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슘(Francium)은 원자 번호 87번의 방사성 알칼리 금속 원소이다. 1870년대에 존재가 예측되었으며, 1939년 마르그리트 페레에 의해 발견되어 프랑스에서 이름을 따왔다. 프랑슘은 자연에서 가장 불안정한 원소 중 하나로, 반감기가 22분인 프랑슘-223 동위원소조차 짧아, 화학적 특성은 주로 이론적 추정치에 의존한다. 프랑슘은 세슘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며,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상업적 용도는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슘 - 프랑슘 동위 원소
프랑슘 동위 원소는 모두 방사성을 띠며 질량수에 따라 붕괴 방식과 반감기가 다르고 자연계에 극미량 존재하며 과학 연구, 특히 원자 물리학 연구에 활용된다. - 알칼리 금속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알칼리 금속 - 나트륨
나트륨은 반응성이 매우 높은 알칼리 금속 원소로, 자연 상태에서는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식품, 의약품, 산업, 생물학적 기능, 원자로 냉각재, 나트륨 램프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 장소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 장소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레늄
레늄은 텅스텐과 탄소 다음으로 녹는점이 높고 끓는점이 가장 높은 은백색 금속 원소이며, 몰리브데넘 광석에서 주로 추출되어 제트 엔진, 촉매, 고옥탄가 휘발유 생산 등에 사용된다.
| 프랑슘 | |
|---|---|
| 기본 정보 | |
| 원소 이름 | 프랑슘 |
| 영어 이름 | Francium |
| 원자 번호 | 87 |
| 원소 기호 | Fr |
| 로마자 표기 | peurangsium |
| 일본어 이름 | フランシウム (Puranshiumu) |
| 문화어 | 프란시움 |
| 라틴어 이름 | francium |
| 화학적 성질 | |
| 위치 | 좌: 라돈 우: 라듐 상: 세슘 하: 우누넨늄 |
| 계열 | 알칼리 금속 |
| 족 | 1 |
| 주기 | 7 |
| 구역 | s |
| 겉모습 | 은백색 (추정) |
| 원자 질량 | 223.019(7) |
| 전자 배치 | [Rn] 7s1 |
| 껍질 당 전자 수 | 2, 8, 18, 32, 18, 8, 1 |
| 상태 | 고체 |
| 밀도 (상온) | 2.458 g/cm³ (추정) |
| 액체 밀도 | 1.87 g/cm³ |
| 녹는점 | 300 K (27 °C, 81 °F) |
| 녹는점 (추정) | 281 K (8 °C, 46.4 °F) |
| 끓는점 | 950 K (677 °C, 1251 °F) |
| 끓는점 (추정) | 890 K (620 °C, 1150 °F) |
| 융해열 | ca. 2 kJ/mol |
| 기화열 | ca. 65 kJ/mol |
| 증기압 (1 Pa) | 404 K |
| 증기압 (10 Pa) | 454 K |
| 증기압 (100 Pa) | 519 K |
| 증기압 (1 kPa) | 608 K |
| 증기압 (10 kPa) | 738 K |
| 증기압 (100 kPa) | 946 K |
| 증기압 설명 | (외삽) |
| 결정 구조 | 체심 입방 구조 (추정) |
| 격자 상수 (a) | 670.4 pm (추정) |
| 산화 상태 | 1 (강염기성 산화물) |
| 전기 음성도 | >0.79 |
| 이온화 에너지 개수 | 1 |
|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 | 393 kJ/mol |
|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 (추정) | 380 kJ/mol |
| 공유 반지름 | 260 pm (외삽) |
| 반데르발스 반지름 | 348 pm (외삽) |
| 자기 정렬 | 상자성 |
| 전기 저항 | 3 µΩ·m (계산됨) |
| 열 전도율 | 15 W/(m·K) (외삽) |
| CAS 등록 번호 | 7440-73-5 |
| 동위 원소 | |
| 동위 원소 정보 | 221Fr: syn, 반감기 4.8분, α (6.457 MeV) → 217At 222Fr: syn, 반감기 14.2분, β- (2.033 MeV) → 222Ra 223Fr: trace, 반감기 21.8분, β- (1.149 MeV) → 223Ra 및 α (5.430 MeV) → 219At |
| 발견 및 명명 | |
| 이름 유래 | 발견자의 고향인 프랑스에서 유래 |
| 발견자 및 최초 분리 | 마르그리트 페레이 |
| 발견 년도 | 1939 |
| 기타 | |
| 참고 | 일부 합성 원소 (예: 테크네튬, 플루토늄)는 후에 자연에서도 발견되었다. |
| 단위 변환 | 1 oz = 28.35 g |
2. 역사
1870년대 초 이미 화학자들은 원자 번호 87번인 세슘 다음에 알칼리 금속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5] 그 당시에는 임시적으로 ''에카-세슘''이라고 불렸다.[31] 1870년이라는 이른 시기에 화학자들은 세슘 다음의 알칼리 금속인 원자번호 87번 원소가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58] 그것은 잠정적으로 '에카-세슘'(eka-caesium)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었다.[50] 이 미확인 원소를 발견하고 분리하기 위한 연구팀의 시도는 진짜 프랑슘이 발견될 때까지 적어도 네 가지의 잘못된 주장이 제기되었다. 1939년 마그리트 페레에 의해 발견되기 전, 1870년대에 멘델레예프는 에카-세슘 (eka-cesium)으로 프랑슘의 존재를 예측했다.[93]
마그리트 페레는 223 프랑슘을 발견하고 자신의 조국인 프랑스의 이름을 따 새로운 원소를 프랑슘으로 명명했다.[92]
2. 1. 발견 이전의 노력
1939년 마그리트 페레에 의해 발견되기 전, 1870년대에 멘델레예프는 에카-세슘 (eka-cesium)으로 프랑슘의 존재를 예측했다.[93]1925년 소련 화학자 드미트리 도브로세르도프는 칼륨 샘플에서 약한 방사능을 관찰하고 에카-세슘(프랑슘)이 샘플을 오염시켰다고 잘못 결론지었으나, 이는 칼륨-40에 의한 것이었다.[32][51] 그는 에카-세슘의 특성을 예측한 논문을 발표하고 '루시움'(russium)이라고 명명했다.[33][52]
1926년 영국의 화학자 제럴드 제이. 에프. 드루스와 프레드릭 에이치. 로링은 황산망간(II)의 X선 사진을 분석하여 에카-세슘의 것으로 추정되는 스펙트럼 선을 관찰하고, 87번 원소의 발견을 발표하며 '알칼리늄'(alkalinium)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32][33][51]
1930년, 앨라배마 폴리테크닉 연구소의 프레드 앨리슨은 폴루사이트와 리피돌라이트를 분석하면서 87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버지니움'(virginium)이라는 이름과 Vi 및 Vm 기호를 제안했으나,[33][34][52][53] 193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에이치. 지. 맥퍼슨이 반박했다.[35][54]
1936년 루마니아 물리학자 호리아 훌루베이와 프랑스 동료 이벳 꼬슈아는 폴루사이트를 분석하여 87번 원소의 것으로 추정되는 몇몇 약한 방출선을 관찰하고 '몰다비움'(moldavium)이라는 이름과 Ml 기호를 제안했다.[32][33][51][52] 그러나 1937년 미국의 물리학자 에프. 에이치. 허쉬 주니어가 훌루베이의 연구 방법을 비판하며 논쟁이 있었고,[32][51] 장 바티스트 페랭은 훌루베이의 몰다비움을 지지하기도 했다.[32]
1914년, 슈테판 마이어, 빅토르 프란츠 헤스, 그리고 프리드리히 파네트는 227Ac의 알파 방사선을 측정하여 87번 원소의 발견 가능성을 시사하는 관찰을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수 없었다.[31]
프랑슘의 매우 짧은 반감기로 인해 87번 원소에 대한 이전의 모든 주장된 발견은 배제되었다.[33]
2. 2. 마르게리트 페레의 발견
1939년 마르게리트 페레이가 악티늄-227 시료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견했다.[92][31] 페레이는 220 keV의 붕괴 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보고된 악티늄-227 샘플을 정제하던 중, 80 keV 미만의 에너지 준위를 가진 붕괴 입자를 발견하고, 이것이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87번 원소라고 추정했다. 여러 실험을 통해 이 미지의 원소가 토륨, 라듐, 납, 비스무트, 탈륨이 아님을 확인하고, 알칼리 금속의 화학적 특성을 보이는 것을 근거로 알파 붕괴를 통해 생성된 87번 원소임을 확신했다.[31][50]페레이는 새로운 동위원소를 악티늄-K(현재 223Fr)라고 명명했고,[31][50] 1946년에 이 원소를 '카티움'(Cm)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했으나, 이렌 졸리오 퀴리의 반대로 무산되고, 프랑스를 따서 '프랑슘'으로 명명했다. 이 이름은 1949년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에 의해 공식 채택되었으며,[5][58] 기호는 Fa에서 Fr로 수정되었다.[36][56] 프랑슘은 하프늄과 레늄에 이어 자연에서 발견된 마지막 원소였다.[31][50]
프랑슘의 존재는 1870년대에 멘델레예프에 의해 에카-세슘 (eka-cesium)으로 예측되었다.[93] 프랑슘의 구조에 대한 추가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실뱅 리베르만과 그의 CERN팀을 포함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37][57]
3. 화학적 성질
원자번호는 87, 원소기호는 Fr, 질량수는 223.019이다. 프랑슘의 녹는점은 300K, 끓는점은 950K이나 일부 과학자들은 935K으로 보기도 한다. 화학적 성질은 세슘과 조금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전기 음성도는 0.7로[89], 0.79인 세슘과 0.09정도 차이가 난다. 이온화 에너지는 1차 380kJ/mol, 2차 2200kJ/mol, 3차 3300kJ/mol(2차, 3차는 세슘에 의한 추정)이다. 프랑슘은 붕괴하여 라돈으로 된다.[90]
프랑슘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원소 중 가장 불안정한 원소이다. 가장 긴 반감기를 가진 프랑슘-223의 반감기조차도 22분에 불과하여, 측정 가능한 양의 단체 금속 및 화합물로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프랑슘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은 실제 실험 결과로 얻어진 값이 적고, 대부분 이론적 추정치에 의존한다. 대조적으로, 자연에서 발견되는 원소 중 두 번째로 불안정한 원소인 아스타틴의 최대 반감기는 8.5시간이다.[58] 프랑슘의 모든 동위원소는 붕괴하여 아스타틴, 라듐 또는 라돈이 된다.[58] 215mFr은 반감기가 단 3.5나노초에 불과하며, 원자번호 105(더브늄)까지 합성된 원소 중 가장 불안정한 원소이다.[59] 단체 금속은 은백색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프랑슘은 매우 높은 방사능을 가진다.
프랑슘은 화학적 성질이 대부분 세슘과 유사한 알칼리 금속 원소이다.[59] 1개의 원자가전자를 가지는 매우 무거운 원소이며,[60] 원소의 당량은 가장 크다.[59] 만약 단체 금속 프랑슘이 만들어진다면, 그 융점에서 표면장력은 아마도 0.05092 N/m일 것이다.[61] 프랑슘의 융점은 계산상 약 27 ℃ 부근으로 추정된다.[62] 그러나 융점은 프랑슘 원소의 극도로 희귀함과 방사능 때문에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주장 및 추정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 마찬가지로, 추정된 677 ℃의 끓는점 또한 미확인이다. 방사성 원소는 열을 방출하므로, 그 열에 의해 금속 프랑슘은 거의 확실히 액체일 것으로 생각된다.
라이너스 폴링은 프랑슘의 전기음성도를, 그 값이 정확하다는 실험 데이터는 없지만, 세슘의 0.79라는 폴링 스케일 값으로부터 폴링 스케일에서 0.7로 추정했다.[63][64] 프랑슘의 이온화 에너지는 불활성 전자쌍 효과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세슘의 375.7041(2) kJ/mol보다 약간 높은 392.811(4) kJ/mol이며,[65] 이는 세슘이 프랑슘보다 전기음성도가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과염소산세슘과 공침시키는 방법으로 극소량의 과염소산프랑슘을 얻을 수 있다. 이 공침물은 L. E. 글렌다넌과 C. M. 넬슨의 방사성 세슘 공침법을 적용하여 프랑슘을 분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요오드산염, 피크르산염, 주석산염(주석산 루비듐도), 헥사클로로백금산염, 텅스토규산 등을 포함한 다른 많은 세슘염과 공침될 수 있다. 텅스토규산 및 과염소산염에 의한 공침은 또한 다른 알칼리 금속을 담체로 사용하지 않고 프랑슘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66][67] 거의 모든 프랑슘염은 수용성이다.[68]
3. 1. 일반적인 성질
프랑슘은 원자번호 87, 원소기호 Fr, 질량수 223.019인 방사성 원소이다. 녹는점은 300K(약 8.0℃[9] 또는 27℃[6])로 추정되지만, 극도로 희귀하고 방사능을 띠기 때문에 불확실하다.[6] 끓는점은 950K(677℃[6])로 추정되나, 이 역시 불확실하다. 화학적 성질은 세슘과 유사하며, 전기 음성도는 0.7로 세슘(0.79)과 큰 차이가 없다.[89][11][12] 이온화 에너지는 1차 380kJ/mol, 2차 2200kJ/mol, 3차 3300kJ/mol이다.[90] 프랑슘은 붕괴하여 라돈이 된다.[90]프랑슘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원소 중 가장 불안정한 원소 중 하나로, 가장 장수명 동위원소인 프랑슘-223의 반감기는 22분에 불과하다.[5] 프랑슘의 모든 동위원소는 아스타틴, 라듐, 라돈으로 붕괴된다.[5]
프랑슘은 알칼리 금속으로, 하나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며, 모든 원소 중 가장 높은 당량을 가진다.[7][6] 액체 프랑슘(생성된다면)의 표면 장력은 0.05092 N/m로 추정된다.[8] 밀도는 약 2.48 g/cm3일 것으로 예상된다.[9]
라이너스 폴링은 프랑슘의 전기 음성도를 0.7로 추정했다.[11] 프랑슘은 세슘보다 약간 높은 이온화 에너지를 가지며,[13] 세슘의 375.7041(2) kJ/mol에 비해 392.811(4) kJ/mol이다.
과염소산세슘과 공침시켜 극소량의 과염소산프랑슘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프랑슘 분리에 사용될 수 있다. 거의 모든 프랑슘염은 수용성이다.[68]
3. 2. 반응성
프랑슘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원소 중 가장 불안정한 원소이다.[58] 가장 긴 반감기를 가진 프랑슘-223의 반감기조차도 22분에 불과하여, 측정 가능한 양의 단체 금속 및 화합물로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프랑슘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은 실제 실험 결과로 얻어진 값이 적고, 대부분 이론적 추정치에 의존한다.[58] 프랑슘의 모든 동위원소는 붕괴하여 아스타틴, 라듐 또는 라돈이 된다.[58]아직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많은 양을 한 번에 제조한 경우는 없기 때문에 모든 반응 결과는 추정이다. 매우 연하고, 쉽게 자를 수 있는 고체 금속일 것이며 실온에서 액체일지도 모른다.[94] 깨끗한 프랑슘의 표면은 산소나 수증기와 빠르게 반응하여 곧바로 변색될 것이다. 공기 중에 연소된다면 초산화 프랑슘 (FrO2)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할로젠(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 아스타틴) 원소와는 격렬하게 반응하여 할로젠화 프랑슘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산 또는 알칼리와의 반응도 다른 알칼리 금속들과 동일할 것으로 추정된다.
프랑슘은 화학적 성질이 대부분 세슘과 유사한 알칼리 금속 원소이다.[59] 1개의 원자가전자를 가지는 매우 무거운 원소이며,[60] 원소의 당량은 가장 크다.[59] 만약 단체 금속 프랑슘이 만들어진다면, 그 융점에서 표면장력은 아마도 0.05092 N/m일 것이다.[61] 프랑슘의 융점은 계산상 약 27 ℃ 부근으로 추정된다.[62] 그러나 융점은 프랑슘 원소의 극도로 희귀함과 방사능 때문에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주장 및 추정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 마찬가지로, 추정된 677 ℃의 끓는점 또한 미확인이다.
라이너스 폴링은 프랑슘의 전기음성도를, 그 값이 정확하다는 실험 데이터는 없지만, 세슘의 0.79라는 폴링 스케일 값으로부터 폴링 스케일에서 0.7로 추정했다.[63][64] 프랑슘의 이온화 에너지는 불활성 전자쌍 효과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세슘의 375.7041(2) kJ/mol보다 약간 높은 392.811(4) kJ/mol이며,[65] 이는 세슘이 프랑슘보다 전기음성도가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과염소산세슘과 공침시키는 방법으로 극소량의 과염소산프랑슘을 얻을 수 있다. 텅스토규산 및 과염소산염에 의한 공침은 또한 다른 알칼리 금속을 담체로 사용하지 않고 프랑슘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66][67] 거의 모든 프랑슘염은 수용성이다.[68]
3. 3. 화합물
프랑슘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원소 중 가장 불안정하여, 측정 가능한 양의 화합물을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58] 따라서 프랑슘 화합물의 화학적 특성은 실제 실험 결과가 거의 없으며, 대부분 이론적 추정치에 의존한다. 프랑슘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산화물(XOH)의 무색 용액과 수소 기체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1족 원소의 특성과 동일하다. 할로젠(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 아스타틴) 원소와는 격렬하게 반응하여 할로젠화 프랑슘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9]프랑슘 염은 매우 제한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프랑슘은 과염소산세슘(과염소산세슘)과 같은 여러 세슘염(염)과 함께 공침되어 소량의 과염소산프랑슘을 생성한다.[15][16] 이 공침은 로렌스 E. 글렌데닌과 C. M. 넬슨의 방사성세슘 공침법을 변형하여 프랑슘을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6] 또한 요오드산염(요오드산염), 피크르산염(피크르산염), 타르타르산염(타르타르산염)(또한 루비듐 타르타르산염), 염화백금산염(염화백금산염), 실리코텅스텐산염(실리코텅스텐산염)을 포함한 다른 많은 세슘염과도 공침된다.[15] 실리코텅스텐산(실리코텅스텐산)과 과염소산(과염소산)과도 공침되어 다른 분리 방법으로 이어진다.[15]
과염소산프랑슘(Francium perchlorate)은 염화프랑슘과 과염소산나트륨의 반응으로 생성되며, 공침을 통해 과염소산세슘과 함께 침전된다.[16] 과염소산프랑슘의 엔트로피는 42.7 e.u[9] (178.7 J mol−1 K−1)로 예상된다. 프랑슘 할로젠화물은 모두 물에 잘 녹으며 흰색 고체일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프랑슘 염화물은 프랑슘과 염소의 반응으로 생성될 것이다.[9]
질산프랑슘, 황산프랑슘, 수산화프랑슘, 탄산프랑슘, 아세트산프랑슘 및 옥살산프랑슘은 모두 물에 용해되지만, 요오드산프랑슘(iodate), 피크르산프랑슘(picrate), 타르타르산프랑슘(tartrate), 염화백금산프랑슘(chloroplatinate) 및 실리코텅스텐산프랑슘(silicotungstate)은 불용성이다.[9] 산화프랑슘(Francium oxide)은 과산화물과 프랑슘 금속으로 불균등화(disproportionate)될 것으로 여겨진다.[17] CsFr 분자는 프랑슘이 쌍극자의 음극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된다. 초과산화프랑슘(Francium superoxide, FrO2)은 프랑슘의 6p 전자가 프랑슘-산소 결합에 더 많이 관여하기 때문에 공유결합적(covalent) 성격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14]
4. 동위 원소
동위 원소는 약 3~4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질량은 199에서 232까지 다양하다. 또한 7개의 이성질핵 동위원소(X-xm)가 존재한다. 이 중 223Fr은 유일하게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이며 나머지 동위원소들은 모두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다.
프랑슘-223(223Fr)은 모든 동위원소 중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이며, 반감기는 약 21.8분이고 천연적으로 발견된 유일한 동위 원소이다. 악티늄-227(227Ac)의 알파 붕괴 과정에서 생기는 원소이다. 프랑슘-223은 베타 붕괴하여 라듐-223(223Ra)으로 되며 붕괴에너지는 1149 keV 정도이고, 적은 비율(0.006%) 로는 알파 붕괴되어 아스타틴-219(219At)로 되고, 이 때의 붕괴 에너지는 5.4 MeV정도이다.
프랑슘-221(221Fr)의 반감기는 4.8 분이다. 이 동위 원소는 악티늄-225(225Ac)가 알파 붕괴하여 생긴 것이다. 프랑슘-221 역시 알파 붕괴하여 아스타틴-217(217At)로 되며, 붕괴 에너지는 6.457 MeV정도이다.
가장 반감기가 짧은 동위 원소는 프랑슘-215(215Fr)로, 반감기는 0.12μs 정도이다. 프랑슘-215는 아스타틴-211(211At)로 알파 붕괴하며, 붕괴 에너지는 9.54 MeV정도이다. 가장 반감기가 긴 이성질핵 동위원소는 프랑슘-215m(215mFr)이며, 반감기는 3.5 ns 정도이다.
4. 1. 주요 동위 원소
프랑슘은 원자 질량이 197에서 233까지인 37가지의 동위 원소와 7가지의 준안정 핵 이성질체가 알려져 있다.[6][83] 프랑슘 동위 원소는 모두 불안정하며, 자연에서는 프랑슘-223(223Fr)과 프랑슘-221(221Fr)만이 발견되는데, 그중 223Fr이 훨씬 더 흔하다.[19][84]가장 안정적인 동위 원소는 223Fr으로, 반감기는 21.8분이다.[6][83] 223Fr은 악티늄-227(227Ac)의 딸핵종으로, 악티늄 계열에서 다섯 번째로 생성되는 원소이다.[20][85] 대부분 베타 붕괴(붕괴 에너지 1.149 MeV)를 통해 라듐-223(223Ra)으로 붕괴하며,[21][85] 극히 일부(0.006%)는 알파 붕괴(붕괴 에너지 5.4 MeV)하여 아스타틴-219(219At)가 된다.[21][85]221Fr의 반감기는 4.8분이며,[6][83] 넵투늄-225(225Ac)의 딸핵종으로, 넵투늄 계열의 아홉 번째 생성물이다.[20][73] 221Fr은 알파 붕괴(붕괴 에너지 6.457 MeV)를 통해 아스타틴-217(217At)로 붕괴된다.[6][83]
가장 불안정한 기저 상태 동위 원소는 215Fr이며, 반감기는 90 ns이다. 9.54 MeV의 알파 붕괴를 통해 아스타틴-211(211At)로 붕괴된다.[6] 가장 반감기가 짧은 프랑슘 동위 원소는 프랑슘-215m이며, 반감기는 3.5 ns 정도이다.
5. 존재량
우라니나이트(피치블렌드)에 10-20 g의 프랑슘(1개의 우라늄 원자당 한 개의 원자)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5] 악티늄이 붕괴하여 발생하며, 토륨(Th)에 양성자들을 충돌시켜 인공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227Ac의 딸 핵이자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인 223Fr조차도 반감기가 22분인데, 이는 자연에 존재하는 원소 중 가장 불안정하다. 3~40여 종의 동위원소들이 알려져 있으나, 자연에 존재하는 것은 223Fr뿐이며 지구 지각에 존재하는 양은 많아야 20-30g이다.
5. 1. 천연 존재
프랑슘은 악티늄-227의 알파 붕괴로 극미량 생기는 방사성 원소이다.[91] 우라늄 광석 1개에 들어 있는 프랑슘의 원자 수는 우라늄 원자 1×1018 개 중 1개 정도이다.[25][71]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프랑슘의 양은 최대 30g 정도이며,[88][77] 붕괴하여 아스타틴이 된다.[88] 프랑슘은 지각에서 아스타틴 다음으로 두 번째로 존재량이 적은 원소이다.[58][71]223Fr은 227Ac의 알파 붕괴 결과이며, 우라늄 광물에서 미량으로 발견될 수 있다.[6] 우라늄 및 토륨 광석에 미량 존재한다.[59]5. 2. 인공 생성
프랑슘은 인공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1995년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캠퍼스 물리학과에서 개발된 공정을 통해, 금-197 표적에 선형 가속기에서 나온 산소-18 원자 빔을 충돌시켜 핵융합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다.[39] 산소 빔의 에너지에 따라 질량이 209, 210, 211인 프랑슘 동위원소를 얻을 수 있다.[39]:197Au + 18O → 209Fr + 6 n
:197Au + 18O → 210Fr + 5 n
:197Au + 18O → 211Fr + 4 n
프랑슘 원자는 금 표적에서 이온으로 나오는데, 이트륨과의 충돌로 중성화된 후 기체 상태의 비응집 상태로 자기광학 트랩(MOT)에 분리된다.[40] 원자는 트랩에서 약 30초 동안만 머물다가 빠져나가거나 핵붕괴를 일으키지만, 이 과정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원자를 공급한다. 그 결과 훨씬 더 오랫동안 원자 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상 상태가 생성된다.[40] 초기 장치는 수천 개의 원자를 가둘 수 있었지만, 후속 개선된 설계는 한 번에 30만 개 이상의 원자를 가둘 수 있었다.[41]
트랩된 원자에서 방출되고 흡수되는 빛에 대한 민감한 측정을 통해 프랑슘의 원자 에너지 준위 간 다양한 전이에 대한 최초의 실험 결과가 나왔다. 초기 측정 결과는 실험값과 양자 이론에 기반한 계산값이 매우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생산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 프로젝트는 2012년 트라이엄프로 이전되었으며, 207Fr과 221Fr 외에도 다량의 209Fr을 포함하여 한 번에 106개 이상의 프랑슘 원자가 보유되었다.[42][43]
다른 합성 방법으로는 라듐에 중성자를 충돌시키거나, 토륨에 양성자, 중수소(deuterons), 또는 헬륨(helium) 이온(ion)을 충돌시키는 방법이 있다.[44]223Fr은 또한 모원소인 227Ac 샘플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NH4Cl–CrO3를 사용한 용리(elution)를 통해 악티늄 함유 양이온 교환체에서 프랑슘을 추출하고, 바륨 설페이트가 로딩된 이산화규소 화합물을 통과시켜 정제한다.[45]
1996년 스토니브룩 연구팀은 MOT에 3000개의 원자를 가두었는데, 이는 비디오 카메라가 원자가 형광을 발할 때 방출하는 빛을 포착하기에 충분했다.[41] 프랑슘은 무게를 잴 만큼 많은 양으로 합성된 적이 없다.[5][25][46]
6. 응용
프랑슘은 불안정하고 희귀하기 때문에 상업적인 용도는 없다.[24][25][26][20] 화학[27] 분야와 원자 구조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다양한 암의 진단 보조제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모색되었지만,[5] 실용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25]
프랑슘은 합성, 포획, 냉각이 가능하고 원자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특수한 분광법 실험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에너지 준위 및 소립자 사이의 결합 상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28] 레이저 포획된 프랑슘-210 이온이 방출하는 빛에 대한 연구는 원자 에너지 준위 간 전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했는데, 이는 양자 이론에 의해 예측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29] 프랑슘은 CP 위반을 찾는 데 유망한 후보 물질이다.[30]
프랑슘(Francium)의 불안정성과 희소성으로 인해, 시판된다고 해도 용도는 없으며[69][70][71][72][73], 생물학[74] 및 원자 구조 분야의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과거 다양한 암의 잠재적인 진단 보조 수단으로도 검토되었으나[58], 이 용도에서도 실용적이지 않다고 여겨졌다.[71]
합성, 포집, 냉각된 프랑슘의 비교적 단순한 원자 구조는 전문적인 분광학 실험의 대상으로 활용되어, 이러한 실험을 통해 원자를 구성하는 소립자 간의 결합 상수 및 에너지 준위에 관한 정보를 특정하는 데 기여했다.[75] 레이저 트래핑된 210Fr 이온에 의한 발광 연구는 양자 역학에 의해 예측된 값과 매우 유사한, 원자 에너지 준위 간 전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했다.[76]
6. 1. 연구 분야
프랑슘은 불안정하고 희귀하기 때문에 상업적인 용도는 없다.[24][25][26][20] 화학[27] 분야와 원자 구조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다양한 암의 진단 보조제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모색되었지만,[5] 실용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25]프랑슘은 합성, 포획, 냉각이 가능하고 원자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특수한 분광법 실험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에너지 준위 및 소립자 사이의 결합 상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28] 레이저 포획된 프랑슘-210 이온이 방출하는 빛에 대한 연구는 원자 에너지 준위 간 전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했는데, 이는 양자 이론에 의해 예측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29]
7. 한국과 프랑슘
참조
[1]
서적
Selected Values of the Crystallographic Properties of Elements
ASM International
2018
[2]
논문
ISOLDE Collaboration, J. Phys. B 23, 3511 (1990)
http://iopscience.io[...]
[3]
웹사이트
Francium
https://www.arhse.co[...]
2023-01-25
[4]
논문
L'élément 87 : AcK, dérivé de l'actinium
https://hal.archives[...]
1939-10-01
[5]
웹사이트
Francium
http://www.andyscous[...]
2004-12-20
[6]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7]
웹사이트
Electron Configuration
http://www.webelemen[...]
The University of Sheffield
[8]
논문
Evaluation of the Surface Tension of Liquid Francium
[9]
서적
Analytical Chemistry of Technetium, Promethium, Astatine, and Francium
Ann Arbor–Humphrey Science Publishers
[10]
논문
A New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Melting Temperatures of Crystals of Group 1A Metal Halides and Francium Metal
2014
[11]
서적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Cornell University Press
[12]
논문
Electronegativity values from thermochemical data
[13]
논문
Laser resonance photoionization spectroscopy of Rydberg levels in Fr
1987
[14]
서적
Relativistic Methods for Chemists
Springer
2010
[15]
논문
Radiochemical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Element 87 (Francium)
1952
[16]
간행물
Radiochemistry of Francium
Subcommittee on Radiochemistr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National Research Council
1960
[17]
보고서
Low Mass Francium and Emanation Isotopes of High Alpha Stability
https://escholarship[...]
1949-10-10
[18]
preprint
Periodic Law of Chemistry Overturns for Superheavy Elements
https://chemrxiv.org[...]
2022
[19]
서적
Francium, in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Wiley-Interscience
2005
[20]
서적
Chemical Elements, in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Wiley-Interscience
2005
[21]
웹사이트
Table of Isotopes decay data
http://ie.lbl.gov/to[...]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1990
[22]
논문
Occurrence of the (4n + 1) series in nature
https://digital.libr[...]
1952
[23]
논문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24]
웹사이트
Uses
http://www.webelemen[...]
The University of Sheffield
[25]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6]
웹사이트
Francium
http://education.jla[...]
Jefferson Science Associates, LLC
[27]
논문
Selectivity of calix[4]arene-bis(benzocrown-6) in the complexation and transport of francium ion
2003
[28]
논문
Spectroscopy with trapped francium: advances and perspectives for weak interaction studies
2005-11-07
[29]
논문
Creating, cooling, trapping francium atoms
http://www.sciencene[...]
1996-05-11
[30]
논문
Relativistic coupled cluster study on the spectroscopic and radiative properties of the KFr molecule and modeling of the transport properties of potassium–francium dilute gas medium
Elsevier BV
[31]
웹사이트
Francium (Atomic Number 87), the Last Discovered Natural Element
http://chemeducator.[...]
2005-09-25
[32]
컨퍼런스
The Twilight of the Naturally-Occurring Elements: Moldavium (Ml), Sequanium (Sq) and Dor (Do)
http://5ichc-portuga[...]
2005-09-10
[33]
웹사이트
Francium
http://elements.vand[...]
2006-01-10
[34]
잡지
Alabamine & Virginium
http://www.time.com/[...]
1932-02-15
[35]
논문
An Investigation of the Magneto-Optic Method of Chemical Analysis
1934
[36]
서적
Hackh's Chemical Dictionary
McGraw-Hill
1969
[37]
웹사이트
History
http://fr.physics.su[...]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07-03-26
[38]
서적
The History and Use of Our Earth's Chemical Elements: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6-07-30
[39]
웹사이트
Production of Francium
http://fr.physics.su[...]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07-02-20
[40]
웹사이트
Cooling and Trapping
http://fr.physics.su[...]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07-02-20
[41]
학술지
Francium
http://pubs.acs.org/[...]
2003
[42]
보고서
Project Closeout Report: Francium Trapping Facility at TRIUMF
https://www.osti.gov[...]
U.S. Department of Energy
2014-09-30
[43]
학술지
Commissioning of the Francium Trapping Facility at TRIUMF
[44]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McGraw-Hill Professional
2002
[45]
Ullmann
Radionuclides, 2. Radioactive Elements and Artificial Radionuclides
[46]
웹사이트
Francium
http://periodic.lanl[...]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47]
학술지
Francium
http://pubs.acs.org/[...]
[48]
기타
[49]
기타
[50]
웹사이트
Francium (Atomic Number 87), the Last Discovered Natural Element
http://chemeducator.[...]
2005-09-25
[51]
학회발표
The Twilight of the Naturally-Occurring Elements: Moldavium (Ml), Sequanium (Sq) and Dor (Do)
http://5ichc-portuga[...]
2005-09-10
[52]
웹사이트
Francium
http://elements.vand[...]
2006-01-10
[53]
뉴스
Alabamine & Virginium
http://www.time.com/[...]
TIME
1932-02-15
[54]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Magneto-Optic Method of Chemical Analysis
American Physical Society
[55]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McGraw-Hill Professional
[56]
서적
Hackh's Chemical Dictionary
McGraw-Hill
[57]
웹사이트
History
http://fr.physics.su[...]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07-02-20
[58]
웹사이트
Francium
http://www.andyscous[...]
2004-12-20
[59]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60]
웹사이트
Electron Configuration
http://www.webelemen[...]
The University of Sheffield
[61]
학술지
Evaluation of the Surface Tension of Liquid Francium
[62]
웹사이트
Francium
http://periodic.lanl[...]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3-12-15
[63]
서적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3rd Edn.)
Cornell University Press
[64]
학술지
Electronegativity values from thermochemical data
[65]
학술지
Laser resonance photoionization spectroscopy of Rydberg levels in Fr
[66]
학술지
Radiochemical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Element 87 (Francium)
[67]
서적
Radiochemistry of Francium
Subcommittee on Radiochemistr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National Research Council
[68]
학술지
Radioactivity of the heavy elements
[69]
웹사이트
Uses
http://www.webelemen[...]
The University of Sheffield
[70]
웹사이트
Chemical Element.com - Francium
http://www.chemicale[...]
[71]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2]
웹사이트
Francium
http://education.jla[...]
Jefferson Science Associates, LLC
2007-04-01
[73]
서적
Chemical Elements, in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Wiley-Interscience
[74]
논문
Selectivity of calix[4]arene-bis(benzocrown-6) in the complexation and transport of francium ion
[75]
논문
Spectroscopy with trapped francium: advances and perspectives for weak interaction studies
2005-11-07
[76]
뉴스
Creating, cooling, trapping francium atoms
http://www.sciencene[...]
1996-05-11
[77]
웹사이트
Geological information
http://www.webelemen[...]
The University of Sheffield
2007-03-26
[78]
웹사이트
Production of Francium
http://fr.physics.su[...]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07-02-20
[79]
웹사이트
Cooling and Trapping
http://fr.physics.su[...]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07-02-20
[80]
논문
Francium
http://pubs.acs.org/[...]
[81]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McGraw-Hill Professional
[82]
웹사이트
Francium
http://periodic.lanl[...]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3-12-15
[83]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84]
서적
Francium, in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Wiley-Interscience
[85]
웹사이트
Table of Isotopes decay data
http://ie.lbl.gov/to[...]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86]
웹사이트
Fr Isotopes
http://ie.lbl.gov/ed[...]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87]
일반
[88]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89]
서적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3rd Edn.)
Cornell University Press
[90]
웹인용
Francium
http://www.andyscous[...]
2004-12-20
[91]
웹인용
Electron Configuration
http://www.webelemen[...]
The University of Sheffield
[92]
일반
[93]
일반
[94]
논문
Evaluation of the Surface ss Media B.V.
http://search.ebscoh[...]
2003-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