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 스턴바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 스턴바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나 스위스, 미국에서 활동한 화학자이다. 그는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 등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개발하여 제약 산업에 기여했으며, 비오틴 합성법 개발에도 참여했다. 241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호프만-라 로슈에서 오랫동안 근무했다. 1979년 화학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했고, 2005년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오 스턴바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레오 스턴바크 |
| 출생 | 1908년 5월 7일 |
| 출생지 | 오파티야, 오스트리아-헝가리 (현재의 크로아티아) |
| 사망 | 2005년 9월 28일 |
| 사망지 | 채플힐, 노스캐롤라이나 주, 미국 |
| 국적 | 폴란드, 미국 |
| 직업 | 화학자 |
| 알려진 업적 | 최초로 벤조다이아제핀 합성 |
| 모교 |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
| 정보 | |
| 레오 슈테른바흐 | 화학자 |
2. 생애 및 가족
레오 스턴바크는 1908년 5월 7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던 오파티야(현재 크로아티아)에서 중산층 유대인 가정의 일원으로 태어났다.[2] 폴란드 크라쿠프의 야기엘로 대학교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스위스 바젤의 로슈사에서 연구 경력을 시작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위협이 커지자 그는 로슈사의 도움을 받아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저지주 너틀리에 있는 로슈 연구소에서 연구를 이어갔다.[5] 이곳에서 그는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을 포함한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획기적인 약물들을 개발했으며, 이는 신경안정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바리움은 한때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약물이었다.
스턴바크는 총 241개의 특허를 보유하며 로슈가 세계적인 제약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에 대해 "나는 항상 내가 원하는 일만 했다"고 말하며 큰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95세까지 연구 활동을 지속했다.[7][8]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9년 화학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했고, 사후인 2005년에는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헤르타 크로이처와 결혼했으며[5], 2005년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힐의 자택에서 향년 97세로 세상을 떠났다.[7][8]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스턴바크는 1908년 5월 7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헝가리 왕국에 속했던 오파티야(현재 크로아티아)의 중산층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남동생 기우시가 있었다.[2] 그의 아버지 미하엘 아브라함 스턴바흐는 갈리치아의 폴란드 도시 프셰미실 출신이었고, 어머니 피로스카(결혼 전 성은 콘) 스턴바흐는 헝가리 오로스하자 출신이었다. 스턴바크의 부모는 오파티야에서 만나 결혼했으며, 아버지가 운영하는 약국 근처의 "빌라 야드란"(Villa Adriatic) 3층 아파트에서 검소하게 살았다.
스턴바크는 1920년 폐쇄될 때까지 오파티야의 사립 독일 학교에 다녔다. 이후 이탈리아어를 구사하지 못해 오스트리아의 빌라흐, 그라츠와 폴란드의 비엘리츠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926년, 스턴바크는 가족과 함께 폴란드 크라쿠프로 이주했다. 같은 해, 그의 남동생 기우시는 열다섯 살의 나이로 성홍열에 걸려 사망했다.[3][4]
스턴바크는 크라쿠프 대학교에서 화학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위스 바젤에 있는 로슈사에서 근무했다. 1941년, 그는 로슈사의 지원을 받아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의 약제 연구는 미국 뉴저지주 너틀리에 위치한 로슈사에서 계속되었다.
2. 2. 가족의 이주와 동생의 죽음
스턴바흐는 1908년 5월 7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오파티야에서 중산층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남동생 기우시가 있었다.[2] 그의 아버지 미하엘 아브라함 스턴바흐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했던 갈리치아의 폴란드 도시 프셰미실 출신이었고, 어머니 피로스카(결혼 전 성은 콘) 스턴바흐는 헝가리 오로스하자 출신이었다. 스턴바흐의 부모는 오파티야에서 만나 결혼하여 함께 살았다. 가족은 스턴바흐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약국 근처 '빌라 야드란'(Villa Adriatic) 3층에 있는 방 4개짜리 아파트에서 검소하게 생활했다. 스턴바흐는 1920년 폐교될 때까지 오파티야의 사립 독일 학교에 다녔다. 이탈리아어를 구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후 빌라흐, 그라츠, 비엘리츠 등지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926년, 스턴바흐는 가족과 함께 폴란드 크라쿠프로 이주했다. 같은 해, 그의 남동생은 15세의 나이에 성홍열로 세상을 떠났다.[3][4]
2. 3. 교육 및 경력
그는 1929년 야기엘로 대학교에서 약학 석사 학위를, 1931년 같은 대학에서 유기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7년에는 펠릭스 비스리츠키 재단에서 장학금을 받았으며, 이후 빈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취리히로 옮겨 크라쿠프에서 시작한 연구를 이어갔다. 빈에서는 볼프강 요제프 파울리(Wolfgang Joseph Pauli, Sr.)와 지그문트 프렌켈과 함께 연구했으며, 취리히에서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와 함께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연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그는 스위스에 머물고 있었다. 그의 어머니는 헝가리 출신이었으나 폴란드인들의 도움으로 전쟁에서 살아남았다.1940년 6월 1일, 그는 스위스 바젤에 있는 호프만-라 로슈에 입사하여 2003년까지 근무했다. 1941년, 나치의 위협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저지주 너틀리에 위치한 호프만-라 로슈 연구소에서 경력을 이어갔다.[5] 그는 헤르타 크로이처와 결혼했다.
뉴저지 너틀리의 호프만-라 로슈에서 근무하며 스턴바크는 신약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모세스 울프 골드버그와 함께 비오틴을 합성하는 최초의 상업적 방법을 개발했다.[6] 또한 여러 중요한 약물을 발견했는데, 대표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다.
| 약물명 (상품명) | 발견/출시 연도 | 비고 |
|---|---|---|
| 클로르디아제폭시드 (리브리움) | 1956년 발견, 1960년 승인 | 스턴바흐가 발견한 R0 6-690 화합물 기반 |
| 디아제팜 (바리움) | 1963년 출시 | 1969년~1982년 미국 최다 처방 약물, 1978년 23억 정 이상 판매 |
| 플루라제팜 (달메인/달만) | ||
| 니트라제팜 (모가돈) | ||
| 플루니트라제팜 (로히프놀) | ||
| 클로나제팜 (클로노핀) | ||
| 트리메타판 (아르포나드/알포나드) |
특히 그가 1956년에 발견한 화합물 R0 6-690을 기반으로 개발된 리브리움은 1960년에 사용 승인을 받았고, 1963년에 출시된 개량판 바리움은 큰 성공을 거두어 1969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약물이 되었다. 바리움의 인기는 롤링 스톤스의 노래 "마더스 리틀 헬퍼"에서 "작은 노란 알약(little yellow pill)"으로 언급될 정도였으며,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60 Minutes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스턴바크는 총 241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그의 발견들은 호프만-라 로슈를 세계적인 제약 산업 거대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자신의 발견으로 큰 부를 얻지는 못했지만, 화학 연구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나는 항상 내가 하고 싶은 일만 했다"고 말하며 만족감을 표했다. 그는 95세까지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7][8]
그의 업적을 기려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 수상 연도 | 상 이름 및 명예 |
|---|---|
| 1979년 | 화학 파이오니아상 |
| 2005년 |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 |
스턴바크는 1943년부터 2003년까지 뉴저지주 어퍼 몽클레어에서 오랫동안 거주했으며, 이후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힐로 이주하여 2005년 그곳에서 사망했다.[7][8]
2. 4. 미국으로의 이주와 호프만-라 로슈 입사
스턴바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점에는 스위스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1940년 6월 1일 바젤에 있는 호프만-라 로슈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1941년, 나치를 피해 회사의 지원을 받아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뉴저지주 너틀리에 있는 호프만-라 로슈에서 근무하게 되었다.[5]미국 호프만-라 로슈에서 근무하며 스턴바크는 신약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 플루라제팜(달메인), 니트라제팜(모가돈), 플루니트라제팜(로히프놀), 클로나제팜(클로노핀), 트리메타판(아르포나드) 등 주요 약물들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1956년 발견한 화합물(RO 6-690)을 기반으로 한 리브리움은 1960년에 사용 승인을 받았으며, 1963년에는 이를 개선한 바리움이 출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바리움은 1969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약물이었으며, 정점이었던 1978년에는 한 해에 23억 정 이상 판매되었다. 또한 모세스 울프 골드버그와 함께 비오틴을 합성하는 "최초의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을 개발했다.[6]
스턴바크는 총 241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그의 발견들은 로슈가 제약 산업의 거대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5. 결혼
그는 헤르타 크로이처와 결혼했다.[5]3. 연구 업적 및 주요 발견
레오 스턴바크는 야기엘로 대학교에서 약학 석사(1929년)와 유기 화학 박사 학위(1931년)를 취득한 후, 빈과 취리히에서 연구를 이어갔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와 함께 연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40년 스위스 바젤의 호프만-라 로슈에 입사했다. 1941년에는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저지주 너틀리에 있는 호프만-라 로슈 연구소에서 경력을 이어갔다.[5]
미국 호프만-라 로슈에서 스턴바크는 신약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중요한 약물인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약물을 개발했으며, 이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6] 또한 모세스 울프 골드버그와 함께 비오틴의 상업적 합성에 성공하기도 했다.[6]
스턴바크는 다수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그의 발견은 호프만-라 로슈가 세계적인 제약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7][8] 그는 자신의 연구에 대해 "나는 항상 내가 하고 싶은 일만 했다"고 말할 정도로 화학에 대한 깊은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95세까지 연구 활동을 지속했다.[7][8]
3. 1.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개발
1941년,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한 스턴바크는 뉴저지주 너틀리의 호프만-라 로슈에서 본격적인 신약 개발 연구에 착수했다.[5] 그는 이곳에서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개발에 큰 공헌을 세웠다.스턴바크는 여러 중요한 약물을 발견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 플루라제팜(달메인/달만), 니트라제팜(모가돈), 플루니트라제팜(로히프놀), 클로나제팜(클로노핀), 트리메타판(아르포나드/알포나드) 등이 있다.[6]
| 화학명 | 상품명 | 비고 |
|---|---|---|
| 클로르디아제폭시드 | 리브리움 (Librium) | 1956년 발견된 화합물(R0 6-690) 기반, 1960년 승인 |
| 디아제팜 | 바리움 (Valium) | 1963년 출시, 리브리움 개량판 |
| 플루라제팜 | 달메인 (Dalmane) / 달만 | |
| 니트라제팜 | 모가돈 (Mogadon) | |
| 플루니트라제팜 | 로히프놀 (Rohypnol) | |
| 클로나제팜 | 클로노핀 (Klonopin) | |
| 트리메타판 | 아르포나드 (Arfonad) / 알포나드 |
특히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는 스턴바크가 1956년에 발견한 화합물 R0 6-690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1960년에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이어 1963년에는 리브리움을 개선한 디아제팜(바리움)이 출시되었는데, 이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바리움은 1969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의약품이었으며, 판매량이 정점에 달했던 1978년에는 한 해에만 23억 정 이상이 팔렸다.[6] 이 약의 광범위한 사용은 롤링 스톤스의 노래 "마더스 리틀 헬퍼"에서 '작은 노란 알약(little yellow pill)'으로 언급되거나,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60 Minutes"에서 다루어질 정도로 사회적 현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스턴바크는 모세스 울프 골드버그와 함께 비오틴을 합성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첫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6]
스턴바크는 총 241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그의 발견들은 호프만-라 로슈를 세계적인 제약 산업 거인으로 성장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8] 그는 자신의 발견으로 큰 부를 얻지는 못했지만, 화학 연구 자체에 큰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나는 항상 내가 하고 싶은 일만 했다"고 말할 정도로 자신의 일에 만족했다. 그는 95세가 될 때까지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7][8]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9년 화학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에는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2. 비오틴 합성법 개발
스턴바흐는 모세스 울프 골드버그와 함께 비오틴을 합성하는 "최초의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을 개발했다.[6]3. 3. 특허 및 제약 산업에의 기여
뉴저지주 너틀리의 호프만-라 로슈에서 근무하면서 스턴바흐는 신약 개발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남겼다.[5] 그는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 플루라제팜(달만), 니트라제팜(모가돈), 플루니트라제팜(로히프놀), 클로나제팜(클로노핀), 트리메타판(아르포나드) 등 여러 중요한 약물을 발견하고 개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6]1956년 스턴바흐가 발견한 화합물 R0 6-690을 기반으로 개발된 리브리움은 1960년에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이후 1963년에는 리브리움의 개선판인 바리움이 출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바리움은 1969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의약품이었으며, 특히 1978년에는 한 해 판매량이 23억 정을 넘어서는 기록적인 인기를 누렸다.[6] 이러한 대중적 인기는 롤링 스톤스의 노래 "마더스 리틀 헬퍼"에서 little yellow pill|작은 노란 알약eng으로 언급되거나, 미국의 유명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60 Minutes"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질 정도였다.
또한 스턴바흐는 모세스 울프 골드버그와 함께 비오틴을 합성하는 최초의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6]
스턴바흐는 총 241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그의 수많은 발견은 로슈가 세계적인 제약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7] 그는 자신의 발견으로 막대한 부를 얻지는 않았지만, 화학 연구에 대한 깊은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나는 항상 내가 하고 싶은 일만 했다"고 말할 정도로 자신의 일에 만족하며 95세까지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7]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그는 1979년 화학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했으며, 사후인 2005년에는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4. 말년 및 사망
그는 95세가 될 때까지 연구실에 출근하며 연구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1979년에는 화학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하였고, 사망하던 해인 2005년에는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스턴바크는 자신의 연구 성과로 큰 부를 얻지는 못했지만, "나는 항상 내가 원하는 일만 했다"고 말하며 화학 연구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2005년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힐에 있는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5. 수상 및 영예
스턴바흐는 제약 화학 분야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하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79년 화학 파이오니아상을 수상했으며, 뉴저지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 또한 의약 화학 명예의 전당의 회원이기도 하다.[10] 사망 몇 달 전인 2005년 2월에는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
6. 유산
2004년 맥그로힐에서는 "좋은 화학: 발륨 발명가 레오 스턴바흐의 삶과 유산"(Good chemistry: the life and legacy of Valium inventor Leo Sternbacheng)이라는 제목의 책이 출판되었다.
스턴바흐는 클로르디아제폭시드(리브리움), 디아제팜(바리움), 플루라제팜(달만), 니트라제팜(모가돈), 클로나제팜(클로노핀), 트리메타판(알포나드) 등 여러 중요한 의약품을 개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가 1956년에 발견하여 1960년에 사용 승인을 받은 리브리움(클로르디아제폭시드)을 시작으로, 1963년에는 이를 개량한 바리움(디아제팜)이 출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바리움은 1969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약이었으며, 특히 1978년에는 한 해에만 23억 정 이상 판매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이 약은 롤링 스톤스의 노래 "마더스 리틀 헬퍼"에서 "작고 노란 알약"(little yellow pilleng)으로 언급되기도 했으며, 미국의 유명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60 Minutes"에서는 바리움을 주제로 한 코너가 방영되기도 했다.
스턴바흐는 총 241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그의 수많은 발견은 그가 소속된 로슈사를 세계적인 제약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하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연도 | 내용 |
|---|---|
| 1979년 | 미국 화학자 협회 화학 파이오니아상 수상 |
| (연도 미상) | 뉴저지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 |
| 2005년 2월 | 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9] |
| (연도 미상) | 의약 화학 명예의 전당 회원[10] |
스턴바흐는 자신의 업적으로 큰 부를 얻지는 못했지만, 화학 연구에 대한 깊은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나는 항상 내가 원하는 일만 했다"고 말하며 자신의 일에 만족감을 표현했으며, 95세까지 연구실에 출근하며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7. 가족 관계
레오 스턴바크의 삼촌이자 아버지 미하엘의 형제인 레온 스턴바흐는 야기엘론 대학교의 고전 언어학 교수였다. 그는 나치 독일이 폴란드 학자들을 대상으로 자행한 특수 작전 크라쿠프에 따라 1940년 작센하우젠 강제 수용소에서 구스타프 조르게에 의해 살해되었다.
참조
[1]
서적
"Good chemistry: The life and legacy of valium inventor Leo Sternbach"
McGraw-Hill
2004
[2]
간행물
Povratak velikana u rodnu Opatiju
2006-05/06
[3]
간행물
Opatijsko djetinjstvo dr. Lea Sternbacha
2006-05/06
[4]
논문
Dr. Leo Henryk Sternbach's Childhood in Opatija
http://hrcak.srce.hr[...]
Croatian Scientific Society for the History of Health Culture & Faculty of Medicine of the University of Rijeka
2017-12-28
[5]
서적
Leo H. Sternbach, Transcript of an Interview Conducted by Tonja Koeppel at Hoffmann-La Roche Inc. Nutley, New Jersey on 12 March 1986
https://oh.sciencehi[...]
Science History Institute
1986-03-12
[6]
뉴스
Biotin: The Chiral Challenge
http://www.ingentaco[...]
2009-05
[7]
뉴스
"Leo Sternbach, 97, Valium Creator,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5-10-01
[8]
웹인용
Inventor of Valium and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http://www.rocheusa.[...]
2005-09-30
[9]
뉴스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announces 2005 inductees"
http://www.medicalne[...]
Medical News Today
2005-02-12
[10]
웹사이트
Medicinal Chemistry Hall of Fame
http://www.acsmedche[...]
Medicinal Chemistry Divis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