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아벤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아벤나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손드리오현에 위치한 도시이다. 밀라노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코모 호수에서 북쪽으로 16km 떨어져 있으며, 메라강 오른편에 자리 잡고 있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교통 요충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주변 지역의 주요 도시로 성장했다. 현재는 슬로 시티에 가입되어 있으며, 발키아벤나 산악부 공동체의 사무소 소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손드리오도의 코무네 - 콜로리나
콜로리나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손드리오현에 위치한 코무네로, 아다강이 흐르고 이탈리아 지진 위험 등급 3에 해당하며, 여러 분리 집락으로 구성되어 인구 변동을 보였다. - 손드리오도의 코무네 - 리비뇨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손드리오현에 위치한 리비뇨는 흑해 분지에 속하는 고지대 코무네이자 면세 지역으로, 스키와 휴양 관광이 활발하다. - 그라우뷘덴주의 역사 - 삼동맹
삼동맹은 현재의 스위스 그라우뷘덴주 지역에 14세기 후반부터 18세기 말까지 존재했던 회색 동맹, 십재판구 동맹, 신의 집 동맹의 연합체로, 지역 갈등, 봉건 질서 반발, 외부 세력 확장에 저항하며 결성되어 정치적 실체로 통합되었고,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사실상 독립 후 유럽의 독특한 정치적 공동체주의를 실현, 프랑스 혁명군의 침공으로 해체되었다가 그라우뷘덴주로서 복원되어 스위스 연방에 편입되었다. - 그라우뷘덴주의 역사 - 십재판구 동맹
십재판구 동맹은 1436년 토겐부르크 백작 사망 후 영토 분쟁 속에서 평민들이 결성한 동맹으로, 10개 관할 구역으로 이루어져 권리 보호와 공동 조약 참여를 목표로 스위스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해체되어 그라우뷘덴주에 편입되었다. - 롬바르디아주의 코무네 - 세그라테
- 롬바르디아주의 코무네 - 루이노
루이노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주 바레세현에 위치한 코뮌으로, 고대 로마 시대 묘지가 발굴되고, 1169년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9세기 후반 산업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교통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탈리아 문학가들이 출신이며 프랑스 사나리쉬르메르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키아벤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키아벤나 시 |
로마자 표기 | Chiavenna |
라틴어 이름 | Clavenna |
독일어 이름 | Cläven 또는 Kleven |
레토로망스어 이름 | Clavenna 또는 Claven |
지리 | 코무네 |
인구 통계 | 키아벤나 사람 |
행정 구역 | |
국가 | 이탈리아 |
주 | 롬바르디아주 |
현 | 손드리오도 (SO) |
분할 구역 | 캄페델로, 로레토, 피아나촐라, 산 카를로 |
정치 | |
시장 | 루카 델라 비타 |
면적 | |
총 면적 | 10.77 km² |
인구 | |
총 인구 (2022년 5월 31일 기준) | 7149명 |
인구 밀도 | 650명/km² |
고도 | |
해발 고도 | 333 m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UTC+1) |
서머 타임 | CEST (UTC+2) |
우편 번호 | 23022 |
지역 번호 | 0343 |
ISTAT 코드 | 014018 |
자매 도시 |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키아벤나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키아벤나는 밀라노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손드리오에서 북서쪽으로 약 40km 떨어져 있다. 200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7,263명, 면적은 11.1km2이다.[12] 키아벤나에는 캄페델로, 로레토, 피아나촐라, 산 카를로 등의 프라치오니가 있다.[3]
2. 1. 인접 코무네
키아벤나는 다음 코무네와 접한다.- 메제
- 피우로
- 프라타 캄포르타치오
- 산 자코모 필리포
2. 2. 지형 및 하천
키아벤나는 밀라노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손드리오에서 북서쪽으로 약 40km 떨어져 있다. 마을은 코모 호수에서 북쪽으로 약 16km 떨어진 메라강의 오른쪽 제방에 위치하고 있다.[2] 강 코스는 동쪽의 발브레가글리아와 카스타세냐의 스위스 국경까지 이어진다. 북쪽에서 벨르 슬루가는 스플루가 고개까지 그리고 그라우뷘덴주의 쿠어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키아벤나는 메세, 피우로, 프라타 캄포르타치오, 산 자코모 필리포와 접해 있다.
키아벤나의 지자체에는 캄페델로, 로레토, 피아나촐라 및 산 카를로가 포함되어 있다.
2. 3. 지진 위험도
이탈리아의 지진 위험 등급에서 3으로 분류된다.[11]3. 역사
키아벤나는 북부 이탈리아와 힌터라인강 계곡 사이의 산길에 있는 중추적인 위치 때문에 '열쇠'를 의미하는 ''clavis''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산 경사에서 떨어진 바위’를 의미하는 더 오래된 ''klava''에서 유래되었다.[2]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정복되어 라이티아 빈델리시아 지방의 마을이 되었지만, 실제로는 이탈리아 쪽 알파인 산맥에 위치했다. 로마인들은 클라베나에서 두 개의 중요한 도로를 건설했는데, 하나는 발브레아글리아(발키아벤나)와 젭티머 고개를 거쳐 쿠리아(현대의 쿠어)로 이어지는 순환 경로를 통해 이전 도로와 다시 합류했다. 이 도로는 이미 로마 군단의 보급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서로마 제국 멸망 후, 키아벤나는 이탈리아 동고트 왕국의 북쪽 경계가 되었다.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통치 기간에 비잔틴 제국이 이탈리아 영토를 탈환하면서 키아벤나는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7세기까지 롬바르디아 왕국의 함락을 피했다.
동프랑크 왕국의 왕 오토 1세는 951년 이탈리아의 아델레이드 왕비와 결혼하여 베렝가르 2세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때 오토 1세는 발 브레가글리아와 젭티머 고개에 대한 통제권을 쿠어의 주교관에 주었고, 코모의 주교들이 빌라에서 남서부의 키아벤나까지 인접 영지를 소유하게 했다. 961년 오토 왕은 젭티머 도로를 따라 알프스를 횡단하여 이듬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다. 1030년에는 코모 주교들로부터 도시 특권을 받았다.[2] 중세 시대에 카스텔로는 북쪽과 동쪽의 알파인 고개를 통제하는 지역 백작의 거주지로 사용되었다. 호펜스타우펜 황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는 1163/64년 이탈리아 전역에서 젭티머 고개를 처음 건넜고, 1176년에는 키아벤나에서 그의 사촌인 색슨 공작 하인리히 사자공을 만나 롬바르디아 동맹의 도시에 대한 도움을 간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194년에는 키아벤나가 슈바벤 공국의 상부 라이티아 영토에 통합되었다.[2]
1335년, 키아벤나는 남동쪽에 인접한 발텔리나 계곡과 함께 쿠어 주교로부터 밀라노의 비스콘티 영주에게 인수되었다. 15세기 초 구 스위스 연방의 알프스 이북 원정 시기 동안 키아벤나는 세 동맹의 군대에 의해 통제되었고,[4]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을 계승한 스포르차 가문에 맞서 싸웠다. 1486년, 그들은 키아벤나를 불태웠고, 2년 후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마을을 요새화했다. 이후 키아벤나는 캄브레 동맹 전쟁 동안 동맹군에 의해 정복되었고, 발텔리나, 보르미오와 함께 세 동맹이 통치하는 관할구가 되었다. 1542년에는 최초의 개신교 교구가 생겨나 종교 개혁의 중심지가 되었다.[4]
30년 전쟁 중 1620–39년의 ''Bündner Wirren'' 동안 일시적으로 상실되었지만, 키아벤나에 대한 세 동맹의 통치는 1797년까지 지속되었다. 그해 프랑스 혁명가들이 키아벤나를 치살피네 공화국에 병합했고,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국왕으로 하는 ''이탈리아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인접한 보르미오와 발텔리나 계곡과 함께, 자유국인 세 동맹은 나폴레옹의 정복 이전까지 스위스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스위스 연방의 일부가 아니었다.
나폴레옹 몰락 이후, 1815년부터 1859년까지 키아벤나와 롬바르디아, 베네토 전체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넘어갔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호황기 동안, 모든 지역에 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하녀들에게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다. 롬바르디아와 베네치아 여성들은 이탈리아의 다른 지방의 여성들보다 훨씬 먼저 문자를 깨우쳤다. 오스트리아 행정부는 대담한 현대적 노선(스플루가, 스텔비오)을 건설하고 병원을 설립했으며 당시 밀라노의 의학 수준을 최고로 끌어올렸다. 사보이아의 이탈리아 왕국 선포 이후, 키아벤나는 롬바르디아의 나머지 지역과 같은 운명을 따랐다.
2000년 6월 6일, 가톨릭 수녀 마리아 로라 마이네티가 3명의 십대 소녀들에 의해 사탄주의 인신 제사로 살해되었다.[5]
3. 1. 고대
키아벤나라는 이름은 북부 이탈리아와 힌터라인강 계곡 사이의 산길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언급하는 ''clavis'' (key|열쇠영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훨씬 더 오래된 이전 라틴어(아마도 리구리아어 및 확실히 비켈트어) ''etymon klava'', ‘산 경사에서 떨어진 바위’를 의미한다. 로마 시대에 클라베나는 기원전 16년에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알프스 원정을 하는 동안 정복했으며, 라이티아 빈델리시아 지방의 한 마을이었지만, 실제로는 이탈리아(시살피니 갈리아) 쪽 알파인 산맥에 위치해 있으며, 발레 스플루가 입구에 있는 라쿠스 라리우스(현재의 코모 호수)의 상부 북쪽에 있다.로마인들은 클라베나에서 두 개의 중요한 도로를 건설했다. 하나는 클라베나에서 분리되어 발브레아글리아(발키아벤나)와 젭티머 고개를 가로질러 쿠리아(현대의 쿠어)로 이어지는 보다 순환적인 경로를 통해 이전 도로와 다시 합류했다. 이 통로는 이미 로마 군단의 보급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총사령관 스틸리코가 한겨울에 알프스를 넘은 것은 클라우디아누스 (320–358)의 위업이었다.

3. 2. 중세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키아벤나는 이탈리아 동고트 왕국의 북쪽 경계가 되었다.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통치 기간에 비잔틴 제국이 이탈리아 영토를 탈환하면서 키아벤나는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7세기까지 롬바르디아 왕국의 함락을 피했다. 키아벤나는 주변 지역의 주요 도시이자 현대적인 도시로서, 두 개의 통행로가 교차하는 지정학적 위치 덕분에 어느 정도 중요성을 확보했다.동프랑크 왕국의 왕 오토 1세는 951년 10월 이탈리아의 아델레이드 왕비와 결혼하여 베렝가르 2세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때 오토 1세는 발 브레가글리아와 젭티머 고개에 대한 통제권을 쿠어의 주교관에, 코모의 주교들이 빌라에서 남서부의 키아벤나까지(현재 이탈리아-스위스 국경) 인접 영지를 소유하게 했다. 961년 오토 왕은 이듬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기 위해 로마로 가는 길에 젭티머 도로를 따라 알프스를 횡단했다. 키아벤나의 시민들은 1030년에 코모 주교들로부터 도시 특권을 받았다.
키아벤나에는 한때 중요한 전략적 요지였던 폐허가 된 성이 있으며, 이 성은 고트족 시대부터 이 지역이 쿠어의 주교에게 넘겨진 1194년까지 계곡을 통치했던 백작들의 자리였다.[2] 중세 시대에 카스텔로는 북쪽과 동쪽의 알파인 고개를 통제하는 지역 백작의 거주지로 사용되었다. 호펜스타우펜 황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는 1163/64년 이탈리아 전역에서 젭티머 고개를 처음 건넜다. 1176년 그는 키아벤나에서 그의 사촌인 색슨 공작 하인리히 사자공을 만났다. 그는 롬바르디아 동맹의 도시에 대한 하인리히의 도움을 간청하기 위해 무릎을 꿇었다고 전해지나, 하인리히는 이를 거절했다. 2년 후, 쿠어 주교의 군대는 알프스산맥을 넘어 발 브레가글리아로 진격했고, 1194년에는 키아벤나가 슈바벤 공국의 상부 라이티아 영토에 통합되었다.
남동쪽에 인접한 발텔리나 계곡과 함께 키아벤나는 1335년에 쿠어 주교로부터 밀라노의 비스콘티 영주에게 인수되었다.

3. 3. 근현대
15세기 초 구 스위스 연방의 알프스 이북 원정 시기 동안 키아벤나는 세 동맹의 군대에 의해 통제되었고,[4]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을 계승한 스포르차 가문에 맞서 싸웠다. 1486년, 그들은 키아벤나를 불태웠고, 2년 후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마을을 요새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아벤나는 캄브레 동맹 전쟁 동안 동맹군에 의해 정복되었는데, 그들은 1513년 노바라 전투에서 프랑스의 루이 12세 군대를 물리치며 스위스 연방과 동맹을 맺었다. 발텔리나와 보르미오와 함께 키아벤나 영지는 세 동맹이 통치하는 관할구가 되었다. 1542년에 최초의 개신교 교구가 생겨난 이후 키아벤나는 종교 개혁의 중심지가 되었고, 카밀로 레나토, 베르나르디노 오키노, 지로라모 잔키와 같은 저명한 신학자들을 포함한 수많은 종교 난민들이 이곳에 정착했다.30년 전쟁 중 1620–39년의 ''Bündner Wirren'' 동안 일시적으로 상실되었지만, 키아벤나에 대한 세 동맹의 통치는 1797년까지 지속되었다. 그해 프랑스 혁명가들이 키아벤나를 치살피네 공화국에 병합했는데, 이는 외젠 드 보아르네가 부왕으로 있는 ''이탈리아 왕국''(국왕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으로 급속히 승격되었다. 인접한 보르미오와 발텔리나 계곡과 함께, 자유국인 세 동맹(현대 그라우뷘덴 주)은 나폴레옹의 훨씬 후기 정복 이전까지 스위스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스위스 연방의 일부가 아니었다. 오늘날까지 발텔리나의 총독이었던 시기의 앵글로-스위스 백작 페터 드 살리스 (1738–1807)의 동상이 키아벤나에 있다.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1815년부터 1859년까지 키아벤나와 롬바르디아와 베네토 전체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넘어갔는데, 그들은 항상 오스트리아에서 밀라노로 가는 길목을 통제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을 연결하려 했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호황기 동안, 모든 지역에 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하녀들에게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다. 롬바르디아와 베네치아 여성들은 이탈리아의 다른 지방의 여성들보다 훨씬 먼저 이탈리아에서 문자를 깨우쳤다. 오스트리아 행정부는 대담한 현대적 노선(스플루가, 스텔비오)을 건설하고 병원을 설립했으며 당시 밀라노의 의학 수준을 최고로 끌어올렸다. 키아벤나의 시민은 인스브루크, 빈, 프라하, 부다페스트의 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그는 제국군에서 복무하고 장교가 되며, 더 높은 행정부에 진입하고 귀족이 될 수 있었다. 사보이아의 이탈리아 왕국 선포 이후, 키아벤나는 롬바르디아의 나머지 지역과 같은 운명을 따랐다.
2000년 6월 6일, 가톨릭 수녀 마리아 로라 마이네티는 3명의 십대 소녀들에 의해 사탄주의 인신 제사로 살해되었다.[5]
4. 행정
키아벤나는 분리 집락(프라치오네)을 가지고 있다.
4. 1. 분리 집락
키아벤나에는 다음과 같은 분리 집락(프라치오네)이 있다.Bette | Campedello | Deserto | Loreto | Pianazzola |
San Carlo | San Giovanni | Tanno | Uschione |
5. 인구
다음은 키아벤나의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인구 (명) |
---|---|
1861 | 4,049 |
1871 | 4,124 |
1881 | 4,648 |
1901 | 4,732 |
1911 | 4,547 |
1921 | 4,815 |
1931 | 5,295 |
1936 | 5,379 |
1951 | 6,038 |
1961 | 6,211 |
1971 | 7,158 |
1981 | 7,696 |
1991 | 7,365 |
2001 | 7,239 |
2011 | 7,297 |
자료 출처: ISTAT
6. 문화 및 관광
슬로시티 가맹 도시이다.
7. 인물
- 페터 (3대) 드 살리스 백작(1738–1807)은 1771–1773, 1781–1783년에 키아벤나의 지사를 지냈다.
- 이마 아구스토니(1935–2017)는 이탈리아 교육 자료 배우이자 작가로, 아반티! 아반티!를 진행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
- 클라이드 제로니미
- 애스터 가문은 키아벤나에 뿌리를 두고 있다.
8.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332m 기준) | 6°C | 8.7°C | 13.5°C | 17.8°C | 22.1°C | 26°C | 28.4°C | 27.1°C | 22.9°C | 16.8°C | 10.5°C | 6.8°C |
평균 기온 (332m 기준) | 2.8°C | 4.9°C | 8.9°C | 12.8°C | 16.6°C | 20.1°C | 22.6°C | 21.6°C | 18.1°C | 12.9°C | 7.2°C | 3.7°C |
평균 최저 기온 (332m 기준) | -0.4°C | 1.2°C | 4.3°C | 7.9°C | 11.1°C | 14.3°C | 16.8°C | 16.1°C | 13.4°C | 8.9°C | 4°C | 0.7°C |
강수량 | 59mm | 57mm | 84mm | 126mm | 161mm | 147mm | 132mm | 165mm | 159mm | 126mm | 137mm | 58mm |
참조
[1]
통계
Italian statistical institute Istat
[2]
EB1911
Chiavenna
[3]
통계
Italian statistical institute Istat
[4]
서적
Bündnergeschichte
Schuler
1945
[5]
웹사이트
Figli, studi, nuovi nomi: cosa fanno ora le ragazze che nel 2000 uccisero la suora in Valchiavenna
https://www.corriere[...]
2019-11-10
[6]
웹사이트
Valori climatici normali di temperatura e precipitazione in Italia
https://www.isprambi[...]
Istituto Superiore per la Protezione e la Ricerca Ambientale
2024-07-02
[7]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Sondrio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10-31
[8]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Sondrio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10-31
[9]
웹사이트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 Lombardia
http://dati.istat.it[...]
2021-05-10
[10]
웹사이트
地図上で2地点の方角・方位、距離を調べる
http://www.benricho.[...]
2017-01-18
[11]
웹사이트
classificazione sismica 1 dicembre 2020
http://www.protezion[...]
イタリア市民保護局
2021-02-07
[12]
통계
Italian statistical institute I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