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코는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 출신으로, 흑사병 환자를 간호하다가 자신도 감염되었지만 기적적으로 치유된 인물이다. 그는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순례를 떠났으며, 흑사병이 창궐하자 헌신적으로 병자들을 돌보며 기적적인 치료를 했다고 전해진다. 흑사병에 걸린 후에는 천사와 개의 도움으로 회복되었으며, 이후 몽펠리에로 돌아가는 길에 체포되어 감옥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흑사병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으며,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95년 출생 -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 천문학자, 신학자, 철학자로, 1204년부터 1359년까지의 역사를 다룬 《로마 역사》를 저술하고, 헤시카즘 논쟁에서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교리에 반대했으며, 천문학, 철학, 수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을 남겼다. - 1295년 출생 - 장 뷔리당
장 뷔리당은 14세기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임페투스 이론'을 주창하여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역설에 대한 해석을 남기고 영토 분쟁 조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 1327년 사망 - 에드워드 2세
에드워드 2세는 1284년에 태어나 1307년부터 1327년까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으며, 피어스 개비스턴을 총애하고 스코틀랜드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권위가 실추되어 왕비 이사벨라의 반란으로 폐위된 무능한 국왕으로 평가받는다. - 1327년 사망 - 차이메 2세
차이메 2세는 1285년부터 시칠리아 왕, 1291년부터 아라곤 왕을 겸하며 나폴리 왕국과의 갈등, 카스티야 왕국 견제, 무르시아 왕국 점령 등의 정치 활동을 펼쳤고 "마이르 데 데우"를 집필하기도 한 인물이다. - 종교와 개 - 술 (지지)
술(戌)은 십이지의 열한 번째 지지로서 멸망을 의미하며 개를 상징하고, 오행상 토에 해당하며, 한국 문화에서는 개의 해로 출산과 관련된 길일로 여겨진다. - 종교와 개 - 케르베로스
케르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개로 저승의 입구를 지키며, 머리 개수와 모습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헤라클레스의 과업 중 하나로 유명하다.
로코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로코 |
출생 | ( 1295), 몽펠리에, 마요르카 왕국 |
사망 | 1376/79년 8월 15/16일, 보게라, 사보이 백국 ( 1327, 몽펠리에) |
기념일 | 8월 16일 |
칭호 | 고해자 |
공경 | 가톨릭교회, 성공회, 필리핀 독립 교회 |
특징 | |
상징 | 허벅지에 난 상처, 빵을 주는 개, 순례자 모자, 순례자의 지팡이 |
수호 | 콜레라, 전염병, 무릎 문제, 흑사병, 피부병을 막아줌 |
주보성인 | 미혼 남성, 병든 소, 개, 부당하게 고소당한 사람, 병자, 이스탄불, 외과 의사, 타일공, 무덤 파는 사람, 중고품 상인, 순례자, 약사 |
추가 정보 | |
시성 | 대중적 열정으로; 교황 그레고리오 14세에 의해 로마 순교록에 추가됨 |
2. 생애
로코는 널리 공경받는 성인이지만,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수도생활을 하기 위해 자신의 재산을 모두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로마로 순례를 떠났다. 당시 유럽에는 흑사병이 크게 유행하고 있었는데, 로코는 헌신적으로 병자들을 돌보았고, 그가 돌본 많은 사람들이 병이 나았기 때문에 기적을 일으키는 사람으로 알려졌다.
로마 순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로코 자신도 흑사병에 걸렸지만, 숲 속에서 천사의 치료와 개의 도움으로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 몽펠리에로 돌아온 후, 그는 국경 근처에서 첩자로 의심받아 체포되어 감옥에서 생을 마감했다는 전설과, 몽펠리에에서 죽었다는 전설이 엇갈리고 있다.
"황금전설"에 따르면 그의 죽음 이후, 천사가 가져온 판에는 "로코에게 간청하는 사람은 어떤 페스트로도 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그의 선천적 반점을 통해 그를 알아보았고, 그는 곧 민중 사이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1414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자 로크에게 기도를 드려 병이 멈췄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후 1477-79년 북부 이탈리아를 휩쓴 흑사병 동안 로크 숭배는 더욱 확산되었다.[12]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로코는 널리 공경받지만 그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진 사실은 거의 없다. 로코는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5] 그의 출생은 기적으로 여겨졌는데, 그의 고귀한 어머니가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기 전까지 아이를 가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태어날 때부터 가슴에 붉은 십자가가 새겨져 자라면서 엄격한 고행과 깊은 경건함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의 경건한 어머니가 일주일에 두 번 금식했고, 복된 아들 로크도 그의 어머니가 일주일에 금식할 때 두 번 금식했고, 그날 어머니의 젖을 한 번만 빨았다."[6]20세에 부모가 사망하자 그는 모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프란체스코회 제3회에 입회하여 로마로 구걸하는 순례자로 떠났다.[8] 그의 아버지는 임종 시 그를 몽펠리에의 총독으로 지명했다.
흑사병이 유행하는 동안 이탈리아에 도착한 그는 아쿠아펜덴테, 체세나, 리미니, 노바라의 공공 병원에서 병든 사람들을 간호하는 데 매우 부지런했으며,[7] 기도와 십자가의 성호와 손길로 많은 기적적인 치료를 했다고 전해진다. 황금전설에 따르면 로마에서 그는 "롬바르디아의 앙게리아 추기경"의 이마에 십자가를 그어 기적적으로 남게 하여 그를 보호했다. 그는 피아첸차의 '노스트라 시뇨라 디 베틀렘' 병원에서 봉사하다가 결국 병에 걸렸다. 그는 숲으로 물러나 나뭇가지와 잎으로 오두막을 만들었는데, 그곳에서 샘이 솟아 기적적으로 물이 공급되었고, 고타르드 팔라스트렐리라는 귀족의 개가 빵을 가져다주고 상처를 핥아 치료해주지 않았다면 그는 죽었을 것이다.[5] 고타르도 팔라스트렐리 백작은 빵을 물고 다니는 사냥개를 따라가 로크를 발견하고 그를 집으로 데려와 회복시켰다.
그는 몽펠리에로 돌아가기 위해 신분을 숨기고 가는 길에 스파이 혐의로 보게라에서 체포되어(삼촌의 명령) 감옥에 갇혔고, 5년 동안 갇혀 있다가 1327년 8월 16일에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사망했다.[8]
2. 2. 순례와 흑사병 간호
로코는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으나, 확실한 사실은 거의 없다. 그는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로마로 순례를 떠났는데, 그 당시 유럽에는 흑사병이 퍼져 있었다. 많은 순례자들이 병에 걸릴 것을 두려워했지만, 로코는 헌신적으로 병자들을 돌보았고, 많은 사람들이 병이 나아 기적을 일으키는 사람으로 알려졌다.[5]로코는 로마 순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흑사병에 걸렸지만, 천사의 치료와 개의 도움으로 완쾌되었다. 몽펠리에로 돌아온 로코는 첩자로 의심받아 감옥에서 생을 마감했다는 전설과 몽펠리에에서 죽었다는 전설이 있다.
그의 "행적(Acta)"과 "황금전설"에 따르면, 그는 몽펠리에에서 태어났으며,[5] 출생은 기적으로 여겨졌다. 그는 태어날 때부터 가슴에 붉은 십자가가 새겨져 있었고, 어릴 때부터 깊은 경건함을 보였다.[6]
20세에 부모가 사망하자, 그는 모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프란체스코회 제3회에 입회하여 로마로 순례를 떠났다.[7] 흑사병이 유행하는 동안 이탈리아에서 그는 병자들을 간호하며 기도와 십자가의 성호와 손길로 많은 기적적인 치료를 했다고 전해진다.[5] 그는 피아첸차에서 봉사하다가 병에 걸렸지만, 숲에서 기적적으로 샘물이 솟아나고 귀족의 개가 빵을 가져다주어 치료받았다.[8]
몽펠리에로 돌아가던 중 그는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고, 1327년 8월 16일에 사망했다.[9] 그의 죽음 이후, 천사가 가져온 판에는 "로코에게 간청하는 사람은 어떤 페스트로도 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그의 선천적 반점으로 그를 알아보았다.[10] 그는 곧 시성되었고,[11] 그의 경배를 위한 큰 교회가 세워졌다.
프란체스코 디에도가 주장한 로크의 사망 연도(1327년)는 흑사병(1347-49)보다 앞서지만, 중세 시대에는 "흑사병"이라는 용어가 다양한 질병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12] 1414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흑사병의 위협을 받자, 로크의 중재를 위한 기도와 행진이 명령되었고, 발병이 멈췄다는 이야기가 있다. 로크 숭배는 1477-79년 북부 이탈리아를 휩쓴 흑사병 동안 탄력을 받았다.
1295년, 프랑스의 몽펠리에에서 총독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전 재산을 기부하고 로마 순례를 떠났고, 페스트 환자를 간호했다. 로쿠스가 환자의 머리 위에 십자가를 그리면 환자가 즉시 치유되었다고 한다. 피아첸차에서 로쿠스 자신도 페스트에 걸렸으나 회복 후 고향 몽펠리에에 도착했지만, 프랑스는 전쟁으로 분열된 상태였기 때문에 그의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는 스파이로 오해받아 감옥에 투옥되었고, 1327년에 옥사했다.
2. 3. 흑사병 감염과 치유
로코는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로마로 순례를 떠났는데, 그 당시 유럽에는 흑사병이 널리 퍼져 있었다. 많은 순례자들이 흑사병을 두려워했지만, 로코는 헌신적으로 병자들을 돌보았고, 그의 보살핌을 받은 많은 사람들이 병이 나았기 때문에 기적을 일으키는 사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로마로 순례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로코 자신도 흑사병에 걸렸지만, 아무도 그를 도와주지 않았다. 그는 숲 속에 오두막을 짓고 기도하며 죽음을 기다렸는데, 천사가 나타나 그를 치료해 주었고, 개 한 마리가 매일 빵을 가져다주었다고 한다. 결국 로코는 완쾌하여 다시 몽펠리에로 떠났다.[5]
로코는 아쿠아펜덴테, 체세나, 리미니, 노바라 등 이탈리아 여러 도시의 병원에서 흑사병 환자들을 간호하며, 기도와 십자가의 성호, 손길로 많은 기적적인 치료를 했다고 전해진다.[7] 황금전설에 따르면, 로마에서 그는 "롬바르디아의 앙게리아 추기경"의 이마에 십자가를 그어 기적적으로 그를 보호했다고 한다. 그는 피아첸차의 병원에서 봉사하다가 결국 병에 걸렸고, 숲으로 물러나 오두막을 지었는데, 그곳에서 샘이 솟아 기적적으로 물이 공급되었고, 고타르드 팔라스트렐리라는 귀족의 개가 빵을 가져다주고 상처를 핥아 치료해주었다.[5]
몽펠리에로 돌아가던 중, 로코는 보게라에서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삼촌의 명령) 감옥에 갇혔고, 5년 동안 갇혀 있다가 1327년 8월 16일에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사망했다.[8]
2. 4. 체포와 죽음
로코는 몽펠리에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생애는 불확실하고 전설적인 요소로 가득 차 있다. 14세기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태어난 그는 수도생활에 대한 소명을 느껴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로마로 순례를 떠났다. 당시 유럽에는 흑사병이 창궐했는데, 로코는 헌신적으로 병자들을 돌보았고, 많은 사람들이 그의 도움으로 병이 나았다고 알려졌다.로마 순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흑사병에 걸렸으나, 천사의 치료와 개의 도움으로 숲 속에서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몽펠리에로 돌아온 로코는 국경 근처에서 첩자로 의심받아 체포되어 감옥에서 생을 마감했다는 전설과 몽펠리에에서 죽었다는 전설이 엇갈린다.
"황금전설"에 따르면, 그의 출생은 기적이었으며, 태어날 때부터 가슴에 붉은 십자가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그는 20세에 부모를 잃고 모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 뒤 프란체스코회 제3회에 입회하여 로마로 순례를 떠났다.[6]
흑사병이 유행하던 이탈리아에서 그는 아쿠아펜덴테, 체세나, 리미니, 노바라 등지의 병원에서 병자들을 간호하며 기적적인 치료를 행했다고 전해진다.[7] 피아첸차에서 봉사하던 중 흑사병에 걸렸으나, 숲 속에서 기적적으로 샘물이 솟아나고, 귀족의 개가 빵을 가져다주며 상처를 핥아 치료해 주어 살아남았다.[5]
몽펠리에로 돌아가던 중, 로코는 보게라에서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삼촌의 명령) 5년 동안 감옥에 갇혀 있다가 1327년 8월 16일에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사망했다.[8] "황금전설"에는 그의 죽음 이후 천사가 가져온 판에 "로코에게 간청하는 사람은 어떤 페스트로도 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을 사람들은 그의 선천적 반점으로 그를 알아보았고,[9] 그는 곧 민중 사이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1414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자 로크에게 기도를 드려 병이 멈췄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477-79년 북부 이탈리아를 휩쓴 흑사병 동안 로크 숭배는 더욱 확산되었다.[12]
3. 공경
로코의 인기는 이탈리아 중부 및 북부, 몽펠리에에서 시작되어 스페인, 프랑스, 레바논, 베네룩스 3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그리고 독일로 퍼져나갔다. 그는 종종 14 성인 조력자의 명단에 포함되었고, 흑사병의 여파로 그에 대한 존경이 확산되었다. 16세기의 산 로코 대학교와 인접한 베네치아의 산 로코 성당은 베네치아의 형제단에 의해 그에게 헌정되었으며, 그의 시신이 몰래 옮겨져 1485년에 성대하게 봉헌되었다고 전해진다. 스콜라 그란데는 틴토레토가 그린 그림으로 유명하며, 틴토레토는 1564년 천장 캔버스에 영광스러운 로크를 묘사했다.
그를 기리는 수많은 형제단이 설립되었다. 그는 보통 순례자 옷차림으로 묘사되며, 종종 허벅지에 있는 역병의 궤양, 즉 림프절 부종을 보여주기 위해 옷을 들어 올리고, 입에 빵을 물고 있는 개와 함께 묘사된다.[5] 성 프란치스코 3수도회는 전통적으로 그를 회원으로 인정하며, 8월 17일에 그의 축일을 지키고 자체 성인 달력에 포함시킨다.
3. 1. 시성
1485년에 로크의 시신이 보게라에서 베네치아로 옮겨졌다는 것이 확실히 알려져 있다.[13] 교황 알렉산데르 6세(1492–1503)는 그를 기리는 성당과 병원을 세웠으며, 교황 바오로 3세(1534–1549)는 성 로크 형제단을 설립했다. 이 형제단은 1556년 교황 바오로 4세에 의해 대형 형제단으로 승격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번창하고 있다.[13] 그러나 로크는 아직 성인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1590년, 로마에 있던 베네치아 대사는 교황 식스토 5세가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거나 아니면 성인 대열에서 제외할 의지가 강하다"라며, 베네치아에서 이미 깊이 자리 잡은 산 로코의 삶과 기적에 대한 증인과 문서를 여러 차례 제시하도록 촉구했다고 보고했다. 대사는 널리 존경받는 산 로코가 사기꾼으로 비난받는다면 일반적인 스캔들이 발생할 것이라고 한 추기경에게 경고했다. 식스토 5세는 그 문제를 추진하지 않고 이후 교황들이 시성 절차를 진행하도록 맡겼다.[14] 그의 후임인 교황 그레고리오 14세(1590–1591)는 2세기 동안 미사에서 기념되어 온 몽펠리에의 로크를 가톨릭 교회 순교록에 추가하여 8월 16일을 그의 보편적인 축일로 정했다.[15]
크로아티아 가톨릭 교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가톨릭 교회, 세르비아 가톨릭 교회 및 몬테네그로 가톨릭 교회는 그를 sveti Rokosh로 존경한다. 동명의 교회는 세르비아의 페트로바라딘에 있는 성 로크 성당을 포함하여 수많은 곳에 있다.
인도에는 트리수르 대교구 산하에 성 로크를 기리는 교회가 있으며, 이름은 ''St. Rocky's Church Pootharakkal''이다. 높이 약 약 7.32m의 성인의 거대한 조각상이 있으며(아시아 최초이자 유일), 매주 목요일에 특별 성찬례와 노베나가 열린다.
로크는 코로나19 범유행 동안 다시 주목을 받고 존경을 받았다.[16][17][18]
3. 2. 수호성인
thumb로크의 인기는 원래 이탈리아 중부 및 북부, 몽펠리에에서 시작되어 스페인, 프랑스, 레바논, 베네룩스 3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그리고 독일로 퍼져나갔으며, 여기서 그는 종종 14 성인 조력자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에 대한 존경은 흑사병의 여파로 확산되었다.[13] 16세기의 산 로코 대학교와 인접한 베네치아의 산 로코 성당은 베네치아의 형제단에 의해 그에게 헌정되었으며, 그의 시신이 몰래 옮겨져 1485년에 성대하게 봉헌되었다고 전해진다. ''스콜라 그란데''는 틴토레토가 그린 일련의 그림으로 유명하며, 틴토레토는 천장 캔버스(1564년)에서 영광스러운 로크를 묘사했다.
로크의 시신은 이전에 생각했던 몽펠리에 대신 1485년에 보게라에서 베네치아로 옮겨졌다는 것이 확실히 알려져 있다. 교황 알렉산데르 6세 (1492–1503)는 그를 기리는 성당과 병원을 세웠다. 교황 바오로 3세 (1534–1549)는 성 로크 형제단을 설립했다. 이 형제단은 1556년 교황 바오로 4세에 의해 대형 형제단으로 승격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번창하고 있다.[13] 그러나 로크는 아직 성인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1590년, 로마에 있던 베네치아 대사는 교황 식스토 5세가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거나 아니면 성인 대열에서 제외할 의지가 강하다"라며, 베네치아에서 이미 깊이 자리 잡은 산 로코의 삶과 기적에 대한 증인과 문서를 여러 차례 제시하도록 촉구했다고 보고했다. 대사는 널리 존경받는 산 로코가 사기꾼으로 비난받는다면 일반적인 스캔들이 발생할 것이라고 한 추기경에게 경고했다. 식스토는 그 문제를 추진하지 않고 이후 교황들이 시성 절차를 진행하도록 맡겼다.[14] 그의 후임인 교황 그레고리오 14세 (1590–1591)는 2세기 동안 미사에서 기념되어 온 몽펠리에의 로크를 가톨릭 교회 순교록에 추가하여 8월 16일을 그의 보편적인 축일로 정했다.[15]
그를 기리는 수많은 형제단이 설립되었다. 그는 보통 순례자의 옷차림으로 묘사되며, 종종 그의 허벅지에 있는 역병의 궤양, 즉 림프절 부종을 보여주기 위해 옷을 들어 올리고, 입에 빵을 물고 있는 개와 함께 묘사된다.[5] 성 프란치스코 3수도회는 전통적으로 그를 회원으로 인정하며, 8월 17일에 그의 축일을 지키며 자체 성인 달력에 포함시킨다.
크로아티아 가톨릭 교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가톨릭 교회, 세르비아 가톨릭 교회 및 몬테네그로 가톨릭 교회는 그를 sveti Rokosh로 존경한다. 동명의 교회는 세르비아의 페트로바라딘에 있는 성 로크 성당을 포함하여 수많은 곳에 있다(Crkva sv. Rokahr).
인도에는 트리수르 대교구 산하에 성 로크를 기리는 교회가 있으며, 이름은 ''St. Rocky's Church Pootharakkal''이다. 높이 약 약 7.32m의 성인의 거대한 조각상이 있으며(아시아 최초이자 유일), 매주 목요일에 특별 성찬례와 노베나가 열린다.
로크는 코로나19 범유행 동안 다시 주목을 받고 존경을 받았다.[16][17][18]
3. 3. 한국에서의 공경
로코는 한국에서 sveti Rokosh로 존경받는다. 인도 트리수르 대교구 산하에는 성 로크를 기리는 'St. Rocky's Church Pootharakkal'라는 교회가 있다. 이 교회에는 아시아 최초이자 유일한 높이 약 약 7.32m의 성 로크 조각상이 있으며, 매주 목요일 특별 성찬례와 노베나가 열린다.4. 예술 작품 속 성 로코
흑사병과 관련된 성인으로 널리 알려진 성 로크는 예술 작품에서 자주 등장한다. 1477~79년 이탈리아에서 흑사병이 유행한 이후, 종교 미술은 성 로크와 같이 역병에 시달리는 이들에게 중요한 성인들의 모습을 담았다.
당시 종교화는 칼, 다트, 화살과 같은 역병의 상징과 죽음의 상징, 짙은 구름, 혜성 등의 천문학적 징후를 묘사했다. 또한, 팔을 들어 올리거나 머리를 기울이는 등 역병의 신체적 증상을 표현했다.[19] 역병 성인에게 바치는 서원화는 역병을 막는 부적으로 여겨졌으며, 공동체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성인을 하느님과의 중재자로 묘사했다.[20]
이러한 그림들은 반복되는 전염병에 대한 체념보다는 환경을 통제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르네상스 시대 사람들은 역병의 참혹함을 극복하기 위해 초자연적인 도움을 구했으며, "흑사병과 같은 종말론적 재앙도 하느님의 자비로운 계획의 일부"라고 믿었다.[21]
역병 서원화는 그리스도의 고통을 떠올리게 하며, 성 로크는 자신의 허벅지에 있는 역병 부보를 드러내며 고통을 순교의 기회로 받아들였다.[22] 역병에서 살아남은 순례자로서의 성 로크의 모습은 치료의 약속을 상징했다.[22]
4. 1. 회화

흑사병, 특히 1477~79년의 이탈리아 역병 유행 이후 기독교 순교자와 성인들의 새로운 이미지가 등장했고, 로코는 새로운 명성과 인기를 얻었다. 당시 종교 미술은 역병에 시달리는 기독교인들에게 성인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했다.
로크에 대한 새로운 역병 관련 이미지는 다양한 출처에서 비롯되었다. 고대와 고전 시대부터의 역병 텍스트, 기독교적, 과학적, 민속적 신념 모두가 이 새롭게 부상하는 시각적 전통에 기여했다. 역병의 가장 인기 있는 상징 중 일부는 칼, 다트, 특히 화살이었다. 또한 죽음의 상징 테마, 짙은 구름, 혜성 같은 천문학적 징후(signa magna)가 만연했는데, 이는 종종 의사와 역병 연구 저술가들이 역병의 원인으로 언급했다. 역병의 신체적 증상, 즉 들어 올린 팔, 기울어진 머리, 쓰러진 몸은 흑사병 이후의 그림에서 역병을 상징하기 시작했다.[19]
역병 성인은 역병 발생 전, 도중, 후에 희망과 치유를 제공했다. 특정 양식의 그림인 역병 서원화는 역병을 막는 부적으로 여겨졌다. 그것은 특정 성인을, 보통 마을, 정부, 평신도 친교회 또는 수도회가 공동체의 "집단적 죄"를 속죄하기 위해 그림을 의뢰한 사람(들)과 하느님 사이의 중재자로 묘사했다.[20]
이러한 서원화는 반복되는 전염병에 우울해하고 체념하는 사회를 나타내기보다는, 환경을 통제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는 사람들을 나타낸다. 로크의 그림은 르네상스 시대의 신자들이 역병의 참혹함을 극복하기 위해 초자연적인 도움을 구했던 자신감을 나타낸다.
사람들이 하늘의 도움을 간구했던 수많은 수단은 르네상스 시대의 질병 대응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우울함이나 체념보다는, 사람들은 "흑사병과 같은 종말론적 재앙조차도 하느님의 안전하고 자비로운 인류 계획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자신감을 가졌다."[21]
역병 서원화는 역병 성인에게 중재적 도움을 요청하고, 역병으로 인해 심각한 신체적 파괴를 목격한 사람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했다. 로크와 세바스티안과 같은 역병 성인을 보여주는 것은 수난 기간 동안 그리스도가 경험한 인간적 고통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1477년 이후의 로크의 예술에서, 성인은 고통이나 괴로움의 징후 없이 자신의 순교의 상처를 드러냈다. 로크는 적극적으로 옷을 들어 자신의 허벅지에 있는 역병 부보를 드러냈다. 그의 역병 부보의 이 표시는 "그가 자신의 질병을 그리스도의 고통을 모방할 수 있는 신성한 기회로 기꺼이 받아들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의] 역병의 신체적 고통에 대한 인내 [는] 일종의 순교였다."[22]
역병을 겪은 순례자로서의 로크의 지위는 그의 도상학에서 가장 중요하다. "역병으로 흉터가 있지만 살아있고 건강한 로크의 모습은 약속된 치료의 감정적으로 충만한 이미지였음에 틀림없다. 여기에는 사람이 역병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문자 그대로의 증거가 있었고, 자신의 몸으로 질병을 이겨낸 성인이 있었다."[22]
4. 2. 문학
F. T. 프린스는 1983년 시집 《나중에는(Later On)》에 성 로크의 개의 시점을 담은 긴 독백 '그의 개와 순례자'를 발표했다.가브리엘 슈발리에의 1934년 소설 종소리(Clochemerle)에서 성 로크의 조각상이 파괴되는 사건은 중요한 사건이다.
알베르 카뮈의 1947년 소설 페스트에서 오랑 대성당의 신자들이 성 로크의 조각상 주변에 모여 있는 모습이 묘사된다.
코니 윌리스의 1992년 SF 소설 둠스데이 북에서 페스트 희생자를 돌보는 중세 시대의 사제가 로슈 신부로 등장한다.
성 로크의 개는 때때로 성스러운 그레이하운드인 민간 성인 성 귀네포르트와 혼동되기도 한다.[23]
성 로크를 기리는 크로아티아의 축제는 미로슬라브 크르레자의 1932년 소설 필립 라티노비치의 귀환에 묘사되어 있다.
4. 3. 영화
2012년 필리핀 판타지 텔레세리 《아소 니 산 로케(성 로크의 개)》는 성 로크의 조각상에서 나온 개가 시각 장애를 가진 여주인공의 수호자가 되기 위해 살아나는 이야기를 그린다.2012년 영화 "더 드롭"은 술집 주인과 그의 냉혹한 고용주에 관한 스릴러 영화이다. 영화 속 떠돌이 개는 주인공이 기도를 하기 위해 가톨릭 교회를 방문하여 성 로크의 조각상을 본 후 성 로코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45년 이탈리아의 대표작 《무방비 도시》는 성 로크의 조각상이 요즘 성 안토니오의 조각상보다 "더 수요가 많다"는 것을 언급한다.
- 2023년 인도 풍자 말라얄람 영화 《엔다다 사지》에 성 로크가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atron Saints Index: Saint Roch
http://saints.sqpn.c[...]
Saints.sqpn.com
2012-02-22
[2]
웹사이트
Garngad & Royston
http://www.roystonro[...]
2016-06-01
[3]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strollox.[...]
2022-02-27
[4]
웹사이트
The Church of Santa Croce, what to see a Casamassima
https://www.borghima[...]
2018-04-17
[5]
웹사이트
Saint Roch
https://www.metmuseu[...]
[6]
문서
Legenda Aurea
1483
[7]
문서
[8]
웹사이트
San Rocco
https://www.italyher[...]
[9]
간행물
Giorgio Vasari's ''San Rocco Altarpiece'': Tradition and Innovation in Plague Iconography
[10]
서적
Plagu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
문서
[12]
문서
[13]
간행물
St. Roch
Catholic Encyclopedia
[14]
서적
[15]
웹사이트
Rocco di Montpellier: voghera e il suo santo. Documenti e testimonianze sulla nascita del culto di un santo tra i più amati della cristianità
http://www.sanroccod[...]
Associazione Italiana San Rocco di Montpellier
2016-06-01
[16]
뉴스
Coronavirus draws prayers to saints who cared for plague victims
https://www.catholic[...]
2021-08-22
[17]
뉴스
The best saints to pray to during a pandemic
https://catholichera[...]
2021-08-22
[18]
뉴스
Bishop Jugis asks for intercessory prayer to end coronavirus
https://www.catholic[...]
2021-08-22
[19]
서적
Images of Plague and Pestilence: Iconography and Iconology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
서적
Hope and Healing: Painting in Italy in a Time of Plague, 1500–1800
Worcester Art Museum
[21]
서적
The Black Death: The Great Mortality of 1348–1350: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Palgrave MacMillan
[22]
간행물
Manipulating the Sacred: Image and Plague in Renaissance Italy
[23]
웹사이트
Saint Guinefort: The Holy Greyhound
http://www.thegreyho[...]
[24]
웹사이트
聖人カレンダー 聖ロクス
https://www.pauline.[...]
Laudate
2020-04-26
[25]
웹사이트
St. Roch
https://www.newadven[...]
Catholic Encyclopedia
2020-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