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갈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갈레어는 라트갈레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발트어족에 속하며, 라트비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 라트갈레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로, 라트비아의 다른 지역과는 다른 정치적, 문화적 발전을 겪으면서 라트갈레어가 독자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18세기부터 문학 전통이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라트비아 국가의 일부가 되면서 라트비아어와 공존하는 문학 전통을 발전시켰다. 현재 라트비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지만, 독립적인 언어로서의 지위를 주장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어와 문법, 어휘에서 차이를 보이며, 리투아니아어와 유사한 어휘를 공유하기도 한다.
현대 라트갈레어 문학 전통은 18세기 라트비아 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던 방언에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현존하는 최초의 라트갈레어 출판물은 1753년의 "Evangelia toto anno"(''한 해 동안의 복음'')이다. 초기 철자법은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아 안티콰 글자를 사용했는데, 이는 고딕체를 사용한 라트비아어 철자법과 달랐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예수회 사제들이 종교 서적, 달력, 시 등을 라트갈레어로 저술했다.
라트갈레어는 140여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주로 라트비아에 이 언어 사용자들이 있지만 러시아의 일부 지역(시베리아)에서는 소수의 라트갈레어 사용자들이 거주한다. 라트갈어는 주로 라트갈레 지역, 라트비아에서 약 15만 명이 사용한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라트갈인들의 이주와 소비에트 연방의 라트비아인 강제 이주의 결과로 러시아 시베리아에 소규모 라트갈어 사용 공동체가 형성되었다.[13] 사용자의 대부분은 라트비아 동부에 거주하고 있으며, 시베리아에도 일부 사용되는 공동체가 있다.
1920년부터 1934년까지 라트갈레어는 라트갈레 지역 정부와 교육에서 사용되었다. 현재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 내 어디에서도 공용어로 사용되지 않는다. 라트비아어법에 따르면 "라트비아 국가는 라트갈리아 문학 언어를 라트비아어의 역사적 변종으로 보존, 보호 및 발전시킨다"라고 명시되어 있다.[3] 이 법은 라트갈레어와 표준 문학 라트비아어를 동일한 라트비아어의 두 가지 동등한 변종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법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라트갈레어는 국가 업무 및 교육 분야에서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
라트갈레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발트어족 동부 발트어파에 속하며, 라트비아어 표준어, 사모기트어, 리투아니아어와 같은 어파에 속한다. 라트갈레어는 굴절이 어느 정도 있는 언어로, 다른 발트어 및 슬라브어처럼 동사와 명사 형태의 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14]
2. 역사
1865년부터 1904년까지 리투아니아어와 함께 라트갈레어 출판이 금지되었다. 이는 러시아 제국이 1월 봉기 이후 라틴 문자 사용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밀수된 가톨릭 서적과 손으로 쓴 문학 작품만이 유통되었다.
1904년 금지령 해제 후, 라트갈레어 문학은 부흥기를 맞이하여 신문, 교과서, 문법책 등이 출간되었다. 1918년 라트갈레는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1920년부터 1934년까지 라트갈레어와 라트비아어 문학 전통이 병행 발전했다. 1933년에는 Aloizs Broks|알로이시스 브록스ltg가 번역한 신약성경이 출판되기도 했다. 그러나 1934년 칼리스 울마니스 쿠데타 이후 라트갈레어는 억압받았고,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1940-1990)에는 구어로만 명맥을 유지했다. 1959년에서 1989년 사이에는 라트갈레어 인쇄물 발행이 사실상 중단되었다. 망명 중인 라트갈레 지식인들은 라트갈레어 관련 서적과 연구를 계속 출판했다.
라트비아 독립 회복(1991) 이후, 라트갈레어와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일부 대학에서는 라트갈레어를 가르치고, 레제크네의 라트갈레 문화 센터 출판사는 라트갈레어 서적을 출판하고 있다. 1992년에는 유리스 치불스와 Lideja Leikuma|리디야 레이쿠마ltg가 라트갈레어 알파벳 책을 출판했다.
21세기 들어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 문화에서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라트갈레어 보존 운동이 활발하며, TV 인터뷰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Borowa MC|보로와 MClv와 다바수 도로비스 같은 록 그룹은 라트갈레어로 노래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카르사바 등 일부 지역에서는 거리 이름과 상점 간판에 라트갈레어가 사용되고 있다.[6]
2014년 카르사바 시에는 라트비아어와 라트갈레어 이중 언어 표지판이 설치되었으나, 라트비아 국립 언어 센터는 라트갈레어가 더 부각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7] 2022년 에길스 레비츠 대통령은 라트갈레어 사용 확대를 장려하면서도 라트비아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임을 재확인했다.[8] 2021년부터 발비 시를 시작으로 라트갈레어와 라트비아어 이중 언어 도로 표지판이 설치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9][10][12]
2. 1. 기원
원래 라트갈레인은 현재의 비제메와 라트갈레에 거주하는 부족이었다. 그들은 라트비아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 언어는 나중에 현대 라트비아의 나머지 지역으로 퍼져 나가면서 쿠로니아어, 세미갈리아어, 셀로니아어, 리보니아어의 특징을 흡수했다. 라트갈레 지역은 폴란드-스웨덴 전쟁 동안 정치적으로 분리되어 인플란티 보이보드십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로 남게 된 반면, 나머지 라트비아인들은 발트 독일인 귀족이 지배하는 지역에 살았다. 수 세기 동안의 분리된 발전과 서로 다른 명망 언어의 영향은 현대 라트갈레어가 비제메와 라트비아의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구별되도록 하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2. 2. 분리 및 발전
원래 라트갈레인은 현재의 비제메와 라트갈레에 거주하는 부족이었다. 이들은 라트비아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 언어는 나중에 현대 라트비아의 나머지 지역으로 퍼져 나가면서 쿠로니아어, 세미갈리아어, 셀로니아어, 리보니아어의 특징을 흡수했다. 라트갈레 지역은 폴란드-스웨덴 전쟁 동안 정치적으로 분리되어 인플란티 보이보드십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로 남게 된 반면, 나머지 라트비아인들은 발트 독일인 귀족이 지배하는 지역에 살았다. 수 세기 동안의 분리된 발전과 서로 다른 명망 언어의 영향은 현대 라트갈레어가 비제메와 라트비아의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구별되도록 하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2. 3. 18세기~20세기
현대 라트갈레어 문학 전통은 18세기 라트비아 동부 지역에서 라트비아인들이 사용하던 방언에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라트갈레어로 출판된 최초의 현존하는 책은 1753년의 "Evangelia toto anno"(''한 해 동안의 복음'')이다. 최초의 철자법은 폴란드어에서 차용되었고 안티콰 글자를 사용했다. 이는 라트비아 나머지 지역에서 라트비아어에 사용된 고딕체 또는 고딕체로 작성된 독일어의 영향을 받은 철자법과는 매우 달랐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 라트갈레어로 된 많은 책들은 예수회 사제들이 저술했는데, 이들은 로마 가톨릭교의 북동쪽 전초 기지로서 다양한 유럽 국가에서 라트갈레로 왔으며, 그들의 저술에는 종교 문학, 달력, 시 등이 포함되었다.
리투아니아어와 함께 라트갈레어로 책을 출판하는 것은 1865년부터 1904년까지 금지되었다. 러시아 제국 이 지역에서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금지는 폴란드, 리투아니아, 라트갈레의 반군들이 차르 통치에 도전했던 1월 봉기 직후에 시행되었다. 금지 기간 동안, 제한된 수의 밀수된 가톨릭 종교 텍스트와 일부 손으로 쓴 문학, 예를 들어 독학한 농부 Andryvs Jūrdžs|안드리우스 유르주스ltg가 쓴 달력 등이 사용 가능했다.
1904년 금지령이 해제된 후, 라트갈레 문학 전통이 빠르게 부활하여 처음으로 신문, 교과서, 문법이 등장했다. 1918년 라트갈레는 새롭게 창설된 라트비아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부터 1934년까지 두 라트비아 문학 전통이 병행하여 발전했다. 이 기간 동안 주목할 만한 업적은 사제이자 학자인 Aloizs Broks|알로이시스 브록스ltg가 라트갈레어로 신약성경을 번역한 것으로, 1933년 아글로나에서 출판되었다. 1934년 칼리스 울마니스가 일으킨 쿠데타 이후, 라트갈레 방언은 학교 커리큘럼에서 삭제되었고, 라트비아어 사용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국가 기관에서 사용이 무효화되었다.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1990)에서 구어로 살아남았지만, 1959년과 1989년 사이에 라트갈레어로 된 인쇄된 문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망명 중, 일부 라트갈레 지식인들은 라트갈레어에 관한 책과 연구를 계속 출판했는데, 특히 Mikeļs Bukšs|미켈스 북시스ltg가 두드러졌다.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 라트갈레어와 문화 유산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레제크네에서는 야니스 엘크스니스(Jānis Elksnis)가 이끄는 라트갈레 문화 센터 출판사에서 라트갈레어로 된 옛 책과 새 책을 모두 인쇄하고 있다.
1992년, 유리스 치불스는 Lideja Leikuma|리디야 레이쿠마ltg와 함께 언어 복원 이후 최초의 라트갈레어 알파벳 책 중 하나를 출판했다.
2. 4. 21세기
21세기 들어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의 문화생활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보존 운동 외에도, 라트갈레어는 국영 TV 채널의 다양한 인터뷰에서 더 자주 들을 수 있다. Borowa MC|보로와 MClv와 다바수 도로비스 같은 현대적인 록 그룹들이 라트갈레어로 노래하며, 전국적으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오늘날, 라트갈레어는 카르사바 같은 일부 거리 이름과 상점 간판과 같은 공공 표지판에서도 쓰이고 있으며, 이는 언어 환경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6]
2014년에는 라트갈레 문화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된 청소년 사업의 일환으로 카르사바 시에 라트비아어와 라트갈레어로 된 105개의 이중 언어 거리 표지판이 설치되었다. 라트비아 국립 언어 센터는 해당 표지판이 라트비아어보다 라트갈레어를 더 두드러지게 사용한다는 점을 들어 반대하며 제거를 요구했다.[7]
2022년 라트비아 대통령 에길스 레비츠는 연례 라트갈레 의회를 열어 구어 및 문어 라트갈레어의 더 광범위한 사용을 장려하는 한편, 라트비아어가 유일한 공식 국가 언어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재확인했다.[8]
2021년 11월에는 라트비아어와 라트갈레어로 된 최초의 국가 승인 도로 표지판이 발비 시의 경계에 설치되었으며, 이후 프레이리 시와 2023년에는 레제크네 시와 같은 라트갈레의 다른 지역에도 점차 설치되었다.[9][10] 이중 언어 도로 표지판은 사회 분열의 구실이 된다거나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다는 점에 불만을 품는 등 엇갈린 반응을 얻었으며, 발비 시에서는 이중 언어 도로 표지판이 파괴의 대상이 되어 라트갈레어 이름이 반복적으로 덧칠되기도 했다.[12]
3. 지리적 분포
4. 공식적 지위
라트갈리아어에는 국가 지원을 받는 정자법 위원회가 있다. 라트갈레어가 별개의 언어인지, 아니면 라트비아어의 방언인지 여부는 20세기 내내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었다. 언어학자 Ontons Breidaks|안톤스 브레이다크스ltg와 Lidija Leikuma와 같은 라트갈레어 지지자들은 라트갈레어가 독립적인 언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5. 언어학적 특징
라트갈레어는 35개의 문자를 사용하는 알파벳을 사용하며, 이는 라트비아어 알파벳과 동일하지만 두 개의 문자(y영어, ō영어)가 추가되었다. 'y'는 표준 라트비아어에 없는 /i/영어의 변이음인 [ɨ]영어를 나타내며, 'ō'는 현대 라트갈레어에서 덜 사용되지만 외래어에서 더 많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14]대문자 소문자 발음 A a /a/영어 Ā ā /aː/영어 B b /b/영어 C c /t͡s/영어 Č č /t͡ʃ/영어 D d /d/영어 E e /ɛ/영어 Ē ē /ɛː/영어 F f /f/영어 G g /ɡ/영어 Ģ ģ /ɡʲ/영어 H h /x/영어 I i /i/영어 Y y /ɨ/영어 Ī ī /iː/영어 J j /j/영어 K k /k/영어 Ķ ķ /kʲ/영어 L l /l/영어 Ļ ļ /lʲ/영어 M m /m/영어 N n /n/영어 Ņ ņ /nʲ/영어 O o /ɔ/영어 Ō ō /ɔː/영어 P p /p/영어 R r /r/영어 S s /s/영어 Š š /ʃ/영어 T t /t/영어 U u /u/영어 Ū ū /uː/영어 V v /v/영어 Z z /z/영어 Ž ž /ʒ/영어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어휘 면에서는 라트비아어보다 리투아니아어에 가까운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라트비아어와 같은 계통의 단어를 사용하는 예도 있다.라트갈레어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어석 비고 ašnis|아슈니스ltg asins|아신스lv kraujas|크라우야스lt 피 aste|아스테ltg aste|아스테lv uodega|우오데가lt 꼬리 bārns|바른스ltg bērns|베른스lv vaikas|바이카스lt 아이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bernas|베르나스lt는 〈소년〉이나 〈하인〉을 나타낸다. dāls|달스ltg dēls|델스lv sūnus|수누스lt 아들 kūks|쿡스ltg koks|콕스lv medis|메디스lt 나무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kuoka|쿠오카lt는 〈곤봉〉을 나타낸다. meita|메이타ltg meita|메이타lv duktė|둑테lt, dukra|두크라lt 〔친족 명칭으로서의〕 딸 mēle|멜레ltg mēle|멜레lv liežuvis|리에주비스lt 혀 mots|모츠ltg mats|마츠lv plaukas|플라우카스lt 털 muosa|무오사ltg māsa|마사lv sesuo|세수오lt 누이 mute|무테ltg mute|무테lv burna|부르나lt 입 spolva|스폴바ltg spalva|스팔바lv plunksna|플룽크스나lt 깃털 리투아니아어의 spalva|스팔바lt는 〈색〉을 나타낸다. vādars|바다르스ltg vēders|베데르스lv pilvas|필바스lt 배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vėdaras|베다라스lt는 〈감자 소시지〉나 구어체로 〈창자〉를 나타낸다. volūda|볼루다ltg valoda|발로다lv kalba|칼바lt 언어 zūbs|주프스ltg zobs|좁스lv dantis|단티스lt 이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žambas|잠바스lt는 〈사물의 모서리〉나 〈칼날〉을 나타낸다.
5. 1. 방언
라트갈레어 화자는 크게 북부, 중부, 남부의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세 그룹의 방언은 완전히 상호 이해 가능하며, 모음, 이중 모음 및 일부 굴절 어미의 미세한 변화로만 특징지어진다. 중부 라트갈레의 지역 방언(유오스무이ža, 부오르코바, 비드스무이ža, 빌라니, 삭스티골스, 우주랄라이네, 마카샤니, 드르차니, 가이가로바, 비에르지, 틸ža, 나우트라니의 마을과 농촌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현대 표준 라트갈레어의 음성학적 기초를 형성한다. 18세기 문학은 남부 라트갈레어 방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5. 2. 문자
라트갈레어 음운론도 참조
라트갈레어는 35개의 문자를 사용하는 알파벳을 사용한다. 이는 라트비아어 알파벳과 동일하지만, 두 개의 문자가 추가되었다. y영어는 표준 라트비아어에는 없는 /i/영어의 변이음인 [ɨ]영어를 나타낸다. ō영어 문자는 1947년 이전의 라트비아어 표기법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라트갈레어에서는 덜 사용되며 동일한 소리를 나타내는 두 개의 문자 uo영어로 대체되고 있다. ō영어 문자는 외래어에서 더 많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14]
대문자 | 소문자 | 발음 |
---|---|---|
A | a | /a/영어 |
Ā | ā | /aː/영어 |
B | b | /b/영어 |
C | c | /t͡s/영어 |
Č | č | /t͡ʃ/영어 |
D | d | /d/영어 |
E | e | /ɛ/영어 |
Ē | ē | /ɛː/영어 |
F | f | /f/영어 |
G | g | /ɡ/영어 |
Ģ | ģ | /ɡʲ/영어 |
H | h | /x/영어 |
I | i | /i/영어 |
Y | y | /ɨ/영어 |
Ī | ī | /iː/영어 |
J | j | /j/영어 |
K | k | /k/영어 |
Ķ | ķ | /kʲ/영어 |
L | l | /l/영어 |
Ļ | ļ | /lʲ/영어 |
M | m | /m/영어 |
N | n | /n/영어 |
Ņ | ņ | /nʲ/영어 |
O | o | /ɔ/영어 |
Ō | ō | /ɔː/영어 |
P | p | /p/영어 |
R | r | /r/영어 |
S | s | /s/영어 |
Š | š | /ʃ/영어 |
T | t | /t/영어 |
U | u | /u/영어 |
Ū | ū | /uː/영어 |
V | v | /v/영어 |
Z | z | /z/영어 |
Ž | ž | /ʒ/영어 |
IETF 언어 태그에는 1929년 표기법(ltg-ltg1929영어)과 2007년 표기법(ltg-ltg2007영어)에 대한 하위 태그가 등록되어 있다.[15]
5. 3. 어휘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어휘 면에서는 라트비아어보다 리투아니아어에 가까운 형태를 띠는 경우가 일정 수 존재한다. 그러나 라트비아어와 같은 계통의 단어를 사용하는 예도 있다.라트갈레어 | 라트비아어 | 리투아니아어 | 어석 | 비고 |
---|---|---|---|---|
ašnis|아슈니스ltg | asins|아신스lv | kraujas|크라우야스lt | 피 | |
aste|아스테ltg | aste|아스테lv | uodega|우오데가lt | 꼬리 | |
bārns|바른스ltg | bērns|베른스lv | vaikas|바이카스lt | 아이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bernas|베르나스lt는 〈소년〉이나 〈하인〉을 나타낸다. |
dāls|달스ltg | dēls|델스lv | sūnus|수누스lt | 아들 | |
kūks|쿡스ltg | koks|콕스lv | medis|메디스lt | 나무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kuoka|쿠오카lt는 〈곤봉〉을 나타낸다. |
meita|메이타ltg | meita|메이타lv | duktė|둑테lt, dukra|두크라lt | 〔친족 명칭으로서의〕 딸 | |
mēle|멜레ltg | mēle|멜레lv | liežuvis|리에주비스lt | 혀 | |
mots|모츠ltg | mats|마츠lv | plaukas|플라우카스lt | 털 | |
muosa|무오사ltg | māsa|마사lv | sesuo|세수오lt | 누이 | |
mute|무테ltg | mute|무테lv | burna|부르나lt | 입 | |
spolva|스폴바ltg | spalva|스팔바lv | plunksna|플룽크스나lt | 깃털 | 리투아니아어의 spalva|스팔바lt는 〈색〉을 나타낸다. |
vādars|바다르스ltg | vēders|베데르스lv | pilvas|필바스lt | 배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vėdaras|베다라스lt는 〈감자 소시지〉나 구어체로 〈창자〉를 나타낸다. |
volūda|볼루다ltg | valoda|발로다lv | kalba|칼바lt | 언어 | |
zūbs|주프스ltg | zobs|좁스lv | dantis|단티스lt | 이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žambas|잠바스lt는 〈사물의 모서리〉나 〈칼날〉을 나타낸다. |
5. 3. 1.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와의 어휘 비교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어휘 면에서는 라트비아어보다 리투아니아어에 가까운 형태를 띠는 경우가 일정 수 존재한다. 다음은 세 언어의 비교 예시이다.라트갈레어 | 라트비아어 | 리투아니아어 | 어석 | 비고 |
---|---|---|---|---|
aiļa|아일랴ltg | rinda|린다lv | eilė|에일레lt | 열, 줄 | |
apleik|아플레익ltg | apkārt|앞카르트lv | aplink|아플링크lt | 주위에 | |
atīt|아티트ltg | nākt|나크트lv | ateiti|아테이티lt | (걸어서) 오다 | |
atsaceit|앗사체이트ltg | atbildēt|앗빌데테트lv | atsakyti|앗사키티lt | 대답하다 | |
atsasēst|앗사세스트ltg | atsēsties|앗세스티에스lv | atsisėsti|앗시세스티lt | 앉다 | |
i|이ltg | un|운lv | ir|이르lt | 영어의 and|앤드영어에 해당하는 접속사 | |
īsataiseit|이사이타이세이트ltg | iekārtoties|이에카르토티에스lv | įsitaisyti|이시타이시티lt | 정착하다 | |
jis|이스ltg | viņš|빈슈lv | jis|이스lt | 영어의 he|히영어에 해당하는 대명사; 그는 | |
klaida|클라이다ltg | kļūda|클류다lv | klaida|클라이다lt | 오류, 실수 | |
klaust|클라오스트ltg | taujāt|타우야트lv, izjautāt|이즈야우타트lv | klausti|클라우스티lt, klausinėti|클라우스시네티lt | 묻다 | |
komuot|코무오트ltg | mocīt|모치트lv | kamuoti|카무오티lt | 괴롭히다 | |
puslopa|푸슬로파ltg | lappuse|랖푸세lv | puslapis|푸슬라피스lt | 페이지 | |
mauduotīs|마우두오티스ltg | peldēties|펠데티에스lv | maudytis|마우디티스lt | 목욕하다 | |
mārga|마르가ltg | jauniete|야우니에테lv, meita|메이타lv, meitene|메이테네lv | merga|메르가lt, mergina|메르기나lt | 소녀 | |
puorsaļt|푸오르살트ltg | saaukstēties|사아우크스테티에스lv | peršalti|페르샬티lt | 감기에 걸리다 | |
reiti|레이티ltg | austrumi|아우스트루미lv; 〔희〕 rīti|리티lv | rytai|리타이lt | 동쪽 | |
saima|사이마ltg | ģimene|기메네lv | šeima|셰이마lt | 가족 | |
skaiteit|스카이테이트ltg | lasīt|라시트lv | skaityti|스카이티티lt | 읽다 | |
skareņa|스카레냐ltg | lakatiņš|라카틴슈lv | skarelė|스카렐레lt | 머리에 쓰는 천 | |
skubeigs|스쿠베익스ltg | steidzams|스테이잠스lv | skubus|스쿠부스lt | 급한 | |
solts|솔츠ltg | auksts|아우크스츠lv | šaltas|샬타스lt | 춥다 | |
stulps|스툴프스ltg | stabs|스탑스lv | stulpas|스툴파스lt | 기둥 | |
sukne|수크네ltg | kleita|클레이타lv | suknelė|수크넬레lt | 부인복 | |
tāvaine|타바인ltg | dzimtene|짐테네lv, tēvija|테비야lv | tėvynė|테비네lt | 조국 | |
viersyune|비에르슈네ltg | galotne|갈로트네lv | viršūnė|비르슈네lt | 정점 | |
vokori|보코리ltg | rietumi|리에투미lv; 〔희〕 vakari|바카리lv | vakarai|바카라이lt | 서쪽 | |
vysod|비소트ltg | vienmēr|비엔메르lv | visad(a)|비사다lt | 항상 | |
zamyn|자민ltg | lejup|레윱lv | žemyn|제민lt | 아래로 | |
zirklis|지르클리스ltg | šķēres|슈체레스lv | žirklės|지르클레스lt | 〔손 크기의〕 가위 | 라트비아어의 dzirkles|지르클레스lv는 〈전정 가위〉를 나타낸다 |
한편, 라트비아어와 같은 계통의 단어를 사용하는 예도 존재한다.
라트갈레어 | 라트비아어 | 리투아니아어 | 어석 | 비고 |
---|---|---|---|---|
ašnis|아슈니스ltg | asins|아신스lv | kraujas|크라우야스lt | 피 | |
aste|아스테ltg | aste|아스테lv | uodega|우오데가lt | 꼬리 | |
bārns|바른스ltg | bērns|베른스lv | vaikas|바이카스lt | 아이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bernas|베르나스lt는 〈소년〉이나 〈하인〉을 나타낸다 |
dāls|달스ltg | dēls|델스lv | sūnus|수누스lt | 아들 | |
kūks|쿡스ltg | koks|콕스lv | medis|메디스lt | 나무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kuoka|쿠오카lt는 〈곤봉〉을 나타낸다 |
meita|메이타ltg | meita|메이타lv | duktė|둑테lt, dukra|두크라lt | 〔친족 명칭으로서의〕 딸 | |
mēle|멜레ltg | mēle|멜레lv | liežuvis|리에주비스lt | 혀 | |
mots|모츠ltg | mats|마츠lv | plaukas|플라우카스lt | 털 | |
muosa|무오사ltg | māsa|마사lv | sesuo|세수오lt | 누이 | |
mute|무테ltg | mute|무테lv | burna|부르나lt | 입 | |
spolva|스폴바ltg | spalva|스팔바lv | plunksna|플룽크스나lt | 깃털 | 리투아니아어의 spalva|스팔바lt는 〈색〉을 나타낸다 |
vādars|바다르스ltg | vēders|베데르스lv | pilvas|필바스lt | 배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vėdaras|베다라스lt는 〈감자 소시지〉나 구어체로 〈창자〉를 나타낸다 |
volūda|볼루다ltg | valoda|발로다lv | kalba|칼바lt | 언어 | |
zūbs|주프스ltg | zobs|좁스lv | dantis|단티스lt | 이 | 동계의 리투아니아어 žambas|잠바스lt는 〈사물의 모서리〉나 〈칼날〉을 나타낸다 |
참조
[1]
웹사이트
Latgalian (latgalīšu volūda)
https://www.omniglot[...]
2022-11-23
[2]
문서
"{{e21|ltg}}"
[3]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 Law
https://likumi.lv/ta[...]
2013-08-15
[4]
웹사이트
Recenzija par pētījumu "Valodas loma reģiona attīstībā"
http://politika.lv/a[...]
Politika.lv
2001-07-22
[5]
웹사이트
Tautas skaitīšana: Latgalē trešā daļa iedzīvotāju ikdienā lieto latgaliešu valodu
http://www.lsm.lv/lv[...]
2012-07-06
[6]
논문
A Transition from Spontaneity to Planning? Economic Values and Educational Policies in the Process of Revitalizing the Regional Language of Latgalian (Latvia)
2013
[7]
뉴스
Language cops at odds with town over street signs in Latgalian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3-24
[8]
뉴스
President Levits: Latgalian language should be used more widely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22-04-28
[9]
웹사이트
Balvu novadā ceļazīmes arī latgaliešu rakstu valodā
https://www.lsm.lv/r[...]
2021-11-24
[10]
웹사이트
Talsu novada nosaukums tagad arī lībiešu valodā; šādi uzraksti būs vismaz 14 piekrastes ciemos
https://www.lsm.lv/r[...]
2023-01-27
[11]
뉴스
Latgalian language to appear on roadsigns in Rēzekne municipality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23-06-18
[12]
뉴스
Disputes over roadsigns in Latgalian and Livonian languages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23-12-01
[13]
논문
Latgalian Emigrants in Siberia: Contradicting Images
https://www.folklore[...]
2014
[14]
웹사이트
UO i Ō. Kurs pareizuoks?
https://www.lakuga.l[...]
2018-09-06
[15]
웹사이트
Language Subtag Registry
https://www.iana.org[...]
IANA
2022-08-08
[16]
웹사이트
Latgalian
http://www.ethnologu[...]
SIL
[17]
서적
ラトヴィアにおける多言語性
https://drive.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