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드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드라는 힌두교의 신으로, 그 기원은 불확실하며 '울부짖는 자' 또는 '사나운 신'으로 해석된다. 리그베다에서는 붉은 갈색 피부, 땋은 머리, 활과 화살을 든 전사로 묘사되며, 폭풍과 질병을 다스리는 양면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리그베다 이후에는 시바와 동일시되어 '시바'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베다 이후의 텍스트에서는 시바의 또 다른 이름으로 사용된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악마적인 존재로 묘사되기도 하며,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악마로 간주된다. 한국 문화에서는 불교의 영향으로 천신 또는 악신으로 수용되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루드라 신앙이 유행하기도 했다.

2. 어원

''루드라''(Rudra)라는 신격의 어원은 불확실하다.[7] 일반적으로 '울다, 짖다'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 유럽어 (PIE) 어근 ''rud-''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며, '포효하는 자'로 번역될 수 있다. 다른 어원 해석은 ''루드라''를 '붉은 자', '찬란한 자'로 해석하며, '야생의 자' 또는 '무서운 자'로 번역되기도 한다.[8]

Mallory와 Adams는 비교 신화학에서 고대 동슬라브어의 신 Rŭglŭ와의 비교를 통해 ''*Rudlos''라는 원시 인도 유럽 신화의 야생 신을 재구성하지만, 어원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한다.[9]

주석가 사야나는 ''루드라''에 대한 여섯 가지 가능한 파생을 제시한다.[10] '상서로운' 또는 '친절한' 의미의 형용사 ''śiva'' ('시바')는 RV 10.92.9에서 루드라에게 처음 적용된다.[11]

루드라는 '궁수' (산스크리트어: Śarva)[12]라고 불리며, 화살은 루드라의 필수적인 속성이다. 이 이름은 쉬바 사하스라나마에 등장하며, 후기 언어에서 종종 시바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다른 맥락에서 ''루드라''라는 단어는 단순히 '열한'을 의미할 수 있다. ''루드락샤''(산스크리트어: rudrākṣa = ''루드라''와 akṣa '눈')는 루드락샤 나무의 열매와 그 씨앗으로 만든 묵주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루드라는 비슈누 사하스라나마에서 비슈누의 이름 중 하나이다.[14] 아디 샹카라는 비슈누 사하스라나마에 대한 그의 주석에서 루드라라는 이름을 '우주적 해체의 때에 모든 존재를 울게 만드는 자'로 정의했다.[15]

3. 리그베다에서의 루드라

리그베다에는 루드라에게 헌정된 3개의 독립적인 찬가(RV 1.114, 2.33, 7.46)가 있으며, 2개의 찬가는 루드라와 소마에게 공동으로 헌정되었다(RV 1.43 및 6.74).[17][18] 리그베다 전체에는 루드라에 대한 언급이 약 75번 정도 나타난다.[19]

루드라는 붉은 갈색 피부, 땋은 머리, 황금 장신구를 착용하고 활과 화살, 금강저(바즈라)를 든 강력한 전사의 모습으로 묘사된다.[40][41] 그는 '무서운 맹수처럼 사납다'(RV 2.33.11)고 묘사될 정도로 두려운 존재이지만,[44] 동시에 자비롭고 치유의 힘을 가진 의사로도 묘사된다. 그는 치료법(RV 1.43.4)을 가지고 있으며, 의사 중 최고의 의사(RV 2.33.4), 그리고 천 개의 약을 소유한 존재(RV 7.46.3)로 묘사되어 '''바이디야나타'''(치료의 신)라고도 불린다.

루드라는 '우주의 주'로 불리며, 그의 신성은 결코 떠나지 않는다고 묘사된다. 그는 마루트 신군의 아버지로, 마루트 신군 역시 폭풍의 신이다.[40] 루드라는 아수라 신족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아수라 신족이 악마로 여겨지기 이전 시대의 흔적을 보여준다.

3. 1. 루드라의 속성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는 여러 가지 속성을 가진 신으로 묘사된다.

  • 자연 현상: 루드라는 폭풍, 번개, 몬순과 같은 격렬한 자연 현상을 다스리는 신이다. 그는 이러한 자연 현상을 통해 풍요와 파괴를 동시에 가져오는 양면적인 존재로 나타난다.[41]
  • 사냥과 죽음: 루드라는 활과 빠르게 날아가는 화살을 쏘는 사냥의 신이자 죽음을 관장하는 신으로 묘사된다.[20] 그는 "무서운 맹수처럼 사납다"(RV 2.33.11)고 표현될 정도로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했다.[44]
  • 질병과 치유: 루드라는 질병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동시에 치료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그는 "의사 중 최고의 의사"(RV 2.33.4)로 불리며, 수많은 치료법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다.[40] 이러한 이유로 '''바이디야나타'''(치료의 신)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 최고 통치자: 루드라는 '우주의 주'로 불리며, 모든 존재의 내면에 존재하는 신성으로 묘사된다.


리그베다에 나타난 루드라의 다양한 모습은 다음과 같다.

속성내용출처
엉킨 머리카락을 가진 자kapardineRV 1.114.1
금처럼 빛나는 자hiraṇyam iva rocateRV 1.43.5
태양처럼 빛나는 자śukra iva sūryoRV 1.43.5
굳건한 사지를 가진 자sthīrebhiraṃgaiRV 2.33.9
다양한 모습을 가진 자pururupaRV 2.33.9
우주의 형상을 한 자yajataṃ viśvarupamRV 2.33.10
상서로운 자yebhiḥ śivaḥRV 10.92.9



루드라는 붉은 갈색 피부에 황금 장신구를 착용하고 활과 화살, 바즈라를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40][41] 그는 풍요를 가져오는 몬순의 신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41] 또한 루드라는 암소 프리슈니와의 사이에서 폭풍우의 신들인 마루트 신군을 아들들로 두었다.[40][45]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는 아수라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아수라 신족이 악마로 여겨지기 이전 시대의 흔적을 보여준다.

4. 베다 이후의 루드라

야주르베다의 여러 판본에는 루드라를 찬양하는 구절들이 들어있다. 이 구절들은 ''샤타루드리얌'' 또는 ''나마캄''(많은 구절이 '경의'를 뜻하는 ''나마''로 시작하기 때문)이라고 불리며, 간단히 ''루드람''이라고도 한다. 이 연서는 ''아그니차야나'' 의식(불을 쌓는 의식) 때 낭송되었고, 후대에 루드라 전례의 표준이 되었다.[22]

아타르바베다의 ''파이팔라다-삼히타''(PS 14.3–4)에도 비슷한 구절들이 있다. 여기에 내용이 추가되어 ''닐라루드라''(또는 ''닐라루드라 우파니샤드'')로 널리 퍼졌다. 루빈은 ''닐라루드라''에서 번개를 루드라의 화살이자 신 자신으로 묘사한다고 설명한다.

야주르 베다의 타이티리야 아란야카(10.24.1)에서[23] 루드라는 보편적인 존재('이 모든 것')이며, 따라서 푸루샤(최고 존재 또는 내면의 자아)와 동일시된다.

야주르 베다(1.10.1)의 타이티리야 아란야카는 루드라와 브리하스파티를 부미(지구)와 천국의 아들, 동반자로 본다.[24]

산스크리트어 로마자 표기 (IAST)로마자 표기(하버드-교토) 번역영어 번역
sahasravṛdiyaṃ bhūmiḥyam bhUmi: sahasravrt이 세상은 수천 명의 지바라시(Jeevaraasi)에 의해 거주지로 간주됩니다.
paraṃ vyŏmaḥ sahasravṛtparam vyOma: sahasravrt윗 세상도 마찬가지로 수천 명의 데바(Deva)에 의해 갈망됩니다.
aśvinā bhujyū nāsatyābhujyU na asatyA viSvasya jagata: patI aSvinA지구와 천국(Svarga lOkam)은 질병을 몰아내고 보감(bhOgams)을 축복하는 쌍둥이 신인 아스비니 데바(Asvini Devas)와 같습니다. 아스비니 데바는 우주의 수호자이며 그들의 상칼팜(sankalpam, 의지)은 결코 실패하지 않습니다.
viśvasya jagataspatī
jāyā bhūmiḥ patirvyomabhUmi: jAyA vyOma pati: taa mithunam aturyathu:부 로캄(BhU lOkam)은 아내이고 천국은 남편입니다. 그들은 부부처럼 결합되어 있습니다.
mithunantā aturyathuḥ
putro bṛhaspatī rudraḥputra: brhaspatI rudra:우리는 브라스파티와 루드란(여기서는 노화)을 그들의 아들로 간주해야 합니다.
saramā iti strīpumamsaramA iti야가(Yaagam)를 위한 융기된 플랫폼, 야가 메다이(Yaaga meDai, 야즈나 베디, Yajn~a Vedi)는 여성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iti strI pumam따라서 우리는 지구와 천국의 남성-여성 측면에 대해 지시받았습니다.
[이제 부미와 윗 세상의 아비마나 데바타이스(abhimAna devatais)에게 바치는 기도가 나옵니다.]
śukraṃ vāmanyadyajataṃ vāmanyatvAm anyat Sukram vAm anyat yajatam당신의 형태 중 하나는 하얀 빛깔의 낮이고, 다른 하나는 어두운 빛깔의 밤입니다.
viṣurūpe ahanī dyauriva sthaḥvishurUpe ahanI dyau iva stha:당신 둘 다 하늘의 수리얀(Sooryan)처럼 똑같고 독특하며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로 안정적으로 머무릅니다.


5. 시바와의 관계

오늘날 알려진 시바는 루드라와 많은 특징을 공유하며,[25] 힌두교 경전에서는 시바와 루드라를 동일 인물로 여긴다. 두 이름은 동의어로 사용된다. 포효하는 폭풍의 신인 루드라는 일반적으로 그가 나타내는 요소에 따라 사납고 파괴적인 신으로 묘사된다.

힌두교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리그베다이며, 이는 언어학 및 고고학 증거에 따라 기원전 1700년에서 1100년 사이로 추정된다.[34] 리그베다에는 루드라라는 이름의 신이 언급되어 있다. 루드라는 여전히 시바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RV 2.33에서 그는 폭풍의 신 그룹인 마루트의 아버지로 묘사된다.

리그베다의 찬송가 10.92는 루드라 신이 야생적이고 잔혹한 성격(''rudra'')과 친절하고 평온한 성격(''shiva'') 두 가지를 가지고 있다고 진술한다. 베다 텍스트는 루드라의 탈것(''vahana'')으로 말을 언급하며, "기수 영웅"은 노래하는 사람에게 "관대해야 한다"(RV. 2.33.1)고 한다. 반면 마하바라타푸라나와 같은 베다 이후의 텍스트는 루드라와 시바의 탈것으로 황소인 난디와 얼룩소를 언급하며, 이를 통해 그들을 명확하게 동일시한다.

『리그 베다』에서는 루드라에 대한 형용사 "시바"(「길상한」의 의미)가 한 번만 나타나지만, 고우파니샤드에서는 루드라에 형용사 시바가 붙여지게 된다. 이처럼 시대가 내려옴에 따라 루드라는 시바 신과 자주 관련지어졌다. 푸라나 문헌의 한 종류인 『시바 푸라나』에서는 시바가 말하는 말 속에 "나의 화신인 루드라"라는 표현조차 나타났다.[46] 그리고 힌두교에서는 완전히 시바와 동일시되었다. 즉, 루드라는 시바의 전신이다.[46]

루드라는 "활의 사수"(산스크리트어: Śarva)[47]라고 불리며, 화살은 루드라에게 불가결한 속성이다. 이 호칭은 시바의 천 개의 이름 안에도 나타나며, R. K. Sharma는 후세의 언어에서는 시바의 이름 중 하나로 종종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48]

후기 베다 문헌에는 루드라가 악마의 성채 3개를 화살 하나만으로 파괴하는 설화가 남아있다. 이 설화도 힌두교 신화 시대가 되면 시바의 것이 된다("트리푸라스라" 참조).

6. 불교에서의 루드라

티베트 불교에서 파드마탕익에 따르면 루드라는 마헤슈바라 천국에 사는 데바 (천상에 사는 존재)였다. 다른 이야기로는 원래 쿠쿤트리라는 고귀한 출신의 인간 승려였다가 다르마를 오해하고 악행을 일삼아 나락에 떨어진 타르파 낙포였다고도 한다. 2만 번의 부정한 삶을 산 후, 그는 결국 세 종류의 초자연적인 존재와 잠자리를 가진 매춘부에 의해 스리랑카에서 세 개의 머리를 가진 악마로 환생한다.[35] 그의 탄생은 역병과 기근을 초래하여, 그는 화장터로 추방되지만, 어머니의 시체를 먹고 살아남아 세상을 정복하기 위해 돌아온다. 라크샤사 여왕 크로디쉬바리의 연인이 된 그는 신들과 싸우는데, 신들은 그의 엄청난 힘에 두려워하며 부처와 보살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부처 바즈라사트바는 전생에 타르파 낙포의 스승이었던 투프카 조누였는데, 루드라를 파괴하라는 임무를 받는다. 이를 위해 바즈라파니와 동행하는데, 바즈라파니는 프라데바 또는 덴팍, 낙포의 하인이자 동료 제자였다가 환생한 존재였다. 그들은 모두 분노한 모습인 하야그리바와 바즈라바라히로 변신하여 루드라에게 아홉 번의 춤으로 도전하고 그와 싸운다. 하야그리바는 작아져 루드라의 항문에 들어가고, 그 후 거대해져 그의 몸을 안에서부터 파괴하며 악마를 굴복시키고 진정한 다르마로 개종시킨다.[35][36]

다른 버전에서는 하야그리바가 루드라로 위장하여 크로디쉬바리를 임신시킨다. 그 결과, 그는 그 아이, 바즈라락샤사로 환생한다. 그는 루드라의 영역을 차지하고 세 갈래의 ''카트바앙가''를 그의 가슴에 꽂아 그를 물리친다. 그리고 루드라를 잡아먹고 위장에서 정화하여 다르마의 수호신으로 배설하며, 그의 악마 군대를 바즈라락샤사에게 시종으로 넘겨준다.[37][38] 또 다른 버전에서는 하야그리바를 우추슈마로 대체하는데, 이는 바즈라파니가 자신의 항문에서 끌어낸 화신이다.[39]

7. 조로아스터교에서의 루드라

조로아스터교에서 루드라는 다에바(악마)로 여겨졌다. 루드라의 다른 이름인 샤르바(Śarva)는 조로아스터교의 악마인 사르바에 해당한다.[49]

참조

[1] 서적 The Rigveda, with Dayananda Saraswati's Commentary, Volume 1 https://books.google[...] Sarvadeshik Arya Pratinidhi Sabha 1974
[2] 서적 Outlines Of The History Of Religion To The Spread Of The Universal Religion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5
[3]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4] 서적 All Four Vedas https://books.google[...] Islamic Books
[5] 서적 The Goddesses https://books.google[...] 1993
[6] 서적 Nataraja in Art, Thought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004
[7] 서적 1994
[8] 서적 1993
[9]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0] 서적 Sri Rudram and Purushasuktam Sri Ramakrishna Math
[11] 서적 1993
[12] 서적 1993
[13] 서적 1996
[14] 서적 The Om Mala: Meanings of the Mystic Soun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7-25
[15] 서적 The Development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Madathil Mammen Ninan 2008-06-23
[16] 서적 Shri Vishnu Sahasranama: In Sanskrit with Phonetics and Brief English Translation Explaining Its Grandeur and Procedural Rituals Etc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1998
[17] 서적 1994
[18] 서적 2004
[19] 문서 Rigveda 7.40.5
[20] 서적 1995
[21] 웹사이트 The Hymns of the Rig Veda http://www.sacred-te[...] 1896
[22] 웹사이트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cred-texts.[...] 1899
[23] 웹사이트 Taittiriya Aranyaka http://www.sanskritw[...]
[24] 웹사이트 SriHayagrivan – AruNa praSnam, vol. 2 http://www.srihayagr[...]
[25] 서적 1996
[26] 서적 2001
[27] 서적 2001
[28] 서적 2001
[29] 서적 1973
[30] Youtube SHRI RUDRAM FROM YAJURVEDA (Full) https://www.youtube.[...] 2011-07-09
[31] Youtube Sri Rudram https://www.youtube.[...] 2012-01-01
[32] 웹사이트 Vedam Tutorials http://www.sssbpt.or[...]
[33] 웹사이트 Sanskrit Dictionary http://sanskritdicti[...]
[34] 서적 1998
[35] 서적 The Tibetan Assimilation of Buddhism: Conversion, Contestation, and Mem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6] 서적 The Sherpas of Nepal in the Tibetan Cultural Context: (The Tibetan Symbolic World : a Psychoanalytic Exploration) Motilal Banarsidass
[37] 서적 The Taming of the Demons: Violence and Liberation in Tibetan Buddhism Yale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Circle of Bliss: Buddhist Meditational Art Serindia Publications 2003-01-01
[39] 서적 Ruthless Compassion: Wrathful Deities in Early Indo-Tibetan Esoteric Buddhist Art Serindia Publications 1999-01-01
[40] 서적 神の文化史事典
[41]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42] 서적 天部の仏像事典
[43] 서적 印と真言の本
[44]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45]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46]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47] 서적 Apte
[48] 서적 Sharma
[49] 서적 ヴェーダ アヴェスター 筑摩書房 1967-01-01
[50] 서적 (하버드 인용 방식으로 추정)
[51] 서적 (하버드 인용 방식으로 추정)
[52] 서적 (하버드 인용 방식으로 추정)
[53] 서적 (하버드 인용 방식으로 추정)
[54] 서적 (하버드 인용 방식으로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