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환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생은 "다시 육신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영혼, 정신, 의식 등이 죽음 이후 순환하며 다시 태어난다는 믿음이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주요 인도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윤회 순환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카발라 유대교, 고대 그리스, 켈트족 등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도 나타나며, 재생형, 윤회형, 리인카네이션형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된다. 이슬람교는 환생을 부정하지만, 수피교 등 일부 종파에서는 믿음을 공유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심령주의, 신지학, 뉴에이지 등 다양한 종교 및 영적 운동에서 환생을 받아들인다. 환생 연구는 과학적 증거는 없지만, 전생 기억 사례 연구, 최면을 통한 전생 퇴행 등이 시도되었으나, 비판과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생 - 윤회
    윤회는 인도 종교의 기본 사상으로, 모든 생명체가 업에 따라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는 순환을 뜻하며, 생사의 순환에서 벗어나는 해탈의 반대 개념이다.
  • 환생 -
    업은 인도에서 기원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의 사상에서 행위와 의도를 포괄하는 핵심 개념으로, 개인의 행위와 의도가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율에 기반하여 윤회와 연결되어 도덕적 삶을 장려하는 윤리적 의미를 지닌다.
  • 기독교 밀교 - 파울로 코엘료
    파울로 코엘료는 브라질 출신의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로, 『연금술사』를 통해 수피즘에 영향을 받은 독특한 영적 세계관과 간결한 문체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명성을 얻었으나, 단순하고 상업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기독교 밀교 - 애니 베전트
    애니 베전트는 영국의 사회 개혁가, 작가, 연설가이자 신지학자로 여성 권리 옹호, 사회주의 운동, 인도 독립 운동에 헌신했으며, 신지학 협회의 주요 인물로서 인도에서 교육 사업과 자치 운동을 이끌고 인도 국민 회의 의장을 역임하며 인도 독립에 기여했다.
  • 이스마일파 - 카르마트파
    카르마트파는 티베트 불교 까귀파의 한 분파로, 활불로 여겨지는 카르마파가 정신적 지도자이며,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종파이나 겔룩파의 탄압을 받기도 했고, 현재 17대 카르마파가 분열되어 논란이 있다.
  • 이스마일파 - 파티마 칼리파국
    파티마 칼리파국은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북아프리카와 이집트를 중심으로 존속한 시아파 이슬람 왕조로, 이스마일파 시아파 운동의 결과로 건국되어 이집트를 정복하고 카이로를 수도로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아이유브 왕조에게 멸망했다.
환생
종교 철학
개요
개념사후에 영혼이나 의식이 다른 육체적 형태로 다시 태어나는 것.
관련 용어윤회
환생
영생
사후세계
윤회설
종교별 관점
힌두교아트만(Atman, 영혼)이 새로운 몸을 얻어 계속 순환한다고 믿는다.
불교자아(自我)가 아닌 업(業)의 힘에 의해 재생이 일어난다고 본다.
자이나교영혼(Jiva)이 카르마에 묶여 윤회한다고 믿는다.
시크교윤회를 믿으며, 해탈을 통해 윤회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고 본다.
유대교카발라 학파에서 길굴(Gilgul)이라는 윤회 개념을 제시한다.
기독교일반적으로 부활을 믿지만, 일부 종파에서는 윤회 사상을 받아들인다.
이슬람일반적으로 윤회를 부정하지만, 수피즘에서는 윤회와 유사한 개념을 찾을 수 있다.
에스피리투교윤회를 믿으며, 영혼은 여러 번의 삶을 통해 배우고 성장한다고 본다.
에칸카르교 (Eckankar)소울 트래블(Soul Travel)을 통해 윤회를 경험하고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본다.
고대 그리스 철학피타고라스, 플라톤 등이 영혼 불멸과 윤회 사상을 주장했다.
기타 관점
신지학영혼은 진화를 위해 여러 번 환생한다고 믿는다.
인간학인간의 정신적, 영적 발달 과정을 윤회와 관련지어 설명한다.
과학적 관점
과학과학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으나, 환생 경험 사례 연구 등이 존재한다.
문화적 관점
문화다양한 문화권에서 환생과 관련된 설화, 전설, 신화 등이 존재한다.
대중문화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환생을 주제로 다룬다.
같이 보기
관련 항목전생
사후세계
영혼
부활

카르마
초능력
라마르크주의

2. 개념적 정의

"환생"이라는 단어는 문자 그대로 '다시 육신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는 라틴어 용어에서 유래되었다. 환생은 모든 인간(또는 일부 문화권에서는 모든 생물)의 한 측면이 죽음 이후에도 계속 존재한다는 믿음을 나타낸다. 이 측면은 영혼, 정신, 의식 또는 상호 연결된 존재의 순환에서 다시 태어나는 초월적인 무언가가 될 수 있다. 환생에 대한 믿음은 문화에 따라 다르며, 새로 태어난 인간, 동물, 식물, 영혼 또는 다른 비인간적 존재로 나타나는 것으로 상상된다.[14]

'윤회'는 한 생(육체)에서 다른 생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는 또 다른 용어이다.[16] 이 용어는 쿠르트 괴델과 같은 현대 철학자들이 사용했으며 영어에 들어왔다.[17]

환생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메테 엠프쉬코시스''(μετεμψύχωσις|메템프시코시스el)로, '변화'를 의미하는 ''메타''와 empsykhoun|엠프시쿤el('영혼을 집어넣다')에서 파생되었으며,[18] 이는 피타고라스에게 귀속되는 용어이다.[19] 때때로 동의어로 사용되는 또 다른 그리스어 용어는 '다시 태어남'을 의미하는 ''팔린게네시스''이다.[20]

환생은 주요 인도 종교에서 발견되는 핵심 개념이며,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여 논의된다. ''푸나르얀만''(पुनर्जन्मन्|푸나르잔만sa, '재탄생, 윤회')[21][22]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의 고대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논의되며, पुनरावृत्ति|푸나라브르티|label=nonesa, पुनराजाति|푸나라자티|label=nonesa, पुनर्जीवातु|푸나르지바투|label=nonesa, पुनर्भव|푸나르바바|label=nonesa, आगति-गति|아가티-가티|label=nonesa(불교 팔리어 텍스트에서 흔히 사용됨), निब्बत्तिन्|닙바틴|label=nonesa, उपपत्ति|우파파티|label=nonesa, उप्पज्जन|우파자나|label=nonesa)와 같은 많은 대체 용어가 사용된다.[21][23] 이 종교들은 환생이 순환적이며 무한한 윤회라고 믿으며, 이 순환을 끝내고 해탈로 이끄는 영적 통찰력을 얻지 못하면 계속된다고 믿는다. 환생 개념은 인도 종교에서 "목적 없는 표류, 방황 또는 세속적 존재의 순환"을 시작하는 단계로 간주되지만, 윤리적인 삶과 다양한 명상, 요가(''마르가''), 또는 기타 영적인 수행을 통해 영적인 해탈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24] 그들은 환생의 순환으로부터의 해방을 궁극적인 영적 목표로 간주하고, 이러한 해방을 모크샤, 열반, ''묵티'', ''카이발야''와 같은 용어로 부른다.[25][26][27]

''길굴'', ''길굴 네샤모트'', 또는 ''길굴레이 하 네샤모트''(גלגול הנשמות|길굴 하네샤모트he)는 카발라적 유대교의 환생 개념으로, 아슈케나즈 유대인들 사이에서 많은 이디시 문학에서 발견된다. ''길굴''은 '순환'을 의미하고 ''네샤모트''는 '영혼'을 의미한다. 카발라적 환생은 인간이 YHWH/아인 소프/이 선택하지 않는 한 인간으로만 환생한다고 말한다.

종교인류학자 다케쿠라 후미토는 서로 다른 "환생" 사상을 비교하기 위한 전제로서 "환생"의 이상형을 "현세에서 생명체가 죽음을 맞이하고, 직후 또는 사후 세계에서의 일시적인 체류를 거쳐, 다시 새로운 육체를 가지고 현세에 재생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현대 일본에서는 전생, 윤회, 윤회전생 등의 용어가 별로 구분되지 않고, 환생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인도산스크리트어 संसार|삼사라|saṃsārasa는 윤회, 윤회전생, 생사, 생사유전 등으로 번역된다. 전생은 영어 Reincarnation(리인카네이션, 재수육[310])의 번역어이기도 하며, 일부 종교에서는 "재생"이라고도 한다. 전생은 기독교에서의 부활이나 새 생명과는 다른 개념이다.

일본에서 환생은 불교 사상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불교 고유의 사상은 아니다. 불교에서도 보이는 환생 사상 "윤회"는 원래 인도의 힌두교(브라만교) 사상으로, 석가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힌두교에서 파생된 불교나 자이나교에도 계승되었다. 환생 사상은 인도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의 종교 사상에서도 인정된다.

환생에는 힌두교나 불교의 윤회처럼 인간은 동물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서 전생한다고 주장하는 설과, 근대신지학처럼 인간은 인간으로만 전생한다는 설이 있다. 현대 서양의 뉴에이지 계열 사상, 신흥 종교와 남미의 신흥 종교, 일본의 신흥 종교스피리추얼, 만화·애니메이션에서 보이는 환생 사상 "리인카네이션"은 서양 근대에 유래하는 것으로, 인도에 유래하는 윤회와는 다른 개념이다. 현대에는 많은 언어가 리인카네이션 및 이의 직역어로 "환생"의 관념을 나타내고 있다.[311] 환생에 대한 신앙은 일부 사람들에게는 터무니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최근 미국에서는 종교적 관념에 대한 신앙률이 감소하는 가운데, 환생을 믿는 비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2008년 (헤이세이 20년) 조사에서 42.6%가 "윤회전생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는 등, 세계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312]

환생의 개념은 철학, 역사학, 인류학, 종교학, 불교학 등에서 연구되어 왔다. 미국버지니아 대학교의학부의 The Division of Perceptual Studies(DOPS)에서는, 전생의 기억을 가진 어린이들의 사례가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IV, 1994년)에 "종교적 또는 영적인 문제"라는 항목이 추가된 것을 계기로, 종교적인 관념이 문화 자원으로서 주목받고, 환생의 개념을 "의료 자원"으로 간주하여 영적 간호에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313]

다케쿠라 후미토에 따르면 환생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재생형 = 순환

# 윤회형 = 유전

# 리인카네이션형 = 성장

3. 역사

종교인류학자 다케쿠라 후미토는 "환생"을 "현세에서 생명체가 죽은 후, 사후 세계에서 일시적으로 머무르거나 곧바로 새로운 육체를 가지고 현세에 다시 태어나는 것"으로 정의한다.

현대 일본에서는 전생, 윤회, 윤회전생 등이 환생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단어 삼사라(सṃसāra)는 윤회, 윤회전생 등으로 번역된다. 전생은 영어 Reincarnation(재수육[310])의 번역어이며, 일부 종교에서는 "재생"이라고도 한다.

환생은 불교 사상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불교 고유의 사상은 아니다. 윤회는 원래 힌두교(브라만교)에서 비롯된 사상으로, 석가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힌두교에서 파생된 불교나 자이나교에도 계승되었다. 환생 사상은 인도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 종교 사상에서도 나타난다.

환생에는 인간이 동물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서 전생한다는 설과, 인간으로만 전생한다는 설이 있다. 현대 서양뉴에이지 계열 사상, 신흥 종교 등에서 보이는 "리인카네이션"은 서양 근대에 유래하며, 인도의 윤회와는 다른 개념이다.

환생에 대한 믿음은 일부 사람들에게는 터무니없어 보일 수 있지만, 최근 미국에서는 종교적 믿음이 줄어드는 가운데 환생을 믿는 비율은 늘고 있다. 2008년 일본의 조사에서는 42.6%가 "윤회전생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하는 등 세계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312]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 의학부의 The Division of Perceptual Studies(DOPS)에서는 전생의 기억을 가진 어린이들의 사례를 연구한다. 최근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IV, 1994년)에 "종교적 또는 영적인 문제"라는 항목이 추가되면서, 종교적 관념이 문화 자원으로 주목받고, 환생 개념을 의료 자원으로 간주하여 영적 간호에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313]

고대 그리스에는 오르페우스교, 피타고라스 학파, 플라톤 등에서 환생에 대한 관념이 있었다. 피타고라스는 전생의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Metempsychosis|메템프시코시스영어(그리스어: μετεμψύχωσις)는 환생, 윤회를 의미한다. 영국목사이자 민속학자인 사빈 배링-굴드는 인도 문명을 세운 아리아인에게서 비롯된 "영혼 불멸" 사상이 고대 그리스로 이어졌다고 설명한다.[334]

유럽(고대 그리스)에서도 오르페우스교피타고라스 학파의 영향을 받은 플라톤에 의해 확립된, 인도와는 다른 독자적인 윤회 사상이 존재한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향해 지성을 연마하면 천상계로 더 빨리 돌아갈 수 있다고 보았다(『파이드로스』).

플라톤은 파르메니데스의 영향을 받아 이데아론을 발전시켜 세계의 근원인 "데미우르고스"를 설파했고 (『티마이오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부동의 동자", 신플라톤주의플로티노스, 영지주의, 기독교신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중세 유럽 10세기 중반, 프랑스 남부와 이탈리아 북부의 카타리파영지주의이원론 등의 영향을 받아, 이 세상은 악이며 악인이 현세에 환생한다는 교리를 가졌다. 가톨릭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되어 알비 십자군에 의해 궤멸되었다.[335]

18세기 프랑스에서는 근대 유럽계몽주의, 낭만주의, 진보사관 등을 배경으로 인류의 직선적인 진보 관념에 기반한 사상이 생겨났다.[351] 인간은 죽음과 재생(재육화)을 반복하며 (영적으로) 진보하거나 진화하여, 최종적으로 에 가까운 존재가 된다고 생각한다. 다시 태어나는 대상은 인간뿐이며, 구미뿐만 아니라 남미에서도 널리 퍼졌다. 환생은 신이 허락한 성장의 기회이며, 인생의 고난도 스스로 선택한 성장을 위한 시련이라는 독특한 신정론·재앙론이 설해진다.[337] 이러한 선택적 윤회관은 뉴에이지의 중요한 개념이며, 일본에서도 정신세계 붐 속에서 성장한 포스트 고도성장기 이후 세대에게 드문 것이 아니다.[357]

프레데리크 르누아르는 서양 근대 환생설을 처음 명기한 것은 독일 사상가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1729년 - 1781년)의 『인간 교육』(1780년)일 것이라고 말했다.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1724년 - 1804년)는 인간이 한없이 살면서 진보해야 하므로 영혼은 불멸해야 한다고 했다.[338] 근대 환생 개념은 18세기 후반 니콜라 드 콩도르세(1743년 - 1794년), 자크 튀르고(1727년 - 1781년) 등의 "진보"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351] 19세기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의 조형을 고안한 샤를 푸리에(1772년 - 1837년), 피에르 르루(1797년 - 1871년) 등에게 받아들여졌다.[351]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에서는 가톨릭 교회 권위가 낮아져, 윤회 환생 이야기는 지식인들에게 매력적이었다.[339]

사회주의자들의 환생관은, 영매 알랑 카르덱(1804년 - 1869년)이 창시한 프랑스 심령주의 운동(스피리추얼리즘)에 차용되었다.[351] 카르덱은 강령회를 통해 영으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영의 서』에 정리, 기독교의 "부활"은 윤회 환생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 윤회 환생의 가르침이라고 했다.[346] 인간 영은 진보(진화)를 통해 구제되어 "천계 혹은 신성한 세계"에 도달하며,[346] 인생의 고난은 영이 스스로 선택한 시련,[343] 시련과 영혼의 결점은 대응한다고 했다.[344] 『영의 서』는 프랑스 제2 제정기 대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42]

카르덱의 사상은 브라질에서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다.[347] 사후 생존을 믿고 사후와 현세를 중시하는 사람은, 내세나 환생을 믿고, 다가올 천년왕국 도래를 대비, 현재 사회를 좋게 하려고 활동했다.

19세기의 거의 모든 심령주의에서는 환생론을 지지하지 않았지만, 20세기에는 환생론을 지지하는 심령주의도 나타난다.

근대 신지학의 신비 사상가 헬레나 P. 블라바츠키(1831년1891년)는 심령적 자아가 윤회한다고 주장했다.[350] 인도의 업(카르마) 사상(인과응보), 진화론, 신플라톤주의 등을 절충, 인간은 개인/집단으로 환생을 반복, 우주적 인과율(업)에 기초해 영적으로 진화, 신에 가까운 존재가 되어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했다.[351]

1980년대 이후 발전한 뉴에이지(New Age)는 미국 반문화 흐름을 잇는 종교·문화 현상이다. 뉴에이지는 인간은 신적 존재, 자신의 인생(병 포함)을 스스로 선택, 우주의 통일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기 위해 방황, 자기 구원 여정은 심리 치료, 각성에 이르는 심리학적 기술로 구원, 잠재 능력의 완전한 각성을 위해 환생 반복 및 단계적 상승을 믿는다.

배우 셜리 매클레인은 뉴에이지 사상에 감명받아, 환생론, 채널링, 소울메이트 등 뉴에이지 사상을 널리 퍼뜨렸다.

뉴에이지는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특히 한국필리핀에서 성행하고 있다.[354]

일본에서는 1884년(메이지 17년) 심령주의의 강령술(테이블 터닝)이 코쿠리 씨로 유행, 1889년(메이지 22년) 전후 신지학협회 초대 회장 헨리 스틸 올코트 방일로 신지학도 전해졌다.[355] 20세기 말 스피리츄얼리티 고조와 함께 뉴에이지 등에서 리인카네이션 개념이 유입, 신흥 종교, 정신세계, 스피리추얼로 퍼졌다.

쿠마다 카즈오는 일본 신신흥 종교 GLA(1969년 (쇼와 44년) - )의 전생관 특징을 "① 영혼의 영원한 윤회 환생, ② 영혼 향상 사명, ③ 스스로 환경 선택 및 수행"으로 분석한다.[357]

3. 1. 기원

환생 개념의 기원은 불분명하다.[28] 이 주제에 대한 논의는 고대 인도의 철학적 전통에서 나타난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도 환생에 대해 논했으며, 켈트족드루이드 또한 환생 교리를 가르쳤다고 전해진다.[29]

3. 2. 초기 인도 종교

윤회, 즉 ''사ṁ사라''와 해탈의 개념은 기원전 1천 년기 중반 경 인도에서 일어난 스라마나 수행자 전통에서 일부 파생되었다.[30] 환생에 대한 최초의 문헌적 언급은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그리고 후기 베다 시대 (기원전 1100년경 - 기원전 500년경)의 우파니샤드에서 나타나며, 이는 붓다마하비라보다 앞선다.[31] 갠지스 강 계곡의 부족이나 남인도드라비다인 전통이 환생 신앙의 초기 기원일 가능성도 제시되었다.[32]

윤회(''사ṁ사라'') 개념은 초기 역사적 베다교에도 존재했으며,[33][34][35] 초기 베다에서는 과 환생의 교리를 언급한다.[36][37] 이러한 사상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발전하고 설명된 것은 붓다마하비라 이전 시대의 초기 우파니샤드에서이다.[38][39] 자세한 묘사는 기원전 1천 년기 중반 경, 불교, 자이나교, 그리고 다양한 힌두 철학 학파를 포함한 여러 전통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각기 고유한 방식으로 이 일반적인 원리를 표현했다.

상감 문학[40] 고대 타밀 문학을 의미하며, 남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문학으로 알려져 있다. 타밀 전통과 전설에 따르면, 이 문학은 마두라이 주변에서 열린 세 번의 문학 모임과 관련이 있다. 카밀 즈벨레빌에 따르면, 타밀 문학과 역사 학자들에 따르면, 상감 문학의 가장 수용 가능한 범위는 텍스트 내의 언어적, 운율적, 준역사적 암시와 발문에 근거하여 기원전 100년부터 서기 250년까지이다. 푸라나누루에는 환생과 해탈에 대한 언급이 여러 번 나온다.[41] 이 텍스트는 핀다라고 불리는 쌀알을 만드는 것과 화장 등 죽음과 관련된 힌두 의례를 설명하고, 선한 영혼은 인드랄로카에서 자리를 얻으며, 그곳에서 인다라가 그들을 환영한다고 언급한다.[42]

현대에 전해지는 고대 자이나교의 텍스트는 마하비라 이후 시대의 것으로, 기원전 1천 년기 후반 수 세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환생과 업의 교리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한다.[43][44] 자이나 철학은 영혼 (자이나교에서는 ''지바'', 힌두교에서는 ''아트만'')이 존재하며 영원하며, 윤회와 환생의 주기를 거친다고 가정한다. 죽음 이후, 새로운 육신으로의 환생은 초기 자이나 텍스트에서 즉각적으로 일어난다고 주장된다.[44] 축적된 업에 따라, 천국이나 지옥 또는 세상에서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육체적 형태로 환생이 발생한다.[45] 어떤 육체적 형태도 영구적이지 않다. 모든 사람은 죽고 더 나아가 환생한다. 그러나 업의 축적을 제거하고 끝냄으로써, 즉 영혼에 대한 업의 축적을 끝냄으로써 환생으로부터의 해탈 (''케발야'')이 가능하다.[46] 자이나교 초기부터 인간은 특히 수행을 통해 해탈을 이룰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가장 높은 존재로 여겨졌다.[47][48][49]

초기 불교 텍스트는 ''사ṁ사라'' 교리의 일부로 환생을 논한다. 이는 존재의 본질이 "시작도 끝도 없는 고통스러운 삶, 죽음, 환생의 주기"임을 주장한다.[50][51] 존재의 수레바퀴라고도 하며, 불교 텍스트에서는 종종 ''푸나르바바'' (환생, 다시 태어남)라는 용어와 함께 언급된다. 이 존재의 주기에서 벗어나는 것, 즉 ''열반''은 불교의 기초이자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50][52][53] 불교 텍스트는 또한 깨달은 사람은 자신의 전생을 알고 있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명상적 집중을 통해 얻는 지식이라고 주장한다.[54] 티베트 불교는 죽음, 바르도 (중간 상태), 그리고 ''티베트 사자의 서''와 같은 텍스트에서 환생에 대해 논한다. 열반은 테라바다 불교에서 궁극적인 목표로 가르쳐지며, 대승 불교의 핵심이지만, 현대의 대다수 불교 신자들은 다음 생에서 더 나은 환생을 달성하기 위해 선업을 쌓고 공덕을 쌓는 데 집중한다.[55][56]

초기 불교 전통에서, ''사ṁ사라'' 우주론은 지옥, 굶주린 귀신, 동물, 인간, 신의 다섯 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50][51][57] 후기 불교 전통에서는 아수라가 추가되어 여섯 개의 환생 영역으로 늘어났다.[50][58]

베다 텍스트의 초기 층위는 삶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누적된 덕(공덕) 또는 악덕(악업)에 따라 천국과 지옥에서의 사후 세계가 뒤따른다.[59] 그러나 고대 베다의 리쉬들은 이러한 사후 세계의 개념이 단순하다고 비판했다. 사람들은 똑같이 도덕적이거나 부도덕한 삶을 살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덕이 있는 삶들 사이에서도 어떤 사람은 더 덕이 있고, 악 또한 정도가 다르다. 텍스트는 다양한 정도의 덕 또는 악덕을 가진 사람들이, 얼마나 덕이 있거나 악했는지에 관계없이 "양자택일" 방식과 불균형적인 방식으로 천국이나 지옥으로 가게 되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자신의 공덕에 비례하는 천국 또는 지옥에서의 사후 세계 개념을 도입했다.[62][63][64]

3. 3.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는 오르페우스교피타고라스 학파, 플라톤 등 일부에서 환생에 대한 발상이 있었다. 다케쿠라 후미토에 따르면, 피타고라스는 전생의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Metempsychosis|메템프시코시스영어(그리스어: μετεμψύχωσις. 환생, 윤회)라고 불렸다. 그 뒤에 오는 기독교 문화권에서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하는 전통에게는 이단적인 사상이었다. 영국목사이자 민속학자인 사빈 배링-굴드는 인도 문명을 세운 아리아인에게서 비롯된 "영혼 불멸"의 사상이 고대 그리스로 계승되어, 영혼이 육체를 떠날 때 반드시 다른 몸으로 옮겨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논하고 있다.[334]

윤회에 대한 초기 그리스 논의는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환생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진 초기 그리스 사상가는 페레키데스(기원전 540년경 활동)이다.[86] 그의 젊은 동시대인 피타고라스(기원전 570년경–기원전 495년경[87])는 윤회의 첫 번째 유명한 옹호자였으며, 이를 확산시키기 위한 사회를 설립했다. 일부 학자들은 피타고라스가 페레키데스의 제자였다고 믿고, 또 다른 학자들은 피타고라스가 오르피즘의 교리, 즉 트라키아 종교로부터 윤회 사상을 받아들였거나, 또는 인도로부터 그 가르침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플라톤(기원전 428/427–348/347년)은 그의 저서, 특히 ''에르의 신화''에서 윤회에 대한 설명을 제시했는데,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아르미니우스의 아들인 에르가 죽은 지 12일 만에 기적적으로 다시 살아나 다른 세계의 비밀을 이야기했다고 말한다. ''파이드로스''의 마차 비유[88], ''메논''[89], ''티마이오스'' 및 ''법률''에서도 같은 내용을 담은 신화와 이론이 있다. 육체로부터 분리된 영혼은 지성적인 영역에서 불특정 기간을 보내고 (''국가''의 동굴의 비유 참조) 다른 육체를 취한다. ''티마이오스''에서 플라톤은 윤회가 그 자체로 한 사람이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한 벌 또는 보상이 되기 때문에, 영혼이 삶과 삶 사이에 뚜렷한 보상 또는 처벌 단계 없이 육체에서 육체로 이동한다고 믿는다.[90]

''파이돈''에서 플라톤은 그의 스승 소크라테스가 죽기 전에 다음과 같이 말하도록 한다. "나는 다시 살아나는 것과 산 자가 죽은 자로부터 나온다는 것이 진실로 존재한다고 확신한다." 그러나 크세노폰은 소크라테스가 윤회를 믿었다는 언급을 하지 않으며, 플라톤은 피타고라스 학파 또는 오르피즘으로부터 직접 가져온 개념으로 소크라테스의 생각을 체계화했을 수 있다. 최근 학자들은 플라톤이 윤회를 믿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91] 한 가지 주장은 윤회 이론이 인간이 아닌 동물들이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과 관련이 있는데, 이들은 자신의 악행에 대해 처벌을 받는 전직 인간이다. 플라톤은 ''티마이오스''의 마지막 부분에서 이 주장을 제시한다.[92]

유럽(고대 그리스)에서도, 오르페우스교피타고라스 학파(피타고라스 학단)을 근원으로 하고, 그 영향을 받은 플라톤에 의해 확립된, 인도의 계통과는 다른 독자적인 윤회 사상이 존재한다.

그리고 인도의 윤회 사상이 범아일여나 열반 도달을 통해 윤회로부터의 해탈을 설파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플라톤의 경우도 "이데아"를 향해 지성을 연마하는 (영혼(프쉬케)에 잠들어 있는 "이데아"의 기억을 상기하는) 것으로, 천상계로 보다 빨리 귀환할 수 있다고 설파한다 (『파이드로스』).

더욱이 플라톤은 후기에 파르메니데스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데아론을 발전시켜, 세계의 근원·원인인 "데미우르고스"를 설파하게 되었고 (『티마이오스』),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부동의 동자" 뿐만 아니라, 그 "일자"로의 귀환과 그를 위한 엑스타시스(망아/탈자)를 설파하는 신플라톤주의플로티노스, 그 외 영지주의기독교신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3. 4. 켈트족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브리튼, 아일랜드의 드루이드들이 환생을 핵심 교리 중 하나로 삼았다고 기록했다.[103] 카이사르에 따르면, 드루이드 교리의 요점은 영혼은 죽지 않고 죽음 이후 다른 육신으로 옮겨간다는 것이며, 모든 교육의 주요 목표는 인간 영혼은 파괴되지 않으며 죽음은 단지 다른 집으로 옮겨가는 것일 뿐이라는 믿음을 심어주는 것이었다.

디오도루스 또한 갈리아인들이 인간의 영혼은 불멸하며, 정해진 연수가 지나면 다른 육신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것이라고 믿었다고 기록했다.[104] 그는 갈리아인들이 죽은 자가 읽을 수 있도록 장례식 화장터에 편지를 던지는 관습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갈리아인들이 다음 세상에서 상환할 수 있도록 서로 돈을 빌려주는 관습이 있었다고 전했으며,[105] 폼포니우스 멜라는 갈리아인들이 다음 생에서 필요할 물건들을 함께 묻거나 태웠으며, 심지어 일부는 새로운 삶에서 함께 살기 위해 친척의 장례식 화장터에 뛰어들기도 했다고 기록했다.

로마의 히폴리투스는 갈리아인들이 피타고라스의 노예인 잘목시스로부터 환생 교리를 배웠다고 믿었다. 반대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피타고라스 자신이 켈트족에게서 배웠으며 그 반대가 아니라고 믿었고, 갈라티아인 갈리아인, 힌두교 사제,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에게서 배웠다고 주장했다.[106] 그러나 작가 T. D. 켄드릭은 피타고라스와 켈트족의 환생 사상 사이의 실제적인 연관성을 부정하며, 그들의 믿음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고 역사적으로 어떤 접촉도 있을 것 같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오르페우스교트라키아 신앙 체계와도 관련된 고대 공통 기원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3. 5. 유대교

카발라는 영혼의 윤회인 ''길굴''에 대한 믿음을 가르친다. 따라서 환생에 대한 믿음은 카발라를 신성하고 권위 있는 것으로 여기는 하시디즘 유대교에서 보편적이며, 다른 정통 유대교의 흐름에서도 때때로 비밀주의적인 믿음으로 여겨진다.[107] 사디아 가온은 이를 명시적으로 거부했다.[108] 13세기에 처음 출판된 조하르토라의 "발락" 부분에서 환생에 대해 상세히 논하고 있다. 환생에 관한 가장 포괄적인 카발라 작품인 ''샤르 하길굴림''은[109][110] 16세기 카발리스트 이삭 루리아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임 비탈이 저술했는데, 루리아는 그의 반 예언적 능력을 통해 각 사람의 전생을 알았다고 한다. 18세기 리투아니아의 석학이자 카발리스트인 빌나 가온으로 알려진 엘리야는 성경의 요나서를 환생의 비유로 해석한 주석서를 저술했다.

유대교 개종 관행은 때때로 정통 유대교 내에서 환생의 관점에서 이해된다. 이 학설에 따르면, 비유대인들이 유대교에 이끌리는 것은 그들이 이전 생에서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영혼들은 여러 생을 통해 "민족들 사이를 방황"하며, "잃어버린" 유대인 조상을 가진 이방인 가정에서 태어나는 것을 포함하여 유대교로 돌아가는 길을 찾을 수 있다.[111]

환생을 언급하는 유대 민속 및 전통 이야기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112]

3. 6. 기독교

성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나 성모 마리아와 같은 성경 인물이 환생했거나, 환생할 수 있다는 믿음이 일부 존재한다.[113] 예를 들어, 세례자 요한엘리야 예언자의 환생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더 나아가 예수가 엘리야의 제자 엘리사의 환생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113][114] 통일교의 창시자 문선명은 스스로를 예수의 재림을 성취한 인물로 여기기도 했다.

가톨릭교회는 환생을 죽음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믿지 않는다.[115]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리아의 군대의 마리-폴 기게르[116][117]와 전 마리아비트파의 마리아 프란치스카[118]와 같이 교회의 특정 종파 지도자들은 자신들이 마리아의 환생이라고 가르치기도 했다. 교리성성은 마리아의 군대를 환생주의를 포함한 이단을 가르친 혐의로 파문했다.[119]

몇몇 영지주의 분파는 환생을 주장했다. 세트파발렌티누스의 추종자들이 이를 믿었다.[120] 2세기경 메소포타미아 출신의 바르다이산의 추종자들은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여겨졌으며, 바빌론점성술을 활용했다. 아테네에서 교육을 받은 바르다이산의 아들 하르모니우스는 여기에 그리스 사상, 일종의 윤회설을 더했다. 또 다른 교사로는 바실리데스(132–? CE/AD)가 있었는데, 그는 이레네우스의 비판과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의 저술을 통해 알려져 있다.

3세기 기독교 시대에 마니교는 당시 사산 제국 영토였던 바빌로니아에서 동서로 퍼져나갔으며, 창시자 마니는 216–276년경에 살았다. 마니교 수도원은 서기 312년에 로마에 존재했다. 리처드 폴츠[121]는 마니가 초기에 쿠샨 제국을 여행하고 마니교에 불교의 영향이 있었음을 지적하며, 마니의 환생 교리가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그러나 마니교, 오르페우스교, 영지주의, 신플라톤주의 사이의 상호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2009년 퓨 포럼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기독교인의 22%가 환생을 믿는다고 답했으며,[176] 1981년의 설문 조사에서는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유럽 가톨릭 신자의 31%가 환생을 믿는다고 답했다.[177]

일부 기독교 신학자들은 특정 성경 구절이 환생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구절에는 예수님께 그가 엘리야, 세례자 요한, 예레미야, 또는 다른 예언자인지 묻는 내용(마태오 16:13–15, 요한 1:21–22)과, 엘리야는 죽지 않고 하늘로 들려 올라갔다고 전해지지만, 세례자 요한에게 그가 엘리야가 아닌지 묻는 내용(요한 1:25)이 포함된다.[178][179][180] 성공회 사제이자 철학 교수인 게데스 맥그레거는 기독교 교리와 환생의 양립 가능성을 주장했다.[181] 가톨릭교회와 노먼 가이슬러와 같은 신학자들은 환생이 비정통적이며, 세례자 요한에 관한 텍스트와 이 믿음을 옹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경 구절에 대한 환생론적 해석을 거부한다.[182][183] 실제로, 엘리야는 마태오 11:14에서 "모든 예언자들과 율법은 요한까지 예언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그것을 받아들이려 한다면, 그는 오실 엘리야입니다."라며 세례자 요한의 은유로 명확하게 사용된다.[184]

오리게네스는 초기 기독교 시대의 교부로, 생전에 환생을 가르쳤지만 그의 저작이 라틴어로 번역되었을 때 이러한 언급이 은폐되었다는 증거가 있다.[185][188] 성 제롬이 쓴 서한 중 하나인 "아비투스에게"(서한 124; Ad Avitum. Epistula CXXIV)에서[186] 오리게네스의 ''원리강론''(라틴어: ''De Principiis''; 그리스어: Περὶ Ἀρχῶν)이[187] 잘못 필사되었다고 주장한다.

성 제롬은 ''원리강론''에 묘사된 사상을 비판하며, 오리게네스가 책의 원본에서 환생을 가르친다는 "확실한 증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원리강론''의 원문은 거의 완전히 사라졌으며, 성 제롬에 의해 충실하게 라틴어로 번역된 단편과 루피누스의 라틴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다.[187]

그러나 오리게네스의 환생에 대한 추정된 믿음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기독교 학자 댄 R. 슐레징거는 오리게네스가 환생을 가르친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광범위한 단행본을 저술했다.[189]

환생은 시노페의 마르키온과 같은 몇몇 영지주의자들이 가르쳤다.[190] 환생에 대한 믿음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여러 교부들에 의해 거부되었다.[191][192][183]

히브리서 9:27은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라고 말하며, 가톨릭교회의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환생 교리를 완전히 거부한다.[193]

3. 7. 도교

도교 문헌에서는 한나라 시대 초기부터 노자가 전설적인 삼황오제 시대부터 여러 시대에 걸쳐 다른 인물로 세상에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기원전 3세기경 ''장자''는 "태어남은 시작이 아니며, 죽음은 끝이 아니다. 제한 없는 존재가 있고, 시작점이 없는 연속성이 있다. 제한 없는 존재는 공간이고, 시작점이 없는 연속성은 시간이다. 태어남이 있고, 죽음이 있고, 나타남이 있고, 들어감이 있다."라고 말한다.[122]

3. 8. 중세 유럽

11~12세기경 유럽에서는 여러 환생론 운동이 종교 재판소가 라틴 서방에 설립되면서 이단으로 박해받았다. 여기에는 서유럽의 카타리파, 파테린 또는 알비겐스파 교회, 아르메니아에서 일어난 바울파 운동[123], 그리고 불가리아보고밀파가 포함되었다.[124]

보고밀파, 카타리파와 같은 기독교 종파는 환생과 다른 영지주의적 신념을 공언했으며, "마니교"라고 불렸고,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이들을 "신 마니교"라고 묘사하기도 한다.[125] 이들 집단의 저작물에는 알려진 마니교 신화나 용어가 없기 때문에, 이들이 실제로 마니교의 후예인지에 대해 역사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어왔다.[126]

중세 유럽10세기 중반, 프랑스 남부와 이탈리아 북부에서 일어난 반성직자 운동인 카타리파영지주의이원론 등의 영향을 받아, 이 세상은 악이며 악인이 현세에 환생한다는 교리를 가지고 있었다. 가톨릭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되어 알비 십자군에 의해 궤멸되었다.[335]

3. 9. 르네상스 및 근대 초기

르네상스 시대에 플라톤, 헤르메스 문서 및 기타 작품의 번역은 유럽에서 환생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마르실리오 피치노[129]는 플라톤이 환생을 언급한 것은 비유적인 의도였다고 주장했고, 셰익스피어는 환생 교리를 암시했지만,[130] 조르다노 브루노는 로마 종교 재판소에서 이단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화형에 처해졌다.[131] 그러나 그리스 철학 작품은 계속 이용 가능했고, 특히 북유럽에서는 케임브리지 플라톤학파와 같은 그룹에 의해 논의되었다. 에마누엘 스베덴보리는 우리가 물리적 세계를 한 번 떠나지만, 영적 세계에서 여러 생을 거친다고 믿었다. 이는 기독교 전통과 환생에 대한 대중적 견해의 일종의 혼합이었다.[132]

3. 10. 19~20세기

19세기에는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133]와 니체[134]가 환생 교리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인도 경전을 접하게 되었고, 이는 미국 초월주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트 휘트먼, 랄프 왈도 에머슨에게 받아들여졌으며, 프랜시스 보웬에 의해 ''기독교 윤회설(Christian Metempsychosis)''로 각색되었다.[135]

20세기 초, 환생에 대한 관심은 심리학 분야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윌리엄 제임스의 영향이 컸다. 제임스는 마음의 철학, 비교 종교, 종교적 경험의 심리학, 그리고 경험주의의 본질에 대한 측면을 제기했다.[136] 제임스는 1885년 뉴욕 시에 미국 심령 연구 협회(ASPR)를 설립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3년 전 런던에서 영국 심령 연구 협회(SPR)가 출범한 데 이은 것이었다.[137]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장군 조지 패튼은 환생을 강하게 믿었으며, 자신이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의 환생이라고 믿었다.

이 시기에 환생에 대한 대중적 인식은 신지학 협회가 체계화하고 보편화한 인도 개념을 전파하면서, 그리고 헤르메스 황금 새벽회와 같은 마법 사회의 영향으로 증폭되었다. 애니 베전트, W. B. 예이츠, 디온 포춘과 같은 저명인사들은 이 주제를 동서양 대중문화의 친숙한 요소로 만들었다. 1924년에는 유머 작가 돈 마퀴스가 클레오파트라 여왕의 환생이라고 주장하는 메히타벨이라는 가상의 고양이를 창조했다.[139]

테오도르 플루르누아는 전생 기억 주장을 연구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헬렌 스미스라는 매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잠재 기억(cryptomnesia)의 가능성을 정의했다.[140] 카를 구스타프 융은 심령주의에서의 잠재 기억 연구를 바탕으로 한 논문에서 플루르누아를 모방했다. 융은 환생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에서 기억과 자아의 지속성을 강조했다.[135] 정신 분석에서 사용되는 최면은 전생 기억 현상을 연구하는 수단으로 시도되었다.

최근 서양의 많은 사람들은 환생에 대한 관심과 수용을 발전시켰다.[13] 현대 신이교주의, 카르데시스트 영매주의, 아스타라,[141] 다이어네틱스, 사이언톨로지 등 많은 새로운 종교 운동이 환생을 신념에 포함하고 있다. 신지학(블라바츠키즘), 인智학, 카발라, 영지주의와 비밀 기독교와 같은 많은 비밀주의 철학 또한 환생을 포함한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의 인구 통계 조사 데이터는 유럽(22%)과 미국(20%)에서 환생을 믿는 상당수 소수의 사람들이 있음을 보여준다.[13][142] 리투아니아가 4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동독이 12%로 가장 낮았다.[13] 미국 기독교인의 4분의 1, 모든 거듭난 기독교인의 10%를 포함하여 이 생각을 받아들인다.[143]

이안 스티븐슨은 환생에 대한 믿음이 기독교이슬람교를 제외한 거의 모든 주요 종교의 신봉자들에게 유지된다고 보고했다. 또한, 서구 국가의 명목상 기독교인일 수 있는 사람들의 20~30%가 환생을 믿고 있다.[144] 월터와 워터하우스가 실시한 1999년 연구에서는 유럽인의 약 5분의 1에서 4분의 1이 환생에 대한 어느 정도의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앨리스 앤 베일리는 뉴에이지와 물병자리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이다. 토르콤 사라이다리안, 돌로레스 캐논, 아툴 가완데, 마이클 뉴턴(최면술사), 브루스 그레이슨, 레이먼드 무디, 유니티 교회의 창립자인 찰스 필모어 등도 환생에 관해 글을 썼다.[147] 닐 도널드 월쉬는 자신이 600번 이상 환생했다고 주장한다.[148] 메헤르 바바는 환생이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되며, 욕망에서 벗어나면 중단된다고 가르쳤다.[149]

4. 현대의 환생

현대 일본에서는 전생, 윤회, 윤회전생 등의 용어가 큰 구분 없이 환생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인도산스크리트어 ''삼사라''(सṃsāra)는 윤회, 윤회전생, संसार|생사sa, संसार|생사유전sa 등으로 번역된다. 전생은 영어 단어 Reincarnation(재수육[310])의 번역어이기도 하며, 일부 종교에서는 "재생"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환생이 불교 사상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불교 고유의 사상은 아니다. 불교에서도 나타나는 환생 사상인 "윤회"는 본래 인도의 힌두교(브라만교) 사상으로, 석가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힌두교에서 파생된 불교나 자이나교에도 계승되었다.

환생에는 힌두교나 불교의 윤회처럼 인간은 동물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서 전생한다는 설과, 근대신지학처럼 인간은 인간으로만 전생한다는 설이 있다. 현대 서양뉴에이지 계열 사상, 신흥 종교, 일본의 신흥 종교스피리추얼,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보이는 환생 사상 "리인카네이션"은 서양 근대에 유래하는 것으로, 인도에 유래하는 윤회와는 다른 개념이다.[311]

최근 미국에서는 종교적 관념에 대한 신앙률이 감소하는 가운데, 환생을 믿는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2008년 조사에서 42.6%가 "윤회전생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는 등, 세계적으로 환생에 대한 믿음이 확산되고 있다.[312]

1980년대부터 종교 단체, 애니메이션, 오컬트 잡지 등에서 최종 전쟁(아마겟돈)을 계기로 전생의 기억을 공유하는 동료들과 연대하려는 신념이 나타났고,[332], 전사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전생 붐"이 일어났다. 1985년 마츠다 세이코는 파국을 맞은 교제 상대인 고 히로미에게 "만약 다음에 환생했을 때는 꼭 함께하자"고 말한 기자 회견으로 화제가 되었다.[360]

1987년부터 히와타리 사키SF소녀 만화 『보쿠노 지큐오 마모루』,[362] 후유키 루리카의 『아리스』, 미즈키 켄의 『시퀀스』 등 환생과 초능력을 주제로 하는 소녀 만화가 다수 제작되어, 소녀들 사이에서 "전생의 동료 찾기"가 유행했다. 오컬트 잡지 『무』나 『트와일라잇 존』(1989년 휴간)의 통신란에는, 자신의 전생이 아틀란티스 대륙이나 이성, 이세계의 전사[363]이며, 최종 전쟁에 대비하여 전생의 동료를 찾고 있다는 편지가 쇄도했다.[364]

1989년에는 중학생 소녀들이 전생을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하여 계획적인 자살 미수 사건을 일으켜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은 소녀 만화 『시퀀스』의 영향이 컸다.[367] 아카사카 히로오는 일본에서 환생에 대한 관심이 갑작스럽게 고조된 데에는 소녀 만화가 큰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365]

1992년부터 타케우치 나오코의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이 연재 및 애니메이션화되어 폭넓은 세대에 인기를 얻었다.

호리에 무네마사는 이러한 전생 붐의 주된 담당자가 17세 전후의 소녀였으며, 이들이 성장하여 현대의 스피리추얼 붐을 이끌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332]

2010년경부터 웹 소설의 서적화가 급성장했고, 그중에서도 이세계로의 환생을 다룬 게임풍 판타지 작품이 많아졌다.[370] 소설 투고 사이트 「소설가가 되자」에서는 2011년부터 「이세계 소환/전생 판타지」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371] 이러한 웹 소설은 라이트 노벨이나 만화로 출판되거나 애니메이션화되기도 한다. 출판 과학 연구소에 따르면, 제목에 「이세계」, 「전생」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신간 서적은 2014년 128점에서 2017년 490점으로 늘어났다.[374]

4. 1. 종교 및 철학



환생은 여러 종교와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 '''라마교''' : 모든 라마교 신자들은 달라이 라마가 죽어도 환생해서 돌아온다고 믿는다.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어릴 때 제13대 달라이 라마의 현신으로 발견되었다. 제13대 달라이 라마의 유언에 따라 라마들은 '앞에 호수가 있는 하얀색 집'을 찾아 나섰고, 1935년 암도 지방에서 그 집과 라모 돈드럽을 발견했다. 돈드럽은 라마들을 알아보고 그들의 이름을 맞췄으며, 라싸로 데려와 13대 달라이 라마가 사용하던 작은 북을 집어 환생이 증명되었다.

  • '''이슬람교 알라위파''' : 알라위파알라를 섬기는 이슬람교의 한 종파로, 죽기 전 지상에서의 행위에 따라 다음 생의 환생 결과가 정해진다고 믿는다. 이들은 자신들이 원래 하늘의 별이나 신성한 빛이었지만 불복종으로 인해 천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반복된 환생을 겪어야 한다고 믿는다.

  • '''인도 종교''' : 환생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에서 핵심 개념이며, 다양한 용어로 논의된다. 이들 종교는 환생이 순환적이며 무한한 윤회라고 믿으며, 이 순환을 끝내고 해탈로 이끄는 영적 통찰력을 얻지 못하면 계속된다고 믿는다. 환생은 "목적 없는 표류, 방황 또는 세속적 존재의 순환"을 시작하는 단계로 간주되지만, 윤리적인 삶과 다양한 명상, 요가 등을 통해 영적인 해탈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들은 환생의 순환으로부터의 해방을 궁극적인 영적 목표로 간주하고, 모크샤, 열반, ''묵티'', ''카이발야''와 같은 용어로 부른다.

  • '''카발라 유대교''' : 아슈케나즈 유대인들 사이의 이디시 문학에서 발견되는 카발라적 유대교의 환생 개념은 ''길굴'', ''길굴 네샤모트'', 또는 ''길굴레이 하 네샤모트''(גלגול הנשמות|길굴 하네샤모트he)로 불린다. ''길굴''은 '순환', ''네샤모트''는 '영혼'을 의미한다. 카발라적 환생은 인간이 YHWH/아인 소프/이 선택하지 않는 한 인간으로만 환생한다고 말한다.

  • '''고대 그리스''' : 윤회에 대한 초기 그리스 논의는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페레키데스 (기원전 540년경 활동)와 피타고라스 (기원전 570년경–기원전 495년경[87])는 윤회를 고려한 초기 그리스 사상가였다. 플라톤 (기원전 428/427–348/347년)은 그의 저서에서 윤회에 대한 설명을 제시했다. 오르페우스교는 기원전 6세기경 환생을 가르쳤다.

  • '''게르만 이교''' : 현존하는 기록에 따르면 게르만 이교에도 환생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 '''유대교 신비주의''' : 환생에 대한 믿음은 중세 세계의 유대교 신비주의자들 사이에서 발전했다.

  • '''기독교''' : 가톨릭교회는 환생을 죽음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믿지 않지만, 일부 기독교인들은 신약성서의 특정 인물이 구약성서 인물의 환생이라고 믿는다.

  • '''중세 종교 재판''' : 11~12세기경 유럽에서는 여러 환생론 운동이 종교 재판소가 라틴 서방에 설립되면서 이단으로 박해받았다. 여기에는 카타리, 바울파, 보고밀파가 포함되었다.

  • '''르네상스''' : 르네상스 시대에 플라톤, 헤르메스 문서 및 기타 작품의 번역은 유럽에서 환생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19세기 이후''' : 19세기에는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와 니체가 환생 교리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인도 경전을 접하게 되었고, 이는 미국 초월주의에 받아들여졌다. 20세기 초, 환생에 대한 관심은 심리학 분야에 도입되었다.

  • '''불교''' : 다양한 불교 경전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는 다른 세상에서의 사후 세계와 윤회의 존재를 믿었다. 붓다는 업(業)이 윤회에 영향을 미치며, 반복되는 탄생과 죽음의 사이클은 끝이 없다고 주장했다. 주요 현대 불교 전통은 붓다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윤회가 있으며, 영구적인 자아는 없고, 삶에서 삶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삶을 연결하는 축소 불가능한 ''아트만'' (영혼)은 없으며, 무상이 있으며, 모든 존재는 환생한다고 주장한다. 불교에 따르면 윤회의 사이클은 끊임없이 계속되며, 이는 ''고'' (고통, 괴로움)의 근원이다. 그러나 이 윤회와 ''고''의 사이클은 열반을 통해 멈출 수 있다.

  • '''힌두교''' : 힌두교 전통은 육신은 죽지만 영혼은 죽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영혼은 영원하고 파괴될 수 없으며 더없이 행복하다고 믿는다. 힌두교의 많은 종파에서 모든 것과 모든 존재는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한다고 믿고, 모든 생명체는 영혼과 육신 또는 물질의 두 가지로 구성된다. 현재의 은 이번 생에서의 미래 상황뿐만 아니라 미래의 형태와 삶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힌두교 종파에는 영원한 천국이나 지옥이 없다. 사후 세계에서, 업에 따라 영혼은 천국, 지옥 또는 지구의 생명체로 다시 태어난다. 이러한 환생은 한 사람이 영적인 추구를 시작하고, 자기 인식을 깨달아, 환생의 순환에서 벗어나는 최종적인 해탈인 ''목샤''를 얻을 때까지 끊임없이 이어진다.

  • '''이슬람교''' : 대부분의 이슬람 학파는 생물의 환생이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이슬람은 인간이 단 한 번의 삶을 살며 죽음 이후에는 알라의 심판을 받아 천국에서 보상을 받거나 지옥에서 벌을 받는다는, 선형적인 삶의 개념을 가르친다. 그러나 수피교에서 발견되는 일부 무슬림 소수 종파와 남아시아인도네시아의 일부 무슬림은 이슬람 이전의 힌두교 및 불교의 환생 신념을 유지해 왔다.

  • '''자이나교''' : 자이나교에서, 윤회 교리는 삼사라와 업에 대한 이론과 함께 신학적 기초의 핵심이다. 현대 자이나교 전통에서 윤회는 현세가 다양한 존재 영역에서 끊임없는 환생과 고통으로 특징지어진다는 믿음이다. 업은 자이나교 신앙의 핵심이자 근본적인 부분으로, 다른 철학적 개념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현재 생에서의 행동과 감정은 특정 업의 성격에 따라 미래의 환생에 영향을 미친다.

  • '''시크교''' : 시크교는 힌두교와 유사한 환생 이론을 가르치지만, 전통적인 교리와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시크교의 존재 본질에 대한 환생 이론은 신의 은총을 통해 얻는 신과의 합일을 해방으로 정의하는 일부 바이슈나바 전통 내의 헌신적인 바크티 운동 동안 발전한 아이디어와 유사하다.

  • '''요루바교''' : 요루바교는 최고 존재이자 창조주인 올로두마레가 그의 피조물을 다스리며, 천국과 지구 사이의 균형을 이루고 ''이포 레레'', 즉 좋은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에니안'', 즉 인류를 창조했다고 가르친다. 좋은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인류는 환생한다.

4. 2. 신흥 종교 및 영적 운동

알라위파이슬람교의 한 종파로, 죽기 전 지상에서의 행위에 따라 다음 생의 환생 결과가 정해진다고 믿는다.[120] 이들은 자신들이 원래 하늘의 별이나 신성한 빛이었지만, 불복종으로 인해 천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반복된 환생을 겪어야 한다고 믿는다.

여러 영지주의 분파들도 환생을 주장했는데, 세트파발렌티누스의 추종자들이 대표적이다.[120] 2세기경 메소포타미아 출신 바르다이산의 추종자들은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여겨졌으며, 바빌론점성술에 그리스 사상과 윤회설을 더했다. 바실리데스 역시 환생을 가르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세기 마니교사산 제국 영토였던 바빌로니아에서 동서로 퍼져나갔다. 창시자 마니쿠샨 제국을 여행하며 불교의 영향을 받았고, 그의 환생 교리 역시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21]

스피리티즘의 창시자인 알랑 카르덱의 묘. 비문에는 프랑스어로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나고, 끊임없이 발전하는 것, 그것이 법이다"라고 적혀 있다.


스피리티즘은 19세기 프랑스 교육자 알랑 카르덱이 체계화한 영매주의 철학으로, 죽음 이후 인간의 삶으로의 환생을 가르친다. 이 교리에 따르면, 자유 의지와 인과 관계는 환생의 귀결이며, 환생은 사람이 연속적인 삶에서 영적으로 진화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266] 영은 박테리아, 식물과 같은 단순한 유기체에서 시작하여 비인간 동물, 인간으로 진화하며, 이후 천사의 단계까지 나아간다. 육체적인 삶과 삶 사이의 기간을 ''미정착성''이라고 부르며, 이 기간 동안 영은 지구 또는 영적인 영역을 떠돌아다닐 수 있다.

신지학 협회는 인도에서 많은 영감을 받는다.[267] 신지학적 세계관에서 환생은 영혼이 세상에서 자신의 영적 능력을 펼치고 자아를 알아가는 과정이다.[268] 영혼은 숭고하고 자유로운 영적 영역에서 내려와 세상에서 경험을 쌓고, 죽음에서 더 높은 차원의 현실로 철수하여 과거 생을 정화하고 동화한다. 그 후, 영혼은 자신의 영적이고 무형의 본성으로 다시 서서 다음 현현을 시작하며, 매 생애마다 완전한 자기 지식과 자기 표현에 더 가까워진다.[268] 그러나 오래된 정신적, 정서적, 에너지적 ''카르마'' 패턴을 끌어들여 새로운 개성을 형성할 수 있다.[269]

인智학은 서양 철학과 문화의 관점에서 환생을 설명한다. 자아는 일시적인 영혼의 경험을 죽음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개별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보편적인 것으로 변환한다고 믿어진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한 생에서의 의지 활동이 다음 생의 사고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환생에서 작용한다고 믿는 일반적인 원칙[270]과 다양한 개별성의 연속적인 삶의 여러 측면을 묘사했다.[271]

올라브 해머는 루돌프 슈타이너가 초기 중세 시대 프랑스 북동부의 무술 봉건 영주와 그의 경쟁자의 환생을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로 보았다고 언급했다.[272]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저작물에서 영감을 받아, 20세기 초 점성술가들은 카르마와 환생의 개념을 서양 점성술에 통합했다. 앨런 레오, 찰스 E. O. 카터, 마크 에드먼드 존스, 데인 루디야 등이 이러한 발전을 이끌었다. 힌두교와 불교의 환생 개념이 서양 점성술과 융합되면서 동서양의 새로운 종합이 이루어졌고, 칼 융의 심층 심리학이 더해졌다.[273] 스티븐 포레스트와 제프리 울프 그린과 같은 점성가들은 이러한 통합을 현대 시대에도 이어오고 있다.[274]

사이언톨로지 교회의 신자들은 인간 개인이 과거의 경험으로 타락한 불멸의 영적 존재인 ''세탄''이라고 믿는다. 사이언톨로지 감청은 전생의 트라우마에서 사람을 해방시키고 전생의 기억을 되살려 더 높은 수준의 영적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 론 허바드는 "환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육체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라는 원래 정의를 따른다고 언급한다.[275]

위카는 자연에 중점을 둔 신이교주의 종교로, "어떤 것도 해하지 말고, 네가 원하는 대로 하라"는 위칸 리드의 철학에 따라 인도된다. 위칸은 현세 또는 다음 생에서 행위의 결과가 세 배 또는 그 이상으로 되돌아와 교훈을 가르치는 삼배의 법칙과 같은 형태의 업보를 믿으며, 환생은 위칸 신앙의 중요한 부분이다.[276]

4. 3. 환생 연구

영혼불멸설에서 주장하는 환생이 실재하는지를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입증하려는 시도를 환생 연구라고 한다. 이언 스티븐슨 교수의 <어떤 아이들의 전생 기억에 관하여>는 환생을 연구한 책이다.[281]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과학이 환생을 반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환생의 물리적 현실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없지만, 이 주제가 논의될 때, 그러한 믿음이 과학과 종교의 담론 내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학문적인 심령학의 일부 옹호자들은 과학적 증거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비판자들은 그들이 사이비 과학의 한 형태를 행하고 있다고 비난한다.[277][278] 회의론자 칼 세이건제14대 달라이 라마에게 만약 그의 종교의 근본 교리(환생)가 과학에 의해 명확하게 반증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질문했다. 달라이 라마는 "만약 과학이 환생을 반증할 수 있다면, 티베트 불교는 환생을 포기할 것입니다...하지만 환생을 반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라고 답했다.[279] 세이건은 전생의 기억에 대한 주장이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환생이 이에 대한 가능성이 낮은 설명이라고 여겼다.[280]

버지니아 대학교의 정신과 의사인 이안 스티븐슨은 과거 생을 기억한다고 주장하는 어린 아이들의 사례 연구를 기록했으며, 12권의 책을 출판했다. 그의 사례에서 그는 아이의 진술과 가족 구성원 및 다른 사람들의 증언을 기록했으며, 종종 아이의 기억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망한 사람과 연관된 것으로 간주되는 내용과 함께 기록했다. 스티븐슨은 또한 반점과 선천적 결함이 사망한 사람의 상처와 흉터와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조사했다. 그의 문서에는 때때로 부검 사진과 같은 의무 기록이 포함되었다.[281] 스티븐슨의 연구는 칼 세이건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그는 스티븐슨의 조사를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신중하게 수집된 실증적 데이터의 예로 언급했으며, 환생을 이야기에 대한 가장 단순한 설명으로 거부했지만, 과거 생의 기억이라고 주장되는 현상은 더 연구되어야 한다고 적었다.[283][284] 샘 해리스는 그의 저서 "믿음의 종말"에서 스티븐슨의 연구를 초능력 현상의 실재를 입증하는 데이터의 일부로 인용했다.[285][286]

스티븐슨의 주장은 비판과 반박의 대상이 되었으며, 예를 들어 철학자 폴 에드워즈는 이안 스티븐슨의 환생에 대한 설명이 순전히 일화적 증거이며 체리 피킹이라고 주장했다.[287] 에드워즈는 이러한 이야기가 가족이나 연구자의 신념 체계에서 비롯된 선택적 사고, 암시, 허위 기억 증후군의 결과이며, 따라서 공정하게 표본 추출된 실증적 증거의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보았다.[288] 철학자 키스 오거스틴은 "스티븐슨의 사례 중 대다수가 환생에 대한 종교적 믿음이 강한 국가에서 비롯되었고, 다른 곳에서는 드물다는 사실은 문화적 조건화(환생이 아닌)가 자발적인 과거 생의 기억 주장을 생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비판적으로 적었다.[289]

스티븐슨은 또한 이국어 구사의 증거를 암시하는 소수의 사례가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중 두 가지는 최면 상태의 피험자가 외국어를 단지 암송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대화했다고 한다. 새라 토마슨, 미시간 대학교의 언어학자(이자 회의적인 연구자)는 이러한 사례를 재분석하여 "언어학적 증거는 이국어 구사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너무 약하다"고 결론 내렸다.[293]

유사한 연구를 수행한 다른 학자로는 짐 B. 터커, 안토니아 밀스,[294] 사트완트 파스리차, 고드윈 사마라랏네, 에를렌두르 하랄드손 등이 있지만, 스티븐슨의 출판물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295]

환생을 믿는 일부 사람들(스티븐슨은 예외)은 최면 상태에서 전생 퇴행을 통해 얻는다고 여겨지는 전생 기억에 매우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 1980년 이후 4,000명 이상의 환자를 퇴행시켰다고 주장하는 정신과 의사 브라이언 와이스에 의해 대중화된 이 기법은 종종 일종의 사이비 과학적 행위로 간주된다.[298] 이러한 기억들은 현대 대중문화,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 또는 역사적 사건을 다룬 책에서 비롯된 역사적 부정확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전생 퇴행을 겪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환생에 대한 믿음과 최면술사의 제안이 보고된 기억 내용에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299][298][300] 최면과 유도 질문의 사용은 피험자가 왜곡되거나 허위 기억을 가질 가능성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301]

전생 퇴행은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고, 허위 기억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유로 비윤리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국 심리학회)에서 인증한 단체들은 전생 퇴행의 치료적 사용에 대해 비윤리적이라고 비판하며 이의를 제기했다. 또한, 전생 퇴행의 근간이 되는 최면 방법론은 참가자를 허위 기억의 이식이 가능한 취약한 위치에 놓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303]

현실 세계에서의 환생에 대한 연구는 전생 연구와 내용을 같이 한다. 초심리학 연구자이자 정신과 교수인 이안 스티븐슨은 1961년인도에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몇몇 사례를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하고, 전생의 기억이 연구 주제가 될 수 있음을 확신했다.[375] 대부분 2~4세에 전생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하고, 5~7세 정도가 되면 이야기를 하지 않게 된다.[376]

스티븐슨의 전생 연구는, 세계적인 발명가인 체스터 칼슨이 후원자로서 지원하고, 아이들이 말하는 전생의 기억의 진위를 객관적·실증적으로 연구하는 The Division of Perceptual Studies(DOPS)가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 의학부에 창설되었다.[380] DOPS의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주부대학교 교수이자 버지니아 대학교 객원교수인 다이몬 마사유키에 따르면, 수집된 사례 중, 전생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는 인물을 찾은 것은 72.9%, 전생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고 여겨지는 것은 67.4%이다.[381] 회의주의 단체 사이콥의 창립 멤버인 칼 세이건은, 환생은 믿지 않지만, "진지하게 조사해 볼 가치가 있다"고 평했다.[382]

버지니아 대학교의 짐 터커는 이언 스티븐슨의 연구를 이어받아 약 1100건의 환생 사례를 조사했다.

정신의학에서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최면 요법에 의한 연령 퇴행 과정에서 전생의 기억을 상기하는 사례가 마운트 시나이 병원(Mount Sinai Hospital)의 정신과 의사 브라이언 L. 와이스에 의해 보고되었다.[383]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조엘 L. 휘튼, 미국의 최면 요법가 개릿 오펜하임에게서도 이와 유사한 보고가 있었다.

한편, 연령 퇴행 최면에 대해서는 허위 기억을 만들어낸다는 비판도 있다. 치료사가 환자에게 유도적인 질문을 반복함으로써, 실제로는 체험하지 않은 유년기의 가짜 기억을 만들어내는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386]

5. 비판 및 논쟁

가톨릭교회의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환생 교리를 완전히 거부한다.[193]

버지니아 대학교의 정신과 의사 이안 스티븐슨은 과거 생을 기억한다고 주장하는 어린 아이들의 사례 연구를 기록했으며, 12권의 책을 출판했다. 스티븐슨은 아이의 진술과 가족, 다른 사람들의 증언을 기록했으며, 종종 아이의 기억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망한 사람과 연관된 내용과 함께 기록했다. 또한 반점과 선천적 결함이 사망한 사람의 상처와 흉터와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조사했고, 부검 사진과 같은 의무 기록도 포함했다.[281]

스티븐슨의 연구는 칼 세이건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신중하게 수집된 실증적 데이터의 예로 언급되었다. 샘 해리스는 저서 "믿음의 종말"에서 스티븐슨의 연구를 초능력 현상의 실재를 입증하는 데이터의 일부로 인용했다.[285][286]

그러나 스티븐슨의 주장은 비판과 반박의 대상이 되었다. 철학자 폴 에드워즈는 스티븐슨의 환생 설명이 일화적 증거이며 체리 피킹이라고 주장했다.[287] 에드워즈는 이러한 이야기가 가족이나 연구자의 신념 체계에서 비롯된 선택적 사고, 암시, 허위 기억 증후군의 결과이며, 실증적 증거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보았다.[288] 철학자 키스 오거스틴은 "스티븐슨의 사례 중 대다수가 환생에 대한 종교적 믿음이 강한 국가에서 비롯되었고, 다른 곳에서는 드물다는 사실은 문화적 조건화(환생이 아닌)가 자발적인 과거 생의 기억 주장을 생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비판했다.[289] 또한 환생이 현대 과학과 일치하지 않는 가정을 불러일으킨다고 반대했다.[290][291] 이안 윌슨은 스티븐슨의 많은 사례가 부유한 삶을 기억하거나 높은 카스트에 속했던 가난한 아이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썼다.

스티븐슨은 이국어 구사의 증거를 암시하는 소수의 사례가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중 두 가지는 최면 상태의 피험자가 외국어를 암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대화했다고 한다. 새라 토마슨은 이러한 사례를 재분석하여 "언어학적 증거는 이국어 구사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너무 약하다"고 결론 내렸다.[293]

스티븐슨 외에도 짐 B. 터커, 안토니아 밀스,[294] 사트완트 파스리차, 고드윈 사마라랏네, 에를렌두르 하랄드손 등이 유사한 연구를 수행했다.[295]

최면 상태에서 전생 퇴행을 통해 얻는다고 여겨지는 전생 기억은 브라이언 와이스(Brian Weiss)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나, 사이비 과학적 행위로 간주된다.[298]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환생에 대한 믿음과 최면술사의 제안이 보고된 기억 내용에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이다.[299][298][300] 최면과 유도 질문은 피험자가 왜곡되거나 허위 기억을 가질 가능성을 높인다.[301]

전생 퇴행은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고, 허위 기억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유로 비윤리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루이스 코르돈은 이것이 치료의 탈을 쓴 망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302][303]

미국 심리학회(APA) 인증 단체들은 전생 퇴행의 치료적 사용에 대해 비윤리적이라고 비판하며, 최면 방법론이 참가자를 허위 기억 이식이 가능한 취약한 위치에 놓는다고 지적한다.[303] 가브리엘 안드라데는 전생 퇴행이 가장 먼저, 해를 끼치지 말라 (악행 금지) 원칙을 위반한다고 주장한다.[303]

정신의학에서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최면 요법에 의한 연령 퇴행 과정에서 전생의 기억을 상기하는 사례가 마운트 시나이 병원의 정신과 의사 브라이언 L. 와이스에 의해 보고되었다.[383]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조엘 L. 휘튼, 미국의 최면 요법가 개릿 오펜하임에게서도 이와 유사한 보고가 있었다. 그들은 환자들이 안고 있는 증상이 과거의 삶에 원인이 있으며, 그 기억을 의식함으로써 회복이 나타났다고 주장했다.[384][385]

한편, 연령 퇴행 최면에 대해서는 치료사가 환자에게 유도적인 질문을 반복함으로써 허위 기억을 만들어낸다는 비판도 있다.[386]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Reincarnation and Karm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9-25
[2]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9-25
[3]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9-25
[4] 서적 Buddhism After Patriarchy: A Feminist History,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Buddhism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Imagining Karma: Ethical Transformation in Amerindian, Buddhist, and Greek Rebir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문서 Crawley 2022-09-00
[8] 서적 A Companion to Philosoph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9] 서적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New Edition) Saqi
[10] 서적 Creole religions of the Caribbean: an introduction from Vodou and Santería to Obeah and Espiritismo https://www.worldcat[...] New York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Rosicrucian Christianity Lectures (Collected Works) http://www.rosicruci[...]
[12]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13] 학술지 Popular psychology, belief in life after death and reincarnation in the Nordic countries, Western and Eastern Europe 2006-01-00
[1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Concise.britannica.com 2016-06-25
[15] 서적 Jainism and Ecology: Nonviolence in the Web of Life Motilal Banarsidass
[16] 웹사이트 Transmigration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Gödel Exhibition: Gödel's Century http://www.goedelexh[...] Goedelexhibition.at 2011-12-06
[18] 웹사이트 metempsychosis http://www.etymonlin[...] Etymology Dictionary
[19] 웹사이트 Pythagoras, 4.1 The Fate of the Soul–Metempsychosis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20] 웹사이트 Heart of Hinduism: Reincarnation and Samsara http://hinduism.iskc[...] Hinduism.iskcon.com 2011-12-06
[21]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Karma and Rebirth: Post Classical Development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3] 서적 Pali-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24] 서적 Brill's Encyclopedia of Hinduism Brill
[25] 학술지 Mokṣa and Critical Theory 1985-00-00
[26] 학술지 Liberation for Life: A Hindu Liberation Philosophy 1988-04-00
[27] 서적 La Délivrance dès cette vie: Jivanmukti Edition-Diffusion de Boccard
[28] 서적 Reincarnation: The Hope of the World Theosophical Society in America
[29] 서적 Diodorus Siculus v.28.6; Hippolytus Philosophumena i.25.
[30]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Blackwell
[31] 서적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Rig Veda 10.58.1 [English translation] https://www.wisdomli[...] 2021-08-27
[34] 학술지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35] 서적 The Doctrine of Karma: Its Origin and Development in Brāhmaṇical, Buddhist, and Jaina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1997-00-00
[36] 서적 A Constructive Survey of Upanishadic Philosophy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37] 서적 Circulation of Fire in the Veda LIT Verlag Münster
[38] 간행물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39] 서적 The way to Nirvana: six lectures on ancient Buddhism as a discipline of sal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Tamil Heroic Poet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41] 웹사이트 Poem: Purananuru - Part 134 by George L. III Hart https://www.poetryno[...] 2023-10-08
[42] 웹사이트 Poem: Purananuru - Part 241 by George L. III Hart https://www.poetryno[...] 2023-10-08
[43] 서적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4] 서적 The Jains Routledge
[45] 서적 The A to Z of Jainism Scarecrow
[46] 서적 The Jains Routledge
[47] 서적 Jainism: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48] 서적 The Jains Routledge
[49]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Saṃsāra and Rebirth, i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Buddhist Thought in India: Three Phases of Buddhist Philosophy Routledge
[53] 서적 Foundations of Buddh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Routledge
[55] 서적 Buddh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56] 서적 Philosophy of the Buddha: An Introduction Routledge
[57] 서적 Haunting the Buddha: Indian Popular Religions and the Formation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Buddhist Cosmology: Philosophy and Origins Kōsei Publishing 佼成出版社, Tokyo
[59] 서적 Volume 12: Suffering-Zwingli https://archive.org/[...] T. & T. Clark
[60] 서적 Yama, the Glorious Lord of the Other World Penguin
[61] 서적 The Penguin Swami Chinmyananda Reader Penguin Books
[62] 서적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Academic
[63] 서적 The Words of My Perfect Teacher: A Complete Translation of a Classic Introduction to Tibetan Buddhism Rowman Altamira
[64] 서적 The Doctrine of Karma: Its Origin and Development in Brāhmaṇical, Buddhist, and Jaina Traditions Bharatiya Vidya Bhavan
[65]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25
[66] 서적 The Illustrated Guide to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Yoga: The Indian Tradition Routledge
[68] 서적 Buddhist Rituals of Death and Rebirth: Contemporary Sri Lankan Practice and Its Origins Routledge
[69] 서적 Exploring Buddhism Routledge
[70] 서적 Religion and Anthropology: A Crit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ravada Buddhism Routledge
[72] 웹사이트 Anatta http://www.britannic[...]
[73] 서적 Religion and Practical Reason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74] 서적 Shankara's Introduction to Brihad Aranyaka Upanishad
[75] 웹사이트 Is The Buddhist 'No-Self' Doctrine Compatible With Pursuing Nirvana? https://philosophyno[...]
[76] 서적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77] 서적 Global History of Philosophy: The Axial Age,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7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induism Scarecrow
[79]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0] 서적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Satguru Publications
[8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inism Scarecrow
[8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inism Scarecrow
[83] 서적 Narrating Karma and Rebirth: Buddhist and Jain Multi-Life St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4] 서적 Karma and Rebirth: A Cross Cultural Study and Historical Dictionary of Jainism Motilal Banarsidass and Scarecrow
[85]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86] 서적 Pherekydes of Syros Oxford Univ. Press
[87]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Volume 1: The earlier Presocratics and the Pythagore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서적 The Dialogues of Plato
[89] 서적 The Dialogues of Plato
[90] 논문 The Soul’s (After-) Life
[91] 논문 Plato's Theory of Reincarnation: Eschatology and Natural Philosophy and The Embodied Soul in Plato's Later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문서 Timaeus
[93] 서적 The Arts of Orpheus Arno Press
[94] 서적 A Study of the doctrine of metempsychosis in Greece, from Pythagoras to Plato
[95] 학술지 Plato's Doctrine of Metempsychosis and Its Source
[96] 서적 Pythagoras and the Early Pythagoreans OUP Oxford
[97] 문서 The Inspired Woman
[98] 문서 Gallus
[99] 학술지 Ennius and Basinio of Parma
[100] 문서 (i. 124)
[101] 문서 Epistles
[102] 문서 The Aeneid
[103] 문서 De Bello Gallico
[104] 서적 Caesar's Conquest of Gaul: An Historical Narrative
[105] 서적 Druids and Druidism Dover
[106] 서적 The Druids and King Arthur: A New View of Early Britain McFarland 2014
[107] 서적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 Rituals Simon and Schuster 2008
[108] 서적 The Book of Beliefs and Opinions
[109] 서적 Mind in the Balance: Meditation in Science, Buddhism, and Christianity
[110] 서적 Between Worlds: Dybbuks, Exorcists, and Early Modern Judaism
[111] 서적 Jewish Tales of Reincarnation Jason Aronson, Incorporated 2000-01-31
[112] 서적 Jewish Tales of Reincarnation Jason Aronson 1999
[113] 웹사이트 Biblical Accounts that Suggest Reincarnation http://www.cinemasee[...] 2023-08-27
[114] 웹사이트 Who Was Jesus Before the Last Incarnation? https://yoganandafor[...] 2023-09-07
[115] 웹사이트 CCC - PART 1 SECTION 2 CHAPTER 3 ARTICLE 11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2-05-23
[116] 웹사이트 Army of Mary Doctrinal Note http://www.cccb.ca/s[...] Cccb.ca 2012-05-23
[117] 웹사이트 Army of Mary / Community of the Lady of All Peoples – WRSP https://wrldrels.org[...] 2023-10-08
[118] 웹사이트 Pius X, Tribus Circiter (05/04/1906)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2-05-23
[1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ccb.ca/s[...] 2012-05-23
[120] 서적 Paradise Reconsidered
[121]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Palgrave Macmillan 2010
[122] 서적 Chuang Tzŭ: Mystic, Moralist, and Social Reformer https://archive.org/[...] Bernard Quaritch
[123] 웹사이트 Newadvent.org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1-12-06
[124] 서적 The Medieval Manichee: A Study of the Christian Dualist Heres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125] 서적 Un traite neo-manicheen du XIIIe siecle: Le Liber de duobus principiis, suivi d'un fragment de rituel Cathare Institutum Historicum Fratrum Praedicatorum 1939
[126] 웹사이트 Newadvent.org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1-12-06
[127]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Clarendon press 1888
[128] 학술지 Death Effects: Revisiting the Conceit of Franklin's "Memoir"
[129] 서적 Platonic Theology
[130] 웹사이트 Libraryireland.com http://www.libraryir[...]
[131] 서적 1914
[132] 웹사이트 Swedenborg and Life Recap: Do We Reincarnate? https://swedenborg.c[...] Swedenborg Foundation 2019-10-24
[133] 서적 Parerga und Paralipomena
[134] 서적 Nietzsche and the Doctrine of Metempsychosis Clinamen 2000
[135] 웹사이트 Shirleymaclaine.com http://www.shirleyma[...] Shirleymaclaine.com 2011-12-06
[136]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Reincarnation Penguin
[137] 서적 The Encyclopedia of Parapsychology and Psychical Research https://archive.org/[...] Paragon House Publishers
[138] 서적 More William http://www.gutenberg[...] George Newnes 1924
[139] 서적 Archy and Mehitabel 1927
[140] 웹사이트 Des Indes à la planète Mars http://www.psychanal[...] Éditions Alcan et Eggimann 1900
[141] 웹사이트 Astara https://www.encyclop[...]
[142] 뉴스 Three in Four Americans Believe in Paranormal https://news.gallup.[...]
[143] 웹사이트 Buddhism China http://worldmonitor.[...] 2011-12
[144] 서적 Parapsychology: research on exceptional experien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145] 논문 A Very Private Belief: Reincarnation in Contemporary England 1999
[146] 논문 Reincarnation belief in Britain: New age orientation or mainstream option? 1999
[147] 웹사이트 Unity Magazine November 1938 – Reincarnation Truth Unity https://www.truthuni[...] 2023-02-20
[148] 웹사이트 Being at One: Neale Donald Walsch Interview with Gil Dekel (Part 3 of 3, paragraphs 18–19) http://www.poeticmin[...] 2010-09-19
[149] 서적 Discourses http://www.discourse[...] 1967
[150]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1] 서적 Karma and Rebirth: Post Classical Developmen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52] 서적 Understanding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153] 서적 Understanding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154]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Articles titled ucchedavāda, śāśvata-vāda, rebirth) Oxford University Press
[155] 서적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University Press of Hawaii
[156]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7] 서적 Eastern Philosophy: Key Readings Routledge
[158] 서적 The Sociology of Religion: Theoret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Routledge
[159] 서적 Structural Depths of Indian Thought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60] 서적 The Spirit of Contradiction in Christianity and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161] 서적 What the Buddha Taught Gordon Fraser
[162]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3] 서적 Karma and Rebirth: Post-Classical Developments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164] 서적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āda Buddh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5] 서적 Karma and Rebirth: Post-Classical Developments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166]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Society Rowman Altamira
[167] 서적 How to Practice: The Way to a Meaningful Life Atria Books
[168] 서적 Karma and Rebirth: Post Classical Development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69] 서적 The Selfless Mind Curzon Press
[170]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1] 서적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aya Wisdom Publications
[172] 서적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Great Liberation Through Hearing in the Bardo Shambhala Publications
[173] 서적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Great Liberation Through Hearing in the Bardo Shambhala Publications
[174] 서적 Hardcore Zen Wisdom Publications
[175] 서적 Transform Your Life: A Blissful Journey Tharpa Publications
[176] 웹사이트 Pewforum.org http://pewforum.org/[...] Pewforum.org 2009-12-09
[177] 웹사이트 Spiritual-wholeness.org http://www.spiritual[...] Spiritual-wholeness.org
[178] 서적 Christianity and Reincarnation Floris Books 2015
[179] 서적 Reincarnation, a Christian Appraisal InterVarsity Press 1982
[180] 서적 Reincarnation in Buddhist and Christian Thought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Ceylon 1968
[181] 서적 Reincarnation in Christianity: A New Vision of the Role of Rebirth in Christian Thought (Quest Books) (9780835605014): Geddes MacGregor: Books Quest Books
[182] 웹사이트 Part One Section Two I. The Creeds Chapter Three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Article 11 I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I. Dying In Christ Jesus https://www.vatican.[...]
[183] 서적 The reincarnation sensation Tyndale House Publishers 1986
[184] 웹사이트 La reincarnazione nella Bibbia https://www.famiglia[...] 2024-04-25
[185] 서적 The Big Book of Reincarnation
[186] 웹사이트 Corpus Corporum https://mlat.uzh.ch/[...]
[18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188] 웹사이트 Church Fathers: Letter 124 (Jerome) https://www.newadven[...]
[189] 논문 Did Origen teach reincarnation? a response to neo-Gnostic theories of Christian reincarn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Origen and to the Second Council of Constantinople (553) https://eleanor.lib.[...] University of Glasgow 2016
[190] 서적 Reincarnation: A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1] 서적 The Works of Aurelius Augustine, Bishop of Hippo https://archive.org/[...] T. & T. Clark
[192] 웹사이트 Reincarnation - Did The Church Suppress It? https://www.issueset[...]
[193]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usccb.or[...]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194] 서적 Adventures in Arabia Harrap and Sons 1928
[195] 학술지 The Psychosocial Function Of Reincarnation Among Druze In Israel 2006-03
[19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ults, Sects, and New Religions Prometheus Books
[197] 서적 Hinduism: Practices and Beliefs Sussex Academic Press 1997
[198] 서적 Karma and creativ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6
[199] 서적 Hindu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Routledge
[200] 학술지 Three Functions of Hell in the Hindu Traditions 2009
[201] 서적 Hindu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Routledge
[202] 서적 Hindu Ethics: A Philosophical Study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3] 서적 The A to Z of Hinduism Rowman & Littlefield
[204] 서적 Oriental Thought: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ought of Asia Rowman & Littlefield
[205] 서적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The Central Stor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6] 서적 The Bhagavad Gita: Twenty-fifth–Anniversary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0
[207]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8] 학술지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 1982
[209] 서적 The Problem of Rebirth Sri Aurobindo Ashram 1915–1921
[210] 서적 The Life Divine Sri Aurobindo Ashram 1914–1919
[21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12] 서적 Answering Islam: The Crescent in Light of the Cross Baker Academic
[213] 서적 The Islamic Understanding of Death and Resurr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14] 웹사이트 The Sufi Message of Hazrat Inayat Khan http://www.gnosticli[...]
[215] 서적 Scandal: Essays in Islamic Heresy Autonomedia
[216] 서적 The children of Abraham: Judaism, Christianity,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7] 웹사이트 Alawis http://countrystudie[...] U.S. Library of Congress
[218] 서적 Ahimsā, Anekānta, and Jainism Motilal Banarsidass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문서 The Jain hierarchy of life classifies living beings on the basis of the senses: five-sensed beings like humans and animals are at the top, and single sensed beings like microbes and plants are at the bottom.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230] 서적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The Jewish religion: a companion Oxford Univ. Press 1995
[234] 서적 Physician of the soul, healer of the cosmos: Isaac Luria and his kabbalistic fellowship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235] 웹사이트 Transmigration of souls https://www.jewishen[...] 2024-01-27
[236] 웹사이트 Kabbala {{!}} Definition, Beliefs, & Facts https://www.britanni[...] 2024-01-27
[237] 문서 Tikunei Zohar, Tikkun 69, 112a and 114a. Literally, "There is an extension of Moses in every generation and to each and every righteous man."
[238] 서적 Gale Encyclopedia of the Unusual and Unexplained: 001 2003
[239] 서적 A Kabbalah and Jewish Mysticism Reader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4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7, The Early Modern World, 1500–181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1] 서적 Sha'ar Ha'Gilgulim, The Gate of Reincarnations
[242] 웹사이트 Limmud Bay Area 2016: Judaism and Reincarnation https://limmudbayare[...] 2017-02-22
[243] 서적 Amerindian Rebirth: Reincarnation Belief Among North American Indians and Inui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44] 웹사이트 Tales and Traditions of the Eskimo http://www.sacred-te[...] 2011-12-01
[245] 서적 Reincarnation beliefs of North American Indians: soul journeys, metamorphoses, and near-death experiences Native Voices
[246] 서적 Sikhism and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Springer
[247] 서적 Sikh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Academic
[24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49] 서적 Vision, Tradition, Interpretation: Theology, Religion, and the Study of Religion Walter de Gruyter
[250]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1] 서적 Sikh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A&C Black
[2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253] 웹사이트 Reincarnation https://www.obafemio[...] 2023-08-30
[254] 웹사이트 ObafemiO https://www.obafemio[...] 2023-08-30
[255] 웹사이트 Yoruba Religion: History and Beliefs https://www.learnrel[...] 2023-08-30
[256] 웹사이트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in Igbo and Yoruba culture https://www.pulse.ng[...] 2022-09-20
[257] 학술지 Predestination, destiny and faith in Yorubaland: Any meeting point? https://www.ajol.inf[...] 2008
[258] 웹사이트 From Life to Death: Death and Dying Beliefs of the Yoruba https://www.processj[...]
[259] 학술지 The Yoruba's Cultural Perspective of Death with Special Reference to Twins 2002-06
[260] 서적 God is not one: the eight rival religions that run the world HarperOne 2011
[261] 학술지 The Concept of Abiku UCLA James S. Coleman African Studies Center 1973-09-01
[262] 웹사이트 AKUDAAYA (Meaning and Explanation) https://www.orisa.co[...] 2023-06-23
[263] 웹사이트 The Araba Agbaya: The Akudaaya https://orishada.com[...]
[264] 웹사이트 "Akudaaya" is Bringing Back the Chills https://thenollywood[...]
[265] 웹사이트 "Akudaaya" Dramatizes The Dilemma Of A Man Caught Between Worlds https://thenollywood[...]
[266] 서적 Spirits and Scientists: Ideology, Spiritism and Brazilian Culture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67] 웹사이트 Theosophical Society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68] 서적 Reincarnation in H.P. Blavatsky's The Secret Doctrine
[269] 서적 Ancient Wisdom Revived: A History of the Theosophical Movemen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0] 문서 Reincarnation and Karma
[271] 문서 Karmic Relationships
[272] 서적 Claiming Knowledge: Strategies of Epistemology from Theosophy to the New Age https://books.google[...] Brill
[273] 학술지 The Theosophical Heritage in Modern Astrology 2013
[274] 웹사이트 About Evolutionary Astrology http://www.forrestas[...]
[275] 웹사이트 Scientology Church & Religion – What is Scientology? http://www.scientolo[...]
[276] 서적 Encyclopedia of Wicca and Witchcraft
[277] 서적 Spooky Science: Debunking the Pseudoscience of the Afterlif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orporated 2015
[278] 서적 Reincarnation: a critical examination Prometheus Books 1996
[279] 서적 The Boundaries of Knowledge in Buddhism, Christianity, and Science Vandenhoeck & Ruprecht
[280] 웹사이트 After the afterlife debate https://theness.com/[...]
[281] 논문 European Cases of the Reincarnation Type 2005-04-00
[282] 뉴스 Ian Stevenson; Sought To Document Memories Of Past Lives in Children https://www.washingt[...] 2007-02-11
[283] 서적 Mind Beyond Brain: Buddhism, Science, and the Paranormal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00-00
[284] 서적 Demon Haunted Worl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85] 서적 The End of Faith https://archive.org/[...] W. W. Norton 2005-09-17
[286] 서적 Science, the Self, and Survival after Death: Selected Writings of Ian Stevens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2-00-00
[287] 웹사이트 Book Review: Children who Remember Previous Lives https://web.archive.[...] 2014-10-11
[288] 서적 Reincarnation: A Critical Examination Prometheus Books
[289] 웹사이트 The Case Against Immortality http://infidels.org/[...] Infidels.org 2014-04-11
[290] 서적 Critical Thinking: Step by Step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91] 서적 Reincarnation: A Critical Examination Prometheus Books
[292] 서적 Mind Out of Time: Reincarnation Investigated Gollancz
[293] 서적 Xenoglossy http://www-personal.[...] Prometheus Books 2008-09-11
[294] 웹사이트 Mills http://jamesgmatlock[...]
[295] 논문 Academic studies on claimed past-life memories: A scoping review 2022-05-00
[296] 뉴스 Breakfast with Brian Weiss https://web.archive.[...] 2002-08-05
[29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Brian Weiss https://web.archive.[...] 2015-06-18
[298] 서적 Multiple Identities & False Memories: A Sociocognitive Perspect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299] 서적 The Skeptic's Dictionary: a collection of strange beliefs, amusing deceptions, and dangerous delusions Wiley
[300] 서적 Just Smoke and Mirrors: Religion, Fear and Superstition in Our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Writers Club Press
[301] 서적 The Skeptic encyclopedia of pseudoscience https://books.google[...] ABC-CLIO
[302] 서적 Popular psycholog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303] 논문 Is past life regression therapy ethical? 2017-12-00
[304] 서적 Buddhism After Patriarchy: A Feminist History,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05]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6] 서적 A Companion to Philosoph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307] 서적 Imagining Karma: Ethical Transformation in Amerindian, Buddhist, and Greek Rebir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8] 서적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New Edition) Saqi
[309] 서적 The Rosicrucian Christianity Lectures (Collected Works) http://www.rosicruci[...] Oceanside, California
[310] 문서 incarnation は肉体化、肉体化したものを意味する。
[311] 문서 竹倉 2015. 位置No.1071/2493
[312] 문서 竹倉 2015. 位置No.7/2493
[313] 문서 竹倉 2015. 位置No.1878/2493
[314] 웹사이트 輪廻 https://kotobank.jp/[...]
[315] 웹사이트 りんね-てんしょう【輪廻転生】 http://dictionary.go[...]
[316] 문서 竹倉 2015. 位置No.1082/2493
[317] 문서 竹倉 2015. 位置No.1102/2493
[318] 웹사이트 (新新宗教)概念の学術的有効性について https://acrobat.adob[...] 井上順孝 1997-06-01
[319] 웹사이트 ブッダは輪廻を説かなかったか  仏教と輪廻(上) http://manikana.la.c[...]
[320] 문서 梶原 1992
[321] 문서 竹倉 2015. 位置No.1008/2493
[322] 웹사이트 第1部 基調講演 脳死・クローン・輪廻 梶山雄一氏 https://web.archive.[...]
[323] 서적 仏教ではこう考える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13
[324] 웹사이트 唯識派 http://user.numazu-c[...]
[325] 웹사이트 第3章 インド仏教の発展 http://user.numazu-c[...]
[326] 웹사이트 ダライ・ラマの化身認定制度について - ダライ・ラマ法王14世日本公式サイト http://www.dalailama[...]
[327] 서적 The Gelug/Kagyu Tradition of Mahamudra https://books.google[...] Snow Lion 1997-01-01
[328] 논문 現代の輪廻転生観 : 輪廻する<私>の物語 宗教研究会 2009-03
[329] 논문 日本霊異記における転生譚の構造 http://repo.komazawa[...] 1998-03
[330] 문서 伊佐敷隆弘 2012.
[331] 웹사이트 現代宗教研究 別冊 現代教学へのアプローチ 宗教と科学について-ニューエイジ批判を通しての一考察- https://web.archive.[...] 2013-11-20
[332] 논문 現代の輪廻転生観 : 輪廻する<私>の物語 日本宗教学会 2009-03-30
[333] 서적 オウム真理教大辞典 三一書房 2003-11-25
[334] 서적 民俗学の話 角川書店 1955
[335] 서적 異端カタリ派と転生 人文書院 1991
[336] 웹사이트 3日で回るイスラエル - 秘境添乗員・金子貴一の地球七転び八起き - トラベル https://www.asahi.co[...]
[337] 문서 竹倉 2014.
[338] 서적 死後の世界 白水社
[339] 문서 竹倉 2015. 位置No.12391/2493
[340] 문서 竹倉 2015. 位置No.1294/2493
[341] 문서 竹倉 2015. 位置No.1305/2493
[342] 문서 竹倉 2015. 位置No.1168/2493
[343] 문서 竹倉 2015. 位置No.1237/2493
[344] 문서 竹倉 2015. 位置No.1246/2493
[345] 문서 竹倉 2015. 位置No.1254/2493
[346] 문서 山田 2014.
[347] 문서 竹倉 2015. 位置No.1186/2493
[348] 문서 もし人間が生まれ変わるなら霊を呼び出すことは不可能なはずなので、本来は両立しない。
[349] 문서 類魂説は、死後存続やテレパシーを研究したフレデリック・マイヤーズ(1843年 - 1901年)が亡き後、死後の世界で生前の研究を進め心霊論をまとめ、死後30年たってから霊媒ジェラルディン・カミンズを通して現世に伝えたものだとされている。
[350] 웹사이트 仏教と西洋の出会い チベットへの憧れ、「鏡」としての歴史 http://www.kojinkara[...]
[351] 書籍 ルノワール # publisher 정보 없음 2010
[352] 뉴스 現代チャネリングの原点にして頂点、ジェーン・ロバーツとセス―スピリチュアル史解説[コラム] https://web.archive.[...] マイナビニュース 2011-08
[353] 書籍 クリモ # publisher 정보 없음 1991
[354] 書籍 ニューエイジについてのキリスト教的考察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7
[355]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0
[356]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05
[357] 간행물 大衆版運命愛としての選択輪廻観 愛知学院大学 1996
[358] 書籍 現代オカルトの根源 - 霊性進化論の光と闇 筑摩書房 2013
[359] 書籍 # title 정보 없음 1986
[360] 웹사이트 樹木希林が〝封印〟を解いた「生まれ変わったら」の裏側 1985(昭和60)年・郷ひろみ、松田聖子「破局」 https://weekly-econo[...] 毎日新聞社 2022-09-12
[361] 웹사이트 松田聖子が「元祖ママドル」として歩んだ35年の“光と影” https://dot.asahi.co[...] 朝日新聞社 2021-12-31
[362] 문서 # title 정보 없음
[363] 문서 # title 정보 없음
[364] 웹사이트 前世の仲間探し/ 戦士症候群 http://www.paradisea[...] 2000-09-07
[365] 書籍 いまどきの神サマ 宝島社 2000
[366] 웹사이트 『ムー』の“前世少女”年表 http://tiyu.to/n0703[...] 2007-03-07
[367] 문서 # title 정보 없음
[368]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00
[369] 書籍 スピリチュアル市場の研究: データで読む急拡大マーケットの真実 東洋経済新報社 2011
[370]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6
[371] 웹사이트 「集団転生モノ」のジャンルを拓く、『ログ・ホライズン』と『ボクラノキセキ』 https://piano-fire.h[...] 2011-06-04
[372] 웹사이트 年間ランキング http://yomou.syosetu[...]
[373] 웹사이트 なぜ今,努力しないで成功する物語がはやるのか?――引きこもりのプロブロガー・海燕氏がゲストの「ゲーマーはもっと経営者を目指すべき!」第17回 https://www.4gamer.n[...] 2014-05-10
[374] 뉴스 願望かなえる「異世界転生」小説/「型」が生む多様性の妙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 2018-11-13
[375]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5
[376]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5
[377] 書籍 Children Who Remember Previous Lives: A Question of Reincarnation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87
[378] 書籍 Twenty Cases Suggestive of Reincarnation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66
[379]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5
[380]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5
[381]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5
[382] 書籍 # title 정보 없음 2015
[383] 書籍 Many Lives, Many Masters: The True Story of a Prominent Psychiatrist, His Young Patient, and the Past-Life Therapy That Changed Both Their Lives Fireside 1988
[384] 書籍 Life Between Life: Scientific Explorations into the Void Separating One Incarnation from the Next Doubleday 1986
[385] 書籍 Who Were You Before You Were You? A.R.E. Association 1987
[386] 서적 The Myth of Repressed Memory: False Memories and Allegations of Sexual Abuse St Martins Press
[387] 웹사이트 北大司法面接ガイドライン(仲真紀子)2010.10 http://nichdprotocol[...] 2022-03-02
[388] 서적 Through Time into Healing: Discovering the Power of Regression Therapy to Erase Trauma and Transform Mind, Body and Relationships Touchstone
[389] 뉴스 中国政府、チベット高僧の転生に事前申請を要求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7-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