트니크 블라디미르 푸트니크 |
모교 | 세르비아 육군사관학교 |
직업 | 군인 |
경력 | |
소속 | 세르비아 공국 |
군종 | 세르비아 육군 |
복무 기간 | 1861년–1896년, 1903년–1917년 |
최종 계급 | 육군 원수 |
주요 참전 | 세르비아-튀르크 전쟁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제1차 발칸 전쟁 제2차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수상 내역 | |
훈장 | 카라조르제 스타 훈장 성 사바 훈장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군사 공로 훈장 성 미카엘과 성 조지 훈장 |
주요 직책 | |
직책 | 세르비아 왕국 왕립 세르비아군 최고 사령부 초대 참모총장 |
임기 시작 | 1912년 10월 8일 |
임기 종료 | 1915년 12월 8일 |
국왕 | 페타르 1세 |
이전 | 본인 |
이후 | 페타르 보이오비치 (대행) |
직책 2 | 세르비아 왕국의 제4대, 9대, 11대, 14대 총참모장 |
임기 시작 2 | 1908년 |
임기 종료 2 | 1915년 12월 8일 |
국왕 2 | 페타르 1세 |
이전 2 | 페타르 보이오비치 (대행) |
이후 2 | 페타르 보이오비치 (대행) |
임기 시작 3 | 1904년 |
임기 종료 3 | 1905년 |
이전 3 | 지보인 미시치 (대행) |
국왕 3 | 페타르 1세 |
이후 3 | 알렉산다르 마신 (대행) |
임기 시작 4 | 1903년 |
임기 종료 4 | 1904년 |
국왕 4 | 페타르 1세 |
이전 4 | 스베토자르 T. 네시치 |
이후 4 | 지보인 미시치 (대행) |
임기 시작 5 | 1890년 |
임기 종료 5 | 1892년 (대행) |
국왕 5 | 알렉산다르 1세 |
이전 5 | 요반 미슈코비치 |
이후 5 | 요반 미슈코비치 |
직책 6 | 세르비아 왕국 육군 제30대, 33대, 40대 장관 |
임기 시작 6 | 1906년 4월 17일 |
임기 종료 6 | 1908년 3월 30일 |
총리 6 | 사바 그루이치, 니콜라 파시치 |
이전 6 | 사바 그루이치 |
이후 6 | 스테파 스테파노비치 |
임기 시작 7 | 1904년 1월 26일 |
임기 종료 7 | 1905년 5월 16일 |
총리 7 | 사바 그루이치, 니콜라 파시치 |
이전 7 | 밀란 안드레예비치 |
이후 7 | 바실리예 안토니치 |
임기 시작 8 | 6월 4일 |
임기 종료 8 | 1912년 10월 2일 |
총리 8 | 밀로반 밀로바노비치, 마르코 트르피코비치, 니콜라 파시치 |
이전 8 | 스테파 스테파노비치 |
이후 8 | 라도비예 보이오비치 |
2. 생애
라도미르 푸트니크는 1847년 세르비아 공국의 크라구예바츠에서 태어났다. 베오그라드의 포병 학교(후일의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1879년 류비차 보이비치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동시대 사람들은 푸트니크를 금욕적이고 내성적인 인물로 묘사했지만, 그는 군사 문제에 대한 확고한 견해를 가진 유능한 장교였다. 1876년부터 1878년까지 벌어진 세르비아-오스만 전쟁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으며, 특히 1877년부터 1878년까지 이어진 제2차 세르비아-오스만 전쟁의 종결 단계에서 코소보의 그닐라네와 그라차니차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1] 그러나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휴전 조항으로 인해 메르다레로 철수해야 했다.[1]
1886년부터 1895년까지 군사 아카데미 교수로 재직했으며, 1889년에는 참모총장 차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밀란 1세 국왕과의 갈등으로 인해 승진에 어려움을 겪었고, 1895년에는 급진당에 대한 동정심을 품고 있다는 의혹을 받아 강제 퇴역당했다.[1]
1903년 5월 쿠데타 이후 복권되어 페타르 1세 치하에서 장군으로 진급,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군대를 재편하고, 세 번에 걸쳐 육군 장관을 역임했다.
횟수 | 기간 |
---|---|
1 | 1904년 |
2 | 1906년–1908년 |
3 | 1912년 |
푸트니크는 지보인 미시치 장군을 부관으로 임명했으며, 두 사람은 성격적인 충돌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존경했다. 푸트니크는 야전 원수라는 최고 계급으로 임명된 최초의 장교였다.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군을 지휘하여 쿠마노보 전투 (1912년 10월)와 모나스티르 전투 (1912년 11월)에서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승리했다. 제2차 발칸 전쟁에서는 브레갈니차 전투 (1913년)에서 불가리아를 상대로 승리했다.[2]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푸트니크는 부다페스트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으나, 프란츠 요제프 황제의 배려로 세르비아로 돌아올 수 있었다.[2] 고령과 건강 악화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군 총사령관을 맡아 1914년 체르 전투와 콜루바라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공세를 격퇴했다.
1915년 가을,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불가리아 연합군의 대규모 공세에 직면하여 코소보 방면으로 후퇴했다. 이후 몬테네그로를 거쳐 알바니아로 완전히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6] 알바니아로의 퇴각은 굶주림, 질병, 적의 공격으로 인해 매우 비참했으며, 많은 병사와 민간인이 사망했다.[6] 푸트니크 자신도 건강이 악화되어 안락의자에 실려 이동해야 했다.[7]
결국 세르비아군은 아드리아 해 해안에 도착하여 연합군 수송선을 타고 그리스 섬으로 수송되었고, 푸트니크는 코르푸로 이동했다. 1916년 1월, 푸트니크를 포함한 전체 참모총장이 해임되었다.[8] 푸트니크는 니스로 이동하여 프랑스 당국의 환대를 받았으나, 1917년 5월 17일 폐기종으로 사망했다.[8] 그의 유해는 1926년 세르비아로 옮겨져 베오그라드의 신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라도미르 푸트니크는 1847년 세르비아 공국의 크라구예바츠에서 교사인 아버지 드미트리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마친 후 베오그라드의 포병 학교(후일의 군사 아카데미)에 진학하여 1863년에 졸업, 반에서 8등을 기록했다. 1879년에는 류비차 보이비치와 결혼하여 슬하에 7명의 자녀(딸 셋, 아들 넷)를 두었다. 류비차는 훗날 군사부 장관이 된 Radivoje Bojović|라디보예 보요비치sr의 누이이자, 토도르 보이비치 대령과 옐레나 타디치의 딸이었다.[1]동시대 사람들은 푸트니크를 금욕적이고 내성적인 사람이며, 골초라고 묘사했지만, 그는 또한 전문적인 문제에 대한 확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고 평가한다. 그는 1876년부터 1878년까지 벌어진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특히 1877년부터 1878년까지 이어진 제2차 세르비아-오스만 전쟁의 종결 단계에서 그의 군대는 코소보의 그닐라네와 그라차니차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푸트니크 소령 휘하의 세르비아군은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일반 휴전 조항을 충족하기 위해 메르다레로 철수해야 했다.[1]
푸트니크는 1886년부터 1895년까지 군사 아카데미의 교수로 재직했다. 1889년에는 참모총장 차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곧 밀란 1세 국왕과 갈등을 겪게 되었다. 국왕의 피보호자가 시험에 합격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정치적 음모와 밀란 오브레노비치 국왕 및 그의 후임인 알렉산더 1세 국왕과의 잠재적 갈등으로 인해 그의 승진은 순탄치 않았다. 결국 1895년, 니콜라 파시치의 급진당에 대한 동정심을 품고 있다는 의혹을 받아 국왕에 의해 강제 퇴역당했다.[1]
푸트니크의 초기 군 경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내용 |
---|---|
1867년 1월 | 3군 산악 포병 중대장 |
1867년 4월 | 4군 산악 포병 중대장 |
1868년 10월 | 차차크(Čačak) 의용군 중대장 |
1871년 2월 | 메르제츠카 포병 중대장 |
1872년 10월 | 공병 감독 |
1874년 1월 | 포병부 업무 |
1875년 | 크라구예바츠 병기창 지도자 |
1876년 4월 | 루디니크 여단의 제1 부관 |
1876년 6월 | 루드니크 여단의 참모장 |
1876년 | 루드니크 여단장 |
1878년 | 브라녜 군사 지구 지도자 |
1879년 | 국방성 공병 감독 |
1880년 | 상비군 사단 참모장 |
1881년 4월 | 토플리카 군사 지구 지도자 |
1883년 3월 | 국방성 공병 감독 (2회 연임) |
1883년 9월 | 다뉴브 사단장 |
1886년 | 주요 참모부 작전부 외국 정보부장 |
1888년 4월 | 주요 참모부 작전부장 |
1890년 | 주요 참모부 부참모장 |
1893년 3월 | 소령 진급 심사 위원회 위원장 |
1893년 6월 | 슈마디야 사단장 |
1894년 4월 | 소령 진급 심사 위원회 위원장 |
1895년 1월 | 군사 상고 법원 부의장 |
1896년 10월 26일 | 퇴역 |
1903년 | 복직, 육군대장으로 승진, 참모총장 |
2. 2. 5월 쿠데타 이후 복권과 군 개혁
쿠데타 이후 푸트니크는 복권되었다. 페타르 1세 치하에서 그는 장군으로 진급하여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 후 푸트니크는 늙은 장교들을 은퇴시키고 새로운 장교들을 진급시키며, 구식 전쟁 계획을 갱신하여 세르비아 군대를 재편했다. 푸트니크는 세 번 육군 장관을 역임했다.횟수 | 기간 |
---|---|
1 | 1904년 |
2 | 1906년–1908년 |
3 | 1912년 |
푸트니크는 지보인 미시치 장군을 부관으로 임명했다. 때때로 성격적인 충돌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해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다. 푸트니크는 야전 원수라는 최고 계급으로 임명된 최초의 장교였다.
2. 3. 발칸 전쟁
제1차 발칸 전쟁에서 푸트니크는 세르비아군을 지휘하여 쿠마노보 전투 (1912년 10월)와 모나스티르 전투 (1912년 11월)에서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제2차 발칸 전쟁에서는 브레갈니차 전투 (1913년)에서 불가리아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불가리아의 공격을 예상한 푸트니크는 브레갈니차 강 근처의 중요한 전략적 지점에 군대를 배치하여 기습 공격 이후 빠른 승리를 거두었다.[2]2. 4. 제1차 세계 대전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했을 때, 푸트니크는 부다페스트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기사도적인 행동으로 그에게 세르비아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했다.[2] 고된 여정 끝에 세르비아로 돌아온 푸트니크는 세르비아 국왕 페타르 1세에게 고령과 건강 악화를 이유로 사임을 요청했지만,[3] 국왕은 이를 거절했다. 대신 푸트니크에게 군대를 지휘하도록 지시했고, 스테파 스테파노비치, 지보인 미시치, 페타르 보요비치와 같은 젊은 장군들이 작전을 맡았다. 푸트니크는 건강이 좋지 않아 대부분의 시간을 난방이 잘 되는 방에서 보냈지만, 전역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세르비아는 1914년 8월과 9월에 체르 전투와 콜루바라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공세를 격퇴하고, 1914년 12월까지 그들을 세르비아에서 몰아냈다.
1915년 초, 알렉산드르 왕자는 푸트니크에게 직접 군대를 지휘하겠다고 주장했다. 푸트니크는 이것이 위헌이며 군주는 그럴 수 없다고 반박하며 거부했다.[4]
1915년 가을,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이 이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불가리아 연합군이 30만 명 이상의 병력으로 세르비아를 공격했다. 푸트니크는 세르비아 정부에 불가리아가 세르비아 동부 국경에 군대를 집중시키고 있으며, 불가리아에 대한 예방 공격만이 세르비아가 양면전쟁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연합국은 불가리아가 삼국 동맹에 합류하는 것을 막고자 했기 때문에 그의 요구는 거부되었다. 세르비아군은 영웅적인 저항에도 불구하고 코소보 방면으로 후퇴해야 했다. 10월 31일, 푸트니크는 크라구예바츠로 총후퇴를 명령하고, 지친 군대를 이끌고 우호적인 영토로 탈출을 시도했다. 푸트니크의 병사들 중 상당수는 농부였고, 퇴각 중 농촌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푸트니크의 군대는 1915년 11월 초에 알바니아 방면으로 철수를 계속했는데, 이는 독일,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알바니아 고지대를 통해 세르비아군을 추격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독일군은 세르비아가 패배했고 대부분 중앙 열강의 통제하에 있다고 판단했다. 러시아 제국을 주요 위협으로 여긴 마켄젠은 러시아 전선으로 병력을 이동시키려 했다.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와 세르비아 남동부에서 영토를 확보한 것에 만족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불가리아가 대불가리아를 건설하려 하지 않는다는 점에 만족했다.[5]
1915년 11월 19일부터 24일까지 검은새 들판(코소보)에서 마지막 전투가 벌어졌다. 세르비아는 발진티푸스, 식량 및 탄약 부족으로 고통받았다. 패배가 불가피해지자, 푸트니크는 11월 25일에 몬테네그로를 거쳐 알바니아로 남쪽과 서쪽으로 완전히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의 목표는 연합군 함대에 도착하여 군대의 핵심을 이오니아 제도로 수송하는 것이었다. 퇴각 중 많은 병사와 민간인이 굶주림, 질병, 적군과 알바니아 부족의 공격으로 사망했다.[6] 후퇴는 비참했고, 총 25만 명 중 약 155,000명의 세르비아인(대부분 병사)만이 아드리아 해 해안에 도착하여 연합군 수송선을 타고 여러 그리스 섬(대부분 코르푸)으로 수송되어 1916년 4월 살로니카 전선에 배치되었다. 건강이 악화된 푸트니크는 알바니아의 눈 덮인 산을 통과하는 퇴각 중에 안락의자에 실려 이동해야 했으며,[7] 기관지염, 인플루엔자, 폐렴 증세로 지쳐 있었다. 푸트니크는 스쿠타리(스카드르)에서 연합군을 만나 군대의 핵심과 함께 브린디시를 거쳐 코르푸로 수송되었다.
2. 5. 사망
세르비아 정부와 최고 사령부 사이에서 비난이 오가는 분위기 속에서, 야전 사령관 푸트니크를 포함한 전체 참모총장이 1916년 1월에 해임되었다.[8] 그는 참모총장 수당 없이 월급을 건네준 출납 담당자로부터 해임 소식을 듣고 몹시 분개했다. 푸트니크는 니스로 이동했고, 프랑스 당국은 그를 환대하며 명예롭게 대우하고 별장을 제공했다. 푸트니크는 폐기종으로 고통받았고, 1917년 5월 17일 고국을 다시 보지 못한 채 사망했다.[8] 그의 유해는 1926년 11월 세르비아로 옮겨져 베오그라드의 신 묘지 예배당에 안장되었으며, 묘비에는 "고마운 조국이 라도미르 푸트니크에게"라는 묘비명이 새겨져 있다.3. 주요 요직
연도 | 직책 |
---|---|
1867년 1월 | 포병 제3 산악 중대장 |
1867년 4월 | 포병 제4 산악 중대장 |
1868년 10월 | 차차크 의용군 중대장 |
1871년 2월 | 메르제츠카 포병 중대장 |
1872년 10월 | 공병 감독 |
1874년 1월 | 국방성 포병부 |
1875년 | 크라구예바츠 병기창 지도자 |
1876년 4월 | 루디니크 여단 제1 부관 |
1876년 6월 | 루드니크 여단 참모장 |
1876년 | 루드니크 여단장 |
1878년 | 브라녜 군사 지구 지도자 |
1879년 | 국방성 공병 감독 |
1880년 | 상비군 사단 참모장 |
1881년 4월 | 토플리카 군사 지구 지도자 |
1883년 3월 | 국방성 공병 감독 (2회 연임) |
1883년 9월 | 다뉴브 사단장 |
1886년 | 주요 참모부 작전부 외국 정보부장 |
1888년 4월 | 주요 참모부 작전부장 |
1890년 | 주요 참모부 부참모장 |
1893년 3월 | 소령 진급 심사 위원회 위원장 |
1893년 6월 | 슈마디야 사단장 |
1894년 4월 | 소령 진급 심사 위원회 위원장 |
1895년 1월 | 군사 상고 법원 부의장 |
1896년 10월 26일 | 은퇴 |
1903년 | 참모총장 |
4. 서훈 내역
라도미르 푸트니크는 다음과 같은 훈장을 받았다.
세르비아 군사 훈장 | |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기사 대십자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장교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칼 포함) 장교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칼 포함) 지휘관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칼 포함) 장교장 |
-- | 백색 독수리 훈장 지휘관장 |
-- | 백색 독수리 훈장 장교장 |
-- | 백색 독수리 훈장 기사장 |
-- | 성 사바 훈장 대십자장 |
-- | 타코보 십자 훈장 지휘관장 |
-- | 타코보 십자 훈장 장교장 |
-- | 타코보 십자 훈장 기사장 |
세르비아 공로 훈장 | |
![]() | 용맹 훈장 금장 |
용맹 훈장 은장 | |
페타르 1세 기념 훈장 | |
1876-1878년 튀르키예와의 전쟁 기념 훈장 | |
-- | 1885년 불가리아와의 전쟁 기념 훈장 |
-- | 헌신 봉사 훈장 |
제1차 발칸 전쟁 기념 훈장 | |
-- | 제2차 발칸 전쟁 기념 훈장 |
국제 및 외국 훈장 | |
---|---|
-- | 철관 훈장 3등급 (오스트리아-헝가리) |
-- | 군공 훈장 대십자장 (불가리아) |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장교장 (프랑스) |
![]() | 왕관 훈장 장교장 (루마니아) |
-- |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1등급 (러시아 제국) |
-- |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칼 포함), 3등급 (러시아 제국) |
-- | 성 게오르기 훈장 4등급 (러시아 제국) |
-- | 세인트마이클앤드세인트조지 훈장 기사단장 (영국) |
4. 1. 세르비아
세르비아 군사 훈장 | |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기사 대십자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장교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칼 포함) 장교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칼 포함) 지휘관장 |
-- | 카라조르제의 별 훈장 (칼 포함) 장교장 |
-- | 백색 독수리 훈장 지휘관장 |
-- | 백색 독수리 훈장 장교장 |
-- | 백색 독수리 훈장 기사장 |
-- | 성 사바 훈장 대십자장 |
-- | 타코보 십자 훈장 지휘관장 |
-- | 타코보 십자 훈장 장교장 |
-- | 타코보 십자 훈장 기사장 |
세르비아 공로 훈장 | |
용맹 훈장 금장 | |
용맹 훈장 은장 | |
페타르 1세 기념 훈장 | |
1876-1878년 튀르키예와의 전쟁 기념 훈장 | |
-- | 1885년 불가리아와의 전쟁 기념 훈장 |
-- | 헌신 봉사 훈장 |
제1차 발칸 전쟁 기념 훈장 | |
-- | 제2차 발칸 전쟁 기념 훈장 |
4. 2. 외국 훈장
- Орден Святого Станислава|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ru 1등급 (러시아 제국)
- Орден Святого Станислава|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ru (칼 포함), 3등급 (러시아 제국)
- Орден Святого Георгия|성 게오르기 훈장ru 4등급 (러시아 제국)
- Order of St Michael and St George|세인트마이클앤드세인트조지 훈장영어 기사단장 (영국)
-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레지옹 도뇌르 훈장프랑스어 장교장 (프랑스)
- Ordinul Coroana României|루마니아 왕관 훈장ro 장교장 (루마니아)
- Österreichisch-Kaiserlicher Orden der Eisernen Krone|철관 훈장de 3등급 (오스트리아-헝가리)
- Орден „За военна заслуга“|군공 훈장bg 대십자장 (불가리아)
5. 유산
캐나다 앨버타 주 푸트니크 산은 연합국에 대한 그의 특별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1918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그는 가장 저명한 세르비아인 100인에 포함되어 있다.
6. 어록
"서류상 병력 집중은 쉽고 빠른 일이다."
: 1878년 세르비아-튀르크 전쟁 초기에 매우 험난한 지형을 가로지르는 세르비아군의 이동에 관해 안드라 크니차닌에게 보낸 편지 속의 아이러니한 발언이다.
"그것들은 단지 튀르크 후위 부대와의 소규모 교전이었을 뿐이다."[1]
: 쿠마노보 전투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한 말이다. 세르비아 고위 사령부는 오스만 제국과의 결정적인 전투가 아직 벌어지지 않았다고 예상했으며, 이는 아마도 스코페 북쪽의 오브체 폴례 고원 일대에서 벌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통신 문제로 인해 전투가 이미 승리한 후에야 그 소식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VASE – Visual Archive Southeastern Europe
http://gams.uni-graz[...]
gams.uni-graz.at
[2]
서적
The Army of Francis Joseph
Purdue University Press
[3]
서적
Collusion of Empires
[4]
학술지
Regent Alexander Karadjordjević in the First World War
2017-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으므로 1월 1일로 설정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서적
Place Names of Alberta: Mountains, mountain parks, and foothills
University of Calgar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