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윙스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 윙스 작전은 2005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 해군 특수부대(SEAL) 팀 10이 수행한 대규모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아흐마드 샤가 이끄는 탈레반 세력의 활동을 저지하고 2005년 아프가니스탄 총선을 방해하려는 시도를 막기 위해 계획되었다. 작전은 4명의 네이비씰 정찰팀을 투입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나, 지역 주민과의 조우로 인해 위치가 노출되어 탈레반의 공격을 받았다. 이 교전으로 3명의 네이비씰 대원이 사망하고, 마커스 러트렐 병장이 중상을 입었으며, 이후 구출 작전에서 16명의 미군이 추가로 사망했다. 럿트렐은 생존하여 구조되었지만, 작전의 실패는 네이비씰의 육상전투 능력 부족, 통신 장비의 문제, 그리고 탈레반 병력 규모에 대한 논란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작전은 이후 영화 《론 서바이버》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칸다하르 국제공항
칸다하르 국제공항은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 위치하며, 미국이 건설하고 탈레반의 거점이었다가 미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항공사의 노선이 운항하고 과거에 납치 및 테러 사건이 발생한 공항이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확고한 지원 임무
확고한 지원 임무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NATO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수행된 군사 훈련, 자문 및 지원 임무로서,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 및 기관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훈련 자문 지원 사령부를 편성하여 아프간 군단을 지원했다. - 2005년 6월 - 2005년 세계 박람회
2005년 일본 아이치현에서 '자연의 지혜'를 주제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환경 논란 후 규모 축소 및 주제 변경을 거쳐 아이치 청소년 공원을 중심으로 열렸으며, 2,200만 명 이상의 관람객과 흑자를 기록하며 21세기형 박람회 모델로 평가받아 국제박람회기구로부터 등록박람회로 인정받았다. - 2005년 6월 - 연천 530GP 사건
2005년 연천군의 최전방 GP에서 김동민 일병이 일으킨 총기 난사 사건으로 동료 병사 8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당했으며, 군 기강 해이 문제와 함께 사건의 진실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레드 윙스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분쟁의 일부 | 아프가니스탄 전쟁 |
날짜 | 2005년 6월 27일 ~ 2005년 7월 중순 |
장소 | 아프가니스탄 쿤나르 주 페치 구 코랑갈 계곡 사우탈로 사르 산 |
결과 | 탈레반 승리 반군 세력이 3주 후 복귀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철수함 이후 고래잡이 작전 개시 |
교전 세력 | |
지휘관 | |
지휘관 1 | 앤드루 맥매니스 (USMC) 에릭 S. 크리스텐슨(전사) 마이클 P. 머피(전사) |
지휘관 2 | 아흐마드 샤 |
병력 규모 | |
병력 규모 1 | 네이비 실 12명 나이트 스토커 8명 (추가 헬리콥터 승무원) MH-47 치누크 2대 UH-60 블랙 호크 2대 AH-64 아파치 2대 |
병력 규모 2 | 미국 및 아프간 정보 보고서: 8–10명 미국 해군: 50명 이상 루트렐 주장: 80–200명 |
피해 규모 | |
피해 규모 1 | 19명 사망 1명 부상 치누크 헬리콥터 1대 격추 |
피해 규모 2 | 불명 미국 해군 주장: 35명 사망 |
2. 작전명의 유래
미 해병대 3사단 2대대(이하 2/3으로 통칭)의 작전관 토머스 우드 소령은 보조 작전관 랜스 시퍼트 중위에게 이 대규모 작전의 이름을 미국 하키 팀의 이름에서 따올 것을 명령하였다.[60] 시퍼트 중위의 하키 팀 이름 명단에는[65] 10개의 팀이[60][63][65] 포함되어 있었고, 이 중 네 번째 이름인 "레드 윙스"가 선택되었다. 이는 처음 세 개의 이름인 뉴욕 레인저스, 시카고 블랙호크스, 뉴저지 데블스를 당시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고 있던 군부대의 이름으로 오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60][63] 이 작전명은 작전을 바탕으로 출간된 책 '론 서바이버'로 인해 종종 "레드윙 작전"으로 잘못 언급되기도 한다.
3. 배경
2001년 초기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미국 군대와 연합군의 작전은 "운동적 군사 행동"에서 대테러전 성격으로 전환되었다.[1] 2004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연합군의 주요 목표는 국가 건설이었는데, 이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의 수립과 성장을 위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인프라를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 캠페인의 중요한 이정표는 2005년 9월 18일 아프가니스탄 국회의원 선거였다.[1]
당시 쿠나르 주에서는 22개의 반군 활동 그룹이 확인되었으며,[4] 이들 중 일부는 탈레반, 알 카에다와 불안정한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대다수는 지역 범죄자에 불과했다. 이들은 반연합 민병대(ACM)로 통칭되었으며,[1] 국가 통일에 대한 강력한 저항과 쿠나르 지역 내 국가 정부 기관의 존재 증가에 반대했다. 이는 부활하는 네오 탈레반 지원, 목재 밀수 시도 등 그들의 활동에 위협이 될 수 있었다.[1]
아프가니스탄 동부 쿠나르주 아사다바드 인근에서는 의회 선거 방해를 노리는 구 탈레반 세력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던 것은 150명 정도의 무장 세력을 이끄는 아흐마드 샤였다.
미국군은 아흐마드 샤를 제거하기로 결정하고, 네이비 씰(Navy SEALs) 팀 10을 파견하기로 하여 본 작전이 입안되었다. 4명의 정찰팀을 파견하여 가능하다면 저격으로 사살하고, 불가능하다면 항공 지원을 통한 공습으로 제거할 예정이었다.
3. 1. 작전 이전 아프가니스탄의 환경
2001년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미군과 연합군의 작전은 반란 진압 작전으로 전환되었다.[60] 2004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연합군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국가 건설, 즉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의 설립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안보 환경 제공 및 인프라를 지원하는 것이었다.[59][60] 이 캠페인이 성공하기 위해서 중요한 기점은 2005년 9월 18일 아프가니스탄 총선이었는데,[59][60]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많은 지방들이 안정적인 안보 환경을 가지고 있었지만, 파키스탄과의 국경에 있는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위치한 쿠나르 주의 경우, 그러한 환경이 보장되지 못하고 안보가 위협받는 곳이었다. 선거 결과가 아프가니스탄과 전 세계 시민들에게 합법적으로 보이려면, 쿠나르의 선거를 포함하여 아프가니스탄 전역의 모든 선거가 "방해받지 않고"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60][63]
이 시기 쿠나르 주에서 반군 활동은 22개의 확인된 그룹에서 비롯되었으며,[4] 이 중 일부는 탈레반 및 알 카에다와 불안정한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대다수는 지역 범죄자들에 불과했다. 이 그룹들은 통칭하여 반연합 민병대(ACM)로 알려졌으며,[1] 모든 그룹의 공통점은 국가의 통일에 대한 강력한 저항과 쿠나르 지역에서 국가 정부 기관의 존재가 증가하는 것에 대한 반대였다. 이는 부활하는 네오 탈레반을 지원하고 목재 밀수를 시도하는 것을 포함한 그들의 활동에 위협이 될 수 있었다.[1] 쿠나르에서의 성공적인 선거를 목표로, 이 지역의 군사 작전은 주로 ACM 활동을 방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군사 작전은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다른 부대와 작전 구조를 활용했다.
아프가니스탄 동부 쿠나르주 아사다바드 인근에서 의회 선거 방해를 노리고, 구 탈레반 세력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던 것은 150명 정도의 무장 세력을 이끄는 아흐마드 샤였다.
3. 2. 선행된 작전
2004년 말,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쿠나르주를 포함한 동부 지역 사령부에 배치된 미 해병대 3사단 3대대(이하 3/3)는 이 지역에서 대대의 반란 진압을 위한 특수 작전 사령부 교리로 인해 부대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60]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은 대대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것과 그 지역의 특수 작전 부대의 습격 위험이 도사렸기 때문이다.[66]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3/3의 부대원들은 특수 작전 부대를 작전에 통합하는 작전을 구상했다. 대대와 특수 작전 부대 간의 정보 공유를 허용하고, 대대별로 통합된 특수 작전 자산 및 작전에 대한 확실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60][66] 이 작전을 기반으로 3/3이 수행한 작전은 반동맹 민병대(이하 ACM) 활동을 중단시키는 데 성공했다.
첫 번째 작전은 2005년 2월에 쿠나르 주 페치 구에 있는 코랑갈 계곡에서 진행된 스퍼스 작전(샌안토니오 스퍼스 농구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이었다. 스퍼스 작전은 네이비씰을 투입하여 5단계 작업 중 두 단계를 선행하는 작전이었다.[60] 2005년 4월의 매버릭스 작전(댈러스 매버릭스 농구팀의 이름을 딴 작전)과 2005년 5월의 셀틱스 작전(보스턴 셀틱스 농구팀의 이름을 딴 작전)이 그 뒤를 이었다.[68] 네이비씰을 포함한 이러한 작전은 대대가 구상하고 계획했으며, 네이비실과 관련된 단계의 세부 사항은 네이비씰이 자체적으로 계획했다.[60][69] 각 작전은 3주에서 4주간 진행되었다.[69] 3/3은 이러한 작업을 대략 한 달에 한 번씩 계획하고 실행하여 일관된 작전 운영 속도를 유지했다.[60][69]
3/3의 가장 큰 성과는 2005년 4월 코랑갈 계곡에서 작전을 수행한 나즈무딘(Najmudeen)으로 알려진 ACM 지휘관의 지역 및 국가적 목표물을 강제로 항복시키고 수복한 것이다.[60][69] 그러나 나즈무딘의 항복은 이 지역에 권력의 공백을 남겼고, 질서의 균열을 야기했다.[60][63][69]
3/3은 이 지역의 주도권을 수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알려진 특정 ACM 그룹을 추적하기 위해 새로운 작전을 계획하기 시작했는데, 이 작전은 잠정적으로 댈러스 스타즈 프로 하키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70] 이 작전은 ACM 활동을 방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나즈무딘의 항복으로 활동이 감소했고, 특정 그룹의 소재등의 정보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60]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2005년 5월, 3/3 자매 대대의 선발대인 2/3가 동부 지역 사령부에 도착했다. 2/3가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기 전에도 정보 장교 스콧 웨스터필드 대위와 그의 조수들은 3/3 정보 장교가 보낸 정보를 바탕으로 아흐마드 샤(Ahmad Shah)라는 사람이 이끄는 소규모 조직을 추적했다. 아흐마드 샤는 쿠나르 주의 남쪽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낭가르하르 주의 외딴 지역 출신으로, 소형 무기 매복과 즉석 폭발 장치(IED) 공격을 포함하여 연합군과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대한 대략 11건의 사건의 주범이었다.
2005년 6월까지, 2/3는 3/3을 대체해서 스타즈 개념을 사용하여, 레드 윙스 작전이라고 불릴 포괄적인 작전을 개발했다. 레드 윙스 작전의 목표는 ACM 활동을 방해하는 것이었고, Sawtalo Sar 정상 근처에 기반을 둔 아흐마드 샤의 활동을 방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60][63][67][68][69][71]
4. 정보 수집 및 작전 계획
2/3 대대 참모진은 아프가니스탄에 도착하여 레드 윙스 작전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2/3 대대장 앤드루 맥매니스 중령과 참모진은 3/3 대대가 설정한 작전 속도를 유지하고자 했다. 2/3 작전 장교인 토마스 우드 소령은 스타 작전 모형을 기반으로 5단계 레드 윙스 작전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2/3 정보 장교인 스콧 웨스터필드 대위는 아흐마드 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집중했다. 2/3 "위스키 중대" 소대장 리건 터너 소위가 샤에 대한 풍부한 인간 정보를 수집하면서 샤에 대한 정보가 크게 향상되었다. 터너 소위는 정찰 중 샤의 본명(아흐마드 샤 다라-이-누르), 출생지(낭가르하르 주 쿠즈 쿠나르 구), 별명(이스마엘), 주요 충성 대상(굴부딘 헤크마티아르), 주둔지(파키스탄 페샤와르 근처 샴사토 난민 캠프), 병력 규모(50~100명), 목표(선거 방해 및 탈레반 지원)를 파악했다.[72][73][74][75] 샤는 지역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역적 야망을 품고 헤크마티아르의 지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었다. 터너 소위는 샤의 사진도 여러 장 수집했다.
인간 정보 및 신호 정보를 포함한 추가 정보에 따르면 샤는 윗 코랑갈 계곡 사와탈로 사르 산 경사면 치찰 마을 외곽의 작은 건물에서 활동했다. 이 지역은 쿤나르 주도 아사다바드 서쪽 약 약 32.19km 지점이었다. 2005년 6월 17일 무인 항공기 영상 정보를 통해 웨스터필드는 주거, IED 제작, IED 공격 감시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건물을 식별했다. 정보 참모진은 샤가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특정 건물이 있는 4개 관심 지역을 식별했다.[62] 웨스터필드와 참모진은 샤와 부하들이 IED 공격, 소화기 매복 등 미국, 연합군, 아프가니스탄 정부 대상 약 11건의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샤와 부하들이 6월 말(달빛이 적은 시기) 치찰 지역을 점령할 것으로 보고, 헬리콥터로 병력을 투입해 봉쇄하고 수색하는 작전을 계획했다. 며칠 전 어둠을 틈타 진입한 미 해병대 정찰 저격수 팀이 샤를 식별한 후 야간 작전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3/3 대대처럼 2/3 대대도 레드 윙스 작전에 특수 작전 부대 자산을 사용하려 했으나, 지상군 대신 160 SOAR의 MH-47 특수 작전 항공기를 사용하려 했다. 아프가니스탄 연합 합동 특수 작전 태스크 포스는 작전 초기 단계를 특수 작전 지상군에 할당해야 한다며 거부했다. 초기 단계에 2/3 해병대는 지원 역할을 하고, 완료 후 주도적 역할을 맡는 방식이었다. 대대는 동의했지만, 비전통적 지휘 구조가 "지휘 통일"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단했다.[69] 작전은 여러 특수 작전 부대에 제시되었고, 미 해군 SEAL 팀 10과 SEAL 투하 차량 팀 1이 관심을 표명했다.[59]
레드 윙스 작전은 5단계로 계획되었다.
- 1단계 - '''특정''': SEALs 정찰팀이 샤의 은신 예상 지역에 접근, 조사하여 위치를 특정하고 2단계 공격팀을 유도한다. 가능하다면 제거한다.
- 2단계 - '''제거''': SEALs 공격팀은 해병대 지원을 받아 MH-47 치누크로 샤와 부하들을 생포 또는 사살한다.
- 3단계 - '''경계 및 주변 안전 확보''': 해병대는 아프가니스탄 국가군과 연계, 주변 산악 지대 무장 집단을 소탕한다.
- 4단계 - '''지역 안정화''': 해병대, 아프간 국가군, 해군 위생병은 주민 요청에 따라 의료, 도로, 우물, 학교 등 인프라를 정비한다.
- 5단계 - '''철수''': 상황에 따라 해병대는 최장 1개월간 잔류, 안정화에 기여 후 철수한다.
해병대가 작전 기본 부분을 입안했고, 세부 활동은 SEALs에 일임되었다.
4. 1. 네이비씰 팀의 투입과 위기
2005년 6월 27일 밤 늦게, 두 대의 MH-47 헬리콥터가 사왈탈로 사르에 접근했다. 헬리콥터 중 한 대가 적 관측병을 오인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미끼 투하"를 하는 동안, 다른 헬리콥터는 사왈탈로 사르와 그 바로 남쪽에 있는 봉우리인 가티갈 사르 사이의 안장에 패스트 로프를 통해 4명의 네이비 씰 정찰 및 감시팀을 투입했다. 투입 지점은 가장 가까운 관심 구역에서 약 약 2.41km 떨어져 있었다.[60][62]당시 팀원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계급 | 비고 |
---|---|---|
마이클 P. 머피 | 대위 (1계급 추서) | 팀장 |
대니 디츠 | 하사 (1계급 추서) | |
매튜 G. 액슨 | 하사 (1계급 추서) | |
마커스 러트렐 | 병장 |
네이비씰 팀이 사전에 결정된 감시 위치로 이동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현지 염소 목동 3명과 마주쳤다. 이들을 구속했지만, 산악 지형으로 인해 전파가 좋지 않아 전선 기지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머피 중위는 고심 끝에 현장 판단으로 이들을 비전투원으로 간주하고 교전 규칙에 따라 석방했다.[60][76]
이후 팀은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하고 예비 위치로 후퇴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1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네이비씰 팀은 RPK 기관총, AK-47, RPG-7 로켓 추진 수류탄, 82mm 박격포로 무장한 아흐마드 샤와 그의 부하들에게 공격을 받게 되었다.[60][61][62] 이들은 슈리예크 계곡 쪽에 있는 사왈탈로 사르의 북동쪽 만으로 내몰렸고, 위치를 보고하고자[60] 네이비씰 팀은 AN/PRC-148 다중 대역 무전기 및 위성 전화로 전투 운영과에 연락을 시도했다.[60] 그러나 통신 환경이 좋지 않아 팀은 공격을 받고 있다는 것만 알릴 수 있었을 뿐, 명확한 의사소통을 구축할 수 없었다.[61]
결국 교전으로 인해 네 명의 팀원 중 세 명이 사망했고, 유일한 생존자인 마커스 러트렐 병장은 다발성 외상과 골절로 인해 의식을 잃은 채 남겨졌다. 다행히도 그는 의식을 되찾았고, 지역 파슈툰에 의해 구조되었다. 도움이 없었다면, 그는 아마도 탈레반에 의해 죽거나 붙잡혔을 것이다.[77][78][79]
4. 2. 2차 작전
네이비씰 정찰 및 감시 팀이 매복 공격을 당하면서, 작전의 초점은 ACM(반군 연합) 활동 방해에서 실종된 네이비씰 팀원들을 찾아 구출하는 것으로 즉시 전환되었다. 이 작전은 차후에 "레드 윙스 II 작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9]
네이비씰 팀으로부터의 통신이 두절된 후, 그들의 위치와 상황은 알려지지 않았다. 네이비씰 10팀 대원들과 미 해병대, 그리고 미국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의 항공기 조종사들은 신속히 긴급 대응 부대를 파견할 준비를 하고 있었지만, 상급 특수작전본부의 발사 승인은 몇 시간 동안이나 지연되었다. 마침내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의 MH-47 특수 작전 항공기 2대, 재래식 육군 UH-60 블랙 호크 헬리콥터 2대, 그리고 AH-64 아파치 공격 헬리콥터 2대로 구성된 긴급 대응 부대가 출격했다. 두 대의 MH-47이 선두에 섰는데, Sawtalo Sar에 도착하자마자, 두 대의 MH-47은 소형 무기 사격을 받았다. 아흐마드 샤의 부하 중 한 명이 RPG-7 로켓 추진 수류탄을 발사하여 후방 변속기를 타격했고, 이로 인해 항공기는 즉시 지상으로 추락했다. 이 공격으로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항공기 사령관 스티븐 C. 라이히 소령을 포함한 8명의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항공기 조종사와 승무원, 그리고 탑승한 8명의 해군 특수부대원들이 모두 사망했다.[59]
이 시점에 지휘 및 통제가 상실되었고, 네이비씰 팀과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없게 되었다. 더군다나 오후 늦게, 폭풍 구름이 해당 지역의 상공으로 이동하고 있었기에 항공기는 어쩔 수 없이 각자의 기지로 돌아갔다. 이후에 처음에는 지상에서 대대적인 수색이 시작되었고, 그 다음에는 MH-47 총격으로 사망한 16명의 시신을 회수할 수 있는 항공 자산을 활용한 수색이 시작되었다. 한편, 마커스 러트렐은 매복 공격 장소에서 북동쪽 Sawtalo Sar[62] 아래로 약 약 1.13km 떨어진 Salar Ban 마을에서 현지 아프간인 굴라브에게 발견되어 보호받게 되었다.[59][60] 그의 생존 소식이 전해진 후, 미국 공군 낙하산 구조대원 조쉬 아펠과 크리스 피어체치는 럿트렐이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대해 설명한 것을 근거로 하여, 이틀 후 전투 현장으로 돌아가 디츠, 머피, 그리고 악셀슨의 유해를 되찾을 수 있었다.[80][81]
4. 3. 마커스 러트렐의 생존
레드 윙스 작전 이후 수년간의 조사 결과, 러트렐의 생존을 둘러싼 현장 상황에 대해 여러 사실이 드러났으며, 그중에는 러트렐이 지역 주민들로부터 보호를 받았다는 사실도 포함된다.[60][82] 그러나 러트렐을 도운 아프간인들에 관한 많은 소식들이 사건 발생 이후 수일간 미국 언론에 잘못 보도되었다.[60][82]아흐마드 샤의 탈레반 부대와 격돌한 네이비씰 팀의 교전은 Sawtalo Sar[83] (최고봉은 2830m)라고 불리는 고지대 능선을 따라 시작되었다.[62] 이 능선의 동쪽을 따라 내려가면 슈리예크 계곡으로 이어지는데, 네이비씰 팀이 포위되어 갇혔던 북동쪽 포구는 살라 반 마을 위 이 방향이었다. 부상당한 러트렐이 산 아래로 내려왔을 때, 그는 살라 반의 산 마을에서 모하마드 굴랍 칸이라는 파슈툰족을 만났다.[60] 그는 나나와타이의 파슈툰왈리 관습에 따라 러트렐을 그의 집으로 데려갔고, 미군이 연락할 수 있을 때까지 러트렐을 보호하기 위해 마을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60]
이는 레드 윙스 작전이 진행되기 얼마 전에, 미국의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인도주의적인 활동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과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지원으로 해당 지역에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었고 낭갈람에는 여학교가 지어졌다.[60] 굴랍은 이러한 상황을 알고 있었고, 굴랍이 러트렐에게 안전 구역을 배정해준 것은 미국의 이러한 호의 때문이었다.[60] 탈레반 지도자인 아흐마드 샤는 그가 추적하고 있던 러트렐이 내리막길을 걸을 때 살라 반 마을을 지나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협박을 통해 어느 집이 러트렐을 보호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 그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으나, 굴랍은 미군이 연락할 수 있을 때까지 러트렐을 보호하기 위해 마을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했다. 샤는 수적으로 열세였기 때문에 그 단계에서 싸울 위험을 무릅쓸 수 없었고, 지역의 지지 기반을 얻기 위해 순순히 물러났다. 러트렐이 슈리예크 대신 코랑갈 계곡으로 내려갔다면 탈레반에게 넘겨졌을 가능성이 높다.[60]
러트렐은 메모를 써서 아사다바드의 미군 기지로 자신을 후송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굴랍은 이전에 낭갈람에서 해병대 사령관을 만났기 때문에 살라 반 마을의 다른 지역에 사는 나이든 남자 시나에게 미군 기지로 보내는 쪽지를 자신을 대신하여 전달해 달라고 부탁했다.[60] 시나가 한밤중에 낭갈람에 위치한 미군 기지에 도착했을 때, 그는 사령관을 만나 러트렐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러트렐이 쓴 노트를 사령관에게 전달했다.[60] 마커스 러트렐이 구출된 지 몇 주 후, 굴랍과 그의 가족은 탈레반으로부터 위협을 받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그의 가족은 아사다바드로 옮겨졌다.[60]
4. 4. 이후 영향
아프가니스탄에 남아있던 아흐마드 샤와 그의 조직은 레드 윙스 작전의 실패로 남겨진 여러 장비를 획득했다. 여기에는 M203 40mm 유탄 발사기가 장착된 SOPMOD M4 카빈소총 3정, 카불 주재 대사관 지도, 야간 투시 장치, 많은 양의 무기, 탄약 등이 포함되었다. 이 물품들은 상태가 양호하여 미국, 연합군 및 아프가니스탄 정부 기관에 대한 공격에 사용될 수 있었다.[60] 샤는 매복 당시 두 명의 비디오 제작자와 함께 있었기 때문에 매복 영상과 네이비씰로부터 획득한 장비들의 이미지를 비디오로 제작하여 공개할 수 있었다.[60]미군은 레드 윙스 작전의 사상자 수색, 구조 및 전장 복구 작업에 많은 자원을 투입했다. 그 결과, 아흐마드 샤와 그의 부하들은 파키스탄으로 피신하여 재집결할 수 있었고, 이는 잔존한 ACM 조직을 추적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레드 윙스 작전 이후, 2/3의 지상 부대는 아프가니스탄 육군, 육군 특수 작전 부대, 해군 특수 작전 부대의 일원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순찰을 실시했다. 이러한 작전은 ACM 활동을 방해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었고, 미군이 해당 지역에서 철수하자 아흐마드 샤와 그의 강화된 조직은 몇 주 후에 쿠나르 주로 돌아올 수 있었다.[60]
이 사건은 국제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 아흐마드 샤 조직의 매복과 MH-47 격추에 대한 보도가 이어졌다. 샤의 그룹은 이후 모집된 조직원들이 합류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2차 레드 윙스 작전 말기에 미군과 연합군이 철수하면서 샤와 그의 그룹은 쿠나르 지방으로 돌아와 미군에 대한 공격을 재개할 수 있었다.
레드 윙스 작전의 후속 임무는 2005년 8월 2/3가 계획하고 실행한 웨일러스 작전(하키팀 하트포드 웨일러스에서 유래)이었다.[60][61] 이 작전으로 쿠나르 주에 있는 아흐마드 샤의 잔존 세력은 무력화되었고, 샤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59][60][63] 샤는 2008년 4월, 카이버-파흐툰크화에서 파키스탄 경찰과의 총격전 중에 사망했다.[84]
구조 임무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고 있다고 보고했다.[40]
중상을 입은 마커스 러트렐 일등병조는 현지 아프가니스탄인에게 숨겨졌다가 6일 후 미군에 의해 구출되어 생환했다. 미군은 구출 작전 당시 주변의 탈레반에게 공습을 가했지만, 아흐마드 샤를 사살하지는 못했다. 샤는 2008년 도주한 파키스탄에서 경찰에 의해 사살되었다.
러트렐 일등병조는 자신을 도와준 현지 아프가니스탄인에 대해 "마을 사람들과 여전히 교류하고 있으며, 특히 두 사람과 친교가 있는데, 그 중 한 명은 무하마드 구라브 씨입니다. 그의 아이들과도 연락하고 있습니다. 전기가 없는 마을이라, 전화를 할 때는 휴대폰이나 어딘가로 이동하여 메일을 합니다. 미국에서 본 작전이 공개되었을 때, 구라브 씨를 초청하여 수개월 동안 함께 지냈습니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했지만, 사실 그가 저를 도와준 일 때문에 자신의 목숨을 계속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위험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길 원치 않았고, '(미국에) 남아줬으면'하고 간청했지만, 그는 긍지 높은 아프가니스탄인으로서 자신의 나라로 돌아갔습니다. 그는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인데, 그것은 살아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58]
5. 사상자 명단
이름 | 나이 | 사망 사유 | 소속 |
---|---|---|---|
마이클 P. 머피 | 29 | 1차 작전 당시 적의 매복 공격으로 사망 | 네이비 씰 |
매튜 액슬슨 | 29 | ||
대니 디츠 | 25 | ||
자크 J. 폰탄 | 36 | 헬리콥터 파견 때 적의 RPG-7 공격으로 헬리콥터 파손, 즉사 | |
대니얼 R. 힐리 | 36 | ||
에릭 S. 크리스텐슨 | 33 | ||
제프리 A. 루카스 | 33 | ||
마이클 M. 맥그리비 주니어 | 30 | ||
제임스 E. 수 | 28 | ||
제프리 S. 테일러 | 30 | ||
셰인 E. 패튼 | 22 | ||
샤무스 O. 고어 | 29 | 헬리콥터 파견 때 적의 RPG-7 공격으로 헬리콥터 파손, 즉사 | 제160 특수 작전 항공 연대 |
코리 J. 굿네이처 | 35 | ||
킵 A. 제이코비 | 21 | ||
마커스 V. 머랄레스 | 33 | ||
제임스 W. 폰더 3세 | 36 | ||
스티븐 C. 라이히 | 34 | ||
마이클 L. 러셀 | 31 | ||
크리스 J. 셔켄바흐 | 40 |
2006년 9월 14일, 디츠와 액슨은 사후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2007년, 머피는 사후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6. 론 서바이버와의 차이점
《'''론 서바이버'''》는 레드 윙스 작전의 유일한 생존자인 마커스 러트렐 병장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책과 영화이다. 책은 2007년에, 영화는 2013년에 각각 출판 및 공개되었다. 《'''론 서바이버'''》의 성공으로 레드 윙스 작전이 세간의 주목을 받았지만, 《'''론 서바이버'''》는 실제 작전과 차이가 커서 과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첫째, 교전한 탈레반의 숫자이다. 러트렐은 작전 직후 상부 보고서에 탈레반 병력 규모를 20~35명으로 추정했지만, 책에서는 80~200명이라고 주장했다.[60] 그러나 초기 정보에 따르면 해당 지역 탈레반 반군은 10~20명으로 추정되었다.[61] 군 공식 언론 보도는 20명, 머피의 명예 훈장 인용문에는 30~40명으로 추정했다.[85] 군사 저널리스트 에드 대럭은 탈레반 병력이 8~10명이라는 군사 정보 보고서를 인용했다.[61][86]
둘째, 네이비씰 팀이 양치기를 만났을 때 취한 행동이다. 러트렐은 책에서 비무장 민간인 처형 가능성을 투표에 부쳤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해군 특수전 사령부 대변인 스티브 러 중위는 현장 지휘 결정은 선임자가 단독으로 결정하며, 비무장 민간인 처형 투표는 들어본 적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군사 규약, 미국 및 국제 군사 교리, 교전 규칙은 비무장 민간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금지하며, 당시 가장 중요한 교전 규칙 중 하나는 "민간인은 표적이 아니다!"였다.[76][69]
7. 작전 실패의 이유
가장 주된 실패 이유로는 네이비씰의 육상전투수행능력 부족이 언급된다. 레드 윙스 작전 당시 네이비씰 팀은 쿠나르 주에 침투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이용했는데, 작전 지역이 산악 지형이라 소음이 널리 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심각한 문제였다. 심지어 해병대가 처음 계획한 작전은 도보 침투였는데, 네이비씰 팀이 단독으로 공중 침투로 바꾼 점은 더 큰 충격을 준다.
또한, 통신 장비 문제도 있었다. 네이비씰 팀은 AN/PRC-148 무전기나 사마륨-이리듐 코팅 위성전화기 한 대를 휴대했는데, 이 장비는 아프가니스탄의 전략적인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기상이 좋지 않으면 통신이 불가능했고 민간에 유출되지 않아 통신이 매우 불량했다. 네이비씰 팀은 작전 지역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더 좋은 장비 대신 이 장비를 선택했고, 교전에 필요한 무기도 최소한으로 휴대하는 등 육상 실전 경험과 교전 수행 능력 부족이 실패의 주된 이유로 꼽힌다.
아흐마드 샤와 그의 부하들은 미군에게서 노획한 SOPMOD M4 카빈 소총 ( M203 40mm 유탄 발사기 장착), 카불 주재 대사관 지도가 들어 있는 하드 드라이브가 장착된 랩탑, 야간 투시 장치, 저격수 관측경 등 다량의 무기와 물품을 사용해 미국과 연합군, 아프간 정부에 대항했다. 샤는 매복 당시 비디오 작가 두 명을 동행시켰고, 아스-사하브 미디어는 매복 영상과 노획 물품 이미지를 공개했다.
8. 매체
EA 로스엔젤레스가 2010년에 발매한 1인칭 슈팅 게임 《메달 오브 아너》의 싱글플레이 임무 중 일부로 각색되어 구현되었다.[1]
2013년에 개봉된 영화 《론 서바이버》는 네이비 실 팀원들의 여정에 집중했다.[1]
마커스 러트렐의 자서전은 《론 서바이버: 레드 윙스 작전의 목격담과 네이비 씰 10팀의 잃어버린 영웅들(Lone Survivor: The Eyewitness Account of Operation Red wings and the Lost Heroes of SEAL Team 10)》(2007)이다.[1]
마크 월버그가 주연을 맡은 미국의 영화 《론 서바이버(Lone Survivor)》(2013)는 럿렐의 책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1]
9. 참고문헌
- 에드 다랙 (2010). ''Victory Point: Operations Red Wings and Whalers – The Marine Corps' Battle for Freedom in Afghanistan'' 펭귄 그룹.
- 마커스 러트렐; 패트릭 로빈슨 (2007). ''Lone Survivor: The Eyewitness Account of Operation Redwing and the Lost Heroes of SEAL Team 10''. Back Bay Books.
- 게리 윌리엄스 (2010). ''Seal of Honor: Operation Redwing and the Life of LT. Michael P. Murphy, USN''. 미 해군 연구소.
참조
[1]
뉴스
Operation Red Wings: A Joint Failure in Unity of Command
http://www.marinecor[...]
2012-02-05
[2]
뉴스
Operation Red Wings: What Really Happened?
http://www.marinecor[...]
2011-01
[3]
웹사이트
Summary of Action
http://www.navy.mil/[...]
2005-06-28
[4]
웹사이트
Operation Red Wings, Operation Whalers, and the book ''VICTORY POINT'' in which they are comprehensively documented
http://www.darack.co[...]
2011-06-13
[5]
웹사이트
Operation Red Wings June 28, 2005 (Medal of Honor Summary of Action)
http://www.navy.mil/[...]
US Navy
[6]
웹사이트
On Violence: He Got the Title Wrong? And 6 More Mistakes from Luttrell's "Lone Survivor"
http://onviolence.co[...]
2012-02-06
[7]
웹사이트
'Lone Survivor' smackdown
http://ricks.foreign[...]
2011-06-13
[8]
웹사이트
Topographic Map by Ed Darack used in Victory Point of Named Areas of Interest on Sawtalo Sar for Operation Red Wings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9]
웹사이트
Bara bin Malek Front commander killed in Pakistani shootout
http://www.longwarjo[...]
2008-12-10
[10]
간행물
Operation Red Wings Possible Hockey Team Names List by Lance Seiffert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1-06-13
[11]
문서
Operation Redwing was a 1956 series of nuclear weapons tests.
[12]
간행물
Archived Version of Victory Point Web Site, from 2006, Pointing out Difference between Operation Redwing and Operation Red Wings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13]
간행물
Books: Lone Survivor
https://www.nytimes.[...]
2012-02-06
[14]
간행물
Writing Lone Survivor: The Honor and the Anguish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2-02-06
[15]
간행물
Operation Pil Targets Taliban in Kunar Province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1-06-13
[16]
간행물
Operation Sorkh Khar (Red Donkey)
http://www.mcbh.usmc[...]
Hawaii Marine / MCBH.USMC.MIL
2011-06-13
[17]
간행물
To Integrate or To Deconflict, That is the Question: An Examination of Contemporary Challenges in Conventional and Special Operations Forces Command and Control
http://www.dtic.mil/[...]
Joint Military Operations Department, Naval War College
2012-02-06
[18]
간행물
Operation Spurs
http://www.defendame[...]
DefendAmerica.com
2012-02-06
[19]
간행물
Operation Mavericks
http://www.military.[...]
Military.com
2012-02-06
[20]
간행물
Operation Celtics
http://www.defense.g[...]
Defense.gov
2012-02-06
[21]
간행물
Command Chronology for 3rd Battalion, 3rd Marines, January through June, 2005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5
[22]
간행물
Mountain Marines and Bridgeport Celebrate 233 Years
http://www.dvidshub.[...]
DVIDSHUB.net
2012-02-06
[23]
간행물
Photograph of Ahmad Shah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24]
간행물
Photograph of Ahmad Shah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25]
간행물
Photograph of Ahmad Shah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26]
간행물
Photograph of Ahmad Shah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27]
간행물
Scan of the CJTF-76 (Combined Joint Task Force 76) ROE (Rules of Engagement) Card, With Majority of Rules Blanked Out, And Relevant Rule on Civilians Left for Viewing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2-02-06
[28]
웹사이트
Lt. Michael P. Murphy, SEAL Delivery Vehicle Team ONE
http://www.defenseme[...]
defensemedianetwork.com
2012-01-22
[29]
웹사이트
Lt. Michael P. Murphy USN
http://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12-01-22
[30]
웹사이트
Surviving SEAL tells story of deadly mission
http://www.armytimes[...]
Army Times
2008-07-21
[31]
Youtube
"That Others May Live"
https://www.afrc.af.[...]
United States Air Force
2023-08-28
[32]
뉴스
Navy SEAL Down - A Tucson helicopter crew looks back on an unforgettable rescue in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https://www.tucsonwe[...]
Tucson Weekly
2023-08-28
[33]
웹사이트
Barnidge: To Concord native, 'Lone Survivor' is far more than a movie
https://www.eastbayt[...]
2022-07-04
[34]
웹사이트
UA Emergency Medicine Doc Rescued "Lone Survivor"
https://uahs.arizona[...]
2022-07-04
[35]
문서
NOTE: Many of the details regarding the Afghans who aided Luttrell were reported incorrectly in the American press during the days after the events occurred. Darack lists these on p. 167-168
[36]
웹사이트
Aerial Map of Sawtalo Sar region
http://www.darack.co[...]
[37]
웹사이트
Satellite image via Google Maps of location of Nangalam in Afghanistan
https://archive.toda[...]
[38]
뉴스
U.S. military searches for missing SEAL
http://www.cnn.com/2[...]
CNN News
2008-12-14
[39]
뉴스
Helicopter crash victims identified
http://edition.cnn.c[...]
CNN News
2008-12-14
[40]
뉴스
Heaing a Broken Life
https://web.archive.[...]
2013-02-04
[41]
웹사이트
Operation: Never Forget
https://web.archive.[...]
Families of American Military, Inc. (FamOnline.org)
2008-12-14
[42]
웹사이트
About the artist: W. Stanley "Sandy" Proctor
http://www.proctorbr[...]
W. Stanley Proctor bronzes
2014-08-13
[43]
뉴스
Bronze Gators
http://wlunews.wordp[...]
Washington and Lee University
2014-09-06
[44]
뉴스
Silicon Valley honors veterans
https://web.archive.[...]
2014-08-20
[45]
Video
The Movie, Lone Survivor, Has a Local Tie to Tallahassee
http://www.wctv.tv/h[...]
WCTV
2014-09-04
[46]
뉴스
SEALs in bronze: Tallahassee artist memorializes 'Lone Survivor' warriors
https://web.archive.[...]
Tallahassee.com
2014-09-05
[47]
웹사이트
Afghanistan-Iraq War Memorial - Memorial Park - Cupertino, CA - Afghanistan-Iraq War Memorials
http://www.waymarkin[...]
Waymarking.com
2014-09-06
[48]
뉴스
SEALs in bronze
http://www.tallahass[...]
2014-08-13
[49]
웹사이트
Matt Axelson Family Interview
http://www.militarym[...]
Military Movies & News
2014-09-06
[50]
간행물
Official Citation
https://web.archive.[...]
Navy.mil
2011-06-13
[51]
간행물
Summary of Action
https://web.archive.[...]
Navy.mil
2011-06-13
[52]
웹사이트
Survivor's book dishonors son's memory
http://www.shadowspe[...]
2008-07-21
[53]
웹사이트
OPERATION RED WINGS – The (Mis)Information Aftermath
http://www.darack.co[...]
2011-01
[54]
서적
Victory Point: Operations Red Wings and Whalers – The Marine Corps' Battle for Freedom in Afghanistan
Penguin Group
[55]
간행물
Operation Red Wings: What Really Happened?
http://www.marinecor[...]
Marinecorpsgazette-digital.com
2011-06-13
[56]
웹사이트
Operation Red Wings, Operation Whalers, and the book ''VICTORY POINT'' in which they are comprehensively documented
http://www.darack.co[...]
Darack.com
2011-06-13
[57]
webarchive
Operation Redwing June 28, 2005
http://www.navy.mil/[...]
2014-01-14
[58]
웹사이트
映画『ローン・サバイバー』で描かれるレッド・ウィング作戦 奇跡の生還者が来日!
https://web.archive.[...]
2022-09-14
[59]
웹인용
Marine Corps Gazette - December 2006 - Departments (Page 14)
http://www.marinecor[...]
2023-06-06
[60]
저널
Victory Point
https://en.wikipedia[...]
2022-02-01
[61]
웹인용
Marine Corps Gazette - January 2011
http://www.marinecor[...]
2023-06-06
[62]
웹인용
Map of NAIs for Operation Red Wings / Map by Ed Darack used on page 91 of VICTORY POINT
http://www.darack.co[...]
2023-06-06
[63]
웹인용
Operation Red Wings, Operation Whalers, and the book VICTORY POINT in which they are comprehensively documented / Ed Darack
http://www.darack.co[...]
2023-06-06
[64]
웹인용
He Got The Title Wrong? and 6 More Mistakes from Luttrell's "Lone Survivor" - On Violence
http://onviolence.co[...]
2023-06-06
[65]
웹인용
Lance Seiffert's List of Hockey Team Names / Operation Red Wings
http://www.darack.co[...]
2023-06-06
[66]
웹인용
Wayback Machine
http://www.dtic.mil/[...]
2023-06-06
[67]
웹인용
DefendAmerica News - Operation Spurs
http://www.defendame[...]
2023-06-06
[68]
웹인용
News Archive
https://www.defense.[...]
2023-06-06
[69]
웹인용
Wayback Machine
http://www.darack.co[...]
2023-06-06
[70]
웹인용
Mountain Marines and Bridgeport celebrate 233 years
https://www.dvidshub[...]
2023-06-06
[71]
웹인용
Military Daily News
https://www.military[...]
2023-06-06
[72]
웹인용
Ahmad Shah, enemy combatant discussed in VICTORY POINT
http://www.darack.co[...]
2012-11-03
[73]
웹인용
Ahmad Shah, enemy combatant cell leader discussed in VICTORY POINT
http://www.darack.co[...]
2012-11-03
[74]
웹인용
Ahmad Shah, enemy combatant cell leader discussed in VICTORY POINT
http://www.darack.co[...]
2021-11-08
[75]
웹인용
Ahmad Shah, enemy combatant cell leader discussed in VICTORY POINT
http://www.darack.co[...]
2021-11-08
[76]
웹인용
CJTF-76 OEF (Operation Enduring Freedom) ROE (Rules of Engagement) Card
http://www.darack.co[...]
2023-06-06
[77]
저널
Lone Survivor (book)
https://en.wikipedia[...]
2023-03-21
[78]
웹인용
Five Navy SEALs and the Medal of Honor
https://www.defensem[...]
2023-06-06
[79]
웹인용
Biography
http://www.navy.mil/[...]
2012-09-15
[80]
웹인용
Barnidge: To Concord native, ‘Lone Survivor’ is far more than a movie – East Bay Times
https://www.eastbayt[...]
2018-07-01
[81]
웹인용
UA Emergency Medicine Doc Rescued "Lone Survivor" {{!}} The University of Arizona Health Sciences
https://uahs.arizona[...]
2017-11-12
[82]
문서
[83]
웹인용
Planimetric View of Sawtalo Sar / Google Earth / Overlay Information by Ed Darack / VICTORY POINT
http://www.darack.co[...]
2021-02-25
[84]
웹인용
Bara bin Malek Front commander killed in Pakistani shootout {{!}} FDD's Long War Journal
https://www.longwarj[...]
2023-06-06
[85]
웹인용
soa.htm
http://www.navy.mil/[...]
2009-01-13
[86]
웹인용
He Got The Title Wrong? and 6 More Mistakes from Luttrell's "Lone Survivor" - On Violence
http://onviolence.co[...]
2012-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