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잔 협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잔 협의는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중화인민공화국의 IOC 회원 자격 회복을 추진하면서, 중화민국 올림픽 위원회(ROC)의 명칭, 국기, 국가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결된 협약이다. 1970년대 중국 대표성 분쟁을 거쳐, IOC는 ROC에 "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명칭 사용, 새로운 깃발 및 휘장 사용을 요구했고, 중화민국은 이를 수용했다. 이 협약을 통해 ROC는 국제 스포츠 대회에 "차이니스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참가하게 되었으며, 이는 스포츠뿐만 아니라 다른 국제 기구에서의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대만 - 제18회 금마장
제18회 금마장은 1981년에 열린 영화 시상식으로, 《가짜 인생》이 최우수 작품상을, 서극이 《잘못된 단서》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부문에서 영화적 성취를 기렸다. - 양안 관계 - 하나의 중국
'하나의 중국' 원칙은 국공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이 스스로를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주장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원칙에 따라 타이완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고 외교 관계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우는 양안 관계의 핵심 쟁점이다. - 양안 관계 - 대만 문제
대만 문제는 중국과 대만 간의 정치적, 법적, 군사적 갈등으로, 대만의 정치적 지위를 둘러싼 분쟁이며,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는 반면, 대만은 독립적인 통치와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로잔 협의 | |
---|---|
지도 | |
개요 | |
유형 | 합의 |
체결일 | 1989년 4월 |
장소 | 스위스 로잔 |
관련 단체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중화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
당사자 | |
주요 당사자 | 중화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
중재자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
내용 | |
핵심 내용 | 중화 타이베이는 올림픽을 포함한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중국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라는 명칭과 깃발, 엠블럼을 사용한다. |
배경 | 중국과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 문제 하나의 중국 원칙 |
목적 | 타이완의 스포츠 단체가 국제 스포츠 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
영향 | |
결과 | 타이완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스포츠 행사에 참가한다. |
파생 | "올림픽 모델" 또는 "로잔 모델"이라는 용어가 유사한 상황에 적용된다. |
관련 정보 | |
관련 용어 | 올림픽 모델 |
참고 자료 | 국민체육계간 156기 두 회의 로잔 협의의 기원 올림픽 모델 내용 분석 및 관련 조치 |
2. 역사적 배경
국공 내전의 결과로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스포츠 분야에서도 '중국 대표권' 문제가 발생했다. 기존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중화전국체육협진회)는 중화민국 정부를 따라 대만으로 이전했고,[4] 중국 대륙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주도로 새로운 체육 기구(중화전국체육총회)가 설립되었다.
이후 IOC는 양안의 올림픽 참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모색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는 양측 참가를 모두 승인하려 했으나 중화민국의 반발로 무산되었고,[4][5] 1954년에는 타이베이와 베이징 양측의 올림픽 위원회를 모두 인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나의 중국 원칙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 속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국기 게양 문제 등에 반발하여 1956년 멜버른 올림픽 참가를 거부하고 1958년 IOC에서 탈퇴했다.
이후 중화민국은 IOC 회원 자격을 유지했지만, 올림픽 참가 명칭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었다. IOC의 요구에 따라 1960년 로마, 1964년 도쿄,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는 '대만' 또는 '포르모사' 등의 이름으로 참가했다. 1968년에는 '중화민국(Taiwan R.O.C.)' 명칭 사용이 잠시 허용되기도 했다.
1971년 유엔 총회가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중화민국의 의석을 대체하면서 국제 사회에서 중화민국의 입지는 더욱 축소되었다. 이는 올림픽 무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당시, 이미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한 개최국 캐나다 정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화민국 선수단에게 '대만' 명칭 사용을 요구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결국 올림픽 참가를 철회했다.[6][7]
수십 년간 이어진 양안 간의 올림픽 참가 문제는 정치적 갈등으로 올림픽 정신을 훼손한다는 우려를 낳았다. 특히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불참 사태는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부각시켰고, IOC가 양측 모두 수용 가능한 새로운 합의 방안을 모색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로잔 협의가 추진되었다.
2. 1. 중국 대표성 분쟁 (1950년대 ~ 1970년대)
1922년 설립되어 IOC의 승인을 받은 중국의 올림픽 위원회인 중화아마추어운동연합회(中華業餘運動聯合會)는 1924년 중화체육협회 주비처와 통합되어 중화전국체육협진회(中華全國體育協進會)로 개편되었다.[4] 국공 내전 이후 1949년, 이 조직은 중화민국 정부를 따라 대만으로 이전하였다. 한편, 중국 대륙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스포츠 조직을 개편하여 중화전국체육총회(中華全國體育總會)를 새로 만들었다.1952년 초, 중화전국체육총회가 IOC 승인과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참가를 요청하자, IOC는 총회에서 양안 대표단의 참가를 모두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중화민국 측은 반발하며 불참했다.[4][5] 1954년 아테네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는 타이베이의 "중화 올림픽 국가 아마추어 운동 연합회"(中華奧會,國家業餘運動聯合會)와 베이징의 "중화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中華人民共和國奧會)를 모두 승인하며 이른바 '두 개의 중국' 정책을 시도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국기 게양 문제로 참가를 기권했고, IOC가 타이베이의 중화 올림픽 위원회를 계속 승인하자 1958년 IOC에서 탈퇴하였다. 이로써 두 중국 올림픽 위원회의 공존은 약 4년 만에 끝났다.
1959년 5월 뮌헨 IOC 총회에서는 소련과 동유럽 위원들이 타이베이의 중화 올림픽 위원회가 중국 본토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퇴출을 시도하여 관련 안건이 통과되었다. 하지만 이듬해 중화민국 정부는 유엔 회원국 명칭인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 Olympic Committee영어)을 사용하여 IOC 재승인을 신청했고, IOC는 올림픽 참가 시 '대만'이라는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 이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중화민국 대표단은 1960년 로마, 1964년 도쿄,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 '대만'(포르모사)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1968년 10월 멕시코에서 열린 제67차 IOC 총회에서는 대만 대표단의 명칭을 '중화민국'(Taiwan R.O.C.영어)으로 변경하는 안이 32대 10으로 통과되었다.
1971년, 유엔 총회는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서 중화민국의 자리를 대체하도록 결정했다. 이 결의안은 76대 35로 채택되었고, 이후 중화민국은 유엔에서 탈퇴했으며 1973년에는 아시안 게임에서도 탈퇴했다. 1975년,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며 IOC 재가입을 신청했다. 그러나 IOC는 스포츠에 대한 정치 불간섭 원칙을 강조하며, 중화민국 배제를 재가입 조건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요구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개최 당시, 개최국 캐나다 정부는 이미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다. 피에르 트뤼도 당시 캐나다 총리는 중화민국 선수단에게 '대만'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할 것을 요구했으나, 중화민국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당시 IOC 위원장이었던 킬라닌 경이 여러 차례 중재를 시도했지만, 결국 중화민국은 명칭, 국기, 국가 사용 문제로 인해 올림픽 참가를 철회했다.[6][7] 이 사건은 올림픽 운동에서 정치적 갈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2. 2. 나고야 결의 (1979년)
1979년 새해 첫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러한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킬라닌 IOC 위원장은 중화인민공화국의 IOC 복귀와 중화민국의 지위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킬라닌 위원장은 집행위원회에서 다음 해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릴 1980년 동계 올림픽에서 중화민국의 기존 이름과 국기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같은 해 4월,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제81차 IOC 총회에서는 베이징과 타이베이의 올림픽 위원회를 각각 "Chinese Olympic Committee, Pekingeng"와 "Chinese Olympic Committee, Taipeieng"로 인정하여 두 위원회가 공존하는 방안을 결의했다.[8]
그러나 1979년 10월, 킬라닌 위원장은 나고야에서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통신 투표 방식을 통해 61대 17로 몬테비데오 총회 결의를 부결시켰다. 이른바 '나고야 결의'를 통해 타이베이에 있는 중화 올림픽 위원회의 명칭을 "Chinese Taipei Olympic Committee|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eng"로 변경하도록 했으며, 기존의 중화민국 국호, 국기, 국가 사용을 금지했다. 대신 새로운 기와 휘장을 만들어 IOC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였다.[8]
당시 올림픽 헌장은 어떤 형태의 차별도 금지하고 있었고, 64조, 65조, 66조는 올림픽 행사에서 참가국의 국기와 국가를 사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었다. 이에 쉬헝(徐亨) IOC 위원과 중화 올림픽 위원회는 나고야 결의가 올림픽 헌장에 위배된다며 IOC 본부가 있는 로잔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또한 1980년 동계 올림픽 참가를 보장받기 위해 통신 투표의 효력을 정지시켜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으나 기각되었고, 결국 중화민국 선수단은 대회 참가를 철회했다. 본안 소송에서 법원은 나고야 결의가 올림픽 헌장 64조, 65조, 66조의 정신과 문구에 위배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하여 IOC에 일부 패소 판결을 내렸으며, 소송 비용 부담도 명령했다.
이에 IOC는 1980년 2월,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기간 중 열린 제82차 연차 총회에서 올림픽 헌장의 관련 조항을 개정했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각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올림픽 참가 시 국가명(National nameeng)과 국기, 국가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대표단(Delegationeng)의 명칭과 기, 노래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으로 변경했다.
-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국가의 이름이 아닌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의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한다.
- 올림픽 기간 동안 사용될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기와 휘장은 IOC 집행위원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헌장 개정은 사실상 나고야 결의를 정당화하는 조치였다. 이후 중화 올림픽 위원회는 개정된 규정에 따라 기와 휘장 승인을 요청했으나 구체적인 진전은 없었으며, 1980년 7월 모스크바에서 열릴 1980년 하계 올림픽 참가 초청마저 잠정 중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중화민국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연이어 불참하게 되었다.
3. 협의 과정과 주요 내용
1980년 7월, 모스크바 올림픽 기간에 열린 제83차 연차 총회에서 제7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가 선출되었다. 사마란치는 중화민국 올림픽 위원회(당시 명칭)의 쉬헝(沈鶴)을 만나, 로잔 법원에 제기된 소송을 4개월간 연기하고 회원 자격 문제에 대한 양측의 협상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같은 해 사마란치와 쉬헝은 두 차례 회의를 가졌으며, 중화민국 행정원도 1981년 1월 새로운 올림픽 참가를 위한 엠블럼을 디자인하는 등 준비를 진행했다.
마침내 1981년 3월 23일, 스위스 로잔의 IOC 본부에서 중화민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선자밍(沈家銘)과 IOC 위원장 사마란치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와 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간의 협의"(Agreement between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Lausanne and the Chinese Taipei Olympic Committee, Taipei|국제 올림픽 위원회와 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간의 협의eng)를 공식적으로 체결했다. 이 협의는 다음과 같은 올림픽 헌장 규정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2]
- (a) 제82차 IOC 연차 총회에서 채택된 올림픽 헌장과 그 개정안에 명시된 올림픽 활동 관련 규정.
- (b) 올림픽 헌장 제24조: "올림픽 대회에서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사용할 깃발과 휘장은 IOC 집행위원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 (c) 올림픽 헌장 제30조 제1항: "IOC가 인정하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만이 올림픽 참가 선수를 추천할 수 있으며, 참가를 위해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위원회를 구성하고 IOC의 승인을 신청해야 한다."
- (d) 올림픽 헌장 제3조: "올림픽은 4년마다 개최되며, 각국 선수들이 공정하고 평등하게 경쟁해야 한다. IOC는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이유로 어떤 국가나 개인도 차별받지 않고 올림픽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위 규정들에 따라 양측은 다음과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 (1)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명칭은 CHINESE TAIPEI OLYMPIC COMMITTEE|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eng로 하며, 이는 IOC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2) 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CTOC)는 위원회 깃발 및 휘장을 IOC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첨부된 양식에 따름)
- (3) IOC는 올림픽 헌장에 따라 CTOC가 향후 올림픽 및 IOC가 후원하는 모든 활동에 참가할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다. CTOC는 승인된 다른 모든 국가 올림픽 위원회와 동등한 지위와 완전한 권리를 가진다.
- (4) IOC는 CTOC가 IOC 및 IOC 관할 하의 모든 국제 스포츠 연맹에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재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
4. 후속 문제
로잔 협의 이후에도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정치적 상황은 올림픽 참가와 관련하여 여러 후속 문제를 발생시켰다. 협의에서 합의된 중화 올림픽 위원회의 명칭 외에도, 대표단이 사용할 노래(대표단 단가 문제), 올림픽 개막식에서의 입장 순서(올림픽 개막식 입장 순서), 그리고 '차이니스 타이베이'라는 명칭의 중국어 번역(차이니스 타이베이의 중문 번역 문제) 등 구체적인 사안에서 추가적인 논의와 조정이 필요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후 IOC의 개입이나 양측 간의 별도 합의를 통해 해결되었다.
4. 1. 대표단 단가 문제
1981년에 체결된 협의에서는 중화 올림픽 위원회의 명칭, 기, 휘장만 언급되었다. 그러나 1983년, IOC는 1984년 올림픽에서 사용할 노래를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이에 중화 올림픽 위원회는 중화민국 국가를 제출하려 했으나 IOC로부터 거부당했다. 결국 국기가가 대신 사용되기로 결정되었으며, 기존 국기가의 가사가 거부될 것을 우려하여 장비더가 새로운 가사를 작사했다.[5]4. 2. 올림픽 개막식 입장 순서

중국 본토 선수단과 가까운 순서로 입장하는 상황을 피하고자, 차이니스 타이베이 측(쉬헝 IOC 위원)은 사마란치 IOC 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차이니스 타이베이 선수단을 IOC 명부상 중국(China)을 나타내는 'C' 그룹이 아닌 타이베이(Taipei)를 나타내는 'T' 그룹에 배정하고, 이 순서에 따라 올림픽 개막식에 참가할 것을 요청하여 확인받았다.[2]
그러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개최국 언어인 중국어 간체자의 획수 순서에 따라 입장 순서가 정해졌다. 이 방식에 따라 '타이베이'(Taipei)의 'T' 순서가 아닌 '중화 타이베이'(中华台北)의 '중'(中)자 획수 순서로 배정되어, 중국 홍콩(中国香港) 선수단과 같은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두 선수단 사이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이 입장했지만, 이러한 순서 배정은 대만 내에서 향후 중국에서 열리는 국제 대회에서 차이니스 타이베이가 중국 홍콩, 중국 마카오 등과 연이어 입장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9][10][11]
이후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개막식에서는 영어 알파벳 순서가 적용되어 차이니스 타이베이 선수단은 'T' 순서로 입장했다.[12] 하지만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다시 중국어 간체자 획수 순서가 적용되었다. 차이니스 타이베이와 중국 홍콩 선수단은 '중'(中)자 순서에 따라 함께 배정되었고, 2008년과 달리 완충 역할을 했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불참하여 두 선수단이 연이어 입장할 상황이 되었다. 개막식 일주일 전, 중화 올림픽 위원회는 방역 및 교통 문제를 이유로 개막식 및 폐막식 불참을 선언했으나,[13][14] IOC의 우려 표명 이후 입장을 바꿔 개막식에 참석하기로 결정했고, 결과적으로 차이니스 타이베이와 중국 홍콩 선수단이 연이어 입장하게 되었다.[15][16]
4. 3. '차이니스 타이베이'의 중문 번역 문제
협의문에는 중화 올림픽 위원회의 영문 명칭만 명시되었기 때문에, 중문(中文) 번역 명칭을 두고 서로 다른 입장이 나타났다. 대만 측에서는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를 사용한 반면, 중국 본토에서는 공식 매체나 방송 등에서 '중국 타이베이'(中國台北)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7] 초기에는 양측 선수단이 주로 제3국에서 열리는 국제 대회에만 함께 참가했기 때문에, 명확한 영문 명칭이 있어 대회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중화민국 정부가 1987년 11월 중국 본토 친척 방문을 허용하면서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후 일부 대만인들이 친척 방문을 명목으로 중국 본토에서 열리는 스포츠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으나, 공식적인 스포츠 교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격적인 변화는 1988년 12월, 베이징 아시안 게임 개최를 앞두고 행정원(行政院)이 관련 지침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지침은 개인이나 민간 단체가 기존 국제 기구의 규정에 따라 중국 본토에서 열리는 국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스포츠 교류가 열리면서 중국 본토에서 개최되는 대회에서는 국제 스포츠 연맹의 공식 언어 외에 주최 측이 사용하는 중국어 명칭을 병기하는 국제 관례에 따라, 중문 명칭의 차이가 대만 선수단의 참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문제로 떠올랐다.
1989년 1월, 중국 올림픽 위원회 부위원장 천셴(陳先|천셴중국어)은 중국 본토에서 열리는 대회에 참가하는 대만 스포츠팀의 명칭은 반드시 '중국 타이베이'여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만의 중화 올림픽 위원회는 중국 본토 대회 참가를 위한 두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첫째,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하며, 둘째, 국제 스포츠 연맹이 주최하는 공식 대회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중국 본토 측이 이에 반대하자, 중화 올림픽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구 사항 중 하나가 충족되어야만 본토 대회 참가가 가능하다고 입장을 강화했다.
# 중국 본토 측이 '중국 타이베이' 명칭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보증할 것.
# 참가하는 대만 측 협회가 아시아 또는 국제 스포츠 연맹에 중문 번역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올림픽 위원회 방식을 완전히 따르도록 요청할 것.
# 중문 번역 명칭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중화 타이베이'로 표기할 것.
이러한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중화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장펑쉬(張豊緒|장펑쉬중국어)는 리칭화(李慶華|리칭화중국어) 당시 사무총장에게 협상을 위임했다. 리칭화는 1989년 3월 11일 홍콩으로 건너가 중국 올림픽 위원회와 협상을 시작했고, 마침내 1989년 4월 6일 허전량(何振梁|허전량중국어) 당시 중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과 합의에 이르렀다. 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만의 스포츠팀과 단체가 대회, 회의 또는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본토로 가는 경우,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관련 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대회(즉, 주최 기관) 측이 편찬하고 인쇄한 문서, 매뉴얼, 서신, 제작물 명칭, 방송 등에서 대만의 스포츠팀과 단체를 중국어로 지칭할 때는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로 표기한다."
이 합의에 따라 1989년 4월 21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아시아 청소년 체조 선수권 대회는 대만이 중국 본토에 선수단을 파견한 최초의 공식 스포츠 행사가 되었다. 이후 1992년 5월에는 타이베이-상하이-베이징 릴레이 행사가 열리며 양측 간의 본격적인 스포츠 교류 시대가 시작되었다.
5. 영향
로잔 협의의 결과로 중화 올림픽 위원회와 중국 올림픽 위원회는 1984년 2월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과 7월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함께 선수단을 파견할 수 있게 되었다.[17] 이후 두 올림픽 위원회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체제 내에서 공존하게 되었으며, 대만의 종목별 스포츠 협회들도 국제 스포츠 연맹(IF) 및 관련 아시아 기구로 복귀하는 길이 열렸다. 이러한 '올림픽 모델'은 스포츠 분야를 넘어 다른 국제 기구에서도 중화민국(대만)의 참여 방식을 결정하는 선례가 되었다.
참조
[1]
웹인용
解析「奧會模式」與政治歧視--追記「兩會洛桑協議」之淵源
http://www.sac.gov.t[...]
行政院體育委員會
2008-12-15
[2]
웹인용
「奧會模式」內容解析與配套措施
http://www.sac.gov.t[...]
行政院體育委員會
2008-12-15
[3]
웹인용
奧會模式
http://www.sac.gov.t[...]
行政院體育委員會
2008-12-15
[4]
웹인용
「中華台北」會籍名稱使用事略
http://old.npf.org.t[...]
財團法人國家政策研究基金會
2001-11-02
[5]
웹인용
1981年奧會模式簽訂之始末
http://www.tpa.gov.t[...]
2010-07-04
[6]
웹인용
Taiwan controversy at the 1976 Montreal Olympics
http://www.cbc.ca/ar[...]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8-07-17
[7]
뉴스
Threat to Cancel Olympics Made Over Taiwan Dispute
https://www.nytimes.[...]
1976-07-10
[8]
서적
Beijing's Games: What the Olympics Mean to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8-05
[9]
뉴스
入場序被矮化 藍委批吳經國隱瞞「奧」步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1-08-05
[10]
뉴스
入場序遭改 紀政:全民都應憤怒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1-08-05
[11]
뉴스
京奧今開幕式 台灣第24位進場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1-08-05
[12]
뉴스
我亞運T字排序 35位進場
https://sports.ltn.c[...]
自由時報
2021-08-05
[13]
웹인용
台灣急轉彎 參加北京冬奧開閉幕// 台權會批 為中國侵害人權背書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2-02-02
[14]
웹인용
大轉折 中華台北將出席冬奧開閉幕
https://www.chinatim[...]
中國時報
2022-02-02
[15]
웹인용
冬奧/我參加北京冬奧開幕式 入場序將在中國香港之前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2-02-01
[16]
웹인용
冬奧開幕式|真的是她!黃郁婷爭議聲中為台灣掌旗進場
https://tw.appledail[...]
蘋果新聞網
2022-02-04
[17]
웹인용
我國國際暨兩岸體育交流之研究
http://grbsearch.stp[...]
行政院體育委員會
199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