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타르바베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르바베다는 4개의 베다 중 하나로, 신화 속 사제 아타르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원전 1200년에서 900년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전은 730개의 찬가와 약 6,000개의 절로 구성된 20권의 책 모음집으로, 질병 치료, 장수, 사랑, 성공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주술과 주문을 담고 있다. 아타르바베다는 고대 인도의 의학 지식을 보여주며, 세계 최고(最古)의 의학서로 여겨지기도 하며, 인도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철학적 사색을 담고 있으며, 여러 우파니샤드를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다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 베다 - 브라마나
브라마나는 베다의 각 부분인 삼히타에 부속된 텍스트로, 제사 의식에서 브라만 사제의 역할을 설명하는 지침과 성스러운 지식 또는 교리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으며, 야지나 의례 규칙인 '비디'와 설명적 언급인 '아르타-바다'로 구성되어 힌두교의 초기 형이상학 및 언어학적 사색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 - 힌두교 경전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아타르바베다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종교 | 역사적 베다 종교, 힌두교 |
언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
시대 | 베다 시대 (기원전 1200–900년경) |
장 | 20개의 칸다 |
만트라 | 5,977개의 만트라 |
구성 | |
주요 판본 | 파이팔라다 샤우나키야 |
기타 | |
ISBN | 0-415215277 978-0813540689 978-0791419380 978-0143099864 978-3447016032 |
2. 명칭 및 어원
모니어 윌리엄스(Monier Williams)에 따르면, 아타르바베다의 명칭은 최초로 불에 대한 기도를 개발하고, 소마를 바치고, "질병과 재앙을 막기 위한 주문과 마법"을 지은 신화 속 사제인 '아타르반(Atharvan)'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 수 있다.[12] 로리 패튼(Laurie Patton)은 아타르바베다(Atharvaveda)라는 이름이 "아타르반(Atharvan)의 베다"라는 의미라고 주장한다.[2]
아타르바베다의 연대는 학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900년 사이로 추정된다. 마이클 위첼은 아타르바베다가 기원전 1200년/1000년경 또는 그 직후, 초기 인도 철기 시대에 편찬되었다고 추정한다.[21] 이는 초기 쿠루 왕국에 해당한다.[22] 플러드는 아타르바베다의 연대를 기원전 900년경으로 추정한다.
본문 10.7.20절에 따르면, 이 경전의 가장 오래된 이름은 "아타르반기라사(Atharvangirasah)"였는데, 이는 베다 학자인 "아타르반(Atharvan)"과 "앙기라스(Angiras)"의 합성어이다.[13] 모리스 블룸필드(Maurice Bloomfield)에 따르면, "아타르반"과 "앙기라스"라는 이름은 서로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데, 전자는 상서로운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후자는 적대적인 주술 행위를 의미한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긍정적이고 상서로운 측면이 강조되면서 아타르바베다(Atharva Veda)라는 이름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13]
마이클 위첼(Michael Witzel)은 아타르반(Atharvan)의 어원이 원인도이란어 "*atharwan"("고대" 사제, 마법사)이며, 아베스타어의 "āθrauuan"(사제)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5]
아타르바베다는 때때로 각각 브리구(Bhrigu)와 브라마(Brahma)의 이름을 따서 "브리구앙기라사(Bhrgvangirasah)" 및 "브라마베다(Brahmaveda)"라고도 불린다.[13]
3. 연대 및 역사적 배경
고대 인도 전통에서는 처음에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의 세 베다만을 정통으로 인정하였다.[6][16] 아타르바베다는 오랜 시간에 걸쳐 네 번째 베다로 수용되었는데, 초기 불교의 니까야 경전에서는 세 가지 베다만 언급하며 아타르바베다를 인정하지 않았다.[17][18] 올슨은 아타르바베다가 네 번째 베다로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진 시기가 기원전 1천년기 후반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16] 맥스 뮬러는 찬도기야 우파니샤드(~기원전 700년)가 완성될 무렵에는 아타르바베다의 찬가가 존재했지만, 당시에는 "아타르반기라사의 찬가"로 불렸다고 지적한다.[19]
초기 불교 경전인 숫타니파타에는 “내 신도는 『아타르바베다』의 주술과 꿈점과 상점과 점성술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내용이 나타나 아타르바베다의 주술을 금지하는 내용이 있다.
프리츠 스탈은 아타르바베다가 고대 인도의 두 지역, 즉 인도 북부의 쿠루 지역과 인도 동부의 판찰라 지역에서 발전한 시와 지식의 편집물일 수 있다고 말한다.[6]
아타르바베다를 실천하는 사제들은 다른 베다를 실천하는 사제들에 비해 낮은 계급으로 여겨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현대까지 오디샤의 일부 지역에 남아있다.[20][23]
4. 구성 및 내용
아타르바베다는 730개의 찬가(Hymn)와 약 6,000개의 절(Stanza)로 이루어진 20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5] 이 텍스트는 베다 사회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신앙과 의례를 담고 있으며, 제사에 사용되는 야주르베다와는 다른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24][25]
후대 산스크리트어 경전인 '''Caraṇavyuhasa'''에 따르면, 아타르바베다는 9개의 학파(샤카, शाखा, shakha)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 학파들은 paippalādasa, staudasa, maudasa, śaunakīyasa, jājalasa, jaladasa, brahmavadasa, devadarśasa, cāraṇavaidyāsa이다.[26] 이 중 샤우나키야(Śaunakiya) 학파와 파이팔라다(Paippalāda) 학파의 사본만이 현존한다.[6] 파이팔라다 학파의 것이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27] 두 학파는 구성 방식과 내용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27] 예를 들어 파이팔라다 학파의 10권은 더 상세하고 내용에 오류가 없도록 신중하게 작성되었으며, 일원론 사상, 즉 "브라흐만(Brahman), 모든 생명체, 그리고 세계가 하나"라는 개념을 더 발전시켜 강조하고 있다.[28]
아타르바베다 삼히타는 원래 18권(Kāṇḍas)으로 구성되었고, 마지막 두 권은 나중에 추가되었다.[29] 각 권은 찬가의 길이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데, 대체로 비슷한 수의 구절을 가진 찬가들을 묶어 가장 짧은 찬가를 가진 책을 1권으로 하고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식이다(몇몇 사본은 반대 순서). 대부분의 찬가는 운문 형식이며 다양한 운율을 사용하지만, 책의 약 6분의 1은 산문이다.[25]
아타르바베다의 찬가 대부분은 고유한 것이지만, 리그베다의 찬가 6분의 1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주로 10번째 만달라).[25][29] 19권은 비슷한 성격의 보충 자료로, 아마도 나중에 추가된 새로운 작품일 것이다.[25] 아타르바베다 삼히타 20권의 143개 찬가는 거의 전부 리그베다에서 가져온 것이다.[30]
아타르바베다는 때때로 "고대 마법 공식의 베다"라고 불리기도 하지만,[2]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칭호가 정확하지 않다고 말한다.[7] 본문의 삼히타(Samhita) 부분은 기원전 2천년 경 마법과 종교적 의례 전통을 보여주는 것으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주술, 악령으로 인한 질병을 제거하기 위한 주문, 약초와 자연에서 추출한 약물을 사용한 치료 등을 담고 있다.[35]
아타르바베다 삼히타의 많은 찬가들은 주술사가 낭송하는 부적, 마법 주문, 주술을 담고 있으며,[29] 그 목표는 주로 사랑하는 사람의 장수, 질병 회복 등이었다. 영향을 받은 사람에게는 식물(잎, 씨앗, 뿌리)이나 부적과 같은 물질이 주어졌다.[29] 어떤 마법 주문은 전쟁에 나가는 병사들을 위한 것이었고, 연인들을 위한 주문, 스포츠 경기나 경제 활동에서의 성공, 가축과 농작물의 풍요, 해충 제거 등을 위한 주문도 있었다.[29][37][38] 그러나 어떤 찬가들은 기도와 철학적 사색에 관한 것이었다.[39]
19세기 인도학자 베버(Weber)는 아타르바베다가 리그베다와 대조적이라고 요약했다. 리그베다에는 자연에 대한 사랑이 깃들어 있는 반면, 아타르바베다에는 자연의 악령과 그들의 마법적 힘에 대한 공포가 만연하다는 것이다. 리그베다에서는 사람들이 자유로운 활동을 하는 반면, 아타르바에서는 계급 제도와 미신에 얽매여 있다고 보았다.[40]
얀 곤다(Jan Gonda)는 아타르바베다 삼히타를 단순히 마법 공식, 마술, 주술의 편집물로 규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한다.[7] 삼히타 부분에 그러한 구절들이 존재하지만, 상당 부분은 마법이나 주문이 없는 가정 의례를 위한 찬가이며, 어떤 것은 "모든 베다 신들은 하나다"와 같은 신학적 사색을 담고 있다.[7][41] 또한, 아타르바베다 본문의 비삼히타 부분에는 브라마나(Brahmana)와 여러 영향력 있는 우파니샤드가 포함되어 있다.[42]
아타르바베다는 기원전 1500년경에 성립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베다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기원전 500년경부터 점차 인정받아 현재는 4대 베다 중 하나로 불린다. 오래된 불경에서 베다라고 하면 3대 베다(『리그베다』, 『사마베다』, 『야주르베다』)를 말하며, 『아타르바베다』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초기불교 경전에는 “내 신도는 『아타르바베다』의 주술과 꿈점과 상점과 점성술을 해서는 안 된다”(『숫타니파타』)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타르바는 아타르반이라는 이름의 종족이 전한 베다(지식)라는 의미이다. 옛 이름은 아타르바=앙기라사이며, 아타르반족과 앙기라사족의 지식을 합친 비아리아계의 고문서이다. 아타르반족은 주로 길상증익의 주문을 전하고, 저주조복의 주문은 앙기라사족의 것으로 여겨진다.[91] 다른 세 베다는 다른 곳에서 온 지배 계급(아리아인 계)의 지식인 것에 반해, 『아타르바베다』는 아리아계의 지식에 토착 민족(비아리아계)의 지식을 더하여 집대성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또한 의학에 관한 기록도 많아 고대 인도의 의학서일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의학서'''로 여겨지며, 고대 그리스와 고대 중국의 의학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베다가 중심이 된 시대에는 병은 악령의 짓으로 여겨졌고,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과 의학은 구별되지 않았다.
4. 1. 주제
아타르바베다의 찬가는 20권에 걸쳐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처음 7권은 주로 치유와 마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마이클 위첼은 이것이 게르만과 히타이트의 마법 구절과 유사하며 가장 오래된 부분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31] 8권부터 12권까지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철학적 사색을 다루고 있으며, 리그베다 말기의 철학 찬가와 우파니샤드를 잇는 부분에 해당한다. 13권부터 18권까지는 주로 결혼, 장례 등 삶의 주기 의례(통과의례)에 관한 것이다.[31] 19권과 20권은 후대에 추가된 것으로, 20권은 대부분 리그베다에서 빌려온 것이다.[30]
4. 2. 의학 및 건강 관리
아타르바베다는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한 만트라와 구절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발견된 아타르바베다의 파이팔라다 판본 4.15 찬가에서는 개방성 골절을 다루는 방법과 인도 원산의 로히니 식물(''무화과나무속 infectoria'')로 상처를 감싸는 방법을 설명한다.[43]
아타르바베다의 많은 찬가는 아이나 사랑하는 사람이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해지기를 기원하는 기도와 주문이며, 가족 구성원을 위로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베다 시대에는 질병이 사악한 영혼, 외부 존재 또는 희생자의 몸에 들어가 질병을 일으키는 악마적 힘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44]
아타르바베다의 8.7번 찬가(샤우나키야 판본)는 리그베다의 10.97번 찬가와 마찬가지로 약초와 식물을 찬양하고 있으며, 고대 인도에서 식물과 약초의 의학적, 건강상의 가치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지식 분야로 등장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46]
인도의 전통 의료 및 건강 관리 관행인 아유르베다의 근원은 차라카 샘히타와 수술타 샘히타라는 텍스트에 있으며, 이 두 텍스트는 모두 의사에게 질문을 받으면 베다, 특히 아타르바베다에 대한 충성과 영감을 주장해야 한다고 말한다.[85] 인도 전통은 아유르베다를 아타르바베다와 직접 연결한다고도 한다.[86]
베다 시대에는 병이 악령의 짓으로 여겨졌고,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과 의학은 구별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의학 및 건강에 관한 부분은 아유르베다로 따로 뽑아 사용되며, 아타르바베다보다 유명해졌다.
4. 3. 주술과 기도
아타르바베다는 질병 치료, 장수, 사랑, 연애, 경쟁자 제거, 성공, 풍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주술과 주문을 담고 있다.[29][37][38]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의 장수를 빌거나 질병으로부터 회복을 기원하며, 영향을 받은 사람에게 식물(잎, 씨앗, 뿌리)이나 부적과 같은 물질을 주기도 했다.[29] 어떤 마법 주문은 전쟁에 나가는 병사들이 적을 물리치는 것을 목표로 했고,[29] 불안한 연인들을 위해 라이벌을 제거하거나 관심이 없는 연인을 끌어들이려는 주문도 있었다.[29] 스포츠 경기, 경제 활동에서의 성공, 가축과 농작물의 풍요, 가정을 괴롭히는 해충 제거 등을 위한 주술도 있었다.[29][37][38]
다음은 배우자를 얻거나, 여성의 사랑을 얻거나, 다른 경쟁자들이 자신의 "애정 대상"을 차지하는 것을 막기 위한 주술에 관한 구절이다.[49][50]
하지만, 일부 찬가는 마법 주문이 아닌, 기도와 철학적 사색을 담고 있기도 하다.[39]
4. 4. 철학적 사색
아타르바베다 삼히타는 존재, 인간, 천국과 지옥, 선과 악의 본질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찬가들을 포함한다.[53] 예를 들어, 10.7 찬가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우주 질서의 근원은 무엇인가? 신앙, 성스러운 의무, 진실이라는 개념은 무엇이며 어디에 심어져 있는가? 지구와 하늘은 어떻게 지탱되는가? 하늘 너머에 공간이 있는가? 계절은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 스캄바(Skambha, 문자 그대로 "우주 기둥"[52], 브라만의 동의어[53])는 모든 것을 관통하는가, 아니면 일부만 관통하는가? 스캄바는 미래를 아는가? 스캄바는 법, 헌신, 신앙의 기초인가? 스캄바는 누구 또는 무엇인가?"[54]
아타르바베다는 인간의 구조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아타르바베다는 윌리엄 노먼 브라운(William Norman Brown)[53]이 언급했듯이, 천국과 지옥의 이원성을 넘어 스캄바(Skambha) 또는 브라만(Brahman)을 보편적인 일원론으로 규정한다.[53] 선과 악, 사트(Sat, 진실)와 아삿(Asat, 거짓)은 아타르바베다의 찬가들과 베다 사상에서 다르게 개념화되는데, 이것들은 창조, 우주 또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원적인 설명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것들과 그 안에 있는 이원성을 초월한다.[53][56] 질서가 혼돈에서, 진실이 거짓에서, 선과 악을 초월하는 과정과 보편적인 원리에 의해 확립된다.[53][56]
4. 5. 우파니샤드
아타르바베다는 세 개의 주요 우파니샤드를 포함하고 있다.[59]- 무ण्ड카 우파니샤드(Mundaka Upanishad)는 64개의 절로 이루어진 운문 형식의 우파니샤드로, 만트라(mantra) 형식으로 쓰여졌지만 의례에 사용되지 않고 영적 지식에 대한 가르침과 명상에 사용된다.[60] "고등 지식"과 "저등 지식"을 정의하고, 지식이 사람들을 자유롭게 한다고 주장한다. 브라만(Brahman), 아트만(자아, 영혼)의 본질과 브라만을 아는 길을 설명하며, 브라만을 아는 상태는 자유와 행복의 상태라고 주장한다.[62][63] 범신론(pantheism) 이론과 윤리에 대해서도 논한다.[64][65] सत्य|사티아sa(진실), तपस्|타파스sa(인내, 고행), ''사미야냐나(Samyajñāna)''(올바른 지식), 그리고 브라마차리아(Brahmacharya)를 추구함으로써 아트만(자아, 영혼)에 도달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66][67]
5. 아타르바베다와 한국
아타르바베다는 한국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뚜렷하지 않다. 그러나 몇 가지 측면에서 간접적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5. 1. 한국 불교와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아타르바베다'와 한국 불교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주어진 `title`, `section-title`, `summary`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5. 2. 한국 전통 의학과의 관계
한국 전통 의학인 한의학은 아타르바베다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았지만, 질병의 원인을 외부의 나쁜 기운(사기, 邪氣)으로 보고 이를 몰아내는 치료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한국 민간 요법 중에는 주술적인 의미를 가진 것들이 있는데, 이는 아타르바베다의 주술적 전통과 비교 연구될 수 있는 부분이다.5. 3.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의미
Atharvavedasa는 고대 인도의 종교, 철학,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Atharvavedasa에 담긴 의학 및 건강 관련 내용은 현대 사회에서도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조명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Atharvavedasa의 평화와 화합을 강조하는 정신을 높이 평가하며, 이를 현대 사회의 갈등 해결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6. 영향
아유르베다는 인도 전통 의학으로 아타르바베다를 중요한 근거로 삼고 있다.[84] 아타르바베다는 고대 인도의 의학서일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의학서'''로 여겨지며, 고대 그리스와 고대 중국의 의학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베다가 중심이 된 시대에는 병은 악령의 짓으로 여겨졌고,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과 의학은 구별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의학 건강에 관한 부분은 아유르베다로 따로 뽑아 사용되며, 아타르바베다보다 유명해졌다.
초기불교 경전에는 “내 신도는 『아타르바베다』의 주술과 꿈점과 상점과 점성술을 해서는 안 된다”(『숫타니파타』)라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불교 문헌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밀교의 원류가 된 문헌으로도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the Vedas
https://web.archive.[...]
2020-07-03
[2]
서적
Veda and Upanishad
Routledge
[3]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Rutgers University Press
[4]
서적
Authority, Anxiety, and Canon: ys in Vedic Interpre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
서적
The Atharvaved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7]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8]
서적
The Roots of Hinduism: The Early Aryans and the Indu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Legacy of Caraka
Orient Blackswan
[10]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11]
서적
The Upanishads, Part 2, Prasna Upanishad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Atharvaved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4]
학술지
Note on Angarôs, in Montgomery's 'Aramaic Incantation Texts from Nippur'
1921-01-01
[15]
논문
Linguistic Evidence for Cultural Exchange in Prehistoric Western Central Asia
http://www.sino-plat[...]
[16]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Rutgers University Press
[17]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18]
서적
Untying the Knots in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9]
서적
Chandogya Upanishad 3.4.1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Harvard University, Harvard Oriental Series.
http://www.people.fa[...]
2014-06-30
[21]
서적
Vedas and Upaniṣads
Blackwell
[22]
웹사이트
Early Sanskritization.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Kuru State.
https://web.archive.[...]
[23]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I.1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24]
서적
Early Upanishads
Oxford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History of the Vedic texts
https://archive.org/[...]
[26]
서적
The Ancillary Literature of the Atharva-Veda
Rashtriya Veda Vidya Pratishthan
[27]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Vol 1, Fasc. 1
Otto Harrassowitz Verlag
[28]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Vol 1, Fasc. 1
Otto Harrassowitz Verlag
[29]
서적
The Gopatha Brahmana (in A History of Ancient Sanskrit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Hymns of the Atharva Veda, Volume 2, 2nd Edition
https://archive.org/[...]
EJ Lazarus
[31]
서적
Vedas and Upaniṣads
Blackwell
[32]
서적
The Ritual Sutras, in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eda and Upanishads
Otto Harrassowitz Verlag
[33]
서적
Samskararatnamala: An Atharvanic Prayoga, in Pramodasindhu
Mansanman Prakashan
[34]
서적
Vedas and Upaniṣads
Blackwell
[35]
서적
Understanding Mantras
Motilal Banarsidass
[36]
서적
Religious Medicine: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Indian medicine
Routledge
[37]
서적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2024-06-19
[38]
서적
Atharva 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39]
서적
The Hymns of the Atharva Veda
E.J. Lazarus
[40]
서적
The Hymns of the Atharva Veda
https://archive.org/[...]
E.J. Lazarus
[41]
서적
Atharvaveda Samhita 13.4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43]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44]
서적
Medicine in the Veda: Religious Healing in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45]
서적
Atharvaveda Paippalada Kanda Five
Harvard University
[46]
서적
Religious Medicine: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Indian Medicine
Transaction
[47]
서적
Atharva Veda, Hymn VII
https://archive.org/[...]
EJ Lazarus
[48]
서적
Hindu Saṁskāras: Socio-religious Study of the Hindu Sacraments
Motilal Banarsidass
[49]
서적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ume 42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ume 42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ume 42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Anthropology and Aesthetics
Peabody Museum Press
[53]
서적
India and Indology: Selected Articles
Motilal Banarsidass
[54]
서적
Atharva Veda, Hymn VII
https://archive.org/[...]
EJ Lazarus
[55]
서적
Atharva Veda, Book X.2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Veda and Torah: Transcending the Textuality of Scriptu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7]
서적
Atharva Veda, Book 7
https://archive.org/[...]
EJ Lazarus
[58]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59]
서적
Upaniṣhads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The Upanishads - Part II
Dover Publications
[61]
서적
Introduction to the Upanisha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Mundaka Upanishad
https://www.shemtaia[...]
Asiatic Society of Bengal
2017-07
[63]
서적
Manduka Upanishad
Dover Publications
[64]
서적
Worlds Apart: A Handbook on World Views
Wipf
[65]
서적
Mundak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Mundak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Mundaka Upanishad 3.1.5
University of Virginia Archives
[68]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69]
서적
The Thirteen Principal Upanisha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0]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71]
서적
The Method of Early Advaita Vedānta: A Study of Gauḍapāda, Śaṅkara, Sureśvara, and Padmapāda
Motilal Banarsidass
[72]
서적
The Upanishads, Part 2, Prasn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Thirteen Principal Upanishads, Prasn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Prashna Upanishad
https://www.shemtaia[...]
Asiatic Society of Bengal
2017-12-01 #dead link date
[75]
서적
The Mukhya Upanishads: Books of Hidden Wisdom
http://www.universal[...]
Kshetra Books
[76]
서적
The Hymns of the Atharva Veda
https://www.sacred-t[...]
E.J. Lazarus & Co.
[77]
서적
Hymns of the Atharva Veda
https://www.sacred-t[...]
Clarendon Press
[78]
서적
Atharva-Veda Saṃhitā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79]
서적
Upaniṣad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0]
웹사이트
Vedic Hinduism
http://www.people.fa[...]
1992-01-01 #assuming January 1st for unspecified date
[81]
서적
Atharvaveda-Paippalāda Kāṇḍas Thirteen and Fourteen
Harvard University Press
[82]
Diss.
Gopatha Brāhmaṇa. English Translation with Notes and Introduction
[83]
서적
The Power of the Dharma
[84]
서적
Understanding Mantra
Motilal Banarsidass
[85]
서적
The roots of Ayurveda
Penguin Classics
[86]
서적
The Modern Ayurveda
CRC Press
[87]
서적
Ayurveda Made Modern
Palgrave Macmillan
[88]
서적
The Puranas
Blackwell
[89]
서적
Ascetic Figures Before and in Early Buddhism: The Emergence of Gautama As the Buddha
Walter de Gruyter
[90]
서적
Buddhist Rituals of Death and Rebirth
Routledge
[91]
서적
アタルヴァ・ヴェーダ讃歌 ―古代インドの呪法
岩波文庫
[92]
서적
베다
동문선
[93]
문서
Bloomfie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