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우스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다. 도시 이름의 기원은 라틴어, 켈트어 등 여러 설이 존재하며, 12세기부터 도시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8세기에는 카탈루냐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성장했으며, 주류 무역의 중심지로서 "레우스, 파리, 런던"이라는 문구가 생길 정도로 번성했다. 현재는 카탈루냐 모더니즘 건축물, 산 페레 축제, 레우스 공항 등을 통해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으며, 롤러 하키 팀 레우스 데포르티우가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우스 - 레우스 공항
레우스 공항은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 레우스에 위치한 중소 규모 공항으로, 군사 기지에서 민간 공항으로 전환 후 라이언에어 기지 운영과 폐쇄를 거쳐 현재는 다른 항공사들의 운항 증가로 이용객 수가 회복되고 있다. - 카탈루냐의 도시 - 타라고나
타라고나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도시로, 로마 시대에는 타라코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로마 유적과 산타 테클라 축제, 타파스, 해산물 요리가 유명하다. - 카탈루냐의 도시 - 피게레스
피게레스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살바도르 달리의 출생지이며 달리 극장-미술관이 있어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 타라고나도의 자치체 - 살로우
살로우는 고대 로마 시대의 항구였으며, 철도역 개통 이후 관광 산업이 발전하여 성장했고,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도시이다. - 타라고나도의 자치체 - 캄브릴스
캄브릴스는 스페인 타라고나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부터 정착지가 있었으며, 역사적으로 전쟁의 무대가 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관광, 농업, 어업이 발달하고 해변과 올리브 오일 생산으로 유명하다.
레우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스페인 |
자치 지방 | 카탈루냐 |
지역 | 캄프 데 타라고나 |
군 | 바시 캄프 |
지방 | 타라고나 주 |
종류 | 자치체 |
시장 | 산드라 과이타 (2023년) |
별칭 | 레우스 |
지리 | |
좌표 | 북위 41.156, 동경 1.108 |
면적 | 52.8 제곱킬로미터 |
고도 | 134 미터 |
기후 | Csa |
인구 | |
인구 | 107,211 명 (2012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계 | 레우센크, -카 |
정치 | |
정당 | PSC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지역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웹사이트 | www.reus.cat |
지도 | |
![]() | |
![]() | |
![]() |
2. 역사
로베르트 다길로가 1154년 6월 3일에 레우스를 받은 후 이 지역에 다시 정착시켰다. 같은 해 6월 5일 타라고나 대주교는 레우스의 3분의 2를 베르트랑 데 카스텔레에게 성주로서 교회 건립 명령과 함께 넘겨주었다. 1159년 6월 29일, 교회 재산에서 나오는 수입 분배가 이루어졌고, 산타 마리아 레우스 교구의 3분의 1이 카메를렝고에게 주어지면서, 마을을 다스리는 이중 체제가 시작되었다. 당시 이 도시는 레디스(Redis) 또는 '''레디스(Reddis)'''로 알려졌다. 베르나트 데 벨-요크는 1183년 8월 3일 레우스에 도시 지위를 부여하고, 가옥과 정원의 소유권을 부여했으며, 경작지에 대한 지불을 위한 인구 조사를 실시했고, 사법권을 유보했지만, 타라고나 대주교에 대한 봉건적 예속을 인정했다. 1186년 6월 2일 카메를렝고 호안 데 산트보이는 성주 베르나르 데 벨-요크가 부여한 권리를 확인했다.
1305년, 레우스는 타라고나 성벽 재건 비용을 레우스 시민들에게 지불하게 하려 했던 대주교 로리고 텔로에게 반기를 들었다.[1] 1309년 아라곤 국왕은 레우스에 월요일 시장을 열 권리를 부여했다.[1] 벨-요크 성주 가문은 1327년에 단절되었고, 이후 베르나르 드 카브레라가 새로운 성주가 되었지만, 1335년에는 성주 자리가 페레 물레트에게 팔렸고, 그는 1345년에 이를 잃었다.[1] 페레 물레트의 상속인들은 1349년에 베르나트 달지넬레스에게 권리를 팔았다.[1]
카메를렝고(궁무처장) 페레 로제 드 벨포르는 로페스 데 아이에르베 대주교와 영토 분쟁을 벌였는데, 대주교는 군대를 보내 도시를 황폐화시켰다.[1] 두 번째 공격은 격퇴되었으나,[1] 세 번째 공격은 도시의 군사 점령으로 이어졌고, 레우스는 약탈당했다.[1] 아비뇽에서 삼촌과 함께 살고 있던 교황 클레멘스 6세의 조카였던 페레 로제 드 벨포르는 교황에게 타라고나 대주교를 소환하도록 설득했고, 교황은 평화를 약속받았다.[1]
이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된 페레 로제 드 벨포르는 도시 문장에 자신의 코트에서 장미를 주었고, 레우스의 카메를렝고 칭호를 유지했으므로 문장은 교황의 삼중관과 성 베드로의 열쇠로 장식되었다.[1]
카탈루냐 반란 전쟁 초기에 레우스에는 1200채의 가구가 있었지만 전쟁 말기에는 800채로 줄었다. 1640년 12월 16일, 국회는 전쟁에 소극적으로 참여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마을을 반역자로 선언하고 주민들의 재산을 몰수했다.[1] 1641년에는 프랑스 장군 라 모트가 점령했다.[1]
레우스는 1705년까지 펠리페 5세에게 충성을 다했지만, 이 해에 호안 네보트의 지휘 아래 대공 카를을 지지하며 반란을 일으켰다.[1] 1706년 7월 3일 대공 카를이 마을에 도착했다.[1] 1707년에는 부르봉 왕가에 잠시 점령당했지만, 1709년 레우스는 스페인 및 프랑스 부르봉 왕가에 항복했다.[1] 1710년 다시 대공 카를의 편으로 돌아섰다.[1] 1712년 6월 5일 대공의 부인 엘리자베트 크리스틴은 레우스에게 제국 도시의 칭호를 부여했다.[1] 1713년 레우스는 마침내 부르봉 왕가에 의해 점령되었다.[1]
18세기 레우스는 경이적인 성장을 이루어 카탈루냐 공국의 두 번째 도시가 되었다.[1] 1766년 성벽이 완전히 철거되었으며,[1] 섬유 무역과 주류 무역을 발전시켰다.[1] 특히 주류 무역에서 레우스는 최초의 중심지였으며, 런던, 파리와 함께 "레우스, 파리 그리고 런던"이라는 유명한 문구가 생겨날 정도로 주류 시장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1] 페레 수니에르가 제안한 레우스와 살로우 사이의 운하 건설은 1805년에 허가되었지만, 반도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1] 이 시기에 레우스는 미국, 리구리아, 영국, 네덜란드, 스웨덴, 라구사, 덴마크, 시칠리아, 교황령, 프랑스, 포르투갈, 나폴리, 프로이센에 영사관을 두었다.[1]
1854년 레우스 가스 회사(Reus Gas Company)가 설립되었다. 1856년 레우스와 타라고나 사이의 철도가 건설되었다. 1884년에는 카탈루냐 레우스 협회(Catalan Association of Reus)가 설립되었고, 1893년에는 우니오 카탈라나의 회의가 열렸다. 1886년 파우 폰트 데 루비나트는 카탈루냐 신문 ''로 소마텐트''를 창간했다. 1895년 필록세라로 인해 레우스 지역의 넓은 포도원이 황폐해졌고, 이 지역의 많은 곳이 개암나무로 바뀌었다.
1931년 레우스는 공화국에 투표했다. 1936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반군이 1939년 1월 15일 도시를 점령할 때까지 도시를 폭격했고, 이로써 1975년 사망할 때까지 프랑코의 독재가 시작되었다.
프랑코 이후 첫 민주적인 시장은 레우스의 변호사 카를레스 마르티 마사구에였다. 1983년 안톤 보렐 마르코가 새로운 시장이었지만, 그는 레우스에서 캄브릴스로 가는 길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고, 그의 후임자는 후안 마리아 로이그였다. 그 후 호세프 아벨로 파드로가 1999년까지 시장이었고, 류이스 미켈 페레즈 세구라로 교체되어 2011년까지 그 자리를 지켰으며, 현재 시장인 카를레스 페예세르 이 푸니예드가 시작했다.
레우스는 오랫동안 카탈루냐 제2의 도시였다(1787년에는 인구 14,440명, 1860년에는 인구 27,257명). 1900년부터 1930년대 사이에 타라고나와 례이다가 레우스의 인구를 넘어섰다. 2006년 스페인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레우스의 인구는 카탈루냐에서는 9위, 스페인 국내에서는 59위이다.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는 레우스에서 태어났다.
1996년 7월 20일, 바스크 조국과 자유(약칭 ETA)가 레우스 공항에 설치한 폭탄이 폭발하여 영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53명이 부상당했다[http://www.tkb.org/Incident.jsp?incID=8036]. 또한 폭탄은 캄브릴스와 살로우에서도 폭발했다.
2. 1. 명칭의 기원
이 이름의 기원은 논쟁의 대상이다. 한 가지 설은 레우스가 죄수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 라틴어 단어(''reus'')에서 유래했으며, 로마의 형무소였을 것이라는 것이다. 현재 가장 유력한 설은 이 이름이 켈트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으로, ''길가에 있는 장소'' 또는 ''교차로에 있는 장소''를 뜻하는 ''redis''(또는 ''reddis'')라는 이름을 파생시킨 ''red''라는 어근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교차로에 있는 거주지를 의미한다.[1]2. 2. 초기 역사
로베르트 다길로가 1154년 6월 3일에 레우스를 받은 후 이 지역에 다시 정착시켰다. 같은 해 6월 5일 타라고나 대주교는 레우스의 3분의 2를 베르트랑 데 카스텔레에게 성주로서 교회 건립 명령과 함께 넘겨주었다. 1159년 6월 29일, 교회 재산에서 나오는 수입 분배가 이루어졌고, 산타 마리아 레우스 교구의 3분의 1이 카메를렝고에게 주어지면서, 마을을 다스리는 이중 체제가 시작되었다. 카메를렝고는 레우스 교구의 3분의 1을 소유하게 되었다. 당시 이 도시는 레디스(Redis) 또는 '''레디스(Reddis)'''로 알려졌다. 베르나트 데 벨-요크는 1183년 8월 3일 레우스에 도시의 지위를 부여하여 가옥과 정원의 소유권을 부여하고, 경작지에 대한 지불을 위한 인구 조사를 실시했으며, 사법권을 유보했지만, 타라고나 대주교에 대한 봉건적 예속을 인정했다. 1186년 6월 2일 카메를렝고 호안 데 산트보이는 성주 베르나르 데 벨-요크가 부여한 권리를 확인했다.2. 3. 카메를렝고, 교황, 타라고나 대주교
1305년, 레우스는 타라고나 성벽 재건 비용을 레우스 시민들에게 지불하게 하려 했던 대주교 로리고 텔로에게 반기를 들었다.[1] 1309년 아라곤 국왕은 레우스에 월요일 시장을 열 권리를 부여했다.[1] 벨-요크 성주 가문은 1327년에 단절되었고, 이후 베르나르 드 카브레라가 새로운 성주가 되었지만, 1335년에는 성주 자리가 페레 물레트에게 팔렸고, 그는 1345년에 이를 잃었다.[1] 페레 물레트의 상속인들은 1349년에 베르나트 달지넬레스에게 권리를 팔았다.[1]카메를렝고(궁무처장) 페레 로제 드 벨포르는 로페스 데 아이에르베 대주교와 영토 분쟁을 벌였는데, 대주교는 군대를 보내 도시를 황폐화시켰다.[1] 두 번째 공격은 격퇴되었으나,[1] 세 번째 공격은 도시의 군사 점령으로 이어졌고, 레우스는 약탈당했다.[1] 아비뇽에서 삼촌과 함께 살고 있던 교황 클레멘스 6세의 조카였던 페레 로제 드 벨포르는 교황에게 타라고나 대주교를 소환하도록 설득했고, 교황은 평화를 약속받았다.[1]
이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된 페레 로제 드 벨포르는 도시 문장에 자신의 코트에서 장미를 주었고, 레우스의 카메를렝고 칭호를 유지했으므로 문장은 교황의 삼중관과 성 베드로의 열쇠로 장식되었다.[1]
2. 4. 카탈루냐 반란 전쟁과 대공 카를
카탈루냐 반란 전쟁 초기에 레우스에는 1200채의 가구가 있었지만 전쟁 말기에는 800채로 줄었다. 1640년 12월 16일, 국회는 전쟁에 소극적으로 참여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마을을 반역자로 선언하고 주민들의 재산을 몰수했다.[1] 1641년에는 프랑스 장군 라 모트가 점령했다.[1]레우스는 1705년까지 펠리페 5세에게 충성을 다했지만, 이 해에 호안 네보트의 지휘 아래 대공 카를을 지지하며 반란을 일으켰다.[1] 1706년 7월 3일 대공 카를이 마을에 도착했다.[1] 1707년에는 부르봉 왕가에 잠시 점령당했지만, 1709년 레우스는 스페인 및 프랑스 부르봉 왕가에 항복했다.[1] 1710년 다시 대공 카를의 편으로 돌아섰다.[1] 1712년 6월 5일 대공의 부인 엘리자베트 크리스틴은 레우스에게 제국 도시의 칭호를 부여했다.[1] 1713년 레우스는 마침내 부르봉 왕가에 의해 점령되었다.[1]
2. 5. 18세기의 성장
18세기 레우스는 경이적인 성장을 이루어 카탈루냐 공국의 두 번째 도시가 되었다.[1] 1766년 성벽이 완전히 철거되었으며,[1] 섬유 무역과 주류 무역을 발전시켰다.[1] 특히 주류 무역에서 레우스는 최초의 중심지였으며, 런던, 파리와 함께 "레우스, 파리 그리고 런던"이라는 유명한 문구가 생겨날 정도로 주류 시장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1] 페레 수니에르가 제안한 레우스와 살로우 사이의 운하 건설은 1805년에 허가되었지만, 반도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1] 이 시기에 레우스는 미국, 리구리아, 영국, 네덜란드, 스웨덴, 라구사, 덴마크, 시칠리아, 교황령, 프랑스, 포르투갈, 나폴리, 프로이센에 영사관을 두었다.[1]2. 6. 19세기와 20세기
1854년 레우스 가스 회사(Reus Gas Company)가 설립되었다. 1856년 레우스와 타라고나 사이의 철도가 건설되었다. 1884년에는 카탈루냐 레우스 협회(Catalan Association of Reus)가 설립되었고, 1893년에는 우니오 카탈라나의 회의가 열렸다. 1886년 파우 폰트 데 루비나트는 카탈루냐 신문 ''로 소마텐트''를 창간했다. 1895년 필록세라로 인해 레우스 지역의 넓은 포도원이 황폐해졌고, 이 지역의 많은 곳이 개암나무로 바뀌었다.
1931년 레우스는 공화국에 투표했다. 1936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반군이 1939년 1월 15일 도시를 점령할 때까지 도시를 폭격했고, 이로써 1975년 사망할 때까지 프랑코의 독재가 시작되었다.
프랑코 이후 첫 민주적인 시장은 레우스의 변호사 카를레스 마르티 마사구에였다. 1983년 안톤 보렐 마르코가 새로운 시장이었지만, 그는 레우스에서 캄브릴스로 가는 길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고, 그의 후임자는 후안 마리아 로이그였다. 그 후 호세프 아벨로 파드로가 1999년까지 시장이었고, 류이스 미켈 페레즈 세구라로 교체되어 2011년까지 그 자리를 지켰으며, 현재 시장인 카를레스 페예세르 이 푸니예드가 시작했다.
레우스는 오랫동안 카탈루냐 제2의 도시였다(1787년에는 인구 14,440명, 1860년에는 인구 27,257명). 1900년부터 1930년대 사이에 타라고나와 례이다가 레우스의 인구를 넘어섰다. 2006년 스페인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레우스의 인구는 카탈루냐에서는 9위, 스페인 국내에서는 59위이다.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는 레우스에서 태어났다.
1996년 7월 20일, 바스크 조국과 자유(약칭 ETA)가 레우스 공항에 설치한 폭탄이 폭발하여 영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53명이 부상당했다. 또한 폭탄은 캄브릴스와 살로우에서도 폭발했다.
3. 기후
레우스는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보이며, 한랭 반건조 기후(쾨펜: ''BSk'')에 가깝다.[5] 겨울은 온화하고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 가을은 일년 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계절로, 특히 9월과 10월에 발생하는 콜드 드롭 현상 때문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24.7 | 25.0 | 27.7 | 30.2 | 32.8 | 36.8 | 37.4 | 39.8 | 33.8 | 32.5 | 28.8 | 22.6 | 39.8 |
평균 최고 기온 (°C) | 14.1 | 14.9 | 17.1 | 19.0 | 22.2 | 26.3 | 29.3 | 29.4 | 26.3 | 22.3 | 17.5 | 14.6 | 21.1 |
평균 기온 (°C) | 9.0 | 9.7 | 11.9 | 13.8 | 17.2 | 21.2 | 24.2 | 24.6 | 21.5 | 17.5 | 12.6 | 9.7 | 16.1 |
평균 최저 기온 (°C) | 3.9 | 4.5 | 6.6 | 8.6 | 12.1 | 16.1 | 19.1 | 19.7 | 16.6 | 12.7 | 7.6 | 4.7 | 11.1 |
최저 기온 기록 (°C) | -7.6 | -8.0 | -5.4 | 1.0 | 3.6 | 7.4 | 10.5 | 10.8 | 5.5 | 0.2 | -4.0 | -7.5 | -8.0 |
강수량 (mm) | 29 | 28 | 28 | 37 | 54 | 25 | 15 | 42 | 77 | 75 | 53 | 36 | 500 |
평균 강수일수 (≥ 1mm) | 4 | 4 | 4 | 5 | 5 | 3 | 2 | 4 | 5 | 6 | 4 | 4 | 50 |
평균 일조 시간 | 157 | 162 | 197 | 222 | 251 | 274 | 306 | 265 | 209 | 182 | 157 | 145 |
4. 경제
19세기와 20세기 동안 레우스는 세계 주요 주류 생산 중심지 중 하나로 알려졌으며, 30개 이상의 베르무트 생산 기업이 있었다.[9] 오늘날 레우스에는 Yzaguirre, Iris (Muller), Miró, Fot-Li를 포함한 주요 베르무트 수출업체가 있다.[9][8]
5. 축제
레우스의 주요 축제는 6월 29일에 열리는 ''산 페레'' 축제로, 국가 관광 명소로 지정되었다. 이 축제에서 가장 특징적이고 인기 있는 행사 중 하나는 소위 ''트로나다''인데, 이는 방아쇠가 번갈아 배치된 29개의 작은 박격포 ''마스클레츠''를 일렬로 메르카달 광장(시청이 위치) 주변에 배치하고, 수제 화약 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 선은 시청 앞에서 사각형 모양으로 끝나며, 더 많은 방아쇠와 9개의 ''마스클레츠''가 추가된다. 9월 25일에는 ''마레 데 데우 데 라 미세리코르디아'' 축제가 열린다.
다른 주목할 만한 축제로는 카니발과 살루를 향하는 ''아나다 아 란티가''가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는 자체 축제가 있다.
주요 축제 외에도 레우스는 마임을 주제로 한 ''코스'' 축제나 서커스 공연이 있는 ''엘 트라페지'' 축제와 같은 많은 축제를 개최한다. 격년으로 레우스 시립 문화 활동 연구소는 ''비엔날레 인터나시오날스 데 포토그라피아 메달라 가우디''를 개최한다. 이 격년 전시회는 백금 인쇄, 검 디크로메이트 등과 같은 대체 사진 프로세스로 작업하는 전 세계의 순수 예술 사진 작가를 소개한다. 각 비엔날레에서 그들은 엄선된 소수의 예술가에게 메달라 가우디 상을 수여하고 시립 문화 활동 연구소의 영구 소장품으로 그들의 작품을 구매한다.
6. 주요 명소
레우스에는 카탈루냐 모더니즘 건축물과 그 외 다양한 명소가 있다. 안토니 가우디는 레우스에서 태어났지만, 그가 설계한 건물은 없다. 대신 그의 동료 건축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다.
6. 1. 카탈루냐 모더니즘 건축물
레우스 시에는 카탈루냐 모더니즘 건축물이 많다. 안토니 가우디는 레우스에서 태어났지만 그가 설계한 건물은 없다. 그의 동료인 Lluís Domènech i Montaner, Pere Caselles i Tarrats, Pere Domènech Roura 등의 많은 모더니즘 건축물이 있다.건축물 | 건축가 | 건설 연도 |
---|---|---|
Casa Navàs | Lluís Domènech i Montaner | 1901–1908 |
Casa Rull | Lluís Domènech i Montaner | 1901 |
Casa Gasull | Lluís Domènech i Montaner | 1910–1912 |
Institut Pere Mata | Lluís Domènech i Montaner | 1899–1919 |
Casa Pinyol | Pere Caselles i Tarrats | 1910 |
Escoles Prat de la Riba | Pere Caselles i Tarrats | 1911 |
Escorxador | Pere Caselles i Tarrats | 1899 |
Estació Enològica | Pere Caselles i Tarrats | 1906–1910 |
Casa Munné | Pere Caselles i Tarrats | 1904 |
Casa Sardà | Pere Caselles i Tarrats | 1896 |
Casa Marco | Pere Domènech Roura | 1926 |
Xalet Serra | Joan Rubió i Bellver | 1911 |
6. 2. 기타 명소
- 캄브레르 성
- 레우스의 종탑
- 시청
- 팔라우 보파룰
- 센트레 데 렉투라
- 살바도르 비라-세카 박물관
- 포르투니 극장
- 가우디 센터
7. 스포츠
이 도시에는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팀 중 하나인 레우스 데포르티우(Reus Deportiu)라는 롤러 하키 팀이 있으며, 주요 리그인 OK 리가에 참가한다.[10]
축구 팀은 CF 레우스 데포르티우(CF Reus Deportiu)였다.
유러피언 리그 오브 풋볼의 바르셀로나 드래곤스(Barcelona Dragons)는 홈 경기를 지역 에스타디 무니시팔에서 치를 계획이다.
8. 관광
최근 몇 년 동안, 레우스의 관광 산업은 코스타 다우라다 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늘면서 확장되었다. 오늘날 가장 많은 관광객은 러시아에서 오며,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그 뒤를 잇는다.[11]
레우스는 살루와 유럽 최대의 테마 리조트 중 하나인 포르트 아벤투라 월드와 가깝다. 여행사와 버스는 살루, 라 피네다, 캄브릴스와 같은 지역의 관광지에서 레우스로 운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레우스의 숙박 시설은 소규모 호텔, 호스텔, 그리고 NH 오텔레스 및 Hotusa Group이 소유한 주요 체인 호텔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레우스 공항은 다양한 유럽 지역과 북아프리카에서 레우스로 운행하는 라이언에어의 저가 항공편을 받기 시작했다. 이 공항은 영국에서 오는 주요 전세 항공편도 운행한다. 바르셀로나 공항은 레우스 공항에서 운항하지 않는 목적지를 위해 이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공항이다.
최근 레우스 관광은 코스타 도라다(en, 황금 해안)로 여름 휴가나 겨울 휴가를 보내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더욱 중요해졌다.
최근 레우스 공항에 저가 항공사인 라이언에어와 Flybe가 취항했다. 레우스 공항에서 리조트 도시 살루나 유럽 최대 규모의 놀이공원 포르트아벤투라(en)로 가는 것이 쉬워졌다.
9. 교통
레우스에는 레우스 공항이 있다. 최근 레우스 공항에 저가 항공사인 라이언에어와 Flybe가 취항하여, 살루나 유럽 최대 규모의 놀이공원 포르트아벤투라(en)로 가는 것이 쉬워졌다.
10. 레우스의 깃발
레우스의 첫 번째 깃발은 1774년부터 1943년까지 사용되었다. 깃발은 짙은 붉은색 바탕에 도시 문장이 중앙에 위치했다.
1943년, 스페인 내전(1936–39)에서 붉은색이 좌파와 연관되어 보인다는 이유로 깃발이 변경되었다. 역사적인 도시 문장이 은색 바탕에 문장용 장미였으므로, 새로운 깃발은 흰색 바탕에 문장용 장미가 중앙에 배치되었다. 1943년 이후 깃발 속 장미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현재 장미는 도시 문장에서 따온 새로운 버전을 가지고 있다. 문장 자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진다. 이는 깃발에도 적용될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방 정부에 의해 확인되지는 않았다.
11. 자매 도시
도시 | 국가 | 체결 년도 |
---|---|---|
바히아블랑카 | Bahía Blanca|바히아블랑카es (아르헨티나) | 1994년 |
하드지치 | Hadžići|하지치bs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995년 |
아스토르가 | Astorga|아스토르가es (스페인) | 1998년 |
암갈라 | أمغالا|암갈라ar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2000년 |
보예로스 | Boyeros|보예로스es (쿠바) | 2000년 |
간디아 | Gandía|간디아es (스페인) | 2008년 |
브리브라가이야르드 | Brive-la-Gaillarde|브리브라가이야르드프랑스어 (프랑스) |
12. 출신 인물
이름 | 출생-사망 | 직업 | 비고 |
---|---|---|---|
안토니아 아벨로 | 1913년-1984년 | 정치 운동가, 언론인, 페미니스트 | |
라몬 보스크 | 1300년대–1416년 | 카탈루냐 사제, 작가 (라틴어) | |
호세 브로카 | 1805년–1882년 | 기타리스트, 작곡가 | |
후안 프림 이 프라츠 | 1814년–1870년 | 군 장군, 정치인 | |
미켈 도메넥 | 1816년–1878년 | 주교 | |
비센테 폴크 | 1754년–1829년 | 군 장교, 서플로리다 주지사 (1796년–1811년) | |
발도메르 갈로프레 | 1849년–1902년 | 화가 | |
로세타 마우리 이 세구라 | 1849년–1923년 | 발레리나, 무용 교사 | |
안토니 가우디 | 1852년–1926년 | 건축가[1] | |
세페리 올리베 | 1907년–1995년 | 화가 | |
프랑수아 토스켈레스 | 1912년–1994년 | 정신과 의사 | |
알레한드로 카오 데 베노스 | 1974년 출생 | 조선친선협회 회장 | |
아이작 쿠엔카 | 1991년 출생 | 축구 선수 | |
세르지 로베르토 | 1992년 출생 | 축구 선수 | |
안드레우 부에나푸엔테 | 1965년 출생 | 심야 토크쇼 진행자 | |
트레 보라스 카바세스 | 1958년 출생 | 정신과 의사, 유해 감소 전문가 | |
마리아노 포르투니 | 화가 | ||
피티 | 축구 선수 | ||
조안 안헬 로만 | 축구 선수 | ||
존 트랄 | 축구 선수 |
- 안토니 가우디 - 건축가 (이설 있음)[1]
참조
[1]
웹사이트
Ajuntament de Reus
http://aplicacions.m[...]
Generalitat of Catalonia
2015-11-13
[2]
웹사이트
El municipi en xifres: Reus
http://www.idescat.c[...]
Institut d'Estadística de Catalunya
2015-11-23
[3]
웹사이트
Spain's Muslim Business Owners Feel Squeezed By New Zoning Proposals
https://www.npr.org/[...]
2019-01-18
[4]
웹사이트
Catalonia Deportation Case Brings 'Identity Politics' in Spain to New Low - Our World
https://ourworld.unu[...]
2019-01-18
[5]
문서
Climate Summary for Reus, Spain
http://www.weatherba[...]
[6]
웹사이트
AEMET OpenData
https://www.aemet.es[...]
Aemet.es
2024-12-18
[7]
웹사이트
Reus Aeropuerto - Valores Extremos
https://www.aemet.es[...]
Aemet.es
2024-12-18
[8]
웹사이트
Vermouth Fot-li
https://alegrews.com[...]
Alegre Wines & Spirits
2020-04-23
[9]
웹사이트
The Spirited History Of The Vermouth De Reus
https://theculturetr[...]
2020-04-23
[10]
웹사이트
CF Reus Deportiu
https://tarragonadig[...]
2018-12-05
[11]
문서
Tourism in Reus
http://www.reusdigit[...]
[12]
문서
sister cities in website of City Council of Reus
http://www.reus.cat/[...]
[13]
웹사이트
IEC(カタルーニャ統計局)
http://www.idescat.c[...]
カタルーニャ自治州政府
2013-08-31
[14]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Tarragona - Reús / Aeropuerto
http://www.aeme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