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돌노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즈돌노예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마을로, 우수리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 사이의 교통 요충지이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역이 있다. 과거에는 하마탄으로 불렸으며, 1860년 러시아 제3선형대대 기지 설립과 함께 러시아인들의 정착이 시작되었다. 라즈돌노예는 김정일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으며, 1937년 연해주 한인들의 강제 이주 시 라즈돌노예역이 집결지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 포그라니치니
포그라니치니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중국과의 국경 도시로, 1898년 동청철도 역으로 세워진 후 1958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띠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연결의 요충지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 크라스키노
크라스키노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산스키군의 도시형 정착촌으로, 과거 발해의 염주성이 위치했으며, 1936년 미하일 크라스킨 중위의 이름을 따 명칭이 변경되었고, 중국 훈춘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통과한다. - 김정일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정일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김일성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일성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라즈돌노예 | |
|---|---|
| 기본 정보 | |
![]() | |
| 위치 좌표 | 43 |
| 국가 | 러시아 |
| 연방 주체 | 프리모르스키 지방 |
| 군 | 나데즈딘스키 군 |
| 촌락 | 라즈돌렌스코예 농촌 정착지 |
| 설립일 | 1860년 |
| 현재 지위 획득일 | 1865년 |
| 우편 번호 | 692485 |
| 인구 | |
| 기타 정보 | |
| 공식 명칭 (러시아어) | |
| 러시아어 명칭 | Раздольное |
| 로마자 표기 | Razdolnoye |
2. 지리
라즈돌노예는 우수리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 중간에 있으며, 북한에서 올라오는 도로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우수리스크로 가는 도로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이다.[5]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역도 있다.[6] 옛 지명은 하마탄(Хаматан, Hamatan, 虾蟆塘)이다. 1920년대부터 이 지역에는 사슴 농장이 많이 생겼는데, 토착민 나나이족이 쓰던 퉁구스-만주어로 1~5살 사이의 사슴을 뜻하는 단어 하마타나(хаматана)에서 유래한 지명이라 한다.[7][8]
라즈돌노예는 프리모르스키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러시아 정착지 중 하나로, 1860년에 설립된 제3선형대대 기지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군사 시설이 강화되면서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등 적대국 포로들이 이곳에 거주하기도 했다.
3. 역사
1937년 가을, 스탈린의 명령으로 연해주의 한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될 때, [https://railwayz.info/photolines/photo/49685 라즈돌노예역]은 사람들을 실어나르던 출발지였다.[9][10] 당시 한인들은 가축용 화물열차에 실려 중앙아시아로 이송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2006년 연합뉴스는 라즈돌노예역을 "조국 없는 민족의 설움과 눈물을 간직한 채 지금은 쓸쓸하게 낡은 건물만 남아 황량했다"라고 보도했다.[11]
1939~1941년간 일본군의 대대적 토벌로 만주의 동북항일연군이 궤멸 위기에 처하자 김일성은 1940년 10월 23일 소련으로 도피했다. 그는 국경수비대에 체포되었으나, 중국인 상관 주보중(周保中)의 신원보증으로 풀려나 하마탄(라즈돌노예) 마을에 있던 남야영(南野營, B 야영)에 수용되었다.[12] 김정일은 1941년 2월 16일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그가 태어난 집은 라즈돌노예 마을길 88번지 연립주택으로 확인되었다.[16]
3. 1. 러시아 정착과 발전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1860년 러시아 제3선형대대 기지가 설립되면서 러시아인들의 정착이 시작되었다.[3] 1891년 황태자 니콜라이의 방문 이후 군사 시설이 강화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등 적대국 포로들이 거주하기도 했다.
1907년 10월 22일, 마을에서 새로운 석조 학교의 축성식이 거행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인구가 증가했는데, 1867년 초에는 611명(남성 331명, 여성 280명)이 거주했고,[3] 1902년에는 493명의 주민이 62개의 안뜰, 86개의 주거 건물, 139가구에 거주했다. 1909년에는 94개의 마당과 134명의 학령기 아동이 있었다. 1910년에는 라즈돌노예에 40개의 한인 가구가 있었으며, 이들이 밀집하여 거주하는 지역은 '한인 정착지'라고 불렸다.
3. 2. 한인 강제 이주 (1937년)
1937년 가을,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연해주에 거주하던 한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될 때 라즈돌노예역은 주요 출발지 중 하나였다.[9][10] 당시 한인들은 지붕 없는 가축용 화물열차에 실려 혹독한 환경 속에서 중앙아시아로 이송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라즈돌노예역을 고려인들에게 '한이 맺힌 곳'으로 각인시켰다.
2006년 연합뉴스의 르포 기사는 라즈돌노예역을 "조국없는 민족의 설움과 눈물을 간직한 채 지금은 쓸쓸하게 낡은 건물만 남아 황량했다"라고 보도했다.[11] 이는 당시의 비극과 오늘날의 쓸쓸함을 잘 보여준다.
3. 3. 김정일 출생지 논란
라즈돌노예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다. 김일성은 1940년 10월 소련으로 도피한 후, 라즈돌노예(당시 하마탄)에 있던 남야영(B 야영)에 수용되었다.[12] 1942년 7월 제88국제여단이 창설되기 전까지 김일성 부부는 라즈돌노예에 머물렀으며, 김정일은 1941년 2월 16일 이곳에서 태어났다.[13] 김정일이 태어난 집은 라즈돌노예 마을길 88번지 연립주택으로 확인되었으며,[16] 현재 연해주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김정일이 1942년 2월 16일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며, 이는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4][15]
3. 3. 1. 출생지 관련 증언 및 자료
김정일은 1941년 2월 16일 이곳에서 태어났다. 김정일이 태어날 당시 아기를 받았던 조산원 엘냐의 증언으로 그가 태어난 집은 라즈돌노예 마을길 88번지 연립주택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6] 오늘날 연해주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 -- |
| -- |
| -- |
| -- |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에는 김일성이 1941년 초의 겨울을 B야영에서 보냈다고 하면서 김정일은 1942년 2월 16일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난 것처럼 말했다. 그러나 주보중의 동북항일유격일기에는 그가 북야영에서 1942년 1월 12일부터 1월 19일까지 남야영을 방문하고 돌아온 일을 기록하면서 거기서 김일성도 만났다고 하였다.[19] 따라서 김정일이 설사 1942년생이더라도 남야영에서 태어난 것이지 어떤 경우에도 백두산에서 태어났을 수는 없다. 남편도 없이 김정숙 혼자서 외부와 단절된 눈덮인 백두산 속에서 출산을 할 수는 없는 일이다.
3. 3. 2. 출생지 관련 논란
김정일의 실제 출생지는 라즈돌노예라는 것이 정설이다. 1939~1941년간 일본군의 대대적 토벌로 만주의 동북항일연군이 궤멸 위기에 처하자 김일성은 1940년 10월 23일 소만 국경을 불법 월경하여 소련으로 도피했다.[12] 월경 직후 국경수비대에 체포되어 수감되었으나, 중국인 상관 주보중(周保中)의 신원보증으로 풀려나 처음 수용된 남야영(南野營, B 야영)이 바로 하마탄(라즈돌노예) 마을에 있었다.[12]북야영(北野營, A 야영)이 있던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 마을에 남,북야영의 동북항일연군 인원들 모두를 수용한 제88국제여단이 창설되는 1942년 7월 중순까지 김일성 부부는 라즈돌노예의 남야영에 있었다.[13] 김정일은 이곳에서 1941년 2월 16일 태어났다. 북한에서 주장하는대로 김정일이 이듬해인 1942년 2월 16일생이 맞다고 해도[14][15] 당시 김일성 부부는 뱌츠코예가 아닌 라즈돌노예에 있었으므로, 김정일의 출생지는 라즈돌노예가 확실하다.
김정일이 태어날 당시 아기를 받았던 조산원 엘냐의 증언으로 그가 태어난 집은 라즈돌노예 마을길 88번지 연립주택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6] 오늘날 연해주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 -- |
김정일이 라즈돌노예 인근 어느 병원에서 태어났다는 증언도 있으나 그다지 믿을만하지 않다.[15][17][18]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에는 김일성이 1941년 초의 겨울을 B야영에서 보냈다고 하면서 김정일은 1942년 2월 16일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난 것처럼 말했다. 그러나 주보중의 동북항일유격일기에는 그가 북야영에서 1942년 1월 12일부터 1월 19일까지 남야영을 방문하고 돌아온 일을 기록하면서 거기서 김일성도 만났다고 하였다.[19] 따라서 김정일이 설사 1942년생이더라도 남야영에서 태어난 것이지 어떤 경우에도 백두산에서 태어났을 수는 없다. 남편도 없이 김정숙 혼자서 외부와 단절된 눈 덮인 백두산 속에서 출산을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김정일이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는 북한의 주장이나,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 출생설과 중앙아시아 사마르칸트 출생설[20] 등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
참조
[1]
문서
2010Census
[2]
웹사이트
Vladivostok Times- Primorye: Construction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Corridor Continues
http://vladivostokti[...]
[3]
웹사이트
Земля вольной надежды. Кн.1: Очерки дореволюционн…
https://pgpb.ru/digi[...]
2022-09-08
[4]
문서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 (계승본) 서두에 실린 화보의 이 사진 옆에 김일성 자필로 1941년 3월 1일 B야영에서 봄을 맞으면서 찍은 사진이라고 했고, 본문 제23장 3절에서도 B야영에서 겨울을 보낸 후 사진을 찍었다고 했다.
[5]
지도
Razdol'noye, 프리모르스키 크레이, 러시아
https://www.google.c[...]
[6]
웹사이트
Станция Раздольное
http://putdor.ru/sta[...]
[7]
웹사이트
하마탄 지명 유래
http://polusharie.co[...]
[8]
웹사이트
Первое знакомство с Раздольным
http://prim.land/poe[...]
2014-06-30
[9]
문서
고려인의 강제 이주
[10]
라디오
고려인 강제이주를 보는 눈
http://www.rfa.org/k[...]
자유아시아방송
2017-09-01
[11]
뉴스
<르포> 고려인의 중심 `우스리스크`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5-07-31
[12]
뉴스
抗联余辉
http://dangshi.peopl[...]
北京日报
2014-01-14
[13]
서적
동북항일유격일기
人民出版社
1991
[14]
라디오
(김씨 왕조의 실체) 김정일 출생을 둘러싼 비밀
http://www.rfa.org/k[...]
자유아시아방송
2009-11-16
[15]
뉴스
말썽꾸러기 김정일은 어떻게 최고통치자 됐나?
http://www.dailynk.c[...]
데일리NK
2011-06-12
[16]
칼럼
(황호택 칼럼) 유라의 탯줄을 길게 자른 조산원 엘냐
http://news.donga.co[...]
동아닷컴
2015-08-05
[17]
뉴스
"金正日(김정일) 출생지는 蘇(소)「하마탄」마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06-13
[18]
간행물
완전해부 인간 김정일 미스터리: '少年 김정일'을 둘러싼 7가지 미스터리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0-08
[19]
서적
동북항일유격일기
人民出版社
1991
[20]
간행물
김정일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기존 쟁점들을 중심으로
http://www.ipa.re.kr[...]
統一問題硏究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