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사사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사사슴은 루사사슴속에 속하는 사슴의 일종이다. 자바섬, 발리섬, 티모르섬이 원산지이며, 7종의 아종이 존재한다. 짙은 검은 갈색 털과 회색 이마를 가지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풀을 뜯어먹으며, 작은 무리나 쌍으로 생활한다. 자바표범, 순다구름표범, 승냥이, 바다악어, 그물무늬비단뱀, 코모도왕도마뱀 등이 천적이며, 짝짓기는 7~8월에 이루어진다. 원산지 개체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사사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바루사 한 쌍 - 발루란 국립공원 - 동자바, 인도네시아
수컷과 암컷 발루란 국립공원, 동자바, 인도네시아
멸종 위기 등급VU (취약)
학명Rusa timorensis
명명자(Blainville, 1822)
현재의 자연 분포 범위, 가능한 고대 유입 포함
이명Cervus celebensis (Rorig, 1896)
Cervus hippelaphus (G.Q. Cuvier, 1825 [선점됨])
Cervus lepidus (Sundevall, 1846)
Cervus moluccensis (Quoy & Gaimard, 1830)
Cervus peronii (Cuvier, 1825)
Cervus russa (Muller & Schlegel, 1845)
Cervus tavistocki (Lydekker, 1900)
Cervus timorensis (Blainville, 1822)
Cervus timorensis ssp. rusa (Muller & Schlegel, 1845)
Cervus tunjuc (Horsfield, 1830 [명칭 미부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사슴과
아과사슴아과
사슴족
사슴속
루사사슴 (C. timorensis)

2. 분류

루사사슴은 7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2] 각 아종의 상세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아종

7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10][2]

1988년 인도네시아 루피아 지폐에 등장하는 자바루사

3. 특징

자바루사사슴은 짙은 검은 갈색을 띠며, 이마는 회색이다. 등은 거의 검은색에 가깝고, 몸 아랫부분과 안쪽 허벅지는 황갈색이다. 복부는 비교적 밝은 갈색이며, 꼬리 털은 짙은 검은 갈색이다. 털은 거칠며, 특히 가슴 부위의 털이 다른 부위보다 길다. 귀는 넓고 머리보다 약간 짧다. 은 중간 길이로 꽤 넓으며, 위쪽 가지는 앞쪽을 향해 뻗어 있다.[3] 새끼 사슴은 태어날 때 반점이 없다.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가 크다. 수컷의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는 142cm에서 185cm이고 꼬리 길이는 20cm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152kg에서 160kg이며, 암컷은 약 74kg이다.[4]

4. 분포 및 서식지

루사사슴은 인도네시아의 자바섬, 발리섬, 티모르섬이 원산지이다. 이 외에도 서뉴기니, 보르네오섬, 소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술라웨시섬, 폰페이섬, 모리셔스, 레위니옹, 피지, 통가, 사모아,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 크리스마스섬, 코코스 제도, 나우루,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뉴아일랜드섬 등 여러 지역에 도입되었다.[1][5] 특히 뉴기니에는 1900년대 초 네덜란드인에 의해 도입되었다.[6] 서파푸아 저지대와 같이 도입된 일부 지역에서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여 널리 퍼져 있으며, 해당 지역 생태계의 일부가 되었다.[7]

4. 1. 보호

발루란 국립공원의 루사사슴 무리


루사사슴은 원산지인 인도네시아의 자바섬, 발리섬, 티모르섬 등지에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원산지 개체수가 약 10,000마리 감소했으며, 앞으로도 감소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7] 이러한 이유로 루사사슴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VU)으로 분류되었으며, 2018년에는 인도네시아 법에 따라 보호종으로 지정되었다.[7]

개체수 감소를 막기 위해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 구역을 지정하여 관리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보호 구역 내에서도 불법 포획이나 개발을 위한 토지 전환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문제가 발생했다.[8] 특히 발루란 국립공원에서는 외래 침입종인 가시 아카시아가 퍼지면서 초지가 크게 줄어들어 루사사슴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수가 폐사하기도 했다.[8]

비록 서뉴기니 등 일부 도입된 지역에서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여 흔하게 발견되기도 하지만,[1][5][6][7] 원산지에서의 개체수 감소 문제로 인해 보호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5. 생태

루사사슴은 기본적으로 야행성 동물이지만, 낮 시간에도 을 뜯어먹는 모습이 관찰된다.[8] 이들은 매우 예민하고 조심성이 많아 야생에서 가까이 접근하기는 어렵다.

보통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거나 암수 한 쌍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수컷은 때때로 혼자 다니기도 한다.[7] 위협을 느끼면 수컷 루사사슴은 매우 큰 소리로 울어 경고 신호를 보내 주변의 다른 사슴들에게 위험을 알린다.

다른 사슴과 동물들처럼 주로 , , 그리고 땅에 떨어진 과일 등을 먹고 산다. 필요한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통해 얻기 때문에 물을 직접 마시는 경우는 드물다.[8]

5. 1. 천적

루사사슴(자바사슴)의 주요 포식자로는 자바표범, 순다구름표범, 승냥이, 바다악어, 그물무늬비단뱀, 그리고 코모도왕도마뱀이 있다. 이 중 코모도왕도마뱀은 린차섬, 코모도섬, 그리고 플로레스 섬에서 발견된다.[4][9]

5. 2. 번식

루사사슴은 주로 7월과 8월경에 짝짓기를 한다. 이 시기 수컷들은 크고 날카로운 울음소리를 내거나 서로 을 이용해 싸우며 경쟁한다. 암컷은 약 8개월의 임신 기간을 보내고, 이 시작될 때쯤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생후 6~8개월이 되면 젖을 떼며, 서식 환경에 따라 3세에서 5세 사이에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 루사사슴의 수명은 야생과 사육 상태 모두에서 평균 15년에서 20년 정도이다.[9][4]

참조

[1] 간행물 Rusa timorensis 2015
[2] 서적 MSW3 Artiodactyla
[3] 논문 Kritische Untersuchungen über die Arten der natürlichen Familie der Hirsche (Cervi). II. Abtheilung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Rusa, Sunda sambar http://www.ultimateu[...] Ultimate Ungulate
[5] 서적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Their History, Distribution and Influence https://archive.org/[...] Cabi Publishing
[6] 논문 Freshwater turtles of the TransFly region of Papua New Guinea – notes on diversity, distribution, reproduction, harvest and trade http://ww.publish.cs[...]
[7] 논문 The role of the introduced rusa deer Cervus timorensis for wildlife hunting in West Papua, Indonesia 2022-01
[8] 논문 A review of the genus Rusa in the indo-malayan archipelago and conservation efforts 2021-01-01
[9] 웹사이트 Rusa timorensi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10] 서적 MSW3 Artiodactyla
[11] 간행물 Rusa timorensis
[12] 서적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Their History, Distribution and Influence Cabi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