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주르베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주르베다는 산스크리트어로 '희생의 지식'을 의미하며, 베다 텍스트 중 하나이다. 기원전 2천년기 말에 성립되었으며, 리그베다보다 늦고 아타르바베다와 거의 같은 시기에 속한다. 야주르베다는 흑 야주르베다와 백 야주르베다로 나뉘며, 흑 야주르베다는 만트라와 브라만 논의를 모두 포함하는 반면, 백 야주르베다는 제관이 읊는 만트라만을 포함하고 상세한 샤타파타 브라마나를 독립적으로 가진다. 야주르베다는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 이샤 우파니샤드 등 여섯 개의 주요 우파니샤드를 포함하며, 베다 시대의 농업, 경제, 사회 생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다 - 아타르바베다
아타르바베다는 기원전 1200/1000년경에 편찬된 고대 인도의 베다 경전으로, 주술, 의례, 의학, 점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질병 치료, 재산 보호, 적의 퇴치 등 다양한 목적의 주문과 기도, 형이상학적 사색을 담고 있고, 주요 판본으로는 샤우나키야와 파이팔라다가 있다. - 베다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 힌두교 경전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야주르베다 | |
---|---|
개요 | |
![]() | |
언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
종교 | 역사적 베다 종교, 힌두교 |
시대 | 베다 시대 (기원전 1200-800년경) |
장 | 40개의 아드야야 |
만트라 | 1,975개의 만트라 |
기타 |
2. 어원
야주르베다는 산스크리트어 복합어로서, ''야주스''(यजुस्)와 ''베다''(वेद)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에르-윌리엄스는 ''야주스''를 "종교적 경외심, 숭배, 예배, 희생, 희생 기도, 공식, 특히 희생에서 특이한 방식으로 외워지는 만트라"로 번역한다.[11] ''베다''는 "지식"을 의미한다. 존슨은 ''야주스''가 "야주르 베다에 포함된 (대부분) 산문 공식 또는 만트라로, 중얼거리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12]
야주르베다의 핵심 텍스트는 기원전 2천년기 말,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고전 만트라 시대에 속한다. 이는 리그베다보다 늦고, 리그베다의 킬라니와 사마베다와 거의 동시대이며, 아타르바베다와 대략 같은 시기이다.[15] 학자들은 야주르베다와 아타르바베다의 대부분 찬가가 기원전 1200년에서 800년 사이, 초기 철기 시대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한다.
야주르베다는 크게 "흑 야주르베다"(कृष्ण यजुर्वेद|크리슈나 야주르베다sa)와 "백 야주르베다"(शुक्ल यजुर्वेद|슈클라 야주르베다sa)로 나뉜다. 파탄잘리에 따르면 101개의 학파(샤카)가 있었다고 전해지나,[31] 현재는 5개의 학파에 의한 삼히타가 전해진다.[16]
마이클 비첼은 야주르베다를 베다 의식에서 사용되는 "산문 만트라의 지식 텍스트"로 해석한다.[3] 랄프 그리피스는 이 이름을 "희생 또는 희생 텍스트 및 공식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13] 칼 올슨은 야주르베다가 "의식에서 반복되고 사용되는 만트라(신성한 공식)"의 텍스트라고 말한다.[14]
제례에서 낭송되는 야주스(yajus, '제의의 말')를 수록한 것이며, 야주르는 야주스의 연음 형태이다. 야주스는 제례의 효력이 나타나기를 기원하며, 신격이나 제구, 공물 등에 일정한 행위와 함께 말을 거는 것으로, 대부분 산문으로 쓰여 있다. 제례의 작법이나 공물의 헌정 방법 등 제례의 실무가 읊어지고 있다. 제례에서 행위를 담당하는 아드바리유 제관(adhvaryu)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운문 부분은 대부분 리그베다와 동일한 것이 존재하지만, 산문으로 쓰여진 제문이나 기도의 문구는 야주르 베다에 고유한 것으로, 더욱 중요성이 높다.
3. 역사적 배경 및 연대
4. 분류
흑 야주르베다와 백 야주르베다의 주요한 차이점은, 백 야주르베다가 제관이 읊는 만트라(운문 부분 및 산문의 제문)만을 포함하는 데 반해, 흑 야주르베다는 만트라뿐만 아니라 신학적 논의를 적은 부분, 즉 브라만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한다는 점이다.[16] 따라서 흑 야주르베다는 원칙적으로 독립된 브라마나를 가지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타이티리야 브라만을 가진다. 반면 백 야주르베다는 매우 상세한 샤타파타 브라만을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다.[31]
야주르베다 텍스트에는 약 16개의 필사본(샤카)이 알려진 백 야주르베다와 최대 86개의 필사본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흑 야주르베다가 있다.[16]
4. 1. 흑 야주르베다 (कृष्ण यजुर्वेद)
흑 야주르베다는 만트라와 함께 브라마나에 해당하는 신학적 논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31] 원칙적으로 독립된 브라마나를 가지지 않지만, 타이티리야 학파는 예외적으로 타이티리야 브라만을 가진다.[31] 현존하는 4개의 판본은 다음과 같다:[31]
개정본 이름 | 하위 개정본 수[25] | 칸다 | 프라파타카 | 만트라 수 | 지역별 존재 | 참고 |
---|---|---|---|---|---|---|
타이티리야 | 2 | 7 | 42 | 남인도 | [23] | |
마이트라야니 | 6 | 4 | 54 | 서인도 | [24] | |
카타카 (차라카) | 12 | 5 | 40 | 3093 | 카슈미르, 북인도, 동인도 | [25] |
카피슈탈라 | 5 | 6 | 48 | 소실 |
- 타이티리야 삼히타(Taittirīya saṃhitā): 야스카의 제자이자 파니니에 의해 언급된 티티리에게 기인한다고 한다.[28] 이 텍스트는 야주르베다의 '타이티리야' 학파와 관련이 있으며, 현자 티티리(문자 그대로, 자고새)의 제자들에게 기인한다.[29]
- 마이트라야니 삼히타(Maitrayani saṃhitā):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야주르베다 삼히타이며, 타이티리야와 내용 및 장의 배열에서 차이가 있지만, 더 상세하다.[30]
- 카타 삼히타(Kāṭhaka saṃhitā) 또는 차라카-카타 삼히타(Caraka-Kaṭha saṃhitā): 바이샴파야나의 제자인 카타에 의해 편집되었다.[30] 마이트라야니 삼히타와 마찬가지로, 타이티리야 삼히타보다 일부 의식에 대해 더 자세한 논의를 제공한다.[30]
- 카피슈탈라 삼히타(Kapiṣṭhala saṃhitā) 또는 카피슈탈라-카타 삼히타(Kapiṣṭhala-Kaṭha saṃhitā): 카피슈탈라의 이름을 땄으며, 일부 단편에서만 전해지고 강세 표시 없이 편집되었다.[30] 이 텍스트는 카타 삼히타의 변형이다.
파탄잘리에 따르면 101개의 유파(샤카)로 나뉘어 전승되었다고 한다. 흑 야주르베다에는 4종류의 삼히타가 현존하며, 아래와 같다.
샤카 | 삼히타 | 브라만 | 아란야카 | 우파니샤드 |
---|---|---|---|---|
타이티리야 | 타이티리야 삼히타 | 타이티리야 브라만 및 바두라 브라만 | 타이티리야 아란야카 | 타이티리야 우파니샤드 |
마이트라야니 | 마이트라야니 삼히타 | 삼히타 내 | 마이트라야니야 우파니샤드 | |
차라카-카타 | 카타 삼히타 | 샤타드야야 브라만 (단편으로만 존재)[27] | 카타 아란야카 (단 하나의 원고에서 거의 전체 텍스트) | 카타카 우파니샤드, |
4. 2. 백 야주르베다 (शुक्ल यजुर्वेद)
슈클라 야주르베다의 삼히타는 '바자사네이 삼히타'라고 불린다. '바자사네이'라는 이름은 야지냐발키야의 아버지인 바자사네야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는 바자사네이 분파의 창시자였다. 바자사네이 삼히타(VS)에는 '바자사네이 마드야딘'과 '바자사네이 칸바'라는 두 개의 (거의 동일한) 현존하는 판본이 있다.[16]판본 이름 | 아드야야 | 아누바카 | 절 수 | 지역적 분포 | 참고 |
---|---|---|---|---|---|
마드야딘 | 40 | 303 | 1975 | 비하르, 마디아프라데시, 구자라트, 북인도 | [18] |
칸바 | 40 | 328 | 2086 | 마하라슈트라, 오디샤, 텔랑가나, 안드라프라데시, 케랄라, 카르나타카, 타밀 나두 | [19] |
백 야주르베다는 제관이 읊는 만트라만을 포함하며, 상세한 샤타파타 브라만을 독립적으로 가진다. 현존하는 두 판본은 주로 제문을 읽는 방식에서 차이가 난다.[16]
샤카 | 삼히타 | 브라마나 | 아란야카 | 우파니샤드 |
---|---|---|---|---|
마드야딘 (VSM) | 바자스네이 삼히타 (마드야딘) | 마드야딘 샤타파타 (SBM) | 샤타파타 XIV.1–8로 존재하며, 악센트가 있음. |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 |
칸바 (VSK) | 바자스네이 삼히타 (칸바) | 칸바 샤타파타 (SBK) (마드야딘과 다름) | SBK의 17권으로 존재함 |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 (위와 다름) |
5. 내용
야주르베다는 제례에서 행위를 담당하는 아드바리유 제관이 읊는 야주스(yajus, '제의의 말')를 담고 있다. 야주스는 대부분 산문으로, 제례의 효력이 나타나기를 기원하며 신, 제구, 공물 등에 말을 거는 내용이다. 제례 절차, 공물 헌정 방법 등 제례 실무가 포함되어 있다.[11][12] 운문 부분은 대부분 리그베다와 동일하지만, 산문으로 된 제문과 기도문은 야주르베다 고유의 것이며 더 중요하다.
성립 연대는 기원전 800년을 중심으로 한 수백 년간으로 추정된다.
5. 1. 주요 의식 (백 야주르베다 기준)
고대 인도의 종교 의식은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야주르베다는 이러한 의식에 필요한 절차와 주문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 백 야주르베다의 ''바자사네이 삼히타''는 4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특정한 의식에 사용되는 만트라를 포함하고 있다.[31]의식 이름 | 기간 | 의식 내용 |
---|---|---|
다르샤푸르나마사 (초승달과 보름달 의식) | 2일 | 불에 젖소 우유를 바치고, 송아지를 소와 분리한다.[32][33] |
아그니호트라 (매일 불에 우유를 바치는 의식) 및 차투르마스야 (계절별 희생) | 1일, 4개월 | 아그니호트라는 매일 불에 우유를 바치는 의식이고, 차투르마스야는 세 계절의 시작에 행하는 계절별 희생이다.[34] |
소마야즈나 (소마 희생) | 강에서 목욕하고, 불에 우유와 소마를 바친다. 생각과 말의 신에게 헌물을 바치고, 인드라에게 작물 보호, 가축 보호, 악마 퇴치를 기원한다.[35] | |
바자페야 및 라자수야 (소마 희생의 변형) | 바자페야는 전차 경주를 포함하는 소마 희생의 변형이고, 라자수야는 왕이 봉헌되는 소마 희생의 변형이다.[36] | |
아그니차야나 (아그니 야즈나를 위한 제단과 화덕 건축) | 360일 | 아그니 야즈나를 위한 제단과 화덕을 짓는 의식으로, 가장 큰 제단은 펼쳐진 독수리나 매의 모양이다.[37] |
사우트라마니 (소마 과식에 대처하고 승리, 성공을 기원하는 의식) | 소마의 과식을 막고 승리와 성공을 기원하는 의식이다.[38] | |
아슈바메다 (말 희생 의식) | 180일 또는 360일 | 왕이 수행하는 말 희생 의식이다.[39] |
푸루샤메다 (우주적 인간 푸루샤의 상징적 희생) | 푸루샤 (우주적 인간)의 상징적 희생. 명목상의 희생자는 의식 후 부상 없이 풀려났다.[41][42] 아슈바메다의 대체 의식으로, 우주 창조를 재현한다.[43] | |
사르바메다 (보편적 성공과 번영을 위한 희생) | 10일 | 보편적인 성공과 번영을 위한 희생이다. 만사를 기원하거나, 집을 떠나는 사람, 특히 고독과 해탈을 위해 "커드와 기 (정화된 버터)"를 제공받는 사람을 위한 의식이다.[44] |
피트리야즈나 (화장 및 조상 관련 의식) | 화장과 관련된 의식, 즉 장례식과 관련된 주문이 포함되어 있다. 조상과 조상에게 바치는 희생이다.[45] | |
프라바르기야 (장수, 건강, 번영 등을 기원하는 의식) | 장수, 온전한 능력, 건강, 힘, 번영, 안전, 평온함, 만족감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야즈나 불에 젖소 우유와 곡물을 바친다.[46] |
5. 2. 우파니샤드
야주르베다는 6개의 주요 우파니샤드를 내포하고 있다.[9]6. 사회문화적 의의
야주르베다는 베다 시대의 농업, 경제, 사회 생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83] 예를 들어, 야주르베다의 구절은 고대 인도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던 작물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나열한다.
내 쌀과 보리, 콩과 참깨,
강낭콩과 사료용 콩, 조와 수수,
수수와 야생 쌀, 밀과 렌즈콩이,
희생으로 번창하길 바랍니다.
— 백 야주르베다 18.12[83]
참조
[1]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the Vedas
https://sites.google[...]
2020-07-03
[2]
서적
Worship
https://books.google[...]
A&C Black
[3]
간행물
Vedas and Upaniṣads
Blackwell
[4]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5]
서적
Meditations Through the Rig Veda: Four-Dimensional Man
[6]
서적
Short histories of the literatur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New York: Appleton
[7]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8]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9]
서적
Upaniṣhad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Two Oldest Veda Manuscripts: Facsimile Edition of Vājasaneyi Saṃhitā 1–20 (Saṃhitā- and Padapāṭha) from Nepal and Western Tibet (c. 1150 CE)
Harvard University Press (Harvard Oriental Series 92)
[11]
문서
Sanskrit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Yajus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14]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Rutgers University Press
[15]
문서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http://www.people.fa[...]
Harvard University
[16]
간행물
The Recensions of the Sukla Yajurveda
[17]
간행물
Sakhas of the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18]
간행물
Sakhas of the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19]
간행물
Sakhas of the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20]
웹사이트
Early Sanskritization,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Kuru State
http://www.ejvs.laur[...]
Harvard University
2012-02-20
[21]
간행물
Sakhas of the Krsna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22]
간행물
Sakhas of the Krsna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23]
문서
THE VEDA OF THE BLACK YAJUS SCHOOL: Taittiriya Sanhita
Oxford University
[24]
간행물
Sakhas of the Krsna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25]
간행물
Sakhas of the Krsna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26]
간행물
Sakhas of the Krsna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27]
웹사이트
Vedic Hinduism
http://www.people.fa[...]
1992
[28]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Rupa & Co.
[29]
서적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rubner & Co
[30]
간행물
Sakhas of the Krsna Yajurveda in the Puranas
https://archive.org/[...]
[31]
문서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2]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33]
문서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4]
문서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5]
문서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6]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7]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8]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9]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0]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1]
서적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Routledge
2006
[43]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4]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5]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6]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7]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8]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2009
[49]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2009
[50]
서적
Satapatha Brahman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1]
간행물
Brihadaranyaka Upanishad with Adi Shankara's commentary
https://archive.org/[...]
[52]
서적
Brihadaranyaka Upanisad with the commentary of Madhvacharya
1933
[53]
서적
Upaniṣhad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4]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55]
웹사이트
Brihadaranyaka Upanishad
http://www.sacred-te[...]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Upanisha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7]
서적
Hindu Dharma: Introduction to Scriptures and Theology
[58]
서적
The Commentary of Sri Madhva on Isha and Kena Upanishad
[59]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1908
[60]
간행물
Taittiriya Upanishad
https://archive.org/[...]
The Aitereya and Taittiriya Upanishad
[61]
서적
Taittiriya Upanishad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63]
서적
The Strides of Vishnu: Hindu Culture in Historical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4]
서적
Knowledge and the Sacred: Revisioning Academic Accountabil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9
[65]
간행물
Kathopanishad
https://archive.org/[...]
The Katha and Prasna Upanishads with Sri Shankara's Commentary, Harvard College Archives
[66]
서적
The Early Upanishads: Annotated Text & Transl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7]
논문
Schopenhauer and Indian Philosophy
2010
[68]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69]
간행물
The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0]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71]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72]
서적
The Upanishads, Part 2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74]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The Ritual Sutras, Vol 1, Fasc 2
Otto Harrassowitz
[75]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76]
간행물
Taittiriya Sanhit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77]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1899
[78]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79]
서적
The Yajurveda
Munshiram Manoharlal
1980
[80]
서적
The Birth of Orientalism. Chapter 1: Voltaire's Ved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81]
서적
Ezourvedam: A French Veda of the Eighteenth Centu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Studies on South Asia
1984
[82]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2010
[83]
간행물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84]
서적
베다
동문선
[85]
서적
베다
동문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