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범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나(L98)는 1999년 워싱턴주 샌후안 제도 인근에서 태어난 남방계 범고래로, L 무리에 속했다. 2000년 누트카 만에서 발견된 루나는 사람과 교류하며 지냈지만, 2006년 예인선 프로펠러에 의해 사망했다. 루나의 삶은 여러 다큐멘터리와 영화, 책으로 제작되었으며, 남방계 범고래 개체 수 감소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명한 범고래 - 케이코 (범고래)
케이코는 1979년 아이슬란드에서 포획되어 수족관에서 사육되었으며, 영화 《프리 윌리》에 출연하여 유명해졌고 야생 복귀를 시도했으나 실패 후 2003년 노르웨이에서 사망했다. - 2006년 죽은 동물 - 해리엇 (거북)
해리엇은 갈라파고스 땅거북으로, 한때 다윈의 비글호 항해 표본으로 여겨졌으나 기원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 약 175세로 추정되며 브리즈번 시립 식물원에서 생활하다 호주 동물원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수컷으로 오인되어 불리던 이름과 긴 수명으로 대중 문화에 등장하기도 했다. - 1999년 태어난 동물 - 코니 (개)
코니는 1999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수색 및 구조견으로 훈련받은 래브라도 리트리버 종의 암컷으로, 블라디미르 푸틴에게 선물되어 그의 애완견으로 활동했으며,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99년 태어난 동물 - 타마 (고양이)
일본 와카야마현 기시역의 역장으로 임명된 고양이 타마는 폐쇄 위기의 철도 노선을 살리고 "고양이노믹스"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낼 정도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독특한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루나 (범고래) | |
|---|---|
| 기본 정보 | |
![]() | |
| 종 | 범고래 |
| 성별 | 수컷 |
| 출생일 | 약 1999년 9월 19일 |
| 출생 장소 | 퓨젯 사운드, 워싱턴주, 미국 |
| 사망일 | 2006년 3월 10일 |
| 사망 장소 | 누트카 사운드, 캐나다 |
| 부모 | '스플래시 (L67) (어머니) (1985–2008)' |
2. 초기 생애
루나는 1999년 9월 19일 아침, 미국 워싱턴주의 샌후안 제도 인근 해역에서 어미 '스플래시'(L67)와 함께 있는 모습으로 처음 발견되었다.[1][4] 루나는 남방계(Southern Resident) 범고래 집단의 L 무리 소속으로,[1][2][3] 출생 당시 이 집단은 약 83마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1970년대부터 과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3] 과학자들은 사진 식별을 통해 각 개체를 구별하고 수십 년간 이동과 사회적 관계를 추적해왔다.[3]
루나는 태어난 직후 잠시 어미를 떠나 다른 무리(K 무리)의 범고래들을 따라가기도 했으나, 며칠 뒤 다시 어미와 합류했으며,[2] 9월 26일에는 어미에게서 젖을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4] 출생 시에는 과학적 명명 규칙에 따라 "L98"이라는 고유 번호를 부여받았다.[2]
루나가 속한 남방계 범고래 집단은 여름철에는 하로 해협, 밴쿠버 섬 남동쪽 해역, 후안 데 푸카 해협, 조지아 해협 등지에서 지내다가 가을에 떠나 봄에 돌아오는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다.[3] 겨울철 서식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브리티시컬럼비아 북부 해안부터 캘리포니아 남부까지 넓은 범위에서 목격된 바 있다.[4] 이들은 캐나다와 미국 정부에 의해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3]
루나는 태어난 지 약 1년 후인 2000년경, 알 수 없는 이유로 원래 속해 있던 L 무리로부터 떨어져 나왔다.[22] 이후 밴쿠버섬 서쪽 해안의 누트카 만 근처에서 홀로 발견되었다.[22]
2. 1. 명명
루나는 거주 범고래에 대한 과학적 명명 규칙에 따라 출생 시 "L98"이라는 이름을 받았다.[2] 2000년 시애틀의 한 신문에서 명명 대회를 개최하여 L98에게 두 번째 이름인 '루나'(Luna), 즉 라틴어로 달을 부여했다. 당시 루나가 수컷인지 암컷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대회의 우승자이자 워싱턴주 벨링햄 출신의 8세 어린이는 "범고래는 달이 지구를 탐험하는 것처럼 바다를 탐험하며, 그것이 그의 이름이 루나인 이유입니다."라고 설명했다.[5]2. 2. 가족 관계
루나는 남방계(Southern Resident) 범고래 집단에 속하며,[1][2] 이 집단은 J, K, L의 세 무리로 구성되어 있다.[3] 루나는 L 무리 내에서도 L2 모계 혈통으로 알려진 그룹에서 태어났다.[4] 루나의 주요 가족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코드) | 생몰년 |
|---|---|---|
| 외할머니 | 족장 그레이스 (L2) | 1960–2012[4] |
| 어머니 | 스플래시 (L67) | 1985–2008[4] |
| 외삼촌 | 오칸 (L39) | 1975–2000[4] |
| 외삼촌 | 가이아 (L78) | 1989–2012[4] |
| 외삼촌 | 웨이브워커 (L88) | 1993년생[4] |
루나는 미국 워싱턴주 퓨젓사운드 만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밴쿠버섬 근해에 사는 범고래 떼 'L 무리'의 일원이었다.[22] 루나가 속했던 L 무리에서는 2000년–2001년 겨울 동안 5마리가 사라졌는데, 이는 연간 1~2마리의 일반적인 사망률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다.[2]
3. 누트카 만에서의 생활
한 살 때 무리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보이는 루나는[22] 2001년 7월, 밴쿠버섬 서쪽 해안선의 누트카 사운드 내 무찰랏 만에 홀로 나타났다.[1][2][6] 당시 루나의 추정 길이는 약 약 3.66m였으며, 가을 무렵에는 건강한 상태로 정어리를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1][2][6] 모와차트/무찰랏 퍼스트 네이션스 부족은 족장 앰브로스 마귀나의 사망 며칠 후 루나가 나타나자 그에게 "추시이트"(Tsux'iit)라는 이름을 붙였다.[1] 루나가 머물던 무찰랏 만은 누트카 사운드에서 내륙으로 약 55km 뻗어 있으며, 골드 리버 마을까지 이어진다.[7][8]
처음에 루나는 배를 피하고 사람들과 거리를 두었다.[1] 캐나다 어업해양부(DFO)는 루나가 누트카 사운드에 6개월간 머물렀던 2001년 12월까지 그의 존재를 비밀로 유지하려 했다.[4] 2002년 스프링거 (A73)라는 다른 어린 범고래가 퓨젓사운드 만에 홀로 나타나면서 국제적인 관심은 일시적으로 루나에게서 스프링거로 옮겨가기도 했다.[2]
루나는 이후 5년간 누트카 만 근처에서 홀로 살았으며,[22] BC와 워싱턴주 해안에 종종 출몰하여 그를 보기 위해 수천 명의 관광객들이 찾아왔다.[22] 시간이 지나면서 루나는 사람과 배에 대한 호기심을 보이며 접근하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고래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실제로 배와 충돌하여 상처를 입기도 했다.[22]
3. 1. 모와차트/무찰랏 부족과의 관계
누트카 사운드 인근에 거주하는 원주민인 모와차트/무찰랏 퍼스트 네이션스 부족은 루나와 특별한 관계를 맺었다. 이들은 루나가 골드 리버 만에 나타난 시점이 부족의 족장 앰브로스 마귀나가 사망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서였기 때문에, 루나에게 "추시이트"라는 이름을 붙였다.[1] 마귀나 족장은 죽기 전에 자신이 범고래나 늑대로 돌아오고 싶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지며, 부족 사람들은 루나의 갑작스러운 출현이 상징적이며 마귀나 족장이 환생한 것이라고 믿었다.[1][9]
이러한 믿음 때문에 모와차트/무찰랏 부족은 캐나다 어업해양부가 루나를 포획하여 원래 속해 있던 무리로 돌려보내려는 계획에 반대했다.[23] 부족은 루나를 단순한 동물이 아닌, 사망한 족장의 영혼이 깃든 존재로 여겼기 때문에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누트카 사운드에 머물기를 원했다. 이들의 반대로 인해 캐나다 정부의 루나 포획 및 이주 계획은 결국 무산되었다.[23]
3. 2. 인간과의 교류
루나는 누트카 사운드에 처음 나타났을 때 배를 피하고 사람들과 거리를 두었다.[1] 캐나다 어업해양부(DFO)는 루나가 누트카 사운드에 머물렀던 처음 6개월 동안인 2001년 12월까지 그의 존재를 비밀로 유지하려 했다.[4]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루나는 유달리 많은 호기심을 보이며 사람과 배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2002년 9월까지 루나는 어업 캠프와 벌목 현장에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누트카 사운드를 항해하는 ''Uchuck III''와 같은 배를 따라다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1] 루나는 골드 리버의 부두까지 배를 따라갔고, 그의 호기심과 장난기 넘치는 행동은 때때로 선박과 수상 비행기에 손상을 입히기도 했다.[1][2] 일부 사람들은 루나를 쓰다듬어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1] 루나의 친근한 행동을 본 많은 사람들은 그를 사람들과 떼어놓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그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리와 다시 만날 때까지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
범고래는 매우 사회적 동물이며, 루나는 무리에서 떨어져 홀로 지내면서 배와 사람들을 통해 동료애와 신체적 접촉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1][2][4] 많은 골드 리버 주민들과 관광객들은 루나가 매우 사교적이고 상호작용을 즐기며 장난기가 많다고 묘사했다.[1]
하지만 루나가 배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면서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고래류가 배에 너무 가까이 다가가는 것은 프로펠러 등에 의한 부상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10] 실제로 루나는 배와 충돌하여 상처를 입기도 했다.[22] 캐나다에서는 야생 해양 포유류를 방해하는 것이 불법이며, 특히 남방 정주형 범고래의 경우 최소 400m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10] 이에 따라 DFO는 대중에게 루나와 거리를 유지하라는 내용의 표지판을 설치하고, 사람들을 교육하며 루나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감시자를 파견하는 조치를 취했다.[1][2]
4. 관리 노력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워싱턴주 퓨젓사운드 만 출신으로 추정되는 범고래 루나(L98)를 보호하고 그의 무리로 돌려보내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22][1] 루나는 한 살 때 무리에서 떨어져 나와 밴쿠버섬 서쪽 누트카 해협 근처에서 홀로 지냈는데, 호기심이 많아 배를 따라다니는 행동 때문에 안전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었다.[22]
이에 캐나다와 미국의 고래 보호 단체들은 '루나 관리 기금'을 결성하는 등, 양국 정부에 루나를 누트카 해협 밖으로 옮겨 무리와 재회시키도록 압력을 가했다.[1][4] 2003년 10월, 캐나다 어업해양부(DFO)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협력하여 루나를 유인하거나 포획 후 이송하여 무리와 만나게 하려는 계획을 세웠다.[4][6]
그러나 2004년, 누트카 해협 인근의 원주민 공동체인 모와차트-무찰라트 퍼스트 네이션은 루나를 자신들의 죽은 부족장이 환생한 존재로 여겨 포획에 반대하며 DFO의 계획을 무산시키려 했다.[23][6] 원주민들은 직접 루나를 바다로 인도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DFO는 이주 계획을 중단했다.[6][1] 이후 DFO와 모와차트-무찰라트 퍼스트 네이션은 2006년 초까지 루나 관리에 대한 공동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했다.[1]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유인 및 이송 시도는 여러 차례 실패로 돌아갔다.
4. 1. 유인 시도
2002년부터 L98 루나를 보호하고 그의 무리로 돌려보내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캐나다와 미국의 고래 보호 단체들은 '루나 관리 기금' 등을 통해 정부와 대중에게 루나를 누트카 사운드 밖으로 옮겨 무리와 재회시키도록 압력을 가했다.[1][4]2003년 10월, 캐나다 어업해양부(DFO)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협력하여 루나를 유인할 계획을 세웠다. 첫 번째 계획(계획 A)은 루나가 그의 가족(무리)의 소리를 듣고 따라가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만약 이 계획이 실패할 경우, 두 번째 계획(계획 B)은 루나를 골드 리버 마리나의 그물 우리에 가둔 뒤, 트럭으로 빅토리아 근처 해역으로 옮겨 방류하여 무리와 소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4][6]
그러나 2004년, 골드 리버 지역의 모와차트-무찰라트 퍼스트 네이션 부족은 루나를 자신들의 죽은 족장이 환생한 존재로 여겨 DFO의 포획 시도에 반대했다. 부족은 카누를 이용해 루나를 누트카 해협을 따라 서쪽 바다 방향으로 약 약 48.28km 거리까지 직접 인도하려 했으나, 루나가 다시 골드 리버로 돌아오면서 이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결국 DFO는 이주 계획을 중단하게 되었다.[6][1] DFO와 모와차트-무찰라트 부족은 2006년 초까지 루나 관리에 대한 공동 계획을 이어갔다.[1]
2004년 5월, DFO와 밴쿠버 수족관은 비정부 기구들의 지원을 받아 계획 A, 즉 보트를 이용한 유인 작전을 다시 시작했다.[1] 이 계획은 루나가 지정된 DFO 보트를 따라오도록 훈련시켜, 누트카 해협 밖으로 나와 남방 정주형 범고래 무리가 지나가는 경로로 유도하는 것이 목표였다.[1] 5월 중순, 루나의 가족 무리가 밴쿠버 섬 서쪽 해안에서 발견되어 기대감을 높였지만, 이들은 누트카 해협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있었고 더 이상 가까이 오지 않았다.[11] 5월 말에는 나머지 남방 정주형 범고래 무리가 밴쿠버 섬 동쪽 해안 경로를 택한 것이 확인되면서, 자연스러운 재회 가능성은 사라졌다.[11] 결국 6월, DFO는 계획 B인 이송 작전을 준비하기 시작했다.[1][11]
2004년 6월, 미국 NOAA의 지원 하에 이송 작전이 개시되었다.[11] DFO는 루나를 그의 무리가 관찰된 밴쿠버 섬 남쪽 해역으로 옮기기 위해, 물에 띄운 우리 안으로 유인하려 시도했다.[1][2][11] 한때 루나가 우리 입구까지 따라 들어오는 듯했으나 결국 탈출했고, 이것이 루나가 포획될 뻔한 가장 결정적인 순간이었다.[1] 이송 시도는 실패했지만, 미국과 캐나다 정부가 지원한 이송 자금(20만달러)은 유지되었으며, 구조팀은 다음 해 봄에 다시 구조를 시도할 계획이었다.[1][2]
4. 2. 이송 시도
2002년부터 캐나다 어업해양부(DFO)와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 등은 루나를 보호하고 그의 무리와 다시 합류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고래 옹호 단체들은 루나를 누트카 해협 밖으로 옮겨 무리로 돌려보내도록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1][4]2003년 10월, DFO는 NOAA와 협력하여 루나가 그의 가족(무리)의 소리를 듣고 따라가도록 유인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이 실패할 경우, 루나를 골드 리버 마리나의 그물 우리에 포획한 뒤 트럭으로 빅토리아 근처로 옮겨 방류하는 차선책도 마련되었다.[4][6]
그러나 2004년, 골드 리버의 모와차트-무찰라트 퍼스트 네이션 원주민들은 루나를 자신들의 환생한 부족장으로 여겨 DFO의 포획 시도에 반대했다. 그들은 카누를 이용해 루나를 누트카 해협 서쪽 바다(약 48.28km 거리)로 직접 인도하려 했으나, 루나가 다시 골드 리버로 돌아오면서 실패했다. 결국 DFO는 이주 계획을 중단했다.[6][1] DFO와 모와차트-무찰라트 퍼스트 네이션은 2006년 초까지 루나 관리에 대해 공동으로 협력했다.[1]
이후 DFO는 밴쿠버 수족관 및 비정부 기구들과 함께 2004년 5월, 보트를 따라오도록 유도하는 '계획 A'를 시작했다.[1] 루나를 DFO 보트에 익숙하게 만들어 누트카 해협 밖으로 유인하고, 지나가는 남부 거주 범고래 무리와 만나게 하려는 의도였다.[1] 5월 중순, 루나의 가족 구성원이 밴쿠버 섬 서쪽 해안에서 발견되어(약 100km 거리) 기대감이 커졌으나,[11] 무리는 더 이상 접근하지 않았고 오히려 섬 동쪽 해안으로 이동해 자연적인 재회 가능성은 사라졌다.[11]
이에 따라 2004년 6월, DFO는 미국 NOAA의 지원을 받아 '계획 B', 즉 포획 및 이송 작전에 돌입했다.[1][11] 루나를 띄워진 우리 안으로 유인하여 그의 무리가 관찰된 밴쿠버 섬 남쪽으로 옮기려 시도했다.[1][2][11] 한때 루나가 우리 입구까지 따라 들어오기도 했지만 결국 탈출하여 포획은 실패로 끝났다.[1] 이것이 루나를 포획하려던 시도 중 가장 근접했던 순간이었다.[1] 비록 포획은 실패했지만, 이송을 위해 마련된 미국과 캐나다의 자금(20만달러)은 유지되었고, 다음 해 봄에 다시 구조를 시도할 계획이었다.[1][2]
5. 죽음
2006년 3월 10일, 누차라트 만의 무야 베이에서 루나는 자신이 알고 있는 해양 예인선 '제너럴 잭슨' 호에 접근했다.[12][13] 루나는 종종 그랬듯이 놀기 위해 의도적으로 예인선에 다가간 것으로 보이지만, 다른 크기의 배보다 훨씬 강력한 엔진을 가진 예인선의 공회전 상태의 힘을 과소평가했다.[13] 결국 루나는 직경 약 1.83m 크기의 프로펠러 날의 강한 흡입력에 빨려 들어가 사망했다.[13] 시신은 프로펠러 날에 의해 심하게 훼손되어 연구 목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부분이 없었다.[13]
5. 1. 책임 공방
루나는 2006년 3월 10일, 평소처럼 예인선 뒤를 따라가다 강력한 프로펠러에 빨려 들어가 목숨을 잃었다.[24] 이전부터 루나가 배를 따라다니며 노는 것을 좋아해 안전에 대한 우려가 계속 제기되었고, 실제로 배와 부딪혀 다치기도 했다.[22]이러한 우려 속에 수년간의 논쟁 끝에 2004년 6월, 캐나다 해양수산부는 루나를 포획하여 보호하기로 결정했다. 과학자들은 루나를 원래 속했던 무리로 돌려보내려 했으나,[23] 인근 원주민 공동체인 모와차트/무차라트 퍼스트 네이션스는 이를 반대하며 무산시켰다. 그들은 루나가 사망한 전 추장이 환생한 존재라고 믿었기 때문이다.[23]
결국 루나를 보호하고 무리로 돌려보내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고, 루나의 죽음 이후 캐나다 정부와 원주민 지도자들 사이에서는 서로 책임을 묻는 공방이 벌어졌다.[24]
6. 유산
루나는 살아있는 동안 누트카 만 지역 사회와 특별한 관계를 맺으며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와 워싱턴주 해안에 자주 나타나 수천 명의 관광객을 끌어모았고,[22] 특히 지역 원주민 공동체인 모와차트/무차라트 퍼스트 네이션스는 루나를 세상을 떠난 추장이 환생한 존재로 여기며 깊은 유대감을 형성했다.[23]
그러나 루나가 사람에게 보인 호기심과 접근은 그의 안전 문제와 관리 방안을 둘러싼 수년간의 사회적 논쟁을 낳기도 했다.[22] 2006년 3월, 루나가 예인선 프로펠러 사고로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면서 그의 관리 책임을 두고 정부와 원주민 공동체 사이에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24]
루나의 독특한 삶과 비극적인 죽음은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그의 이야기는 이후 여러 편의 다큐멘터리, TV 영화, 책 등으로 제작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5][26][27] 또한 그의 죽음은 범고래 개체 수 연구 및 보존 노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남겼다.[21]
6. 1. 문화적 영향
루나의 이야기는 그의 사후 여러 매체를 통해 다루어졌다.[25][26][27] 브리티시컬럼비아주 골드 리버 상공회의소는 루나에 대한 에세이와 함께, 2006년 수잔 치isholm과 마이크 치isholm이 제작하고 해설한 24분 분량의 다큐멘터리 비디오를 발표했다.[1]2007년에는 캐나다 텔레비전(CTV)에서 TV 영화 ''Luna: Spirit of the Whale|루나: 고래의 영혼eng''을 제작하여 방영했다.[14] 이 영화에는 아담 비치, 제이슨 프리스틀리, 탄투 카디날, 그레이엄 그린 등이 출연했으며, 루나의 이야기를 일부 허구적으로 각색하여 담아냈다. 누트카 사운드와 골드 리버에서 촬영되었으나, 영화의 결말은 루나가 실제와 달리 가족과 재회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수잔 치isholm과 마이클 파핏은 상업 다큐멘터리 영화 ''Saving Luna|루나 구하기eng''를 제작했다.[15] 이 영화는 2008년 시애틀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고,[16] 2009년 캐나다 전역의 극장과 텔레비전을 통해 상영되었다.[17] 영국 BBC에서는 2010년 ''A Killer Whale Called Luna|루나라고 불린 범고래eng''라는 제목으로 이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18]
이 다큐멘터리를 바탕으로 2011년에는 극장 영화 ''더 웨일''(The Whaleeng)이 제작되었는데, 배우 라이언 레이놀즈와 스칼렛 요한슨이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하여 주목받았다.[19] 또한, 치isholm과 파핏은 루나에 대한 기록을 모아 2013년 ''The Lost Whale: The True Story of an Orca Named Luna|잃어버린 고래: 루나라는 범고래의 진짜 이야기eng''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하기도 했다.[20]
6. 2. 과학적 영향
루나의 죽음으로 인해 남부 거주 범고래의 성숙한 수컷 수는 1990년 이후 태어난 새끼의 절반 이상을 낳은 두 마리로 줄었다.[21]7. 추가 자료
- Francis, Daniel; Hewlett, Gil (2007). Operation Orca: Springer, Luna and the Struggle to Save West Coast Killer Whales. Harbour Publishing. ISBN 978-1-55017-426-7.
- [https://www.orcaconservancy.org/the-luna-file/ 루나 파일, 범고래 보호 협회, 2019]
참조
[1]
웹사이트
Luna(L98) – Nootka Sound's Friendly Orca: A true tale of a legendary whale (includes 24 minute documentary video)
https://www.destinat[...]
Gold River Chamber of Commerce
2006-03-11
[2]
웹사이트
Luna: Lost Whale of Nootka Sound
https://killerwhale.[...]
Marine Mammal Research Program, Coastal Ocean Research Institute, Vancouver Aquarium
2017
[3]
웹사이트
Recovery Strategy for the Northern and Southern Resident Killer Whales (''Orcinus orca'') in Canada
https://www.sararegi[...]
Government of Canada
2018-09-19
[4]
웹사이트
Luna / L98 / Tsuux-iit
https://www.orcanetw[...]
Orca Network
[5]
뉴스
Welcome orca babies: Alki, Luna, Tatoosh
https://www.orcacons[...]
2000-10-26
[6]
웹사이트
Whale of a Tale
https://www.smithson[...]
2004-11
[7]
웹사이트
Muchalat Inlet
http://www.pac.dfo-m[...]
Fisheries and Oceans Canada
2020-06-07
[8]
웹사이트
Nootka Sound
http://vancouverisla[...]
VancouverIsland.com
2020-06-07
[9]
간행물
Re-incarnation: the Story of Luna
https://www.thecanad[...]
2018-11-12
[10]
웹사이트
Watching marine wildlife
http://www.dfo-mpo.g[...]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Government of Canada
2019-06-25
[11]
웹사이트
Luna's family surfaces at Sooke. Chance of natural reunion takes a dive, experts say
http://www.sookeharb[...]
Times Colonist, Victoria, BC, and Sooke Harbour News
2004-06-08
[12]
뉴스
Luna killed by tugboat
https://www.cbc.ca/n[...]
2006-03-10
[13]
뉴스
Luna the orca killed by tugboat
http://seattlepi.nws[...]
Hearst Corporation
2006-03-11
[14]
웹사이트
Luna: Spirit of the Whale
https://www.imdb.com[...]
IMDb
[15]
비디오
Saving Luna
http://www.mountains[...]
Mountainside Films in association with CBC Newsworld
2008
[16]
뉴스
"Saving Luna" recalls the riveting and polarizing tale of the killer whale
https://www.seattlet[...]
2008-06-02
[17]
뉴스
World falls in love with Luna
http://www.canada.co[...]
Victoria Times Colonist
2008-09-29
[18]
웹사이트
A Killer Whale Called Luna
http://www.bbc.co.uk[...]
BBC
[19]
웹사이트
The Whale
http://www.thewhalem[...]
Telefilm Canada and Mountainside Films
2012
[20]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Lost Whale: The True Story of an Orca Named Luna
https://www.macleans[...]
MacLean's, Rogers Media
2013-07-19
[21]
뉴스
'Two guys are doing all of the work': Southern-resident orcas' inbreeding may devastate the population (updated 13 May 2019)
https://www.seattlet[...]
2018-04-18
[22]
뉴스
범고래 ‘루나’배에 치어 죽어
http://dc.koreatimes[...]
미주 한국일보
2015-12-20
[23]
뉴스
Canada's lonely killer whale dies
http://news.bbc.co.u[...]
BBC
2015-12-20
[24]
뉴스
Luna the orca killed by tugboat
http://www.seattlepi[...]
seattlepi
2015-12-20
[25]
웹사이트
Luna: Spirit of the Whale
https://www.imdb.com[...]
IMDb
[26]
웹사이트
The WHALE
http://www.thewhalem[...]
[27]
웹인용
범고래 루나 구하기 (2007)
http://movie.daum.ne[...]
다음영화
2015-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