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는 덴마크에서 공무원으로 일했으며, 1801년 킬 대학교 교수로 임용된 독일의 역사가이자 정치인이었다. 그는 고대 로마사를 연구하는 문헌학적 비판적 역사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역사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니부어는 1816년부터 1823년까지 로마 주재 프로이센 대사로 활동했으며, 1825년부터는 본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로마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의 정치인 - 하인리히 브뤼닝
하인리히 브뤼닝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총리로서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했으나 실업률 증가와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고, 나치 집권 후 망명하여 학자로서 생을 마감했다. - 프로이센의 정치인 - 레오 폰 카프리비 백작
레오 폰 카프리비 백작은 독일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1890년부터 1894년까지 독일 제국 총리를 지냈으며, 비스마르크의 후임으로 "신정책"을 추진하며 친영 정책, 사민당과의 타협,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 통상 조약 확대, 사회 정책 개혁 등의 성과를 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과 빌헬름 2세와의 갈등으로 실각했다. - 독일의 외교관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독일의 외교관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은 독일의 장군이자 항공기 제조자로, 특히 체펠린 비행선 개발로 명성을 얻었으며, 루프트쉬프바우 체펠린을 설립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비행선을 공급하는 등 항공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76년 8월 27일 |
출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사망일 | 1831년 1월 2일 |
사망지 | 프로이센 본 |
안장 장소 | Alter Friedhof, Bonn (본 구 묘지) |
부모 | 카르스텐 니부어 (아버지) |
정보 | |
분야 | 정치인 역사가 |
국적 | 덴마크, 프로이센 |
경력 | |
직업 | 공무원 외교관 |
학력 | |
모교 | 킬 대학교 |
기타 정보 | |
영향 받은 인물 | 유스투스 뫼저 에드문트 버크 |
서명 | |
![]() |
2. 생애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는 유명한 오리엔트 학자 카르스텐 니부어의 아들로, 킬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나 학업을 마치지 않고 덴마크에서 국가 공무원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1801년, 그는 25세의 젊은 나이와 대학 미졸업이라는 이례적인 조건에도 불구하고 킬 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었다. 이후 1806년부터 1810년까지 프로이센 국가 업무를 수행했고, 1810년에는 새로 개교한 훔볼트 대학교에서 역사학 강의를 맡았다. 1816년부터 1823년까지는 로마 교황청 주재 프로이센 대사로 활동했으며, 1825년부터는 본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니부어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어학 능력을 보였으며, 독학으로 다양한 근동 언어를 습득했다. 그는 티투스 리비우스 연구를 통해 고대 로마사를 문헌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역사학 방법론의 기초를 다진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의 역사 서술 방식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티투스 리비우스의 첫 10권에 대한 논고》에서 보여준 사료 비판과 비교되기도 하며, 때로는 과거를 재구성할 때 그가 "예언적 직관"(Divination|디비네이션영어)이라고 부른 방식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부어가 개척한 방법론은 새로운 고전 문헌학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획기적인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비록 그의 문헌 비판이 때때로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카를 오트프리트 뮐러, 테오도어 몸젠,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레오폴트 폰 랑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과 같은 후대의 저명한 고전학자 및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들은 니부어를 중요한 권위자로 인용했다. 역사주의의 발전은 흔히 랑케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니부어의 공헌 없이는 논하기 어렵다. 그는 역사학이 철학, 문헌학, 법학, 정치학 등 다른 학문 분야 속에서 독자적인 학문 영역으로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는 코펜하겐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당시 그 도시에 거주하던 저명한 독일 지리학자 카르스텐 니부어였다. 아버지로부터 초기 교육을 받았으며[2], 1794년에는 이미 여러 언어를 읽는 뛰어난 고전 학자로 성장했다. 같은 해 킬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과 철학을 공부했다.[3] 킬 대학 재학 중 그는 교수 중 한 명의 미망인 며느리였던 6살 연상의 헨슬러 부인과 중요한 우정을 쌓았고, 그녀의 여동생이자 훗날 결혼하게 되는 아멜리 베렌스를 만나게 되었다.[4]1796년 킬을 떠나 잠시 덴마크 재무부 장관 쉬멜만 백작의 비서로 일했으나, 1798년 이 직책을 그만두고 영국으로 건너가 에든버러에서 1년간 농업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그는 영국 체류 경험이 로마사 연구에 중요했다고 회고하며 "영국에서의 초기 체류는 로마 역사에 대한 중요한 열쇠를 제공했다. 고대 국가와 같은 국가를 이해하려면 개인적인 관찰을 통해 시민 생활을 알아야 한다. 나는 영국을 관찰하지 않고서는 로마 역사에서 많은 것들을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4] 1799년 그는 덴마크로 돌아와 공무원이 되었고, 1800년 아멜리 베렌스(1773–1815)와 결혼하여 코펜하겐에 정착했다. 1804년에는 국립 은행의 최고 이사가 되었다.
2. 2. 덴마크에서의 경력
1794년 킬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과 철학을 공부했다.[3] 그곳에서 그는 교수 중 한 명의 미망인 며느리인 헨슬러 부인과 중요한 우정을 맺었으며, 그녀의 여동생 아멜리 베렌스를 만나 후에 결혼하게 되었다.[4]1796년에는 킬을 떠나 덴마크 재무부 장관인 쉬멜만 백작의 개인 비서가 되었다. 하지만 1798년에 이 직책을 그만두고 영국으로 건너가 에든버러에서 1년 동안 농업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그는 영국에서의 경험에 대해 "영국에서의 초기 체류는 로마 역사에 대한 중요한 열쇠를 제공했다. 고대 국가와 같은 국가를 이해하려면 개인적인 관찰을 통해 시민 생활을 알아야 한다. 나는 영국을 관찰하지 않고서는 로마 역사에서 많은 것들을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회고했다.[4]
1799년 덴마크로 돌아와 다시 공무원이 되었고, 1800년에는 아멜리 베렌스(1773–1815)와 결혼하여 코펜하겐에 정착했다.[5] 1801년 그는 킬 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었는데, 당시 그의 나이가 25세에 불과했고 대학을 정식으로 졸업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1804년에는 국립 은행의 최고 이사직에 올랐다. 니부어는 1806년까지 덴마크에서 활동하다가 이후 프로이센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2. 3. 프로이센에서의 활동
1806년 9월, 니부어는 덴마크에서의 직책을 그만두고 프로이센에서 공직을 얻었다. 그는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의 경험 덕분에 은행 업무에 능숙하다고 여겨졌다.[2] 그가 프로이센에 도착한 것은 예나 전투 직전이었다. 이후 나폴레옹에게 패배한 프로이센 망명 정부를 따라 쾨니히스베르크로 이동하여 군수국에서 일했으며, 국가 부채 위원으로서 신중하지 못한 과세 계획에 반대하는 등 기여했다. 잠시 네덜란드 주재 프로이센 공사로 임명되어 융자 기금을 마련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806년부터 1810년까지 니부어는 베를린을 중심으로 프로이센 국가 업무를 수행했다.그러나 니부어는 예민한 성격 탓에 정치에는 잘 맞지 않았다. 그는 하르덴베르크를 비롯한 다른 장관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1810년 공직에서 물러났다. 대신 왕실 역사학자이자 새로 개교한 베를린 대학교의 교수라는, 그에게 더 적합한 직책을 맡게 되었다.
한편, 1809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연구소의 해외 거주 통신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6]
2. 4. 학문적 업적 및 외교 활동
킬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학업을 중단하고 덴마크에서 국가 공무원으로 일했다. 1801년 그는 불과 25세의 젊은 나이에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킬 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었다. 1806년부터 1810년까지는 프로이센의 국가 업무를 베를린에서 수행했으며, 1810년부터는 새로 개교한 훔볼트 대학교에서 역사학 강의를 시작했다. 이 강의는 그의 대표 저서인 『로마사』의 기초가 되었다.그의 강의를 바탕으로 한 『로마사』 초판 2권은 1811년에서 1812년 사이에 출판되었지만, 당시 나폴레옹 전쟁과 같은 정치적 사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1813년, 독일 국민들이 나폴레옹에 대항하여 봉기하자 니부어는 역사 연구에서 잠시 손을 떼었다. 그는 국토방위군에 입대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잠시 애국적인 저널인 『프로이센 통신원』을 편집했으며, 연합 군주들의 본부에 합류하여 바우첸 전투를 목격하고 몇몇 작은 협상에 참여했다. 1815년에는 아버지와 아내를 모두 잃는 개인적인 아픔을 겪었다.
1816년 니부어는 로마 주재 프로이센 대사직을 수락하고 로마로 떠나기 전 아내의 조카와 결혼했다.[4] 로마로 가는 길에 베로나 교구 도서관에서 오랫동안 소실된 것으로 여겨졌던 가이우스의 법학강요를 발견하는 중요한 학문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이것이 울피아누스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에게 알렸으며, 이후 사비니가 이를 편집했다. 니부어가 베로나를 방문한 목적에 대해서는 이전에 다른 학자들이 발견했던 필사본을 확보하기 위한 비밀 임무였다는 주장도 있지만, 증거는 우연한 발견이었음을 시사한다.[7]
로마에 머무는 동안 니부어는 키케로와 리비우스의 단편들을 발견하여 출판했으며, 안젤로 마이 추기경이 키케로의 『국가론』을 편집하는 것을 도왔다. 또한 크리스티안 카를 요시아스 분젠, 에른스트 자카리아스 플라트너와 함께 고대 로마의 지형에 관한 중요한 저서인 Beschreibung Roms|베샤라이붕 롬스de("로마 도시의 묘사")의 계획에 참여하고 일부 내용을 직접 저술했다. 이탈리아에서 돌아오는 길에는 성 갈렌 수도원의 팔림세스트(양피지 문서)에서 5세기 로마 시인 메로바우데스의 단편을 해독하기도 했다. 외교관으로서 그는 1821년 교황 칙서 『De salute animarum』으로 대표되는 프로이센과 교황청 간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2] 1822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8]
1823년 로마 대사직을 사임한 니부어는 본 대학교에 정착하여 남은 생애를 보냈다. 그는 이곳에서 『로마사』의 첫 두 권을 다시 쓰고(1827-1828년 출판), 제1차 포에니 전쟁의 끝까지 다루는 세 번째 권을 저술했다. 이 세 번째 권은 그가 1831년에 남긴 단편을 바탕으로 사후인 1832년 요하네스 클라센에 의해 편집되어 출판되었다. 그는 또한 아우구스트 임마누엘 베커가 편집한 비잔틴 제국 역사가들의 저작 모음집인 『비잔틴 역사가 집성』 작업에 참여했으며, 고대사, 민족지학, 지리학, 프랑스 혁명에 대한 강의를 했다.

1830년 2월 그의 집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다행히 책과 원고 대부분은 보존되었다. 같은 해 프랑스에서 일어난 7월 혁명은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유럽의 미래에 대해 비관적인 전망을 갖게 했다. 니부어는 54세의 나이로 본에서 사망했다.[5] 그의 사후인 1842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메달이 제작되었다.[9]
니부어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어학 능력으로 주목받았으며, 여러 근동 언어를 독학으로 익혔다. 그는 티투스 리비우스 연구를 통해 고대 로마사를 연구하는 문헌학적 비판 방법론의 기초를 다진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의 역사 서술 방식은 때때로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티투스 리비우스의 첫 10권에 대한 논고》에서 보여준 사료 비판에 미치지 못하거나, 과거를 재구성할 때 그가 "예언"(Divination)이라고 부른 직관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러나 니부어가 개척한 방법론은 새로운 고전 문헌학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획기적인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티투스 리비우스 등 고대 문헌에 대한 그의 비판적 접근은 때로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카를 오트프리트 뮐러, 테오도어 몸젠,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레오폴트 폰 랑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과 같은 후대의 저명한 고전학자 및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들은 니부어를 중요한 권위자로 인용했다. 역사주의의 발전은 흔히 랑케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니부어의 공헌 없이는 논하기 어렵다. 그는 철학, 문헌학, 법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 속에서 역사학이 독자적인 학문 영역으로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5. 본 대학교 교수 시절 및 말년
1816년부터 1823년까지 로마 교황청 주재 프로이센 대사로 활동한 후, 1825년부터 본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니부어는 티투스 리비우스 연구를 통해 고대 로마사를 탐구하는 문헌학적 비판적 역사학의 기초를 다진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추론 방식은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티투스 리비우스의 첫 10권에 대한 논고》에서 보여준 사료 비판과 근본적으로 대립하지는 않았으나, 때때로 그 성과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나 마키아벨리보다 열위에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또한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을 때, 니부어 자신이 "예언"(Divinatio|디비나티오la)이라고 칭한 직관적 추론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부어가 그의 방법론 분야에서 시도한 작업들은 새로운 고전 문헌학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획기적인 길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티투스 리비우스 및 다른 고대 저술가들의 문헌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소 평가하기 어려운 추론을 내놓기도 했지만, 카를 오트프리트 뮐러, 테오도어 몸젠,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레오폴트 폰 랑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과 같은 후대의 많은 고전 문헌학자 및 고대사학자들은 니부어를 권위자로 인정하고 그의 저작을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했다.
역사주의의 발전은 흔히 랑케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지지만, 이는 니부어의 영향을 배제하고 논하기 어렵다. 철학, 문헌학, 법학, 정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 속에서 역사학이 독자적인 학문 영역으로 부상하고 독립된 학술 분야로 인정받게 되는 과정에서 니부어의 공헌은 매우 컸다고 평가된다.
3. 역사 연구 방법론 및 평가
니부어는 그의 대표 저서 로마사를 통해 고대 로마사 연구에 과학적인 비평 방법론을 도입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10] 그는 문헌 자료에 대한 엄밀한 검토, 신화 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시, 그리고 부족한 사료를 보충하기 위한 추론적 방법을 활용하여 역사적 사실에 접근하고자 했다. 또한, 니부어는 개별 인물보다는 법, 제도, 사회 구조와 같은 거시적인 요소에 주목하며 역사 발전을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이후 역사학 연구 경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연구는 고대 로마 사회의 구조와 변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며 후대 연구의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10] 그러나 그의 방법론과 일부 결론에 대해서는 현대에 이르러 비판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지기도 한다.[11][12]
3. 1. 비판
니부어의 『로마사』는 특정 주제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고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큰 영향을 미친 획기적인 역사서로 평가받는다. 레온하르트 슈미츠는 1861년 테오도어 몸젠의 『로마사』 영문판 서문에서 니부어의 주요 연구 결과, 예를 들어 고대 로마 인구, 평민의 기원, 귀족과 평민의 관계, 국유지의 본질 등에 대한 견해가 후대 학자들에게 널리 인정받았다고 언급했다.[10]그러나 니부어의 모든 주장이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1911)에 따르면, 초기 로마 역사가 오래된 발라드로 구성되었다는 주장 등은 인정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부어는 과학적인 정신으로 고대 로마사를 다룬 최초의 인물로 평가되며, 그가 역사 연구에 도입한 새로운 원칙들의 중요성은 여전하다고 본다. 그는 현대 역사 비평의 도구가 된 신화 이론을 제시했으며, 신뢰할 수 없는 전통 대신 추론을 사용하고 원본 기록 없이도 역사를 서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니부어는 귀족과 평민 사이의 갈등이 인종적 차이에서 비롯되었다는 이론을 통해 민족적 구별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민족적 차이가 현대 역사에서 다시 부각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더 나아가 그는 막연한 입법자보다 법과 관습을 더 중시하며 제도, 경향, 사회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개인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다루는 역사관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현대에 와서는 니부어의 몇몇 가설이 과장되었고 결론이 잘못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하지만 그가 고대 문헌 자료, 특히 시적이고 신화적인 내용을 비판적이고 회의적으로 검토하는 건설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11] 일부에서는 그의 이론에 과학적 인종차별주의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2]
4. 주요 저서
- ''로마사'' (Römische Geschichte bis 241 v. Chr.|로미셰 게쉬히테 비스 241 포어 크리스투스de), 1811–1832. 이 책의 초판은 F. A. 월터가 1827년에 영어로 번역했으나, 이후 줄리어스 헤어와 코놉 썰월이 번역한 두 번째 판으로 대체되었다. 최종판은 윌리엄 스미스와 레온하르트 슈미츠가 1847년부터 1851년까지 완성했다.
- ''Griechische Heroengeschichte'' (Griechische Heroengeschichte|그리히셰 헤로엔게쉬히테de, "그리스 영웅사"), 1842. 아들 마르쿠스를 위해 쓴 책이다.
- ''Geschichte des Zeitalters der Revolution'' (Geschichte des Zeitalters der Revolution|게쉬히테 데스 차이트알터스 데어 레볼루치온de, "혁명의 시대 역사"), 1845.
- ''Kleine historische und philologische Schriften'' (Kleine historische und philologische Schriften|클라이네 히스토리셰 운트 필로로기셰 슈리프텐de, "소사 및 문헌학 저작"), 1828–1843.
- ''고대사 강좌''. 영어 번역본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3]
참조
[1]
논문
Barthold Georg Niebuhr and the Enlightenment Tradition
1980
[2]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3]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4]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5]
간행물
Niebuhr, Barthold Georg
https://www.deutsche[...]
1999
[6]
웹사이트
Barthold Georg Niebuhr (1776–1831)
https://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7]
서적
Der ‚Glücksstern‘ Niebuhrs und die Institutionen des Gaius. Deutsch-italienische Wissenschaftspolitik im frühen 19. Jahrhundert.
Jedermann-Verlag GmbH
2014
[8]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N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9-08
[9]
간행물
'Gelehrtenbilder. Altertumswissenschaftler auf Medaillen des 19. Jahrhunderts'
https://hdl.handle.n[...]
2020
[10]
간행물
'Preface'
https://en.wikisourc[...]
Richard Bentley, London
1862-1866
[11]
웹사이트
Barthold Georg Niebuhr
https://www.britanni[...]
2022-03-08
[12]
문서
1995
[13]
논문
Barthold Georg Niebuhr and the Enlightenment Tradition
1980
[14]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15]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New York: Dodd, Mead
1905
[16]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884
[17]
서적
Niebuhr, Barthold G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