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에스페란사 (온두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 에스페란사 (온두라스)는 온두라스 인티부카 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마야인과 렌카인들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1848년 빌라로 지정된 후 1883년에 도시가 되었다. 2002년에는 수력 발전 댐 건설이 시작되어 청정 개발 체제 하에서 인증 배출 감소량을 발생시킨 최초의 프로젝트가 되었다. 해발 1,700미터에 위치해 온두라스에서 가장 높은 도시이며, 렌카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렌카족은 전통적인 관습과 예술을 이어가고 있으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라 에스페란사는 렌카 문화 박물관, 라 그루타, 다양한 축제, 그리고 주요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에스페란사 (온두라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라 에스페란사 |
별칭 | 라 에스페란시타 |
지도 설명 | 온두라스에서 라 에스페란사의 위치 |
위치 | 14°18′23.90″ N 88°10′43.21″ W |
로마자 표기 | La Esperansa |
행정 구역 | |
국가 | 온두라스 |
행정 구역 1 | 인티부카 주 |
지방 자치 | 민주적 지방 자치제 |
시장 | 미겔 안토니오 파하르도 메히아 (PNH) |
지방 자치체 번호 | 1001 |
설립 | |
설립일 | 1848년 9월 22일 |
시 및 지방 자치체 | 1883년 |
면적 | |
총 면적 | 157.2km2 |
인구 | |
2016년 | 1295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지리 | |
고도 | 1700m |
시간대 | |
시간대 | 중앙 아메리카 |
UTC 오프셋 | -6 |
우편 | |
우편 코드 종류 | 우편 코드 |
우편 코드 | 14101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 페이지 (아마도 폐쇄됨) |
2. 역사
이 지역은 원래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마야인과 렌카인들이 거주했으며,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라는 두 개의 정착지를 형성했다. 1647년, 스페인 왕실은 시장 프란시스코 데 라 세르다를 임명하여 원주민들의 영토를 공식적으로 구획하도록 했다. 그는 땅을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 지역과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관할 구역으로 나누고, 주변의 작은 공동체들을 위한 경계와 이름을 만들었다.[4]
시간이 지나면서 두 관할 구역은 특히 토지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 1800년대에 도시의 인구가 증가했고, 라 에스페란사는 1848년 9월 22일에 빌라로 지정되었다. 라 에스페란사는 인티부카 주가 인접한 렘피라 주(당시 그라시아스라고 불림)에서 분리되어 형성되면서 1883년에 공식적으로 도시가 되었다.[4]
2002년, Consorcio de Inversiones SA de CV(CISA)는 버려진 수력 발전 프로젝트 위에 있는 리오 인티부카에 수력 발전 댐을 건설하기 위해 허가를 받았다. 이 댐은 도시의 이름을 따서 라 에스페란사 수력 발전 프로젝트라고 불리며, 2003년에 주변 지역 사회에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2단계 확장은 2006년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이 프로젝트는 청정 개발 체제(CDM) 하에서 인증 배출 감소량(CER)을 발생시킨 세계 최초의 프로젝트였다.[5]
2. 1. 콜럼버스 이전 시대
이 지역은 원래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마야인과 렌카인들이 거주했으며,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라는 두 개의 정착지를 형성했다.[4] 1647년, 스페인 왕실은 시장 프란시스코 데 라 세르다를 임명하여 원주민들의 영토를 공식적으로 구획하도록 했다.[4] 그는 땅을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 지역과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관할 구역으로 나누고, 주변의 작은 공동체들을 위한 경계와 이름을 만들었다.[4]시간이 지나면서 두 관할 구역은 특히 토지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4]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 지역은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마야인과 렌카인들이 거주했으며,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라는 두 개의 정착지를 형성했다. 1647년, 스페인 왕실은 시장 프란시스코 데 라 세르다를 임명하여 원주민들의 영토를 공식적으로 구획하도록 했다. 그는 땅을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 지역과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관할 구역으로 나누고, 주변의 작은 공동체들을 위한 경계와 이름을 만들었다.[4]시간이 지나면서 두 관할 구역은 특히 토지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 1800년대에 도시의 인구가 증가했고, 라 에스페란사는 1848년 9월 22일에 빌라로 지정되었다. 라 에스페란사는 인티부카 주가 인접한 렘피라 주(당시 그라시아스)에서 분리되어 형성되면서 1883년에 공식적으로 도시가 되었다.[4]
2. 3. 독립 이후
이 지역은 원래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마야인과 렌카인들이 거주했으며,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라는 두 개의 정착지를 형성했다. 1647년, 스페인 왕실은 시장 프란시스코 데 라 세르다를 임명하여 원주민들의 영토를 공식적으로 구획하도록 했다. 그는 땅을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 지역과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관할 구역으로 나누고, 주변의 작은 공동체들을 위한 경계와 이름을 만들었다.[4]시간이 지나면서 두 관할 구역은 특히 토지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 1800년대에 도시의 인구가 증가했고, 라 에스페란사는 1848년 9월 22일에 빌라로 지정되었다. 라 에스페란사는 인티부카 주가 인접한 렘피라 주(당시 그라시아스)에서 분리되어 형성되면서 1883년에 공식적으로 도시가 되었다.[4]
2002년, Consorcio de Inversiones SA de CV(CISA)는 버려진 수력 발전 프로젝트 위에 있는 리오 인티부카에 수력 발전 댐을 건설하기 위해 허가를 받았다. 이 댐은 도시의 이름을 따서 라 에스페란사 수력 발전 프로젝트라고 불리며, 2003년에 주변 지역 사회에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2단계 확장은 2006년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이 프로젝트는 청정 개발 체제(CDM) 하에서 인증 배출 감소량(CER)을 발생시킨 세계 최초의 프로젝트였다.[5]
2. 4. 현대
이 지역은 원래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마야인과 렌카인들이 거주했으며,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라는 두 개의 정착지를 형성했다. 1647년, 스페인 왕실은 시장 프란시스코 데 라 세르다를 임명하여 원주민들의 영토를 공식적으로 구획하도록 했다. 그는 땅을 에라마니와 렌테르칼라 지역과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관할 구역으로 나누고, 주변의 작은 공동체들을 위한 경계와 이름을 만들었다.[4]시간이 지나면서 두 관할 구역은 특히 토지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 1800년대에 도시의 인구가 증가했고, 라 에스페란사는 1848년 9월 22일에 빌라로 지정되었다. 라 에스페란사는 인티부카 주가 인접한 렘피라 주(당시 그라시아스라고 불림)에서 분리되어 형성되면서 1883년에 공식적으로 도시가 되었다.[4]
2002년, Consorcio de Inversiones SA de CV(CISA)는 버려진 수력 발전 프로젝트 위에 있는 리오 인티부카에 수력 발전 댐을 건설하기 위해 허가를 받았다. 이 댐은 도시의 이름을 따서 라 에스페란사 수력 발전 프로젝트라고 불리며, 2003년에 주변 지역 사회에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2단계 확장은 2006년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이 프로젝트는 청정 개발 체제(CDM) 하에서 인증 배출 감소량(CER)을 발생시킨 세계 최초의 프로젝트였다.[5]
3. 지리
라 에스페란사는 해발 1,700미터에 위치해 온두라스에서 가장 높은 도시이다. 인티부카 시에서 라 에스페란사 시를 거쳐 흐르는 인티부카 강에 의해 양분된다. 라 에스페란사는 비교적 평평한 산악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는 푸카 오팔라카 산맥이, 남동쪽에는 사포초코 산이 뻗어 있다. 라 에스페란사 시의 면적은 138.8 km2이고, 인티부카 시의 면적은 531 km2이다.[4][6]
라 에스페란사 공항은 두 도시에서 남쪽으로 2 km 떨어진 계곡을 따라 위치해 있다.
라에스페란사는 5월부터 10월까지의 우기와 11월부터 4월까지의 건기, 두 뚜렷한 계절을 보인다.[4][6] 6월과 9월에 강수량이 가장 많고, 2월과 3월이 가장 건조하다.[4][6] 겨울에는 오후에 비가 자주 내리며, 소나기로 인해 주변 산악 지역의 흙길이 통행 불가능해지기도 한다.[4][6] 연평균 강수량은 939mm이다.[7]
높은 고도로 인해 온두라스의 다른 지역보다 시원하며, 연평균 기온은 18.1°C이다.[4][6] 12월과 1월에는 밤 기온이 4.4°C까지 떨어지기도 하며, 우박은 내리지만 눈은 내리지 않는다.[4][6] 여름 최고 기온은 26.7°C까지 올라가지만 평균 습도는 약 76%로 낮은 편이다.[4][6]
1989년부터 2024년까지의 기후 자료에 따르면, 월별 평균 강수량(mm)은 다음과 같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강수량 | 12.6 | 5.8 | 6.4 | 36.0 | 114.4 | 178.1 | 87.2 | 140.3 | 190.9 | 123.6 | 34.4 | 9.3 |
3. 1. 기후
라에스페란사는 5월부터 10월까지의 우기와 11월부터 4월까지의 건기, 두 뚜렷한 계절을 보인다.[4][6] 6월과 9월에 강수량이 가장 많고, 2월과 3월이 가장 건조하다.[4][6] 겨울에는 오후에 비가 자주 내리며, 소나기로 인해 주변 산악 지역의 흙길이 통행 불가능해지기도 한다.[4][6] 연평균 강수량은 939mm이다.[7]높은 고도로 인해 온두라스의 다른 지역보다 시원하며, 연평균 기온은 18.1°C이다.[4][6] 12월과 1월에는 밤 기온이 4.4°C까지 떨어지기도 하며, 우박은 내리지만 눈은 내리지 않는다.[4][6] 여름 최고 기온은 26.7°C까지 올라가지만 평균 습도는 약 76%로 낮은 편이다.[4][6]
1989년부터 2024년까지의 기후 자료에 따르면, 월별 평균 강수량(mm)은 다음과 같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강수량 | 12.6 | 5.8 | 6.4 | 36.0 | 114.4 | 178.1 | 87.2 | 140.3 | 190.9 | 123.6 | 34.4 | 9.3 |
4. 인구
2018년 라 에스페란사의 예상 인구는 13,800명이며, 이 중 9,900명은 도시 지역에, 3,900명은 시 외곽 지역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접한 인티부카 시의 예상 인구는 63,000명으로, 이 중 23,800명은 도시 지역에, 39,000명은 시 외곽 지역에 거주하며, 라 에스페란사와 인티부카 시의 도시 지역을 합산한 인구는 37,600명이다.
2013년 온두라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에스페란사 시의 인구는 11,631명이었다.[9] 이 중 59.11%는 아메리카 원주민(58.92%는 렌카족), 36.91%는 메스티소, 3.18%는 백인 라틴 아메리카인, 0.55%는 아프리카계 온두라스인 또는 흑인, 0.26%는 기타였다.[9]
4. 1. 민족 구성
2013년 온두라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에스페란사 시의 인구는 11,631명이었다.[9] 이 중 59.11%는 아메리카 원주민(58.92%는 렌카족), 36.91%는 메스티소, 3.18%는 백인 라틴 아메리카인, 0.55%는 아프리카계 온두라스인 또는 흑인, 0.26%는 기타였다.[9]5. 문화
렌카족이 주를 이루는 민족이며, 이들은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온두라스 남서부 지역에 거주해 왔다. 렌카족은 온두라스에서 가장 큰 민족으로 10만 명이 넘는다. 렌카족은 한때 독특한 언어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사멸되었다. 그들은 직물과 도자기 생산, 춤, 의복 등 전통적인 관습과 예술을 계속해서 실천하고 있다. 특히 여성 렌카족은 밝은 색상의 드레스와 '파뉴엘로(pañuelos)'라고 불리는 머리 스카프를 포함한 독특한 스타일의 옷차림으로 알아볼 수 있다.
라 에스페란사와 인티부카의 삶은 주로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특히 렌카족을 포함한 대부분의 주민들에게 생계의 근간이 된다. 독특하게 서늘한 기후로 인해 이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생산할 수 없는 감자, 딸기, 사과를 포함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라 에스페란자는 지역 전체에서 상인과 쇼핑객을 끌어 모으는 일일 농산물 시장으로 유명하다. 렌카족 농부들은 주변 지역 사회에서 와서 거리에서 과일과 채소를 판매하고, 일부 라 에스페란사 주민들은 영구적인 나무 가판대를 운영한다. 판매되는 농산물에는 상추, 시금치, 당근, 오이,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양배추, 감자, 토마토, 단고추와 매운 고추, 유카, 양파, 고수, 사과, 블랙베리, 망고, 파인애플, 바나나, 플라타노, 아보카도, 포도, 복숭아, 딸기가 있다. 가장 붐비는 시장 날은 토요일과 일요일이다.
5. 1. 렌카족 문화
라에스페란사는 렌카족이 주를 이루는 민족이며, 이들은 콜럼버스 이전 시대부터 온두라스 남서부 지역에 거주해 왔다. 렌카족은 온두라스에서 가장 큰 민족으로 10만 명이 넘는다. 렌카족은 한때 독특한 언어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사멸되었다. 그들은 직물과 도자기 생산, 춤, 의복 등 전통적인 관습과 예술을 계속해서 실천하고 있다. 특히 여성 렌카족은 밝은 색상의 드레스와 '파뉴엘로(pañuelos)'라고 불리는 머리 스카프를 포함한 독특한 스타일의 옷차림으로 알아볼 수 있다.라 에스페란사와 인티부카의 삶은 주로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특히 렌카족을 포함한 대부분의 주민들에게 생계의 근간이 된다. 독특하게 서늘한 기후로 인해 이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생산할 수 없는 감자, 딸기, 사과를 포함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라 에스페란자는 지역 전체에서 상인과 쇼핑객을 끌어 모으는 일일 농산물 시장으로 유명하다. 렌카족 농부들은 주변 지역 사회에서 와서 거리에서 과일과 채소를 판매하고, 일부 라 에스페란사 주민들은 영구적인 나무 가판대를 운영한다. 판매되는 농산물에는 상추, 시금치, 당근, 오이,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양배추, 감자, 토마토, 단고추와 매운 고추, 유카, 양파, 고수, 사과, 블랙베리, 망고, 파인애플, 바나나, 플라타노, 아보카도, 포도, 복숭아, 딸기가 있다. 가장 붐비는 시장 날은 토요일과 일요일이다.
5. 2. 농업
라 에스페란사와 인티부카의 삶은 주로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특히 렌카족을 포함한 대부분의 주민들에게 생계의 근간이 된다. 독특하게 서늘한 기후로 인해 이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생산할 수 없는 감자, 딸기, 사과를 포함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라 에스페란자는 지역 전체에서 상인과 쇼핑객을 끌어 모으는 일일 농산물 시장으로 유명하다.렌카족 농부들은 주변 지역 사회에서 와서 거리에서 과일과 채소를 판매하고, 일부 라 에스페란사 주민들은 영구적인 나무 가판대를 운영한다. 판매되는 농산물에는 상추, 시금치, 당근, 오이,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양배추, 감자, 토마토, 단고추와 매운 고추, 유카, 양파, 고수, 사과, 블랙베리, 망고, 파인애플, 바나나, 플라타노, 아보카도, 포도, 복숭아, 딸기가 있다. 가장 붐비는 시장 날은 토요일과 일요일이다.
5. 3. 수공예품
지역 주민들은 다양한 숙련된 수공예품을 제작한다.[14] 많은 여성 단체들은 손으로 제작한 나무 직기를 사용하여 밝은 색상의 폰초, 스카프, 숄, 머리 스카프, 테이블 러너 및 식탁보와 같은 전통적인 렌카 직물을 생산한다.[14] 점점 더 많은 단체들이 주변 숲에서 떨어진 풍부한 솔잎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튼튼하고 장식적인 바구니, 냄비 받침 및 꽃병으로 엮는다.[14]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백색 점토는 다양한 독특한 세라믹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14] 라 에스페란사는 딸기, 배, 복숭아, 블랙베리, 사과와 같은 과일, 그리고 현지에서 인기 있는 감자로 만든 달콤하고 리큐어와 같은 와인 생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14] 라 에스페란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이 제품과 온두라스 주변의 많은 수공예품을 마을의 세 주요 기념품 가게 중 하나인 UMMIL(인티부카 렌카 여성 마이크로기업 연합), 오팔라카스, 엘 린콘 델 투리스타에서 구매할 수 있다.[14]5. 4. 축제
온두라스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라에스페란사 주민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교도이며,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3] 따라서 ''나비다드''(Navidad, 성탄절)와 ''세마나 산타''(Semana Santa)는 주요 축제 기간이다.[3] ''노체부에나(Nochebuena,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가족 및 친구들과 늦은 밤 저녁 식사를 하고 자정에 불꽃놀이를 한다.[3]성주간에는 매일 일련의 행렬과 활동이 열린다.[3] ''비에르네스 산토''(Viernes Santo)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여정을 재현하는 가장 큰 행렬이 열리며, 사람들은 행렬 경로를 따라 색색의 톱밥으로 만든 길거리 카펫인 ''알폼브라스''(alfombras)를 만든다.[3] 대부분의 사업체는 성주간의 목요일(성 목요일)과 금요일에 문을 닫으며, 이 날들은 국경일이다.[3]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여러 연례 축제와 공휴일을 기념한다:[3]
- 장인 축제(페리아 데 아르테사니아 데 라 루타 렌카, Feria de Artesanía de La Ruta Lenca) – 2월[3]
- 인티부카 주 기념일 – 4월 16일[3]
- 국립 버섯 및 와인 축제(페스티벌 나시오날 델 초로 이 엘 비노, Festival Nacional del Choro y el Vino) – 6월 또는 7월[3][11]
- 감자 축제(페리아 데 라 파파, Feria de La Papa) – 7월[3]
- 엘 그란데 데 그란데스(El Grande de Grandes, 국제 전통 댄스 대회) –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3][12][13]
- 스페인 독립 기념일(디아 데 인데펜덴시아, Día de Independencia) – 9월 15일[3]
- 수호 성녀, 콘셉시온의 성모 축제(페리아 파트로날 데 라 비르헨 데 콘셉시온, Feria Patronal de la Virgen de Concepcion) – 11월 29일부터 12월 7일까지[3]
축제에는 퍼레이드, 행렬, 취주악대, 음식 판매대, 장인 시연, 전통 춤, 라이브 음악 및 불꽃놀이가 포함될 수 있다.[3]
5. 5. 온두라스 민속학의 국가 수도
2013년 7월 23일, 라 에스페란사는 온두라스 민속학의 국가 수도로 선포되었으며, 이는 민속학자이자 라 에스페란사 출신인 라파엘 만사나레스 아귈라르를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15][16] 라파엘 만사나레스 아귈라르는 온두라스 민속학자이자 작가, 작곡가였다. 그는 ''온두라스 국립 민속 무용단''을 창설했으며, 온두라스에서 민속 전통을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5][16]온두라스 민속학의 수도 지정은 매년 라 에스페란사에서 민속 축제 ''엘 그란데 데 그란데스''(El Grande de Grandes)를 통해 이루어진다. 온두라스 전역의 민속 무용단들이 이 하루 종일 열리는 축제에서 지역 춤과 의상을 선보이며 경쟁한다.[17]
6. 관광
라에스페란사는 테구시갈파와 온두라스 서부 사이의 경로에 있어 렌카 루트의 지정된 장소로, 여행 중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다. 도시에는 다양한 가격대의 호텔, 레스토랑, 상점이 많다.[18]
- 라 그루타: 시내를 조망하는 언덕에 위치한 동굴로, 루르드의 성모 성지이다. 31개의 계단 꼭대기에 있으며, 계단 아래에서 종교 의식과 문화 활동이 열린다. 전설에 따르면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국민당) 정부 시대에 만들어졌다고 한다.[19] 계단은 도시와 주변 지역의 전망을 제공하는 언덕으로 이어진다.
- 렌카 문화 박물관: 라 에스페란사의 카사 데 문화에 위치하며, 렌카족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물과 정보를 전시한다.
- 바뇨스 푸블리코스 엘 키스카모테 (공중 목욕탕): 공공 수도꼭지에서 빨래를 하는 곳으로, 수영장과 소풍 시설도 갖추고 있다.
- 렌카 시장: 신선한 농산물, 고기, 치즈, 가정 용품, 옷 등을 판매하는 시장이다.
- 파르케 데 보스케 에나노 (난쟁이 숲): 마르칼라로 가는 길에 위치한 숲으로, 500개가 넘는 난쟁이 나무가 자라고 있다.
- 라구나 데 마드레 비에하 (오래된 어머니의 석호): 시구아테페케에서 오는 길에 있는 작은 석호로, 낚시와 보트 타기를 즐길 수 있다.

- 라구나 데 칠리게토로 (칠리게토로 석호): 라 에스페란사에서 버스로 30분 거리에 있는 석호로, 휴식과 수영, 보트 타기에 적합하다.
- 에스타디오 로무알도 부에소: 아틀레티코 에스페란사노 축구팀과 렌카 럭비 클럽의 홈구장으로, 3,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 발레 폴클로리코 오로 렌카: 축제와 공휴일 동안 지역 춤을 공연하는 무용단으로, 카사 데 문화에 본부를 두고 있다.[20]
6. 1. 주요 관광 명소
라에스페란사는 테구시갈파와 온두라스 서부 사이의 경로에 있어 렌카 루트의 지정된 장소로, 여행 중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다. 도시에는 다양한 가격대의 호텔, 레스토랑, 상점이 많다.[18]- 라 그루타: 시내를 조망하는 언덕에 위치한 동굴로, 루르드의 성모 성지이다. 31개의 계단 꼭대기에 있으며, 계단 아래에서 종교 의식과 문화 활동이 열린다. 전설에 따르면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정부 시대에 만들어졌다고 한다.[19] 계단은 도시와 주변 지역의 전망을 제공하는 언덕으로 이어진다.
- 렌카 문화 박물관: 라 에스페란사의 카사 데 문화에 위치하며, 렌카족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물과 정보를 전시한다.
- 바뇨스 푸블리코스 엘 키스카모테 (공중 목욕탕): 공공 수도꼭지에서 빨래를 하는 곳으로, 수영장과 소풍 시설도 갖추고 있다.
- 렌카 시장: 신선한 농산물, 고기, 치즈, 가정 용품, 옷 등을 판매하는 시장이다.
- 파르케 데 보스케 에나노 (난쟁이 숲): 마르칼라로 가는 길에 위치한 숲으로, 500개가 넘는 난쟁이 나무가 자라고 있다.
- 라구나 데 마드레 비에하 (오래된 어머니의 석호): 시구아테페케에서 오는 길에 있는 작은 석호로, 낚시와 보트 타기를 즐길 수 있다.
7. 교통
라 에스페란자는 포장 상태가 좋고 관리가 잘 되어 있는 22번 국도를 통해 시구아테페케에서 자동차나 버스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다.[3] 라 에스페란사에서 야마랑길라로 가는 도로를 이용하여 CA 11-A 고속도로와 연결하여 산 후안, 그라시아스, 렘피라, 산타 로사 데 코판, 코판에 도달할 수 있다.[3] 라 에스페란사와 산 후안 사이의 도로 일부는 비포장 도로여서 우기에는 통행이 불가능할 때도 있지만, 현재 포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3]
Transportes Carolina는 매시간 테구시갈파와 산 페드로 술라를 오가는 풀먼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중간 경유지에서 주요 도시에 정차한다.[3] 또한 마르칼라, 야마랑길라, 산 후안, 에란디케, 그라시아스, 산타 로사 데 코판으로 가는 정기 미니 버스 서비스도 있으며, 모든 버스는 시내 입구 근처의 주요 버스 터미널에서 출발한다.[3] 치킨 버스는 주변의 작은 지역 사회로 운행된다.[3]
8. 저명한 인물
- 베르타 카세레스(렌카족): COPINH의 창립자이자 환경 및 인권 운동가. 2016년 3월 암살되었다.
- 넬슨 그라시아스(렌카족): 환경 운동가. 2016년 3월 암살되었다.
- 라파엘 만사나레스 아귈라르: 온두라스 민속학자, 작가, 작곡가. 온두라스 국립 민속 사무소(Oficina del Folklore Nacional de Honduras)의 설립자이자 초대 국장. ''온두라스 국립 민속 무용단''(Cuadro Nacional de Danza Folkloricas de Honduras)의 설립자이자 초대 단장 겸 안무가.[16]
- 비센테 메히아 콜린드레스: 1919년, 1929년부터 1933년까지 온두라스 대통령을 역임했다. 두 번째 임기의 시작과 끝은 당시까지 전례 없는 평화로운 권력 이양으로 집권당에서 야당으로 넘어갔다.
참조
[1]
웹사이트
Alcaldes y Alcaldesas
http://amhon.hn/j1/i[...]
2016-02-13
[2]
웹사이트
El INE te cuenta: principales resultados del censo a nivel departamental y municipios
http://www.ine.gob.h[...]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E)
2018-02-23
[3]
웹사이트
La Esperanza, Intibucá
http://www.hondurast[...]
[4]
웹사이트
La Esperanza and Intibucá Municipal Website
http://www.intibucal[...]
[5]
웹사이트
La Esperanza Hydro Project Website
http://www.laesperan[...]
2011-05-18
[6]
간행물
Hondur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ata, Honduran National Census, Peace Corps Honduras, 2001.
[7]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8
[8]
웹사이트
XVII Censo de Población y VI de Vivienda (2013)
http://170.238.108.2[...]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2018-02-23
[9]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E), bases de datos en línea
https://www.ine.gob.[...]
[10]
웹사이트
Censo de Población y Vivienda 2013
http://www.ine.gob.h[...]
2018-02-23
[11]
웹사이트
Festival Nacional del Choro y el Vino
https://www.facebook[...]
2018-06-26
[12]
AV media
El Grande de Grandes 2016
https://www.youtube.[...]
Canal Noticias TNH 8
2016-10-31
[13]
웹사이트
El Grande de Grandes
http://en.orolenca.o[...]
2013-12-02
[14]
웹사이트
UMMIL Website
https://sites.google[...]
2011-08-18
[15]
뉴스
Tributo al folklorista Rafael Manzanares
http://www.laprensa.[...]
La Prensa.hn
2013-07-31
[16]
웹사이트
Festival Folclorico Grande de Grandes 2013: La Cultura y El Arte en Honduras Sigue Viva!
http://apdhmedios.we[...]
Asociación de Periodistas Deportivos de Honduras (APDH)
2017-10-10
[17]
뉴스
Festival Grande de Grandes: Colorida fiesta folclórica en La Esperanza, Intibucá
http://www.elheraldo[...]
El Heraldo.com
2013-08-03
[18]
뉴스
La Esperanza, Yamaranguila e Intibucá forman trío turístico
http://www.laprensa.[...]
Grupo Opsa
2017-04-07
[19]
뉴스
La Inmaculada domina desde lo alto de Su Gruta
http://www.laprensa.[...]
La Prensa
2017-04-06
[20]
뉴스
Ballet folclórico: Oro Lenca, un orgullo Intibucano
http://www.elheraldo[...]
El Heraldo.com
2013-11-08
[21]
웹인용
Weather Underground History for La Esperanza
http://www.wundergro[...]
2011-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