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블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블랙은 1906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30년 이상 영국 식민지 행정부에서 복무하며, 말라야, 싱가포르, 홍콩 등지에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포로로 잡히기도 했으며, 종전 후 북보르네오와 홍콩에서 사회 재건에 기여했다. 싱가포르 총독과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 사회 문제 해결, 교육 및 정치 제도 발전에 힘썼다. 1964년 퇴임 후에는 영국 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1999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총독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시작하여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아편 무역 금지 정책 폐지를 요구하고, 홍콩의 첫 인구 조사와 주말 경마를 시작했으며, 저서를 남긴 인물이다. - 홍콩 총독 - 찰스 엘리엇
찰스 엘리엇은 영국 해군 복무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영국령 기아나 노예보호관, 청나라 선무총관 등을 역임했고, 아편전쟁 당시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하는 조약을 체결했으나 해임된 인물이다. - 에든버러 출신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에든버러 출신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에든버러 대학교 동문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 에든버러 대학교 동문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로버트 블랙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Sir Robert "Robin" Brown Black |
출생 이름 | Sir Robert Brown Black |
로마자 표기 | Bak Lap Gei |
직책 | |
임기 시작 | 1958년 1월 23일 |
임기 종료 | 1964년 4월 1일 |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
보좌관 | 戴維德 白嘉時 戴維德 |
이전 | 알렉산더 그랜섬 |
다음 | 戴麟趾 |
임기 시작 | 1955년 6월 30일 |
임기 종료 | 1957년 12월 9일 |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
보좌관 | William Goode (colonial administrator) |
이전 | 존 파른스 니콜 |
다음 | William Goode (colonial administrator) |
임기 시작 | 1952년 2월 20일 |
임기 종료 | 1955년 3월 30일 |
총독 | 알렉산더 그랜섬 |
이전 | 존 파른스 니콜 |
다음 | 戴維德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06년 6월 3일 |
출생지 | 에든버러 |
사망일 | 1999년 10월 29일 |
사망지 | 버크셔레딩 |
모교 | 에든버러 대학교 |
2. 초기 생애 및 식민지 행정 경력
로버트 블랙은 30년 이상 영국 식민지 행정부에서 복무했다. 초기에는 카리브해의 트리니다드에 잠시 파견되었으나, 이후 경력 대부분을 아시아 지역에서 보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보르네오에서는 일본에 대항하는 활동에 관여하다 포로가 되어 종전까지 수감되기도 했다. 전쟁 후에는 북보르네오와 홍콩에서 근무했으며, 훗날 싱가포르 총독과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블랙은 1906년 6월 3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스코틀랜드 스타링셔, 폴몬트 출신인 아버지 로버트 블랙과 어머니 캐서린 블랙 사이에서 태어났다.[2] 에든버러의 머치스턴(Merchiston)에 있는 조지 왓슨 칼리지(George Watson's College)에서 수학한 후, 에든버러 대학교에 진학하여 역사학을 전공, 1928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졸업했다.[1]2. 2. 식민지 행정 경력

졸업 후, 영국령 인도 정부에 입성할 생각을 했지만 결국 거절하고, 대신 1929년 식민지 정부 채용 시험에서 두각을 나타내 1930년에 말라야 정부에 입성했다.[3] 해협 식민지 총독 세실 클레멘티의 개인 비서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클레멘티의 거만한 태도에 불만을 품고 이동을 요청한 후, 싱가포르, 파항, 페락, 조호르에서 지방 행정에 종사했다.[4] 1939년에는 카리브해 식민지 트리니다드에 식민지 장관 보좌관으로 파견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에 다시 말라야로 부임하여 1940년 3월에는 외국환 관리 위원회 비서에 취임했다.[5]
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및 포로 생활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1년 12월,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하고 영국의 극동 식민지를 침공하면서 로버트 블랙은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당시 북보르네오에서 복무하던 그는 1942년 1월 정보대에 발령받아 일본에 대항하는 게릴라 활동에 관여했다. 그러나 같은 해 일본군에게 포로로 잡혔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어 있었다.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면서 포로 생활에서 벗어나 석방되었다.
4. 전후 식민지 행정 경력
로버트 블랙은 30년 이상 영국 식민지 행정부에서 복무했으며, 초기 트리니다드 발령 이후에는 계속 아시아 지역에서 근무했다. 북보르네오에서 복무 중 제2차 세계 대전 때 일본군 포로가 되었다가 종전 후 풀려났다.
전후 북보르네오와 홍콩을 거쳐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싱가포르 총독을 지냈다. 싱가포르 총독으로서 블랙의 권한은 이전보다 축소되었고, 총독과 새로 도입된 수석 장관 사이의 권한 분담은 명확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4] 1956년 3월, 블랙은 당시 수석 장관이었던 데이비드 마셜 등 싱가포르 정당 대표들과 함께 자치 협상을 위해 런던으로 향했다. 싱가포르 입법 의회는 영국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4월 5일 독립의 조기 실현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14] 그러나 블랙은 싱가포르가 내부 치안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자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 결국 마셜은 자치권 획득에 실패했고,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6월 6일 수석 장관직을 사임했다. 후임으로는 노동복지부 장관이었던 림유홋이 6월 8일 취임했다.[15][14]
림유홋은 취임 직후 좌익 세력에 대한 대규모 검거에 나섰고, 이는 1956년 10월 26일 좌파 성향의 중화 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주도한 대규모 폭동으로 이어졌다.[14][18] 싱가포르 정부는 10월 26일부터 11월 2일까지 야간 통행 금지령을 발령했고, 림유홋은 블랙 총독의 지지를 받아 폭동을 강경하게 진압했다.[14][15] 림유홋 정부의 친영국적 태도와 좌파에 대한 강경 노선은 영국 정부가 싱가포르의 치안이 안정되었다고 판단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1957년 3월 새로운 자치 협상이 시작되었고,[14][19] 4월에는 자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1958년 5월 28일 런던에서 정식으로 자치 협정이 조인되었다.[14] 이 협정에 따라 영국 정부는 1959년 총선에서 입법 의회 의석수를 늘리고 완전 보통선거를 실시하며, 싱가포르 자치 정부 수립을 승인했다. 새 자치 정부는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모든 내정을 책임지게 되었고, 총독직은 폐지되어 상징적인 국가 원수인 '양 디-페르투안 네가라'(Yang di-Pertua Negara영어)로 대체될 예정이었다.[14]
블랙은 싱가포르의 자치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공무원의 현지화, 이른바 "말레이화"를 추진했다. 당시 공무원 상급직 대부분을 영국인이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점차 싱가포르 현지인으로 대체해 나갔다.[15] 또한 1957년 10월에는 입법 의회에서 '싱가포르 시민권 조례'가 통과되는 데 기여했다. 이 조례는 처음으로 싱가포르 시민이라는 법적 지위를 규정했으며, 싱가포르 출생자, 싱가포르인 아버지를 둔 해외 출생자(외국 국적 포기 시), 말라야 연방 출신으로 싱가포르에 2년 거주한 자, 영국 및 식민지 출신으로 2년 거주한 자, 외국인으로 10년 거주한 자 등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20] 이러한 행정 및 입법 조치들은 1959년 6월 싱가포르의 공식적인 자치 정부 출범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14]
특히 인민행동당의 리콴유 비서장은 블랙의 임기 동안 여러 노동 쟁의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며 블랙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5] 블랙은 리콴유의 조직 동원 능력에 감탄했으며, 그가 장차 독립 싱가포르를 이끌 가장 유능한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7] 실제로 블랙이 싱가포르를 떠난 직후 치러진 1959년 총선에서 리콴유가 이끄는 인민행동당이 압승을 거두었고, 리콴유는 초대 총리로 취임하여 이후 싱가포르의 독립을 이끌고 장기간 집권했다.[14]
싱가포르에서의 성과를 인정받아 블랙은 10년간 홍콩 총독으로 재임한 알렉산더 그랜섬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7] 그는 1959년 싱가포르 자치주 수립 과정을 직접 보지는 못하고, 1957년 12월 9일 싱가포르를 떠났다. 후임 총독으로는 총무 장관이었던 윌리엄 구드가 임명되었다.[21] 떠나기 전날 밤, 블랙은 싱가포르 의회로부터 명예 시민 칭호를 받았는데, 이는 싱가포르 역사상 마지막 명예 시민 수여였다.[4] 1958년 1월 23일 홍콩에 부임한 블랙은 과거 홍콩 보정사로서 명성이 높았던 만큼, 전임자인 그랜섬 총독 못지않은 성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감을 안고 임기를 시작했다.[8]
4. 1. 북보르네오 부총무장관 (1946년 ~ 195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보르네오에서 복무하며 정보대에 소속되어 일본에 맞서는 게릴라 활동에 참여했다. 1942년 일본군에게 붙잡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포로수용소에 갇혀 지냈다. 전쟁이 끝난 후, 1946년부터 1952년까지 북보르네오의 부총무장관으로 부임하여 전후 복구에 힘썼다.4. 2. 홍콩 정무사 (1952년 ~ 1955년)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4. 3. 싱가포르 총독 (1955년 ~ 1957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북보르네오와 홍콩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싱가포르 총독을 지냈다.5. 홍콩 총독 (1958년 ~ 1964년)
로버트 블랙은 싱가포르 총독 임기를 마친 후, 1958년 1월 23일부터 1964년 3월 31일까지 제23대 홍콩 총독으로 재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홍콩은 급격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지만, 동시에 대약진 운동의 여파로 중국 본토에서 수많은 난민이 유입되는 문제와 심각한 가뭄 및 물 부족 사태에도 직면했다.
블랙 총독은 이러한 당면 과제에 대응하는 한편, 홍콩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여러 소규모 교육 기관을 통합하여 홍콩중문대학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총독 임기 동안 홍콩중문대학 및 홍콩 대학의 총장직을 겸임하기도 했다.[8] 행정 분야에서는 공무원의 현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홍콩 출신 인재들이 고위직에 오를 수 있는 기회를 확대했다.[7][8] 이는 중국계가 다수인 홍콩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통치 효율성을 높이려는 목적이었다.
정치적으로는 1950년대부터 신흥 중산층을 중심으로 행정국과 입법회의 대의제 도입 등 정치 개혁 요구가 있었지만, 영국 정부는 홍콩 정치 제도의 "근본적인 변경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거부했다.[8] 블랙 총독 역시 홍콩의 자치권 획득이나 독립은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했다.[25] 이로 인해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행정국과 입법국의 의석 구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총독이 의회를 확고하게 장악하는 구조를 유지했다.[26][27] 다만, 퇴임 직전에 의석 수 증가와 비관수 의석 비율 확대에 동의하여 후임 총독 시기 개혁의 토대를 마련했다.[8]
사회적으로는 1950년대부터 여성 단체 등을 중심으로 첩 제도 금지와 남녀 평등에 기반한 새로운 혼인법 제정 요구가 꾸준히 제기됐다. 이에 블랙 총독은 1958년 관련 문제 검토를 지시했으며, 1960년 구식 혼인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혼인 등기 제도를 제안하는 보고서(香港華人婚姻問題報告書|향항화인혼인문제보고서중국어)가 발표됐다.[28][29] 이는 격렬한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혼인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됐다.[29]
블랙 총독의 후임으로는 데이비드 트렌치가 임명되었다.
5. 1. 경제 발전
로버트 블랙 총독 재임 기간 동안 홍콩은 급격한 번영을 경험했지만, 동시에 대약진 운동의 여파로 인한 기근 등을 피해 중공 본토에서 넘어온 수많은 난민 문제에 직면했다. 일부는 송환되었으나 구룡에 도착한 수십만 명의 난민 대부분은 홍콩 체류가 허가되었다. 이들의 유입은 식민 당국에 큰 부담이었지만, 정부는 공공주택 건설과 공공 보건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홍콩의 노동력 확보와 사회 안정에 기여하며 경제 발전의 기반을 다지는 요소로 작용했다.[8]그러나 블랙 총독 임기 말기인 1962년부터 1964년까지 홍콩은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며 심각한 물 부족을 겪었다. 1963년 6월부터 1964년 5월 태풍 비올라가 가뭄을 해소하기 전까지, 물 공급은 4일에 단 4시간으로 제한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8] 이러한 물 부족은 시민 생활뿐 아니라 산업 활동에도 큰 제약을 가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랙 총독은 대규모 상수도 인프라 확충에 힘썼다. 1956년에 착공된 석벽 수탕(Shek Pik Reservoir)이 1963년에 완공되어 가동을 시작했으며[32], 1961년에는 청담 수탕(Tsing Tam Reservoir), 하배 수탕(Ho Pui Reservoir), 황니둔 수탕(Wong Nai Tun Reservoir) 등 신계 지역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들이 건설되었다.[32]
특히 1959년에는 타이포 앞바다의 선만(Plover Cove)을 댐으로 막아 거대한 담수호로 만드는 선만호(Plover Cove Reservoir)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발상으로, 1960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블랙 총독 퇴임 후인 1968년에 완공되었다. 총 4억홍콩 달러의 비용이 투입된 이 저수지는 1억 7천만 입방미터의 저수 용량을 확보했지만, 급증하는 물 수요를 완전히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했다.[8][32]
저수지 건설만으로는 즉각적인 물 부족 해결이 어려웠기 때문에, 블랙 총독은 중국 광둥성 당국과 동강 물 구매 협상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비교적 안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1960년 11월, 선전 수고(Shenzhen Reservoir)로부터 연간 50억 갤런의 물을 공급받기로 합의했다.[32] 이후 1963년에는 추가 협상을 통해 동심공수공정(東深供水工程, Dongjiang–Shenzhen Water Supply Scheme) 건설이 시작되었고, 1965년 1월 완공되었다. 1964년 4월 체결된 협정에 따라 광둥성 정부는 1965년 3월부터 홍콩에 연간 150억 갤런 이상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었다.[32] 이러한 대규모 상수도 사업은 홍콩의 생활 및 산업 활동에 필수적인 물 공급을 안정시켜 장기적인 경제 성장의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5. 2. 사회 발전
블랙 총독 재임 기간 홍콩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동시에 대약진 운동의 여파로 중국 본토에서 수많은 난민이 유입되는 문제에 직면했다. 일부는 송환되었으나 구룡에 도착한 수십만 명 대부분은 홍콩 체류를 허가받았다. 이로 인해 식민 당국은 큰 부담을 안게 되었으나, 공공주택 건설과 공공 보건 조치 강화 등을 통해 난민 문제에 대응하고자 노력했다.임기 말기인 1962년 5월부터 1964년 8월까지는 극심한 가뭄으로 물 부족 사태를 겪기도 했다. 1963년 6월부터 1964년 5월 태풍 비올라가 올 때까지 4일에 4시간으로 급수를 제한하는 조치가 시행되었다.
교육 분야에서는 여러 소규모 교육 기관을 통합하여 홍콩중문대학 설립을 추진했다. 블랙은 총독 임기 동안 홍콩중문대학 및 홍콩 대학의 총장직을 겸임하기도 했다.

블랙 총독은 홍콩 정청이 추진해 온 공무원의 현지화를 계속 추진하여 특히 상급 직위에 오르는 홍콩인의 수를 늘렸다. 1961년 홍콩 정부의 상급 직위에는 약 730명의 화교가 있었지만, 이듬해 1962년 블랙은 현지 채용된 화교 공무원 90명에게 해외 유학을 허가하여 상급 직위 준비를 시켰다[8]。홍콩 정청 내 행정 팀에서 화교 정무관(AO)의 수도 착실히 증가했다. 홍콩 해방 이후 홍콩 정청은 이미 1948년에 쉬자샹을 화교로 최초의 정무관으로 임명했는데, 블랙 재임 기간에 임명된 화교 정무관으로는 진팡안성, 훠뤄자오전, 양치옌 등이 있다. 중국계가 다수를 차지하는 상업 도시 홍콩에서 더 많은 중국계 시민에게 홍콩의 통치를 맡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블랙은 생각했고, 공무원의 현지화 추진은 어디까지나 "제국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 위해"였다[7]。
또한, 1950년대부터 홍콩 부녀회 등의 여성 단체가 적극적으로 첩 제도 금지를 호소하고, 남녀 평등의 새로운 혼인법 제정을 반복해서 요구했다. 이러한 의견을 받아들여 블랙은 1958년 율정사와 화민정무사에게 홍콩 중국계 주민의 혼인 문제를 재검토하게 했다. 1960년에 발표된 "홍콩의 중국인 혼인에 관한 보고서(香港華人婚姻問題報告書중국어)"에서는 구식 혼인 제도와 메이차이 제도[28]는 "시대에 뒤떨어진다"고 간주하고, 구식 혼인 제도와 그 의식을 "단호히" 폐지해야 한다고 권고하지는 않았지만, 구식이든 신식이든 혼인은 등기식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보고서의 결론은 당시 홍콩 각계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962년 화민정무사가 도쿄에서 개최된 국제 연합 주최 국제 세미나에 참가했다. 가족법에서 여성의 지위에 관한 이 세미나에서는 주요 의제 중 하나로 홍콩의 혼인 문제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홍콩 정청의 관심은 다시 높아졌다. 1965년 데이비드 트렌치가 총독을 승계한 후 율정사, 화민정무사, 행정·입법 양국 화교 비관수 의원은 일치하여 "McDouall-Heenan Report영어"를 정부에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행정국에서 신속히 승인되자 식민지성에 제출되어 장관의 승인을 얻었다[29]。
5. 3. 정치 제도 및 법률 발전
1950년대 홍콩에서는 신흥 중산층을 중심으로 정치 개혁 요구가 높아졌다. 중산층을 기반으로 한 주요 정당인 香港革新會|향항혁신회중국어와 香港公民協會|향항공민협회중국어는 1960년 런던을 방문하여 행정국과 입법회 양 평의회에 대의제 의석 도입을 포함한 정치 체제 개혁을 영국 정부에 요청했다. 그러나 당시 식민지 장관 Iain Macleod|이언 매클로드중국어는 홍콩 정치 제도에 "근본적인 변경은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8]. 로버트 블랙 총독 역시 홍콩의 자치권 획득이나 독립은 중국 공산당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므로, 싱가포르와 같은 독립 노선은 불가능하다고 내심 판단했다[25]. 그럼에도 블랙은 임기 동안 온건한 수준의 정치 및 행정 개혁을 추진했다.블랙은 홍콩 정부가 추진해 온 공무원 현지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특히 상급 직위에 오르는 홍콩인의 수를 늘리는 데 주력했다. 1961년 기준으로 홍콩 정부 상급 직위에는 약 730명의 화교가 있었으며, 이듬해인 1962년에는 현지에서 채용된 화교 공무원 90명에게 해외 유학 기회를 제공하여 상급 직위 진출을 준비시켰다[8]. 홍콩 정부 내 행정 팀의 화교 정무관(AO) 수도 꾸준히 증가했다. 홍콩 해방 이후 1948년 쉬자샹이 최초의 화교 정무관으로 임명된 이래, 블랙 재임 기간에는 진팡안성, 霍羅兆貞|훠뤄자오전중국어, 楊啟彥|양치옌중국어 등이 화교 정무관으로 임명되었다. 블랙은 중국계가 다수인 상업 도시 홍콩에서 더 많은 중국계 시민에게 통치를 맡기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겼으며, 공무원 현지화 추진은 "제국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 위한" 조치라고 생각했다[7].
그러나 블랙의 재임 기간 동안 행정국과 입법국의 의석 구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행정국은 관수(총독이 임명하는 공직자) 의원 7석과 비관수 의원 6석, 입법국은 관수 의원 10석과 비관수 의원 8석으로 유지되었다. 양 평의회 모두 관수 의원이 다수를 차지했고, 비관수 의석 역시 모두 총독이 임명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블랙은 의회를 확고하게 장악할 수 있었다[26]. 시정국 역시 관수 6석, 임명 비관수 8석, 선거 비관수 8석의 구조를 유지했다[27]. 블랙이 행정국, 입법국, 시정국의 의석 수를 늘리고 비관수 의석 비율을 높이는 데 동의한 것은 총독 퇴임 직전이었으며, 이 개혁안이 실제로 시행된 것은 1964년 후임자인 데이비드 트렌치가 총독직을 계승한 이후였다[8].
한편, 1950년대에는 홍콩 부녀회 등 여성 단체들이 적극적으로 첩 제도 금지를 주장하며 남녀 평등에 기반한 새로운 혼인법 제정을 요구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블랙은 1958년 율정사와 華民政務司|화민정무사중국어에게 홍콩 내 중국계 주민의 혼인 문제를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 1960년에 발표된 "홍콩의 중국인 혼인에 관한 보고서(香港華人婚姻問題報告書|향항화인혼인문제보고서중국어)"는 구식 혼인 제도와 메이차이(婢女) 제도[28]를 "시대에 뒤떨어진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구식 혼인 제도와 그 의식을 즉각 폐지해야 한다고 강력히 권고하지는 않았지만, 혼인 형태와 관계없이 모든 혼인은 등기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당시 홍콩 사회 각계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962년에는 화민정무사가 도쿄에서 열린 국제 연합(UN) 주최 국제 세미나에 참석했는데, 이 세미나에서 가족법상 여성의 지위와 관련하여 홍콩의 혼인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지면서 홍콩 정부의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이후 1965년, 트렌치 총독 재임 시기에 율정사, 화민정무사, 행정·입법 양국의 화교 비관수 의원들이 공동으로 "McDouall-Heenan Report|맥도웰-헤넌 보고서영어"를 정부에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행정국에서 신속히 승인된 후 식민지성에 제출되어 장관의 승인을 받음으로써 혼인법 개정의 발판을 마련했다[29].
5. 4. 수자원 문제 해결 노력
로버트 블랙 총독 임기 마지막 2년 동안 홍콩은 심각한 가뭄에 시달려 물 부족 문제를 겪었다. 이에 따라 1962년 5월부터 1964년 8월까지 제한 급수가 시행되었다. 특히 1963년 6월부터 태풍 비올라가 가뭄을 해소시킨 1964년 5월까지는 물 공급이 4일마다 4시간으로 제한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6. 퇴임 이후
7. 평가 및 유산
로버트 블랙 경의 총독 재임 기간 동안 홍콩은 급격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지만, 동시에 대약진 운동으로 인한 기근 등을 피해 중국 본토에서 넘어온 수많은 난민 문제에 직면했다. 블랙 총독은 일부 난민을 송환하기도 했지만, 구룡에 도착한 대다수의 체류를 허가했다. 급증한 인구는 식민 당국에 큰 부담이었으나, 정부는 공공주택 건설과 공공보건 시스템 확충을 통해 이들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려 노력하며 사회 기반 시설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임기 말기에는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1962년 5월부터 1964년 8월까지 제한 급수가 시행되었다. 특히 1963년 6월부터 태풍 비올라가 가뭄을 해소한 1964년 5월까지는 4일마다 4시간만 물을 공급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여러 소규모 교육 기관을 통합하여 홍콩중문대학을 설립하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총독 임기 동안 홍콩중문대학과 홍콩 대학의 총장을 겸임하며 홍콩의 고등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전반적으로 블랙 총독은 난민 문제와 가뭄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회 기반 시설 확충과 교육 발전에 힘쓰며 홍콩 사회의 안정과 성장을 이끈 인물로 평가받는다.
8. 서훈 및 명예
훈장 | 등급/부문 | 수훈 연도/일자 |
---|---|---|
대영 제국 훈장 | 최하위 훈장 (MBE, 군사 부문) | 1948년 11월 12일[38] |
대영 제국 훈장 | 장교 훈장 (OBE) | 1949년 신년 서훈[39] |
성 미카엘·성 조지 훈장 | 3등급 (CMG) | 1953년 신년 서훈[40] |
성 미카엘·성 조지 훈장 | 2등급 기사 작위 (KCMG) | 1955년 여왕 생일 서훈[13] |
세인트 존 기사단 | 기사 (KStJ) | 1956년 1월 6일[41] |
성 미카엘·성 조지 훈장 | 1등급 기사 작위 (GCMG) | 1962년 신년 서훈[34] |
페루 공로 훈장 | 대십자장 | [2] |
학위 | 수여 기관 | 수여 연도 |
---|---|---|
명예 법학 박사 | 홍콩 대학교 | 1963년 |
명예 법학 박사 | 홍콩 중문 대학교 | 1964년 |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5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
서적
Who's Who
A & C Black
1999
[3]
간행물
Issue 33549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29-11-05
[4]
웹사이트
Sir Robert Black
National Library, Singapore
2010-06-25
[5]
서적
The Colonial Office List
Colonial Office
1951
[6]
간행물
Supplement to Issue 35496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42-03-20
[7]
뉴스
SIR ROBIN BLACK
The Economist
1999-11-06
[8]
서적
Excellency: the governors of Hong Kong
FormAsia
1995
[9]
뉴스
Obituary: Sir Robin Black
The (London) Independent
1999-11-09
[10]
서적
香港史新編(上冊)
三聯書店(香港)有限公司
1997
[11]
간행물
OFFICIAL REPORT OF PROCEEDINGS
Government Printer
1955-03-30
[12]
웹사이트
Singapore
2007-05-24
[13]
간행물
Supplement to Issue 40497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55-06-03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ingapore
Scarecrow Press
2010
[15]
서적
李光耀回憶錄—風雨獨立路
外文出版社
1998-09
[16]
서적
Marshall of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8
[17]
간행물
Annual report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8
[18]
논문
1950 年代新加坡華校的學潮
中央研究院亞太研究計劃
2002-12
[19]
웹사이트
林有福是李光耀的上馬石
2008-04-03
[20]
서적
Political Development of Singapore, 1945-1955
Singapore University Press
1973
[21]
웹사이트
Hong Kong
2007-05-24
[22]
뉴스
Sir Robin Black - Obituary
1999-12-09
[23]
뉴스
Ex-governor Sir Robert Black dies at 93
South China Morning Post
1999-11-02
[24]
서적
邁進中的大學:香港中文大學三十年
中文大學出版社
1993
[25]
간행물
「倒數九七」演講
1997-06
[26]
간행물
Hong Kong
Hong Kong Government Press
1958-1965
[27]
서적
Political Development in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7
[28]
문서
妹仔とは、金銭で取引される若い下女のことで、主人からはしばしば妾とされたり、性的虐待を受ける場合があり、香港では戦前から問題視されていた。{{仮リンク|反対蓄婢会|zh|反對蓄婢會}}、{{仮リンク|丫鬟|zh|丫鬟|label=妹仔}}参照
[29]
웹사이트
“华律治华人”下的香港:新社会与旧婚姻
https://cul.sohu.com[...]
[30]
웹사이트
香港天文台警告及信號資料庫
http://www.hko.gov.h[...]
2011-12-24
[31]
뉴스
已故港督柏立基女兒,悼亡父說香江40年
明報
1999-12-12
[32]
웹사이트
邁步向前——穩定的食水供應時期
2007-05-24
[33]
웹사이트
Hong Kong
2007-05-24
[34]
간행물
Supplement to Issue 42552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61-12-29
[35]
뉴스
鍾逸傑緬懷柏立基一二事
蘋果日報
1999-11-04
[36]
뉴스
前總督柏立基逝世,特首發文表揚貢獻
成報
1999-11-03
[37]
뉴스
前港督柏立基病逝
天天日報
1999-11-03
[38]
간행물
Supplement to Issue 38453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48-11-09
[39]
간행물
Supplement to Issue 38493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48-12-31
[40]
간행물
Supplement to Issue 39732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52-12-30
[41]
간행물
Issue 40679
https://www.thegazet[...]
London Gazette
1956-01-06
[42]
뉴스
新加坡植物园
http://www.yuanlin36[...]
园林
2006-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