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슈툰왈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슈툰왈리는 파슈툰족의 전통적인 행동 규범으로, 역사적 배경과 함께 주요 원칙들을 포괄한다. 핵심 원칙으로는 환대, 보호, 정의와 복수가 있으며, 용기, 충성심, 친절, 중재, 믿음, 존중, 자존심, 여성의 명예, 명예, 남성다움, 국가에 대한 헌신 등 다양한 가치들을 포함한다. 파슈툰왈리는 파슈툰족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사회 내 분쟁 해결과 공동체 유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문화 - 부르카
    부르카는 일부 이슬람 문화권에서 여성이 착용하는 전신 가리개로, 얼굴 전체를 가리며 눈 부위는 망사로 처리되어 있고, 착용 이유는 다양하지만 여성의 자유, 사회 통합, 안보 등의 측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각국에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문화 - 39의 저주
    39의 저주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특정 숫자 39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된 현상으로, 차량 가격 조작이나 성매매 은어 등 다양한 기원 설이 있으며 사회적 기피 현상과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파슈툰왈리
파슈툰왈리
파슈툰왈리 삽화
파슈툰왈리 삽화
다른 이름아프간왈리
푸크툰왈리
개요
유형비문자적 윤리 강령 및 생활 방식
기원파슈툰족
지역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민족파슈툰족
종교적 영향이슬람교
이슬람 이전의 전통
주요 원칙
주요 원칙멜마스티아 (손님 대접)
나나와티 (피난처)
바달 (복수)
투레 (용기)
사바트 (충성)
이마나트 (신뢰)
이스티칼 (독립)
테가 (명예)
나무스 (여성의 명예)
같이 보기
같이 보기부시도
데와
가와이드
마르다나기
무루에트
우모올로
우프라바
참고
참고파슈툰족
파슈툰 문화

2. 역사적 배경

파슈툰족은 파슈투니스타 지역(아프가니스탄 동부 및 파키스탄 북서부)에 적어도 기원전 1천년기부터 거주해 온 토착민이다.[6][7][8] 이들이 사는 산악 지형은 오랫동안 외부 정부의 통치가 미치기 어려웠으며, 이러한 환경과 외부 통치에 대한 저항 정신은 파슈툰족 고유의 관습법인 파슈툰왈리가 발전하고 유지되는 배경이 되었다. 파슈툰왈리는 약 1700년에 걸쳐 형성된 도덕 규범과 행동 규칙으로[10], 파슈툰족의 정체성과 생활 방식을 규정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해 왔다.

2. 1. 파슈툰족의 정체성과 자치

파슈툰족은 강한 독립심을 가진 민족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어도 기원전 1천년기부터 파슈투니스타 지역(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동부 및 파키스탄 북서부)에 살아온 토착민이다.[6][7][8] 이들의 거주지는 험준한 산악 지형이 많아 오랫동안 중앙 정부의 통치에서 벗어나 있었다. 외부 세력의 지배에 저항해 온 역사와 지리적 특성은 파슈툰족이 고유한 생활 규범인 파슈툰왈리를 오늘날까지 지키는 배경으로 여겨진다.

파슈툰왈리는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일부 파슈툰 공동체에서도 받아들여지는 규범이다. 때로는 파슈툰족이 아닌 아프가니스탄인이나 다른 민족들도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파슈툰왈리의 이념이나 관습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반면, 도시화된 파슈툰족 중에는 파슈툰왈리를 따르지 않는 경향도 나타난다. 세대를 거쳐 전해 내려온 파슈툰왈리는 개인과 공동체의 행동 지침이 되며, 파슈툰족으로서의 정체성(파슈툰화)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2] 파슈툰족의 이상적인 행동은 파슈툰왈리가 강조하는 용기(토라), 복수(바달), 환대(멜메스티아), 패배자에 대한 관용 등 전통적인 가치와 맞닿아 있다.[9]

파슈툰족은 약 1700년의 역사를 통해 형성된 도덕 규범, 행동 규칙, 그리고 고대의 전통, 영성, 공동체적 정체성을 중요하게 여긴다.[10] 파슈툰왈리는 자존심, 독립심, 정의, 환대, 사랑, 용서, 복수, 그리고 모든 사람(특히 낯선 사람이나 손님)에 대한 관용을 중요한 가치로 삼는다.[11] 파슈툰왈리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모든 파슈툰족 개개인의 책임으로 여겨진다. 파슈툰왈리의 핵심은 좋은 주인이 되는 '멜메스티아'(환대), 망명을 제공하는 '나나와타이', 그리고 복수를 행하는 '바달'로 요약될 수 있다.[12]



파슈툰 부족은 항상 사적인 또는 공적인 전쟁에 참여한다. 모든 사람은 전사, 정치가, 신학자이다. 모든 큰 집은 진정한 봉건 요새이다. ... 모든 가족은 자신의 복수를 키운다; 모든 씨족은 자신의 반목을 키운다. ... 결코 잊혀지는 것은 없고, 갚지 않은 빚은 거의 없다.


윈스턴 처칠, ''나의 어린 시절'', 제11장: "마흐문드 계곡"



파슈툰 사회는 부족 또는 대가족 단위로 구성되며, 각 집단은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지도자인 말리크가 이끄는 경우가 많다. 부족 내 분쟁은 전통적인 부족 회의인 지르가를 통해 해결하는데, 원칙적으로 모든 성인 남성이 참여하여 공동체의 자치를 실현한다.[13] 외세의 침략에 맞설 때에는 말라칸드 공방전 당시 사이드울라 바바와 같은 종교 지도자나, 마이완드 전투에서 마이완드의 말랄라이와 같은 여성 지도자를 중심으로 단결하여 저항했던 역사가 있다.[14][15] 이는 파슈툰족의 강한 공동체 의식과 자치 능력을 보여준다.

3. 주요 원칙

파슈툰왈리는 파슈툰족의 역사, 전통, 영성 및 공동체적 정체성을 아우르는 약 1700년 된 도덕 규범이자 행동 규칙이다.[10] 이는 자존심, 독립심, 정의, 환대, 사랑, 관용, 복수 등을 장려하며[11], 모든 파슈툰족 개개인이 그 본질과 의미를 스스로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파슈툰왈리는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뿐만 아니라 전 세계 파슈툰 공동체에서 받아들여지며, 일부 비파슈툰족에게도 영향을 미쳤다.[2]

다음의 13가지 원칙은 파슈툰왈리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세 가지 주요 원칙'''[16]


  • '''멜마스티아''' (مېلمستيا|melmastyā́pus): 배경을 가리지 않고 모든 방문객에게 보답을 기대하지 않고 환대와 존경을 베푸는 것.[2][17][18]
  • '''나나와타이''' (ننواتې|nənawā́tepus): 위험에 처한 사람, 심지어 법을 피해 도망치는 사람에게도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보호와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2] 또한, 패자가 승자에게 용서를 구할 때의 기사도적 항복 형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 '''정의복수''' (نياو او بدل|nyāw aw badálpus): 잘못을 저지른 이에 대해 정의를 추구하거나 복수하는 것. 복수에는 시간 제한이 없으며, 금전적 보상이 대안이 될 수 있다.[2]


'''다른 주요 원칙'''

  • '''투라''' (توره|túrapus): 용기. 자신의 땅, 재산, 가족을 침략자로부터 방어해야 하는 의무.[2]
  • '''와파''' (وفا|wapā́pus): 충성심. 가족, 친구, 부족 구성원에 대한 충성.[21]
  • '''쉐그라''' (ښېګړه|x̌egřhpus): 친절. 다른 사람의 복지를 위해 행동하는 것.[21]
  • '''지르가''' (جرګه|jergápus): 중재. 분쟁을 전통적인 부족 회의인 지르가를 통해 해결하는 것.[21]
  • '''그로''' (ګروه|grohpus): 믿음. 알라에 대한 믿음, 즉 이슬람교타우히드(일신교)와 같은 창조주에 대한 신뢰.[2]
  • '''파트''' (پت|patpus)와 '''위아르''' (وياړ|wyāṛpus): 존경자존심. 자신과 타인, 특히 낯선 사람을 존중하는 것. 존경심은 파슈툰으로서의 자격 요건으로 여겨진다.[2][22]
  • '''나무스''' (ناموس|nāmúspus): 여성의 명예.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여성의 명예를 지키고 모든 피해와 무례함으로부터 보호하는 것.[23]
  • '''낭''' (ننګ|nangpus): 명예. 자신 주변의 약자를 보호하는 의무.[24]
  • '''메라아나''' (مېړانه|meṛā́napus): 남성다움 또는 기사도. 용기를 보여주는 것.[25]
  • '''헤와드''' (هېواد|hewā́dpus): 국가 또는 지역. 파슈툰족의 땅과 전통 관습을 보호할 의무.[13]

3. 1. 멜마스티아 (مېلمستيا, 환대)

멜마스티아(مېلمستيا|멜마스티아ps)는 파슈툰왈리의 세 가지 주요 원칙 중 하나이다.[16] 이는 방문객의 인종, 종교, 국적, 경제적 지위 등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환대와 존경을 베푸는 것을 의미한다.[2][17][18] 특히, 이러한 환대는 어떠한 보답도 기대하지 않고 제공되어야 하며, 파슈툰족은 손님을 극진히 대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7][18] 멜마스티아는 이상적인 파슈툰족의 행동 양식으로 여겨지며[9], 파슈툰족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다.[12] 이는 단순히 손님을 맞는 것을 넘어, 차별 없이 모든 이를 포용하는 정신을 강조하는 파슈툰 문화의 중요한 측면이다.[31][35][36]

3. 2. 나나와테 (ننواتې, 보호)

'''보호''' (ننواتې|nənawā́teps)는 파슈툰왈리의 주요 원칙 중 하나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적에게 쫓기는 사람에게 보호와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2] 이는 법을 피해 도망치는 사람에게도 해당되며, 상황이 명확해질 때까지 보호해야 한다.[2] 파슈툰족에게는 "적에게 쫓기는 자를 자신의 목숨을 걸고 구하라"는 2천 년 이상 된 율법이 있으며, 나나와테는 이러한 전통에 기반한다. 설령 보호 대상이 어떤 인물이라 할지라도, 막대한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보호하고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피난처를 제공한다. 나나와테는 분쟁에서 패배한 측이 승자의 집을 찾아 용서를 구할 때, 기사도적인 항복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나나와테의 주목할 만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탈레반의 오사마 빈 라덴 보호''': 탈레반 정권은 나나와테 원칙에 따라, 당시 아프가니스탄에 망명 중이던 9.11 테러의 배후로 지목된 오사마 빈 라덴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도 요구를 거부했다. 이는 결국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이어지는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빌미가 되었다. 당시 탈레반 최고 지도자 무함마드 오마르는 "나는 손님(빈 라덴)을 배신한 인물로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싶지 않다. 내 자신의 인생과 정권을 기꺼이 손님을 위해 바치겠다. 우리(탈레반 정권)는 손님에게 피난처를 제공했으니, 배신할 수는 없다."라고 말하며 빈 라덴 보호 의지를 밝혔다.
  • '''레드윙 작전 생존자 구조''': 네이비 씰 역사상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로 알려진 레드윙 작전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마커스 러트렐(Marcus Luttrell) 일등병조는 탈레반의 매복 공격에서 부상을 입고 도주하던 중, 현지 파슈툰족에게 발견되었다.[19][20] 러트렐이 미군 병사이자 이교도였음에도 불구하고, 파슈툰 사브레이 부족의 모하메드 굴라브(Mohammed Gulab)는 나나와테 원칙에 따라 그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보호했다. 부족 사람들은 러트렐을 해치려는 다른 부족원들로부터 그를 지켜냈으며, 6일 후 러트렐은 미군에 의해 안전하게 구조되었다.[19][20]

3. 3. 니야우 아우 바달 (نياو او بدل, 정의와 복수)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 대해 정의를 추구하거나 복수( بدل|ps )를 하는 원칙이다.[2] 복수에는 시간 제한이 없다. 단순한 조롱( پېغور|ps )조차 치명적인 모욕으로 간주될 수 있다.[2] 금전적 보상살인을 속죄하는 경우처럼 복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3. 4. 투라 (توره, 용기)

توره|투라ps는 파슈툰족의 중요한 행동 규범인 파슈툰왈리의 주요 원칙 중 하나로, 용기를 의미한다. 이 원칙은 파슈툰족이 침략자로부터 자신의 , 재산, 가족을 방어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강조한다.[2] 자신의 , 땅, 재산을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2]

3. 5. 와파 (وفا, 충성)

충성심 (وفا|와파pus).[21] 파슈툰족은 가족, 친구 및 부족 구성원에게 충성해야 한다.

3. 6. 쉐그라 (ښېګړه, 친절)

친절(ښېګړه|셰그라ps)은 파슈툰족이 다른 사람의 복지를 위해 행동해야 한다는 원칙이다.[21]

3. 7. 지르가 (جرګه, 중재)

'''지르가'''(جرګه|jergáps)는 파슈툰족 사회에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전통적인 부족 회의를 의미한다.[21][13] 이는 파슈툰왈리의 주요 원칙 중 하나인 '중재'에 해당하며[21], 씨족 내부의 분쟁은 지르가를 통해 해결한다.[13] 전통적으로 모든 성인 남성이 지르가에 참여하여 의사 결정을 내린다.[13]

지르가에는 종교 지도자, 지역의 영향력 있는 인물(명사), 중재자 등이 참여하여 부족 간의 분쟁을 중재하거나, 중앙 정부의 정책과 지역 주민들의 요구 사이에서 절충안을 모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국가적인 중요 사안을 결정하는 로야 지르가가 잘 알려져 있다. 파키스탄의 파슈툰족 거주 지역에서는 지르가가 비공식적인 법정처럼 기능하기도 한다.

왼쪽부터: 자말루딘 바다르, 누리스탄 주지사, 파즐룰라 와히디, 쿠나르 주지사, 굴 아가 셰르자이, 낭가르하르 주지사, 루트풀라 마샬, 라그만 주지사가 2009년 첫 번째 지역 지르가에서 평화, 번영,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연설을 듣고 있다.

3. 8. 그로 (ګروه, 믿음)

ګروه|그로ps알라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2] 이는 이슬람교의 핵심 교리인 타우히드(일신교)와 같이 유일신인 창조주를 신뢰하는 개념과 통한다.

3. 9. 파트, 위아르 아우 메라아나 (پت, وياړ او مېړانه, 존경, 긍지, 용기)

'''파트'''(پت|patpus, 존경)와 '''위아르'''(وياړ|wyāṛpus, 긍지/자존심)는 파슈툰 남자의 자존심이 존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파슈툰족은 자신과 다른 사람, 특히 낯선 사람을 존중해야 한다. 존중은 가정과 가족, 친척 사이에서부터 시작된다. 존경심이 없는 사람은 파슈툰족으로 인정받지 못한다.[2] 쿠샬 칸타크는 그의 시에서 "생명과 재산의 손실은 중요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파트(pat)'이다"라고 언급하며 존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2]

'''메라아나'''(مېړانه|meṛā́napus)는 남성다움 또는 기사도를 의미한다.[25] 파슈툰족은 용기를 보여주어야 하며, 터번은 기사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3. 10. 나무스 (ناموس, 여성의 명예)

ناموس|나무스ps는 파슈툰족이 여성의 명예를 지키는 것을 의미하는 원칙이다.[23] 이 원칙에 따라 파슈툰족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여성을 모든 종류의 피해와 무례함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23] 특히 아내나 딸 등 가족 구성원인 여성의 정조를 지키는 것은 여성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의 명예를 지키는 중요한 행위로 간주된다.

3. 11. 낭 (ننګ, 명예)

'''낭'''(ننګ|낭pus)은 파슈툰족이 자신 주변의 약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원칙이다.[24]

3. 12. 헤와드 (هېواد, 국가)

국가(هېواد|hewā́dps). 파슈툰족은 파슈툰족의 땅과 전통 관습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13]

4. 파슈툰왈리와 현대 사회

파슈툰족 사회에서 파슈툰왈리는 오랜 역사를 통해 전승되어 온 도덕 규범이자 행동 규칙으로, 개인과 공동체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10] 이는 자존심, 독립심, 정의, 환대(멜메스티아), 사랑, 관용, 복수(바달) 등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며[11], 파슈툰족 개개인이 그 의미를 스스로 발견하고 실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파슈툰왈리는 파슈툰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하기도 한다.[2]

파슈툰왈리는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의 파슈툰족 공동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일부 파슈툰 공동체에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파슈툰족이 아닌 일부 아프간인들이나 다른 집단들도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파슈툰왈리의 이념이나 관행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변화와 함께 파슈툰왈리의 영향력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도시화된 환경에서 생활하는 많은 파슈툰족들은 전통적인 파슈툰왈리 규칙을 더 이상 엄격하게 따르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현대적인 생활 방식이나 가치관과 전통 규범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바달'로 대표되는 복수의 개념은 현대 법치주의 사회의 원칙과 충돌할 소지가 있어, 현대 사회에서의 수용과 실천에 있어 논쟁적인 지점을 안고 있다.

5. 한국 사회와 파슈툰왈리

참조

[1] 서적 Doing Pashto: Pashtunwali also known as Afghaniyat as the Ideal of Honourable Behaviour and Tribal Life Among the Pashtuns https://books.google[...] Afghanistan Analysts Network 2011
[2] 서적 Afghanistan the People https://archive.org/[...] Crabtree Publishing Company 2010-10-29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ob.edu.p[...] 2020-09-17
[4] 서적 Beyond Strategies: Cultural Dynamics in Asian Connections: Cultural Dynamics in Asian Connections https://books.google[...] 2014-01-15
[5] 웹사이트 The War in Pashtunistan https://www.nytimes.[...] 2010-10-29
[6] 서적 Dictionary of Vedanta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10-09-10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odotus Chapter 7 http://www.piney.com[...] The History Files 2007-01-10
[8]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0-09-24
[9] 서적 Afghan Immigrants in the USA and German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e of Ethnic Social Capital LIT Verlag 1998
[10] 웹사이트 Afghan and Afghanistan http://www.alamahabi[...] alamahabibi.com 2010-10-24
[11] 서적 The Sharīʻa in the Constitutions of Afghanistan, Iran, and Egypt Mohr Siebeck
[12] 문서 Leonard Schonberg, Morgen's War 2005
[13] 웹사이트 Human Geography in the Afghanistan - Pakistan Region: Undermining the Taliban Using Traditional Pashtun Social Structures https://apps.dtic.mi[...]
[14] 서적 The Story of Swat https://books.google[...] Ferozsons 1963
[15] 서적 Malalai Joan of Arc of Afghanistan and the Victors of Maiwand: The Second Anglo-afghan War 1878-1882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LLC 2017-02-17
[16] 서적 Tribes, Pashtunwali and How They Impact Reconciliation and Reintegration Efforts in Afghanistan https://repository.l[...] BiblioBazaar 2012-05
[17] 서적 Hunting Bin Laden: How Al-Qaeda Is Winning the War on Terror https://archive.org/[...] Skyhorse
[18] 서적 Pakistan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Militancy in Afghanistan Ashgate
[19] 서적 The Lion of Sabray: The Afghan Warrior Who Defied the Taliban and Saved the Life of Navy SEAL Marcus Luttrell Simon & Schuster 2015
[20] 웹사이트 The Afghan Village That Saved Navy SEAL Marcus Luttrell https://www.thedaily[...] 2024-06-19
[21] 간행물 Poetics of Identity: On Entrepreneurial Selves of Afghan Migrants in Pakistan https://www.research[...] 2011-03
[22] 간행물 Poetics of Identity: On Entrepreneurial Selves of Afghan Migrants in Pakistan https://www.research[...] 2011-03
[23] 서적 I am Malala https://books.google[...] 2014-08-19
[24] 서적 I am Malala https://books.google[...] 2014-11-13
[25] 간행물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Anthropology 2012-06-12
[26] 서적 イスラム潮流と日本 https://books.google[...] イースト・プレス 2014
[27] 웹인용 Ethnic Groups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10-10-29
[28] 웹인용 The People - The Pashtuns http://www.cal.org/c[...]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2002-06-30
[29] 뉴스 Ahwalay Riyasatay (Tarikhi wa Maashrati Pusmanzar). http://www.dawn.com/[...] The Dawn
[30] 서적 War, Will, and Warlords Marine Corps University Press
[31] 서적 Afghanistan the People https://books.google[...] Crabtree Publishing Company 2010-10-29
[32] 문서 Taliban 2000
[33] 웹인용 Why are Customary Pashtun Laws and Ethics Causes for Concern? http://csis.org/blog[...] 2014-10-15
[34] 문서 Deobandi Islam: The Religion of the Taliban U. S. Navy Chaplain Corps 2001-10-15
[35] 서적 Hunting Bin Laden: How Al-Qaeda Is Winning the War on Terror https://archive.org/[...] Skyhorse
[36] 서적 Pakistan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Militancy in Afghanistan https://archive.org/[...] Ashgate
[37] 웹인용 Pakhtunwali from Wiki http://pakhtun.com/i[...] 2014-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