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미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미크인은 다게스탄 공화국, 체첸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 등 러시아 내 여러 지역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이다. 카프카스 지역에서 아제르바이잔인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튀르크어 사용 민족이며, 북카프카스 지역에서는 가장 큰 튀르크계 민족이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0만 명 이상이 쿠미크인으로, 19세기부터 러시아의 재정착 정책으로 인해 고유 영토가 감소했다. 쿠미크어는 킵차크어족에 속하며, 과거 북카프카스 지역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1944년에는 스탈린 정부에 의해 강제 이주를 당하는 등 민족 말살 정책의 피해를 입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게스탄 공화국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다게스탄 공화국 - 주르나
    주르나는 중앙아시아와 고대 소아시아에서 유래한 과일 나무 경목으로 만든 관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고 서아시아 민속 음악과 오스만 제국 메흐테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쑈옴, 수오나, 태평소 등 다양한 악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쿠미크인
기본 정보
쿠미크인의 민족기
쿠미크인의 민족기
19세기 쿠미크인 건축가, 압둘-와합
19세기 쿠미크인 건축가 압둘-와합, 전통적인 코카서스 파파카와 초카를 입고 있다.
인구
전체 인구약 500,000명
러시아 (2010년)503,060명 https://minorityrights.org/communities/kumyks/
터키1,700명 http://kumukia.ru/?id=1928
우즈베키스탄 (2016년)1,200명 https://joshuaproject.net/countries/UZ
우크라이나 (2001년)718명 http://2001.ukrcensus.gov.ua/results/nationality_population/nationality_popul1/select_5/?botton=cens_db&box=5.1W&k_t=00&p=50&rz=1_1&rz_b=2_1%20%20%20&n_page=3
카자흐스탄 (2009년)481명 http://www.stat.kz/p_perepis/Pages/default.aspx
벨라루스 (2009년)360명 http://belstat.gov.by/homep/ru/perepic/2009/vihod_tables/5.8-0.pdf
라트비아 (2020년)33명 https://www.pmlp.gov.lv/lv/assets/ISVN_Latvija_pec_TTB_VPD_2020.pdf
언어 및 종교
언어쿠미크어
종교수니 이슬람
관련 민족
관련 민족발카르인, 카라차이인, 카라파파흐인

2. 인구 및 거주 지역

북카프카스 지역 쿠미크족 거주지


쿠미크족은 카프카스 지역에서 아제르바이잔인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이며, 북카프카스 지역에서는 가장 큰 튀르크계 민족이고, 다게스탄에서는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25] 19세기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제국, 소련, 그리고 현재 러시아 연방 다게스탄 공화국의 지속적인 재정착 정책으로 인해 쿠미크인의 고유 영토는 극적으로 감소했으며, 쿠미크인들은 자신의 땅에서 소수 민족이 되었다.[120]

1795년 러시아 제국의 추산에 따르면 샴할(Shamkhal) 지역(쿠미크인 이외의 다른 민족 포함)에는 약 10만 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1833년에는 러시아 제국 영향권 내에 약 8만 8천 명의 쿠미크인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코카서스 전쟁이 끝난 1866년에는 약 7만 8천 명으로 추산되었다. 이후 1886년 8만 8천 명, 1891년 10만 8천 명, 1897년 8만 3천 명, 1916년 9만 8천 명으로 조사되었고, 1926년 소련 인구 조사에서는 8만 8천 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쟁, 러시아에 정복당한 영토에서의 이주, 질병 등으로 인해 거의 한 세기 동안 인구 증가가 없었음을 보여준다.[115][116][117][118][119]

2. 1. 러시아 연방

쿠미크족은 러시아 연방의 러시아에 속한 다게스탄 공화국 인구의 14%를 차지하며, 체첸 공화국에서는 세 번째로 큰 인구 집단이고, 북오세티야 공화국에서는 다섯 번째로 큰 인구 집단을 형성한다.[25]

쿠미크족은 카프카스 지역에서 아제르바이잔인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이며, 북카프카스 지역에서는 가장 큰 튀르크계 민족이고, 다게스탄에서는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

2010년 러시아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에는 50만 명이 넘는 쿠미크족이 거주하고 있다. 쿠미크족은 현재 러시아의 여러 행정 구역에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다게스탄 공화국, 북오세티아, 체첸 등이 주요 지역이다.

러시아의 행정 구역 (크라이, 오블라스트, 공화국 등)2002년2010년[26]2021년
다게스탄365,804[27]431,736496,455
북오세티아-알라니아12,659[28]16,09218,054
한티만시 자치구9,554[29]13,84913,669
체첸8,883[30]12,22112,184
스타브로폴 크라이5,744[31]5,6395,213
야말로네네츠 자치구2,613[32]4,4664,838
모스크바주818[33]1,6221,704
모스크바1,615[34]2,3511,576
상트페테르부르크895[35]1,0181,340
아스트라한주1,356[36]1,5581,240
로스토프주1,341[37]1,5111,100
표는 인구 1,000명 이상 지역만 포함합니다.


2. 2. 터키 및 중동

19세기 카프카스 전쟁 당시와 그 이후, 많은 쿠미크족이 러시아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또는 자발적으로 (히즈라(hijra)를 통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38]

1910년대~1920년대 러시아 혁명 기간 동안 터키로의 이주가 다시 발생했다. 이 시기의 무하지르(muhajirs, 이주민)들 중에는 많은 저명한 쿠미크 귀족들이 포함되어 있었다.[39][40]

쿠미크족은 시리아요르단으로도 이주했으며, 현재도 몇몇 쿠미크 가족들이 거주하고 있다.[41] 시리아의 다르-풀(Dar-Ful) 마을은 1878년~1880년에 쿠미크 이주민들에 의해 건설되었다.[42][43]

터키에는 소수 민족에 대한 공식적인 인구 조사가 없다 (민족 또는 인종에 대한 인구 조사는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1994년~1996년 연구에 따르면 쿠미크족이 거주하는 20개 이상의 정착지가 있었다.[44][45]

3. 명칭

대부분의 연구자들(바키하노프, S. A. 토카레프, A. I. 타마이, S. Sh. 가즈히예바)은 "쿠미크"라는 이름이 투르크계 민족의 이름인 "키막(Kimak)" 또는 킵차크의 다른 이름인 "쿠만(Cuman)"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46]

P. 우슬라르에 따르면, 19세기에 "쿠미크(Kumyk)"와 "쿠무크(Kumuk)"라는 이름은 북캅카스 저지대에 거주하는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을 가리켰다.[47] 다게스탄, 체첸, 인구시에서는 "쿠미크(Kumyk)" 또는 원래의 "쿠무크(Kumuk)"라는 이름이 쿠미크족만을 가리켰다.[47] 유. 페도로프는 8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믹(Gumik) — 쿠미크(Kumyk) — 쿠무크(Kumuk)"는 원래 중세 시대의 다게스탄 지명이라고 기술했다.[48]

러시아, 유럽, 오스만, 페르시아의 여러 자료에서 쿠미크족은 다게스탄 타타르족(또는 다게스탄 투르크족),[49] 체르케스족,[50] 캅카스 타타르족으로도 불렸다.[51]

4. 기원

대부분의 연구자들(바키하노프, S. A. 토카레프, A. I. 타마이, S. Sh. 가즈히예바)은 "쿠미크"라는 이름이 투르크계 민족의 이름인 "키막(Kimak)" 또는 킵차크의 다른 이름인 "쿠만(Cuman)"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46]

P. 우슬라르에 따르면, 19세기에 "쿠미크(Kumyk)"와 "쿠무크(Kumuk)"라는 이름은 북캅카스 저지대에 거주하는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을 가리켰다.[47] 다게스탄, 체첸, 인구시에서는 "쿠미크(Kumyk)" 또는 원래의 "쿠무크(Kumuk)"라는 이름이 쿠미크족만을 가리켰다.[47] 유. 페도로프는 8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믹(Gumik) — 쿠미크(Kumyk) — 쿠무크(Kumuk)"는 원래 중세 시대의 다게스탄 지명이라고 기술했다.[48]

러시아, 유럽, 오스만, 페르시아의 여러 자료에서 쿠미크족은 다게스탄 타타르족(또는 다게스탄 투르크족),[49] 체르케스족,[50] 캅카스 타타르족으로도 불렸다.[51]

쿠미크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 일부 학자들은 8세기에서 10세기 쿠미크 평원의 주민들이 현대 쿠미크족의 직계 조상이라고 주장한다.[52] 이와 유사한 견해로는 8세기에 카자르족과 함께 다게스탄에 쿠미크족이 나타나 그 후로도 거주했다는 주장이 있다.[53]
  • 다른 학자들은 12세기에서 13세기에 킵차크족과 함께 다게스탄에 쿠미크족이 나타났다고 믿는다.[54]


쿠미크족의 구전 전통에는 카자르 카가네이트 시대의 속담과 격언이 전해 내려온다.[55]

S. 토카레프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56]

> …쿠미크족은 매우 다양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고대 계층은 의심할 여지 없이 투르크 이전의 야페트 계통이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부터 카미, 카막스 사람들이 쿠미크족과 역사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 그들의 투르크화는 이미 카자르 시대, 즉 1천년기 후반부터 시작되었다… 쿰안족의 도착은 투르크 요소를 더욱 확장시켰다. 카자르 카가네이트의 붕괴로 특징지어지는 그 시점은 쿠미크족의 핵심 형성 시기일 가능성이 높지만, 일부 연구자들(바르톨드)은 그들의 출현을 몽골에 패배한 쿰안족의 잔당이 다게스탄 땅으로 도망친 후기 시대와 연결시켰다.

"투르크화된 레즈긴족으로부터 쿠미크족이 출현했다"는 현대적인 해석이 제시되었다.[57][58]

그러나 코카서스 연구 교수 L. 라브로프는 쿠미크족 기원에 대한 "투르크화" 가설에 의문을 제기했다.[59]

> 일부 주장처럼 쿠미크족이 투르크화된 다게스탄인일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그들의 조상은 초기 중세의 킵차크족, 카자르족, 그리고 아마도 다른 투르크족으로 여겨진다. 기원후 초기에 북다게스탄에 정착했던 카막스족이 쿠미크족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 다른 저명한 러시아 동방학자 V. 미노르스키는 언급된 견해에 대한 자신의 수정안을 제시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60]

> 다게스탄 동북부 해안가에 거주하는 오늘날의 쿠미크 투르크족은 킵차크 초원의 후대 이주민들에 의해 강화되고 동화된 기본적인 카자르 계층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쿠미크족 민족 형성의 최종 단계는 12세기에서 17세기까지 이어졌다.[61]

쿠미크 민족에 동화된 일부 투르크계 민족으로는 15세기에 해체된 금장군의 일부로 등장한 투멘 칸국(코카서스 투멘)의 투멘족, 7세기에 광대한 북 코카서스 평원을 포함한 보테라간-마자르 지역에 거주했던 보테 보간족, 소플레[62] 그리고 쿰안 이전의 투르크족[63]이 있다.[64]

5. 역사



쿠미크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8세기에서 10세기 쿠미크 평원의 주민들이 현대 쿠미크족의 직계 조상이라고 주장한다.[52] 8세기에 카자르족과 함께 다게스탄에 쿠미크족이 나타나 거주했다는 주장도 있다.[53] 반면, 12세기에서 13세기에 킵차크족과 함께 다게스탄에 쿠미크족이 나타났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54] 쿠미크족의 구전 전통에는 카자르 카가네이트 시대의 속담과 격언이 전해 내려온다.[55]

S. 토카레프는 쿠미크족이 투르크 이전의 야페트 계통이며,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카미, 카막스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쿠미크족의 투르크화가 카자르 시대부터 시작되었고, 쿰안족의 도착으로 더욱 확장되었다고 주장했다.[56]

"투르크화된 레즈긴족으로부터 쿠미크족이 출현했다"는 현대적인 해석도 제시되었지만,[57][58] 코카서스 연구 교수 L. 라브로프는 이에 의문을 제기하며, 쿠미크족의 조상이 초기 중세의 킵차크족, 카자르족, 그리고 다른 투르크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59]

러시아 동방학자 V. 미노르스키는 다게스탄 동북부 해안가에 거주하는 쿠미크 투르크족이 기본적인 카자르 계층에서 유래했으며, 킵차크 초원의 후대 이주민들에 의해 강화되고 동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60] 쿠미크 민족 형성의 최종 단계는 12세기에서 17세기까지 이어졌다.[61]

쿠미크 민족에 동화된 투르크계 민족으로는 15세기에 해체된 금장군의 일부였던 투멘 칸국의 투멘족, 7세기에 북 코카서스 평원에 거주했던 보테 보간족, 소플레,[62] 쿰안 이전의 투르크족[63] 등이 있다.[64]

19세기 타르키 쿠미크 샴할의 소총,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쿠미크인들은 역사적으로 카프카스 훈족, 쿠만-킵차크, 금장 칸국과 관련이 있었으며,[63][65][66] 쿠미크 민족의 시작은 카자르 칸국[67][59] 시대로 여겨지기도 한다.

19세기까지 쿠미크인들은 대체로 분권화된 봉건 사회였으며, 샴할이라 불리는 지도자가 이끄는 타르키 샴할국은 14세기 초 티무르 역사가들에 의해 언급되었다.[68][69][70] 다른 쿠미크 국가로는 엔디레이 공국,[71] 우타미시 술탄국,[72] 투멘령,[73] 브라구니 공국,[73] 메흐툴리 칸국,[74] 카이타그 우즈미나테[75] 등이 있었다.

카프카스 전쟁과 그 이후, 많은 쿠미크족이 러시아의 강제 이주 정책이나 자발적인 이주(히즈라)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38] 1910년대~1920년대 러시아 혁명 기간 동안에도 터키로의 이주가 있었으며, 이 시기 이주민 중에는 저명한 쿠미크 귀족들이 포함되어 있었다.[39][40]

쿠미크족은 시리아와 요르단으로도 이주하여 현재도 몇몇 가족들이 거주하고 있다.[41] 시리아의 다르-풀 마을은 1878년~1880년에 쿠미크 이주민들에 의해 건설되었다.[42][43] 터키에는 소수 민족에 대한 공식적인 인구 조사가 없지만, 1994년~1996년 연구에 따르면 쿠미크족이 거주하는 20개 이상의 정착지가 있었다.[44][45]

5. 1. 샴할국과 주변국과의 관계

16세기, 쿠미크 통치자들은 러시아,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라는 세 이웃 국가와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려 노력했고, 그 결과 샴할국은 상당한 지역 강국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 국가는 카스피해 지역을 자신의 영향권으로 간주했다.[76]

16세기 후반, 샴할 초판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578-1590년 오스만-페르시아 전쟁에 참전했다.[76]

1560년대는 러시아 제국군이 쿠미크족을 상대로 여러 차례 군사 작전을 개시한 시기였다. 이는 조지아와 카바르다의 요청에 의해 촉발되었다. 체레미시노프 사령관은 1560년 타르키 수도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샴할국과 동맹을 맺은 투멘 칸국도 침략에 저항했지만, 1588년 러시아에 정복당했다. 러시아는 옛 수도 자리에 테르키 요새(타르키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를 세웠다. 투멘 통치자 솔타네이는 엔디레이의 술탄-마흐무드의 보호를 받아 도망쳤다.[77] 1594년, 러시아군과 테렉 코사크는 다시 타르키를 점령했지만, 쿠미크군의 저항에 부딪혀 테르키로 후퇴했다.

1604-1605년 이반 부투를린은 쿠미크족을 상대로 또 다른 군사 작전(셰프칼 원정)을 수행했다. 이 작전 역시 실패했고, 카라만 전투에서 러시아에게 상당한 손실을 안겨주었다. 쿠믹 샴할과 엔디레이의 솔탄-마흐무드 왕자 휘하 다게스탄 주민들의 연합군이 승리했고, 니콜라이 카람진에 따르면, 표트르 1세의 통치 때까지 118년 동안 러시아의 확장을 저지했다.[78]

1649년과 1650년, 노가이 지도자 초반-무르자는 샴할국에 있는 동맹국들의 보호를 요청했다. 노가이족과 전쟁 중이던 러시아는 유목 부족을 러시아 영토로 돌려보내기 위해 8,000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수르하이-샴할 3세는 게르멘치크 전투에서 러시아군을 공격해 격파했다.[79] 쿠믹의 군사적 성공은 1651년부터 1653년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때 쿠믹족은 사파비군과 동맹을 맺고 순자 강에 있는 러시아 요새를 파괴했다. 샤 압바스 2세는 쿠믹 땅에 대한 페르시아의 지배력을 강화하려고 했지만, 이는 수르하이의 계획과 맞지 않았다. 카이타그 우즈미 루스템과 동맹을 맺은 수르하이 3세는 페르시아와 맞섰지만 후퇴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손실로 인해 샤가 쿠믹 땅에 요새를 건설하려던 계획이 중단되었다.[80]

5. 2.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

16세기부터 쿠미크 통치자들은 러시아,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샴할국을 지역 강국으로 키웠다. 그러나 16세기 후반, 샴할 초판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 1578-1590년 오스만-페르시아 전쟁에 참전했다.[76]

1560년대부터 러시아 제국군은 조지아와 카바르다의 요청으로 쿠미크족을 상대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1560년 체레미시노프 사령관은 타르키를 점령, 약탈했고, 1588년에는 투멘 칸국이 러시아에 정복당했다. 러시아는 테르키 요새를 세웠지만, 투멘 통치자 솔타네이는 엔디레이의 술탄-마흐무드의 보호를 받으며 도망쳤다.[77] 1594년 러시아군과 테렉 코사크는 다시 타르키를 점령했지만, 쿠미크군의 저항으로 후퇴했다.

1604-1605년 이반 부투를린의 군사 작전(셰프칼 원정)도 실패로 끝났고, 카라만 전투에서 러시아는 큰 손실을 입었다. 쿠미크 샴할과 엔디레이의 솔탄-마흐무드 왕자가 이끄는 다게스탄 연합군은 표트르 1세 통치 때까지 118년간 러시아의 확장을 저지했다.[78]

1649-1650년, 노가이 지도자 초반-무르자는 샴할국에 보호를 요청했고, 러시아는 8,000명의 병력을 파견했지만, 수르하이-샴할 3세는 게르멘치크 전투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했다.[79] 1651-1653년, 쿠믹족은 사파비군과 동맹을 맺고 순자 강의 러시아 요새를 파괴했다. 압바스 2세는 쿠믹 땅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지만, 수르하이 3세는 카이타그 우즈미 루스템과 동맹을 맺고 페르시아에 맞섰다. 결국 샤의 계획은 중단되었다.[80]

18세기, 표트르 1세는 1722년-1723년 페르시아 원정을 조직했다. 엔디레이 공국은 저항했지만 패배했고, 우타미시 술탄국의 쿠미크인들도 인치게 강 전투에서 저항했다. 표트르 1세는 쿠미크인들의 용맹함을 인정하는 말을 남겼다.[81][82]

타르키 샴할국은 처음에는 친러시아적이었지만, 새로운 러시아 요새 건설 후 다시 러시아에 맞섰다. 1725년, 러시아군은 타르키를 포함한 20개 정착지를 불태웠다. 샴할은 저항할 수 없었고, 다른 산악 지대 소유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83]

19세기 러시아 장군 그레고리 필립슨은 쿠미크인을 가장 용감하고 적대적인 부족으로 꼽았다. 18세기 후반 셰이크 만수르의 반란에서 쿠미크인은 주요 세력이었고, 만수르와 동맹을 맺은 쿠미크인 체팔로프 왕자는 키즐리야르 요새를 공격하려 했다.[84]

카프카스 전쟁 초기, 굴리스탄 조약으로 샴칼에 대한 러시아 주권이 인정되었지만, 쿠미키아에서는 여러 반란이 일어났다. 1825년 악사이 마을이 파괴되고, 주민 300명이 체포되었으며, 엔디레이 주민들은 산악 지대 주민들과 연합하여 러시아군에 대항했다.[85][86]

샴칼국과 쿠미크 고원에서 최소 5차례의 반란이 발생했다.

  • 북부 쿠미크인과 메흐툴라 칸국의 반러시아 반란,[87]
  • 1823년 샴칼국 반란,[88]
  • 베이불라트 타이미예프의 반란,[89]
  • 1831년 샴칼국 반란,[90]
  • 1831년 쿠미크 평원 반란,
  • 1843년 샴칼국 반란[91]


1844년 쿠미크 평원에서 반란이 준비되었고, 1855년 이맘 샴일(Imam Shamil)과 연계된 쿠미크인들의 총반란이 계획되었지만 실패했다.[92] 1877-1878년 다게스탄 반란에서 주요 분쟁 지역 중 하나는 바쉴리였다.[92]

러시아에 대항하려는 시도는 제국군의 파괴적인 공격을 받았고,[93] 쿠미크 평원은 이웃 부족의 약탈에도 노출되었다. 1830년 체첸 지도자 아브코는 엔디레이 도시를 공격하여 쿠미크인들의 가축을 약탈했다. 러시아 군사 기록에 따르면, 가지-무하마드는 쿠미크인들을 산으로 이주시키기 위해 정착지를 파괴하려 했다.[94]

카프카스 전쟁 중 쿠미크인들은 진퇴양난의 상황에 처했고, 많은 영웅들을 배출했다. 이맘 샴일(Imam Shamil),[95][96][97] 타샤우-하지,[92][98][99][100] 술탄 아흐메드 칸, 우말라트-벡, 라지벡 오브 카자니쉬, 엔디레이의 이드리스 등이 대표적이다.

5. 3. 소련 시대와 현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부터 러시아 제정과 소비에트 정부는 쿠미크인들의 땅에 다른 민족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102] 1870년대 후반에는 러시아의 명령에 따라 하사뷰르트 지역의 남부 전체가 체첸인들로 채워졌고, 1870년부터 1877년까지 이 지역의 체첸인 수는 5,912명에서 14,000명으로 증가했고, 1897년에는 18,128명으로 계속 증가했다.[107]

1869년 12월 30일 코카서스 전쟁이 끝나자 테렉 주(북부 쿠미크 지역)의 쿠미크 지구가 해체되어 카사뷰르트 구로 개칭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발행된 브록하우스·에프론 백과사전에 따르면 당시 북부 쿠믹 지역을 포함하지 않았던 다게스탄에는 32,087,000명의 쿠미크인이 거주하고 있었다.[110] 1891년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제국의 다게스탄 주와 테렉 주에는 108,800명의 쿠믹인이 살고 있었다.[111]

1867년, 러시아 당국에 의해 타르키 샴칼국이 폐지되었는데, 이는 쿠미크 국가의 종말로 간주될 수 있다.

쿠미크인 출신 북카프카스 공화국 건립자 중 한 명인 하이다르 밤마테


1916년 7월 중순(율리우스력 7월 말) 쿠미크인 반군이 악사이에서 러시아 당국에 맞서 봉기했다. 봉기의 원인은 쿠미크인들이 러시아 제국군에 징집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징집이 취소된 7월 24일(신력 8월 6일) 봉기는 종식되었다.[112]

소비에트 연방 수립 과정에서 쿠미크인 정치 엘리트들은 북카프카스 산악 공화국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13] 하이다르 밤마테는 외무장관이자 국가의 이념가 중 한 명이었고, 라시트칸 카플란은 내무장관이었으며, 주요 군 지도자 중 한 명은 누흐-벡 타르코프스키였고, 주바이르 테미르하노프는 공화국의 연합 평의회(메즐리스) 의장이었다.

1926년 소비에트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제국에는 94,549명의 쿠미크인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는 1891년 자료와 비교했을 때 인구 감소 위기를 나타낸다.[114] 1795년부터 1926년까지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795년약 100,000명 (샴할 지역, 다른 민족 포함)
1833년약 88,000명
1866년약 78,000명
1886년약 88,000명
1891년약 108,000명
1897년약 83,000명
1916년약 98,000명
1926년약 88,000명



전쟁, 러시아에 정복당한 영토에서의 이주, 질병 등으로 인해 거의 한 세기 동안 인구 증가가 없었다.[115][116][117][118][119] 19세기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제국, 소련 정부, 그리고 현재 러시아 연방 다게스탄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재정착 정책으로 인해 쿠믹인의 고유 영토는 극적으로 감소했으며, 쿠믹인들은 자신의 땅에서 소수 민족이 되었다.[120]

6. 언어

쿠미크인들은 킵차크어족에 속하는 킵차크-쿠만어파의 일부인 쿠미크어를 사용한다. 쿠미크어는 카자르어의 직계 후손이며, 볼가르어와 오구즈어파의 기층(Stratum (linguistics))에서 유래한 단어들도 포함하고 있다.[125]

니콜라이 바스카코프는 12세기 문서인 코덱스 쿠마니쿠스를 바탕으로 현대 쿠미크어, 카라차이-발카르어, 크림 타타르어, 카라임어, 그리고 맘루크 킵차크의 언어를 쿠만-킵차크어에 포함시켰다. 알렉산더 사모일로비치 또한 쿠만-킵차크어가 쿠미크어와 카라차이-발카르어와 가깝다고 생각했다.[126]

쿠미크어는 1930년대까지 다게스탄에서 카바르다까지 북캅카스 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lingua franca 역할을 했다.[127][128][129]

1848년, "캅카스 타타르인"(쿠미크인)의 교수 티모페이 마카로프는 북캅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 중 처음으로 러시아어로 쓰인 쿠미크어 문법을 출판했다.[130]

쿠미크어는 북동 캅카스 지역 국가들과 러시아 행정부 간의 공식 의사소통 언어였다.[131]

쿠미크어 방언에는 카이타그, 테렉(Güçük-yurt와 Braguny), 부이나크스크(테미르한슈라), 카사비유르트가 있다. 후자의 두 방언이 문어의 기반이 되었다.[132]

쿠미크어는 다게스탄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 언어이다. 20세기 동안 이 언어의 문자 체계는 두 번 변경되었다. 소비에트 시대인 1929년에 전통적인 아랍 문자( 아잠이라고 함)가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고, 1938년에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쿠미크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는 카라차이-발카르어, 크림 타타르어, 그리고 카라임어이다.[133]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의 쿠미크인 90% 이상이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터키와 레반트(샴)에 있는 쿠미크인들은 터키어와 아랍어를 사용한다.

7. 민족 말살 정책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부터 러시아 제정 정부와 소비에트 정부는 쿠미크인들의 땅에 다른 민족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102]

1811년, 토르마소프는 "체첸인들을 산에서 평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02] 또 다른 카프카스 총독인 보론초프는 "쿠미크인들은 그 땅에 대한 권리가 없다"고 주장하며 체첸인들을 이용해 쿠미크인들의 소유지를 "식민지화"하는 정책을 추진했다.[103] 쿠미크인들의 소유지에는 카치칼릭과 아욱 등 체첸인들이 점차 정착한 지역과 살라타비아 지역도 포함되었다.[104][105][106]

1870년대 후반, 러시아의 명령에 따라 게르젤-아울에서 엔디레이까지 하사뷰르트 지역의 남부 전체가 때로는 강제로 체첸인들에 의해 인구가 채워졌다. 1870년부터 1877년까지 이 지역의 체첸인 수는 아욱의 5,912명에서 14,000명으로 증가했고, 1897년에는 18,128명으로 계속 증가했다.[107] 테렉-순자 강 사이의 쿠미크인들의 소유지는 상실되었고, 그중 일부는 쿠미크인들과 함께 현재 체첸의 일부가 되었다.[108]

1850년대, 테렉 지역 쿠미크 지구의 쿠미크 공주들은 자발적으로 땅의 절반을 쿠미크인들에게 양보했지만, 관련 권리를 확인하는 문서는 공주와 우즈덴에게만 발급되었고, 나머지 인구의 권리는 문서화되지 않았다. 지역 당국은 여러 가지 구실을 이용하여 신규 이주민들을 쿠미크인들의 땅으로 이동시켰다. 쿠믹인들의 권리를 무시하는 이러한 정책은 1907년에도 계속되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09]

스탈린 정부의 명령에 따라 1944년 4월 12일, 역사적인 쿠미크 수도 타르키(Тарки)와 인근 마을의 쿠미크인들은 중앙아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로 완전히 강제 이주당했다. (체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크림 타타르인들도 강제 이주당했다.) 이유는 해당 지역에 정착하는 산악 민족들의 "농업적 필요를 위한 지역 해방"으로 언급되었다. 러시아 법률의 역사적 기록에도 불구하고, 이 강제 이주는 여전히 러시아 정부에 의해 인정되지 않고 있다. 이 사건의 결과로, 현지 주민들은 수년 동안 고대 수도 타르키를 잃었고, 이는 대부분의 쿠미크 문화 유산의 영구적인 파괴로 이어졌다.[121]

UNPO는 쿠믹족의 회원 자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22]

> 소련 점령하에서 민족말살 정책이 시행되었고, 쿠믹 운동 지도자들은 탄압, 박해, 살해당했습니다. 단일 작물 농업의 도입, 토지 착취 및 삼림 벌채는 이 지역에 경제적, 생태적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또한, 쿠믹족은 예를 들어 전통 아랍 문자로 자신의 언어를 쓰거나 학교에서 자신의 언어를 가르칠 권리를 박탈당하는 등 문화를 보존할 수 없었습니다.

>

> UNPO 회원 기간 동안 쿠믹족은 다게스탄 공화국의 행정 개혁을 옹호하고 국가 자치의 형태로 자결권을 추구했습니다. 또한 그들은 전통적인 삶의 방식, 문화 및 관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925년, 러시아 학자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는 러시아의 쿠믹족에 대한 정책을 설명했다.[123]

> 쿠믹어는 거의 전체 북카프카스(카스피해에서 카바르다까지)의 "국제어"이며, 아제르바이잔어는 트랜스코카서스 대부분(흑해 연안 제외)과 터키 아르메니아, 쿠르디스탄, 페르시아 북부에서 우세합니다. 이 두 언어 모두 튀르크어입니다. 경제 생활의 강화와 함께 "국제어"의 사용이 중요해져서 토착어를 대체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다게스탄 남부 지역의 많은 마을이 이미 완전히 "아제르바이잔화"되었습니다. 다게스탄의 이러한 튀르키스탄화를 허용하는 것은 러시아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결국 다게스탄 전체가 튀르크어권이 된다면 카잔에서 아나톨리아와 페르시아 북부까지 튀르크인들의 연속적인 대량 집단이 형성되어 분리주의적이고 러시아 혐오적인 편향을 가진 범투란 사상의 발전에 가장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다게스탄은 유라시아의 이 지역을 튀르키스탄화하는 데 대한 자연적인 장벽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쿠믹족의 강제 이주를 수행한 다게스탄의 공산당 지도자는 다게스탄의 비민족적 행정 경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124]

> "첫째, (비민족적 원칙에 따라 다게스탄을 분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제적 이유로 이것을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만약 다게스탄의 주요 민족(아바르족, 다르긴족, 쿠믹족, 레즈긴족, 락족, 타바사란족)에게 적어도 자치권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면, 다게스탄의 주요 부(경작지, 목초지)는 쿠믹족에게 돌아갔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영토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정치적 및 민족적 고려 사항이 고려되었습니다. 따라서 아바르족은 그들의 존재 역사 전체에서 통일된 국가 단위를 가지지 못했습니다..."

8. 문학 속 쿠미크인

독일 시인 파울 플레밍은 1633년과 1636년 홀슈타인 사절단과 함께 쿠미크 지역을 여행하면서 쿠미크와 그 도시들에 대한 몇몇 시를 헌정했다.[134][135]

쿠미크어레프 톨스토이[136]미하일 레르몬토프[137]와 같은 러시아 고전 작가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두 사람 모두 카프카스에서 러시아 제국군으로 복무했다. 쿠미크어는 톨스토이의 작품인 ''습격'',[138] ''코사크'',[139] ''하지 무라트''와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에 등장한다.[140][137]

톨스토이는 그의 ''카프카스 사냥''에서 카마마튀르트 쿠미크 마을을 묘사했다.

알렉산드르 베스투제프 또한 그의 작품 "몰라-누르"와 "암말라트-벡"에서 쿠미크어와 쿠미크 지역을 다루었고, 그의 ''다게스탄 편지''에서 쿠미크 정착지에 대한 러시아 군사 습격을 자세히 묘사했다.

알렉상드르 뒤마 또한 쿠미크 왕자 알리 카자날프의 손님이었던 시절과 쿠미크 지역 일부를 묘사했다.[141]

참조

[1] 웹사이트 https://minorityrigh[...]
[2] 웹사이트 Кумыкский мир | Так какова же все-таки численность кумыков в Турции? https://web.archive.[...] 2019-11-15
[3] 웹사이트 Uzbekistan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4]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5] 웹사이트 Агентство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по статистике. Перепись 2009. http://www.stat.kz/p[...]
[6]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2009 года. НАСЕЛЕНИЕ ПО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И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belstat.gov.b[...] belstat.gov.by 2011-10-16
[7] 웹사이트 Распределение населения Латвии по национальному составу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на 01.01.2020 https://www.pmlp.gov[...]
[8] 서적 Этногенетические взаимосвязи карачаево-балкарцев с другими народами 2000
[9] 웹사이트 Кумыкские общины за рубежом: история и современность. http://kumukia.ru/mo[...] 2011-12-12
[10] 뉴스 Руслан Хадимуллин: Кумыки — один из народов Дагестана 2016-09-05
[11] 논문 ЭТНИЧЕСКАЯ ДЕМОГРАФИЯ ДАГЕСТАНА: КУМЫКИ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 НАЧАЛЕ XXI В. Институт ИАЭ ДНЦ РАН, Махачкала Региональный центр этнополи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ДНЦ РАН, Махачкала
[12] 서적 Народы России: энциклопедия Науч. изд-во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94
[13] 서적 История народов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конец XVIII в. — 1917 г.) Наука 1988
[14] 논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Е УПРАВЛЕНИЕ ШАМХАЛЬСТВА ТАРКОВСКОГО В XVII–XVIII веках
[15] 서적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соседних государств. Том 2. К-Р
[16] 서적 Советская Этнография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53
[17] 논문 КИН,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Крымского Ханства с Тюрко-Татаркскими Государствам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Астраханским ханством и Ираном Известия Национального Центра Археографии и Источниковедения, Астана 2017
[18] 논문 Тюменское княжество в контексте истории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Астраханского ханства и Кумык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с Русским в XVI в. Институт Истории АН РТ, Казань 2012
[19] 문서 Документ из Росси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архива древних актов (фонд № 121 «Кумыцкие и тарковские дела»)
[20] 서적 Современные проблемы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исламоведения, востоковедения и тюркологии https://books.google[...]
[21] 서적 Дагестан в эпоху великого переселения народов: этногенет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https://books.google[...]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Дагестанский науч. центр, Ин-т истории,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1998
[22] 논문 ТЕРРИТОРИЯ И НАСЕЛЕНИЕ ШАМХАЛЬСТВА ТАРКОВСКОГО В ТРУДАХ РУССКИХ И ЗАПАДНОЕВРОПЕЙСКИХ АВТОРОВ XVIII–XIX ВВ Известия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12
[23] 논문 ТЕРРИТОРИЯ И НАСЕЛЕНИЕ ШАМХАЛЬСТВА ТАРКОВСКОГО В ТРУДАХ РУССКИХ И ЗАПАДНОЕВРОПЕЙСКИХ АВТОРОВ XVIII–XIX ВВ http://izvestia.asu.[...] Известия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12
[24] 서적 Из истории русско-кавказскои воины: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ое отд-ние Всероссииского фонда культуры 1991
[25]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6] 웹사이트 Итоги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в отношени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х и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отдель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http://www.gks.ru/fr[...] 2017-12-26
[2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28]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29]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0]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1]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2]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3]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4]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5]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6]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7-12-26
[38] 서적 KUMUK TÜRKLERİNİN KAFKASYA'DAN ANADOLU'YA GÖÇÜ (The Resettlement of Kumyk from the Caucasus to Anatolia)
[39] 문서 among them Dagestanian figure Aselderkhan Kazanalip and his wife princess Jahbat Tarkovskaya, along with other nobility — Eldar Utsumi khan, Asadullah Utsumi and Akhmat-khan
[40] 논문 Türkiyedeki Kumuklar Damarlarını Arıyorlar 연구논문, 이스탄불
[41] 뉴스 Мухаджиры (Muhajirs) https://www.svoboda.[...] 2011-05-24
[42] 문서 from the settlements of Utamish, Bashlykent and Karabudaghkent, they were later joined by Kumyks from the Northern Kumykia and many other Dagestanians
[43] 뉴스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ая диаспора Сирии надеется на Россию" (North Caucasus Diaspora hopes for help from Russia) http://kavpolit.com/[...] 2017-06-23
[44] 문서 Bursa province — Koşuboğazı, Mustafakemalpaşa (assimilated but keeping family history); Orhangazi province — Yeniköy (along with avars and dargins); Sivaş province — Yıldızeli (Yavuzköy), Yağlıdere, Yıldızeli (Yağköy), Süleymaniye, Hafik (along with Turkish and avars); Tokat province — Doğançaylı (along with karachays), Yavu, Çermik, Artova (along with dargins and avars), Çirdağ (along with dargins and avars), Gültepe, Erbaa (along with dargins and avars), Yeniderbent, Zile (along with lezgins), Turhal (along with karachays, Culture Centre is present); Çanakkale province — Akköprü, Biga (Culture Centre is present), Aziziye, Doğancı, Geyikkırı, Kalafat, Biga (Bozna). Many Kumyk districts and villages, for instance in the town of Samsun, de-kumykised due to assimilation into Turkish culture and resettling.
[45] 웹사이트 Nartajans DAĞISTAN KÖKENLİLERİN TÜRKİYE'DE YAŞADIKLARI ŞEHİRLER VE YERLEŞİM YE http://www.nartajans[...] 2017-06-23
[46] 서적 Какого мы роду-племени? Народы России: имена и судьбы. Словарь-справочник https://archive.org/[...] Academia
[47] 서적 Этнография Кавказа. Языкознание. 4. Лакский язык.
[48] 서적 История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умыков 다게스탄 출판사
[49] 웹사이트 ОПИСАНИЕ ПУТЕШЕСТВИЯ ГОЛШТИНСКОГО ПОСОЛЬСТВА В МОСКОВИЮ И ПЕРСИЮ http://www.vostlit.i[...] 2017-06-21
[50] 서적 Эпиграф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나우카
[51] 서적 Татар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кавказского наречия
[52] 논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в Дагестане в 1948—1950 гг.
[53] 서적 История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умыков Дагестан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54] 서적 Новейшие географические и исторические известия о Кавказе
[55] 문서 카지하노바(구세이노바), 아시야트 아브두라기모브나. 초기 중세 시대에 다게스탄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정착 단계: 07.00.02 마하치칼라, 2000 186c.: 61 01-7/82-5에 대한 역사 과학 박사 학위 논문
[56] 서적 Этнография народов СССР: исторические основы быта и культуры 모스크바 대학교 출판사
[57] 서적 쿠믹: 역사-민족지 연구 소련 과학 아카데미 출판사
[58] 서적 저작 나우카
[59] 서적 카프카스의 역사-민족지 개요
[60] 서적 쉬르반과 데르벤트의 역사 X-XI세기 동방 문학 출판사
[61] 웹사이트 쿠믹 http://soviet-life.n[...] 러시아 민족 백과사전. 모스크바, 대러시아 백과사전 1994
[62] 서적 쿠믹-브라군츠: 역사와 현재
[63] 서적 북부 카프카스 민족의 역사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나우카
[64] 서적 데르벤트 이름
[65] 서적 소련 민족 역사에 대한 시리아 자료
[66] 서적 카프카스: 13세기-18세기 유럽 일기 M. 과 V. 코틀랴로프 출판사
[67] 서적 저작 나우카
[68] 웹사이트 타르키의 샴할라트 16세기 후반 러시아-이란 및 러시아-터키 관계에서 https://cyberleninka[...]
[69] 웹사이트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러시아 카프카스 정치에서 타르키의 샴할라트. https://cyberleninka[...]
[70] 웹사이트 니잠 아드-딘 샴 -> 승리의 책 -> 1941년 출판 -> 텍스트 http://www.vostlit.i[...] 2018-01-05
[71] 서적 ТЕРРИТОРИЯ И НАСЕЛЕНИЕ ФЕОДАЛЬНЫХ ВЛАДЕНИЙ ДАГЕСТАНА В XVIII — НАЧАЛЕ XIX ВЕКА
[72] 서적 Кумыкские феодальные владения в политической жизни Дагестана в 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VIII в.
[73] 서적 Тюменское княжество в контексте истории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Астраханского ханства и Кумык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с Русским в XVI в.
[74] 서적 Брагунское княжество — феодальное владение в Чечне в XVII в.
[75] 웹사이트 КУМЫКИ http://soviet-life.n[...] Народы России. Энциклопедия. Москва, Большая Россйи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76] 서적 Книга путешествия: (Извлечения из сочинения турецкого путешественника XVII века)
[77] 서적 Russia's relations with the Caucasus: Materials, extracts. from Moscow. chapters.
[78] 서적 Карамзин
[79] 서적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ногайцев XV-XVIII вв
[80] 웹사이트 Кумыкский мир - Сурхай III - "падишах Дагестанский" http://kumukia.ru/?i[...] 2018-01-05
[81] 서적 Деяния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удрого преобразителя России, собранные из достоверных источников
[82] 서적 Memoirs of Peter Henry Bruce, esq., a military officer in the services of Prussia, Russia, and Great Britain
[83] 서적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Том 19. От царствования императрицы Екатерины I Алексеевны до царствования императрицы Анны Иоанновны. 1727—1730 гг ГЛАВА ПЕРВАЯ ОКОНЧАНИЕ ЦАРСТВОВАНИЯ ИМПЕРАТРИЦЫ ЕКАТЕРИНЫ I АЛЕКСЕЕВНЫ
[84] 논문 Кумыкские феодальные владения в контексте развития и краха теократического проекта имама Мансура в 1785—1786 годах
[85] 서적 Кавказская война
[86] 웹사이트 В ходе военных действий в Чечне были уничтожены многие качкалыковские аулы, имевшие смешанное кумыкско-чеченское население http://www.vostlit.i[...]
[87] 서적 Кавказская война. Том 2. Ермоловское время
[88] 서적 Кавказские войны и имамат Шамиля
[89] 서적 Кавказские войны и имамат Шамиля
[90] 서적 Кавказские войны и имамат Шамиля
[91] 서적 Кавказские войны и имамат Шамиля
[92] 서적 Кавказские войны и имамат Шамиля
[93] 웹사이트 ВОЙНА НА ВОСТОЧНОМ КАВКАЗЕ http://www.vostlit.i[...] www.vostlit.info 2017-10-21
[94] 서적 Кавказская война. Том 5. Время Паскевича, или Бунт Чечни. Глава XVIII. ЧЕЧНЯ ПОСЛЕ ЕРМОЛОВА
[95] 서적 Россия и горцы Большого Кавказа: на пути к цивилизации https://books.google[...] Мысль
[96] 서적 Шамиль в истори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и народной памяти https://books.google[...]
[97] 서적 Национально-освободи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горцев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под предводительством Шамиля https://books.google[...] Дагучпедгиз
[98] 서적 Шамиль. Мусульманское сопротивление царизму. Завоевание Чечни и Дагестана КРОН-ПРЕСС
[99] 서적 Шамиль в истори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и народной памяти
[100] 서적 Очерки о Чечне: природа, население,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Вектор-С
[101] 논문 Origins of East Caucasus Gene Pool: Contributions of Autochthonous Bronze Age Populations and Migrations from West Asia Estimated from Y-Chromosome Data 2023-09-09
[102] 논문 Российско-чеченские отношения в XVII — середине XIX вв
[103] 서적 Kavkazskie voĭny i imamat Shamili︠a︡ ROSSPĖN
[104] 서적 История Дагестана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наших дней. Т. I. История Дагестана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XX века
[105] 서적 Новейшие географические и исторические известия о Кавказе
[106] 서적 История Чечн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наших дней. т.3 2013
[107] 서적 ЧЕЧЕНЦЫ В ЗЕРКАЛЕ ЦАРСКОЙ СТАТИСТИКИ (1860—1900) ПРОБЕЛ-2000 2006
[108] 문서 Первые русские крепости в междуречье Терека и Сунжи в 16-17 вв.
[109] 문서 Из стенограммы выступления член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второго созыва от Терской области Т. Э. Эльдорханова 1907-05-03
[110] 백과사전 Дагестан
[111] 웹사이트 Алфавитный список народов, обитающих 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112] 서적 The Central Asian Revolt of 1916: A collapsing empire in the age of war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9-10-02
[113] 문서 Хаджи Мурада Доного «Гайдар Баммат» – известный и неизвестный
[114]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26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15] 백과사전 Дагестан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Брокгауза и Ефрона 1890-1907
[116] 웹사이트 Алфавитный список народов, обитающих 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http://www.demoscope[...] 2022-06-04
[11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2022-06-04
[118]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2022-06-04
[119] 서적 Сведения о силах, числе душ и деревень в Дагестане. 1795 г. ИГЭД 1958
[120] 간행물 Современные миграционные процессы в Дагестане Региональные аспекты социальной политики. Вып.6 2004
[121] 웹사이트 Кумыкский мир ХХ ВЕК В СУДЬБЕ КУМЫКОВ https://web.archive.[...] 2022-06-04
[122] 웹사이트 UNPO: Kumyk https://unpo.org/mem[...] 2022-05-16
[123] 웹사이트 Николай Трубецкой: О Народах Кавказа https://www.gumilev-[...] 2022-06-04
[124] 서적 Строительство социализма в Дагестане, 1921—1940: узловые проблемы Наука 1975
[125] 서적 Введение в изучение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1962
[126] 문서 'Кодекс Куманикус' – ПАМЯТНИК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КОНЦА XIII – НАЧАЛА XIV ВЕКОВ http://dspace.nbuv.g[...]
[127] 서적 Studies in language companion series.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8
[128] 서적 Gjennem Kaukasus til Volga Jacob Dybwads Forlag 1929
[129] 문서 О народах Кавказа 1925
[130] 웹사이트 Kafkaz Lehçeni Tatar Grammatikası, Makarov 1848 https://web.archive.[...] 2017-06-28
[131] 서적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соседних государств. Том 2. К-Р
[132] 백과사전 Кумыкский язык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69-1978
[133] 서적 Кумык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Махачкала 2012
[134] 웹사이트 Пауль Флеминг и мы https://web.archive.[...] 2017-12-26
[135] 웹사이트 Голштинии сыны, мы здесь - не на чужбине https://web.archive.[...] 2017-12-26
[136] 웹사이트 Лев Толстой: Дневник 1847 — 1854 гг. Тетрадь Г. Март - май 1851 г. http://tolstoy.lit-i[...] tolstoy.lit-info.ru 2017-03-10
[137] 문서 К проблеме ориентального лексического влияния на язык русской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литературы 20-30-х годов XIX в.: На материале произведений М. Ю. Лермонтова.
[138] 웹사이트 Набег (Толстой) https://ru.wikisourc[...]
[139] 웹사이트 Казаки (Толстой)/XL https://ru.wikisourc[...]
[140] 웹사이트 Герой нашего времени (Лермонтов)/Предисловие https://ru.wikisourc[...]
[141] 서적 Adventures in Caucasia https://books.google[...] Chilton Books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