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빌 (텍사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빌은 텍사스주 덴턴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로, 댈러스-포트워스 대도시권의 일부이다. 1840년대에 백인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1900년경에는 약 500명의 인구였으나, 1954년 루이스빌 댐 건설과 1974년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 개항 이후 급격한 성장을 겪었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11,822명이다. 현재 루이스빌은 다양한 상업 시설과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텍사스 국제 팝 페스티벌과 같은 행사가 개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댈러스-포트워스 도시권의 도시 - 어빙 (텍사스주)
어빙은 1903년 설립되어 워싱턴 어빙의 이름을 딴 텍사스주 달라스 카운티의 도시로, 1930년대부터 인구가 급증하여 현재 25만 명이 넘는 대도시로 성장했으며, 대기업 본사 유치와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과의 근접성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고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댈러스-포트워스 도시권의 도시 - 알링턴 (텍사스주)
미국 텍사스주 북부에 위치한 알링턴은 댈러스-포트워스 대도시권의 위성 도시로, 철도 건설과 함께 설립되어 면화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자동차 및 항공우주 산업과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텍사스주의 도시 - 댈러스
댈러스는 미국 텍사스주 북부의 도시이자 댈러스 군의 군청 소재지로, 여러 정부의 지배를 거쳐 철도 건설과 산업 발전을 통해 미국 내 주요 경제 중심지로 성장했지만,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과 인종 차별 문제 등 복잡한 역사를 가진 댈러스-포트워스 대도시권의 중심 도시이다. - 텍사스주의 도시 - 휴스턴
휴스턴은 텍사스주에 위치한 도시로, 앨린 형제가 건설하여 샘 휴스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목화 수출, 석유 발견, 항구 개발로 성장하여 현재 미국에서 여섯 번째로 큰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중심 도시이자 에너지 산업, 다양한 산업, 풍부한 문화, 높은 인구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자연재해와 대기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루이스빌 (텍사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루이스빌, 텍사스 |
도시 유형 | 도시 |
표어 | 깊은 뿌리. 넓은 날개. 밝은 미래. |
지리 | |
위치 | 미국 텍사스 주 덴턴 카운티, 댈러스 카운티 |
면적 (총) | 111.94 km² |
면적 (육지) | 95.85 km² |
면적 (물) | 16.09 km² |
해발 고도 | 141 m |
인구 | |
2020년 | 111,822명 |
2022년 추정 | 131,215명 |
인구 밀도 | 1,139.39명/km² |
메트로 인구 | 7,943,685명 |
정부 | |
정치 체제 | 시의회-매니저제 |
시장 | 시장 |
역사 | |
설립 | 1925년 1월 15일 |
교통 | |
기차역 | 헤브론 역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부 (CST) |
UTC 오프셋 | -6 |
서머타임 | CDT |
서머타임 UTC 오프셋 | -5 |
우편 번호 | 75029, 75057, 75067, 75077 |
지역 번호 | 214, 469, 945, 972 |
FIPS 코드 | 48-42508 |
지리 이름 정보 시스템 (GNIS) ID | 2410829 |
웹사이트 | 루이스빌 시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시설 | |
![]() | |
![]() | |
![]() | |
![]() | |
![]() | |
![]() |
2. 역사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초기의 것으로 여겨지는 고대 인디언 유적이 루이스빌 시내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1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20]
19세기 동안 루이스빌의 성장은 매우 완만하여 1900년에도 인구는 약 500명에 불과했다. 개척지에는 제분소, 면화 압착기, 마구간 등 농업과 관련된 몇몇 산업이 있었다. 현재 그레이터 루이스빌 커뮤니티 극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이 시의 주요 간선 도로인 메인 스트리트에 건설되었는데, 이 건물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루이스빌 고등학교가 1897년에 개교했고, 1909년에는 루이스빌 제일 국립은행에서 시 역사상 최초의 은행 강도 사건이 일어났다.
1925년 주민투표를 통해 시제를 실시하게 되었으나, 이후 20년 동안 최초의 자동차 판매점과 신호등이 설치되는 정도의 완만한 성장을 보였다. 1934년에는 제일 국립은행에서 배로 갱의 레이먼드 해밀턴이 계획한 은행 강도 사건이 발생했다.
1948년 루이스빌 댐 건설이 시작되어 6년 후 완공되면서 가르자 리틀엘름 저수지는 현재 저수 면적 120km2의 루이스빌 호수가 되었다. 댐 건설 이후 인구 증가율이 가속화되기 시작하여 1970년에는 9,264명이 되었다.
1969년 9월, 루이스빌 시에서는 노동절 주말에 텍사스 국제 팝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재니스 조플린, B.B. 킹, 레드 제플린 등이 출연하고, 우드스톡 페스티벌 개최 13일 후 열린 이 페스티벌에는 25만 명 이상의 록과 재즈 팬이 모였다.
1974년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 개항 이후 루이스빌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1980년 24,273명, 1990년 46,521명, 2000년 77,737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2. 1. 정착
1841년, 텍사스 공화국은 북부 텍사스 지역의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피터스 식민지 토지 허가 회사를 설립했다. 1844년, 존 W. 킹과 그의 아내는 현재 도시가 위치한 초원 동쪽에 정착했다. 미주리주 플래트 카운티 출신의 침례교도 정착민들은 서쪽에 정착했는데, 그중에는 존과 제임스 홀포드가 있었고 이들은 이 지역을 홀포드의 초원이라고 명명했다. 더 남쪽에는 장로교 신자들이 교회를 세우고 텍사스주 플라워 마운드라고 불렀다. 헤지콕스 전쟁 이후 토지 소유권에 대한 혼란 속에서, 바스딜 루이스는 1853년에 홀포드의 초원을 구매하여 자신의 이름을 따서 루이스빌이라고 명명했다.1845년, 약 12명의 노예를 소유했던 폭스 가족은 가족 농장에 멜린다라는 노예 아이를 묻었는데, 이 묘지는 흑인 거주민을 위한 묘지가 되었다. 폭스-헴브리 묘지라고 불리는 이 부지는 오늘날까지 존재한다. 쇠퇴한 후, 2011년에 지역 주민과 기업이 모여 복원했다.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에이브러햄 링컨은 이 지역 투표 용지에 없었지만, 루이스빌 주민(선거 결과에 "홀포르츠"로 기재됨)은 존 C. 브레킨리지에게 선거 연합 선택보다 44-31의 과반수를 주었다.
미국 재건 시대 동안 루이스빌은 텍사스주 덴턴 카운티 최초의 목면 탈곡기가 있던 곳이었다. 1867년에 건설되었으며, 하루에 최대 3개의 면화 뭉치를 생산할 수 있었다. 제13대 텍사스 입법부는 1875년 7월 1일까지 20마일의 선로를 운행하도록 요구하는 조건으로 댈러스 및 위치타 철도(후에 미주리-캔자스-텍사스 철도)를 헌장했다. 루이스빌은 회사에 시내로 오도록 15000USD를 지불했으며, 완공 시 5000USD를 추가로 약속했다. 회사는 마감일 아침에 루이스빌 바로 남쪽 지점까지 철도 선로를 완성하여 계약을 이행했으며, 이 노선은 1881년에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제14대 텍사스 입법부의 공화당원들은 1874년 4월 30일에 마을에서 2마일 이내의 알코올을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많은 주민들이 이 법을 무시했고, 도시는 한때 17개의 술집을 유지했다. 법인화되지 않은 마을의 인구는 1888년에 500명이었다.
2. 2. 발전
1925년 1월 15일, 루이스빌 주민들은 주민투표에서 17표 차이로 루이스빌의 법인화를 찬성하여 도시로서 공식적인 경계를 설정했다.[20] 1930년까지 루이스빌의 인구는 853명으로 증가하여 덴턴 카운티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다.[21]1929년 월가 대폭락 이전 도시 경제가 다변화되었기 때문에 루이스빌은 대공황으로부터 비교적 잘 보호받았다. 많은 주민들과 기업 리더들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을 지지했다.[22] 1936년까지 근로 진흥국은 실업자에게 임시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에서 통조림 공장을 운영했다.[23] 1910년대 초부터 덴턴 카운티에서 두드러졌던 좋은 도로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주민들은 더 나은 도로 건설 자금 지원을 위해 주 및 연방 관리들에게 로비하기 위해 루이스빌의 좋은 도로 위원회를 결성했다.[24] 1931년, 루이스빌은 덴턴과 댈러스 사이의 미국 77번 국도 포장을 기념하는 "진흙에서 벗어남" 행사를 열었다. 새로운 포장은 종종 통행하기에 너무 질퍽해지는 도시를 통과하는 흙길 구간인 두 도시 사이의 "루이스빌 갭"을 닫았다.
새로운 도로는 간접적으로 이 지역의 대중 교통 시스템 몰락으로 이어졌다. 1925년에서 1932년 사이에 댈러스에서 덴턴까지 운행하는 전기 통근 열차 서비스인 텍사스 인터어반 철도가 루이스빌에 역을 운영했다. 루이스빌 상공 회의소의 기업 리더들은 당시 이 서비스를 환영하며 도시의 진보적인 시민 의식을 자랑스럽게 언급했다. 그러나 이 지역의 낮은 인구 밀도는 이 사업을 유지할 수 없었고, 1932년에 노선은 폐업하고 즉시 운행을 중단했다.
1934년 4월 25일, 배로 갱의 레이먼드 해밀턴이 루이스빌 제일 국립 은행을 강탈했다. 주민들은 그를 하우까지 쫓아갔고, 그곳에서 그는 검문소에서 체포되어 댈러스 카운티 감옥으로 이송되었다.
1900년에도 인구는 약 500명에 불과하여 19세기 동안의 성장은 매우 완만했다. 1925년, 주민투표를 통해 시제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후 20년 동안에도 최초의 자동차 판매점과 신호등이 설치되었지만 성장은 더뎠다.
루이스빌 댐 건설은 1948년에 시작되어 6년 후에 완공되었다. 이로 인해 가르자 리틀엘름 저수지는 현재 저수 면적 120km2의 루이스빌 호수가 되었다. 인구 증가율은 가속화되기 시작하여 1970년에는 9,264명이 되었다.
1969년 9월, 루이스빌 시에서는 노동절 주말에 텍사스 국제 팝 페스티벌이 개최되었고, 재니스 조플린, B.B. 킹 및 레드 제플린이 출연했다. 우드스톡 페스티벌이 개최된 지 불과 13일 후에 열린 이 페스티벌은 25만 명 이상의 록과 재즈 팬을 끌어모았다.
1974년에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루이스빌이나 플라워마운드처럼 공항 북쪽에 있는 도시들은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1980년에는 24,273명, 1990년에는 46,521명, 2000년에는 77,737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시는 작은 마을의 분위기를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급속한 성장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2. 3. 성장
1954년 가르자-리틀 엘름 댐 건설이 완료되면서 루이스빌 호수가 확장되었고, 이를 계기로 루이스빌은 급격하게 성장하기 시작했다.[4] 1963년에는 헌장 자치를 채택하여 의회-매니저 형태의 시 정부를 구성했는데, 이는 5,000명 미만의 인구를 가진 텍사스 내에서는 드문 사례였다.[4]1969년 9월, 우드스톡 개최 13일 후, 루이스빌에서 텍사스 국제 팝 페스티벌이 열렸다. 이 행사에는 재니스 조플린, B.B. 킹, 레드 제플린 등 유명 음악가들이 참여했으며, 15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모였다.[4] 2011년, 텍사스 역사 위원회는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루이스빌의 헤브론 A-train 역에 역사적 사건 표지판을 설치했다.[4]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이 1974년 루이스빌 남쪽에 개항하고, 1989년 비스타 리지 몰이 주간 고속도로 35E와 라운드 그로브 로드 교차로에 개장하면서 루이스빌은 급격한 교외 성장을 경험했다.[4] 1990년대 초, 루이스빌 상공회의소는 "확장되는 지평선의 도시"라는 슬로건으로 도시를 홍보했다.[4]
인구는 1980년 24,273명에서 1990년 46,521명으로 증가하여 텍사스에서 40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되었다. 2000년에는 77,737명, 2010년에는 95,290명, 2020년에는 111,822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4] 2021년 11월, 루이스빌은 도시 북동쪽에 위치한 캐슬 힐스 개발 지구를 병합하여 약 3,000에이커와 18,000명의 주민을 추가했다.[5]
3. 지리
루이스빌의 총 면적은 약 110.07km2이며, 이 중 약 15.80km2가 수역이다.[1] 덴턴 카운티의 남쪽 끝자락과 댈러스-포트워스 대도시권의 북쪽 끝에 위치하며, 텍사스 블랙랜드 프레리와 그랜드 프레리 사이의 텍사스 크로스 팀버스 지역 동부에 위치한다.[2] 남동쪽 모서리에 작은 고원인 비스타 리지가 있으며, 덴턴 카운티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시내에 위치해 있다.[3] 루이스빌은 대량의 천연 셰일 가스를 포함하는 지질 구조인 바넷 셰일 위에 자리 잡고 있다.[4]
루이스빌 호수, 트리니티 강의 엘름 포크와 그 지류인 프레리 크릭, 팀버 크릭을 포함한 수역이 도시 전체 면적의 약 14%를 차지한다.[1] 도시의 일부는 남동쪽에 하천변 구역을 포함한다.[5] 엘름 포크와 루이스빌 호수의 교차점은 호수 남쪽 끝에 강 삼각주를 형성하여 남쪽으로 뻗어 있다.[6] 연방 재난 관리청은 삼각주 주변 지역의 대부분을 "구역 AE"로 지정하여, 해당 지역이 100년 빈도 홍수 예방 조치를 받아야 함을 의미한다.[7]
루이스빌은 북위 33° 2′ 18″, 서경 97° 0′ 22″에 위치하며,[8] 해발 고도는 약 약 167.64m이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시 전체 면적은 약 109.56km2이며, 이 중 육지는 약 95.31km2, 수역은 약 14.24km2로 수역률은 13.08%이다. 동쪽은 주로 캐럴턴, 남쪽은 코펠, 남서쪽은 그레이프바인 호수, 서쪽은 플라워마운드, 북쪽은 하이랜드 빌리지와 루이스빌 호수로 둘러싸여 있다.
지세는 텍사스주 북부와 큰 차이가 없지만, 루이스빌 호수가 있다는 점과 트리니티 강의 엘름 지류 및 프레리 크릭과 팀버 크릭이 있다는 지리적 차이점이 있다. 시내 남동쪽 구석의 비스타 능선은 작은 고지이며, 그 위와 주변에는 번화한 소매업이 성장하고 있다.
3. 1. 기후
텍사스주 루이스빌은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Cfa)에 속한다. 이는 온대 기후이며, 건기가 없고, 여름이 더운 특징을 가진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루이스빌은 내한성 구역 8a에 속한다.루이스빌은 허리케인과 같은 극심한 기상 현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편이지만, 1961년 허리케인 카를라는 138km/h의 강풍과 루이스빌 호수에 1.8m의 너울을 일으킨 적이 있다. 폭우 시 팀버 크릭이 범람하여 주변 주택이 침수되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하기도 한다. 루이스빌은 국립 기상청이 공식적으로 경계를 정의하지 않은 토네이도 앨리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11.8°C | 15.1°C | 19.6°C | 23.6°C | 27.6°C | 31.8°C | 34.5°C | 34.2°C | 30.1°C | 24.6°C | 17.8°C | 13.3°C | 23.7°C |
평균 최저 기온 (°C) | 0°C | 2.7°C | 7°C | 11.3°C | 16.3°C | 20.6°C | 22.8°C | 22.2°C | 18.3°C | 12.4°C | 6.1°C | 1.6°C | 11.8°C |
평균 강수량 (mm) | 49mm | 65mm | 72mm | 84mm | 137mm | 84mm | 64mm | 57mm | 85mm | 122mm | 73mm | 68mm | 960mm |
평균 강설량 (cm) | 0.51cm | 1.3cm | 0.25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25cm | 0.76cm | 2.8cm |
평균 강수 일수 (≥ 0.25mm) | 6.7 | 6.1 | 7.0 | 7.1 | 8.4 | 6.4 | 4.4 | 4.7 | 5.8 | 6.8 | 6.8 | 6.5 | 76.7 |
평균 강설 일수 (≥ 0.25cm) | 0.4 | 0.2 | 0.1 | 0 | 0 | 0 | 0 | 0 | 0 | 0 | 0.1 | 0.2 | 1 |
4. 인구
인종/민족 (NH = 비히스패닉) | 2000년 인구[9] | 2010년 인구[10] | 2020년 인구[11] | % 2000 | % 2010 | % 2020 |
---|---|---|---|---|---|---|
백인 단독 (NH) | 53,706 | 47,280 | 40,675 | 69.09% | 49.62% | 36.37% |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단독 (NH) | 5,628 | 10,370 | 17,282 | 7.24% | 10.88% | 15.45% |
아메리카 원주민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 단독 (NH) | 399 | 347 | 345 | 0.51% | 0.36% | 0.31% |
아시아인 단독 (NH) | 2,990 | 7,325 | 12,534 | 3.85% | 7.69% | 11.21% |
태평양 섬 주민 단독 (NH) | 22 | 59 | 69 | 0.03% | 0.06% | 0.06% |
기타 인종 단독 (NH) | 89 | 220 | 512 | 0.11% | 0.23% | 0.46% |
혼혈 또는 다인종 (NH) | 1,104 | 1,906 | 4,552 | 1.42% | 2.00% | 4.07% |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 (모든 인종) | 13,799 | 27,783 | 35,853 | 17.75% | 29.16% | 32.06% |
합계 | 77,737 | 95,290 | 111,822 | 100.00% | 100.00% | 100.00% |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11,822명의 인구, 39,664가구, 24,536가족이 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었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루이스빌의 인구가 95,290명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2000년 인구 조사에서 기록된 77,737명에서 증가한 것이다. 2010년 인구는 37,496가구와 23,417가족으로 구성되었다. 2018-2019년 미국 공동체 조사 추산에 따르면, 루이스빌 시의 인구는 108,562명과 109,212명이었다. 추정 인구 중 46.1%는 남성이었고 53.9%는 여성이었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평균 85.5명이었다.
2010년의 인종 구성은 백인 65.3%, 흑인 11.2%, 아메리카 원주민 0.7%, 아시아인 7.8%(미얀마 출신 인구가 증가),[12] 기타 인종 11.3%, 혼혈 3.2%였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의 29.2%가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 출신이었다. 18세 미만 어린이가 있는 가구는 35.5%였다. 평균 가구 규모는 2.53명, 평균 가족 규모는 3.21명이었다. 중간 연령은 30.9세였다. 2007년과 2011년 사이에 루이스빌 가구의 중간 소득은 56811USD였고, 1인당 소득은 28144USD였다. 인구의 약 9.6%가 빈곤선 이하에 있었으며, 텍사스 전체의 17%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2018년 인구 조사 추산에 따르면 루이스빌의 인종 및 민족 구성은 비히스패닉 백인 45.6%,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12.4%, 아시아인 10.9%, 기타 인종 0.7%, 혼혈 1.6%,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 28.3%였다. 루이스빌의 중간 연령은 34.9세였다. 2018년에는 멕시코계 미국인이 도시 내에서 가장 큰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 집단을 이루었다(22.9%). 푸에르토리코인 (1.2%)은 두 번째로 큰 단일 라틴 집단이었고, 쿠바인 (0.1%)과 기타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 (4.2%)이 그 뒤를 이었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종 및 민족 구성은 비히스패닉 백인 36.37%,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15.45%, 아메리카 원주민 0.31%, 아시아인 11.21%, 태평양 섬 주민 0.06%, 기타 인종 0.46%, 혼혈 4.07%,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 32.06%였다.
2019년의 41,101가구의 평균 가구 규모는 2.63명이었다. 평균 가족 규모는 3.44명이었다. 루이스빌 주민의 약 76.6%는 태생이었고 21.6%는 외국 출생이었다. 이민자 중 39.7%는 귀화 미국 시민이었다. 이민자 대다수는 2010년 이전에 이 도시에 거주했었다. 약 40%는 2010년 이후에 입국했다. 집에서 34.6%는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 2014-2019년 동안 가구의 중간 소득은 65836USD로 증가했다. 거주 가구의 평균 소득은 79211USD였다.
다음은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른 인구 통계 데이터이다.
width="35%"| | width="35%"| |
5. 경제
루이스빌은 다양한 상업 세금 기반을 가지고 있다. 주요 고용주로는 JP모건 체이스, 루이스빌 독립 교육구, 네이션스타 모기지가 있다. 허피네스 오토 딜러십과 2000년 ''블랙 엔터프라이즈'' 잡지에서 신 경제의 강자로 선정된 빌리지 오토 그룹 등 자동차 딜러십이 번창했다.
루이스빌의 호수와 DFW 광역권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은 텍사스 주가 전체 보트 판매량에서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주에서 가장 큰 보트 판매 시장이 되는데 기여했다. 댈러스와 포트워스에 가깝기 때문에, Sysco 및 Meadowbrook Meat Company (MBM)를 포함한 여러 식품 유통 회사가 루이스빌에 지점을 두고 있다. 플레밍 컴퍼니는 미국 최대 식품 유통 회사 중 하나로 2000년 루이스빌로 이전했지만,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가 회사가 막대한 손실을 숨겨왔다고 발표한 후 2003년 미국 연방 파산법 제11장을 신청했다. 전국적으로 차터 스쿨을 운영하는 Responsive Education Solutions도 루이스빌에 본사를 두고 있다. Adeptus Health와 텍사스-뉴 멕시코 파워도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루이스빌 시가 발행하는 포괄적인 연간 재정 보고서에 따르면[22], 시내 주요 고용주 10곳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고용주 | 종업원 수 |
---|---|---|
1 | 비스타리지 몰 | 2,000 |
2 | 루이스빌 독립 교육구 | 1,592 |
3 | JP모건 체이스 | 1,394 |
4 |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 | 1,200 |
5 | 월마트 | 951 |
6 | 루이스빌 의료 센터 | 831 |
7 | 네이션스타 모기지 | 786 |
8 | HSBC | 680 |
9 | 루이스빌 시 | 676 |
10 | SYSCO 푸즈 | 625 |
'''수입과 가계'''
구분 | 내용 |
---|---|
가구 수입 중간값 | 54771USD |
가족 수입 중간값 | 63719USD |
성별 | 수입 중간값 |
남성 | 41058USD |
여성 | 31705USD |
1인당 수입 | 24703USD |
빈곤선 이하 | 비율 |
인구 대비 | 6.0% |
가구 수 대비 | 3.9% |
18세 미만 | 6.8% |
65세 이상 | 9.2% |
6. 문화 및 여가
루이스빌 시는 공원, 2개의 레크리에이션 센터, 약 약 22.53km의 산책로를 포함한 공공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16] 2009년에는 2천만 달러 규모의 토요타 오브 루이스빌 철도 공원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당시 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본 프로젝트였다. 이 공원에는 야구/소프트볼 단지, 미식축구 단지, 8개의 조명이 설치된 축구장, 2개의 매점 건물, 주변 산책로/조깅 트레일, 3개의 인공 호수, 애견 공원, 사이언 스케이트 공원이 있다.[17] 2010년부터 스케이트 공원에서는 전국에서 열리는 연례 스케이트보드 대회 시리즈의 일부인 사이언 지역 아마추어 투어가 개최되고 있다.[18] 2012년에는 덴턴 카운티의 법원 지정 특별 변호사 (CASA)를 위한 첫 번째 연례 철인 3종 경기 행사가 열렸다.[19]
루이스빌 호수 공원은 662에이커 규모이며, 시는 이를 미국 육군 공병대로부터 임대한다. 이 공원에는 운동장과 지정된 캠프장을 비롯한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다. 1958년에 개장한 실내외 낚시 시설인 루이스빌 낚시 바지선이 호수에 있다.[20][21] 또한 이 공원에서는 매년 루이스빌 고등학교 육상부에서 주최하는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대회인 릭 닐 기념관도 개최된다.[22] 2013년 2월, 시는 호수 옆 60에이커 부지에 리조트 호텔 및 컨벤션 센터를 건설하기 위한 개발 제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23]
루이스빌 호수 환경 학습 구역 (LLELA)은 루이스빌 ISD 및 UNT와 협력하여 시에서 관리하는 2600에이커 규모의 자연 보호 구역이다.[13] 7마일이 넘는 하이킹 코스가 있으며 낚시, 카약, 카누를 즐길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14] LLELA는 루이스빌 호수 주변의 자연 공간을 보존하고 이 도시를 DFW 광역 지역 내의 주요 레크리에이션 목적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시의 그린 센터피스 마스터 전략의 핵심 역할을 한다.[15]
루이스빌은 댈러스-포트워스 광역권의 북부 골프 회랑의 주요 허브이기도 하다.[24] 제이 모리시가 설계한 레이크스 앳 캐슬 힐스 골프 코스가 도시의 남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에 개장했다. 비평가들은 이 코스에 대해 편의 시설과 난이도를 칭찬하며 높은 평가를 내렸다. 루이스빌 호수 근처의 레이크 파크 골프 코스는 초보자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9홀, 약 1576.43m 규모의 레이크 파크 이그제큐티브 코스는 1994년에 개장했다. 루이스빌은 2003년 투어 챔피언십 우승자인 프로 골퍼 채드 캠벨의 고향이기도 하다.
2011년, 루이스빌 공원 위원회는 시의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에 대한 새로운 마스터 플랜을 제안했다. 이 계획에는 약 82.08km의 오프스트리트 산책로, 약 80.47km의 개선된 보도, 약 80.47km의 자전거 도로, 트리니티 강의 엘름 포크를 따라 약 11.91km의 패들 트레일, 그리고 이 지역 전체에 31개의 주요 및 부 트레일 헤드(그 중 다수는 다른 트레일 네트워크에 연결됨)를 포함하여 시의 트레일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012년 3월, 공원 위원회는 시의 향후 10년간의 공원 개발을 다루는 새로운 마스터 플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6. 1. 루이스빌 그랜드 극장

루이스빌 그랜드 극장(The Lewisville Grand Theater)은 루이스빌 올드 타운의 I-35E 고속도로 동쪽에 있는 복합 문화 시설이다. 루이스빌의 예술 중심지로서 영화 상영, 회의 개최, 다양한 예술 공연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2004년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올드 타운 역 개통(2011년) 시기에 맞춰 예술 센터를 건설하려는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진되었다.[1] 2011년 1월, 여러 공연, 어린이 쇼, 콘서트, 전시회와 함께 개관했으며, 그레이터 루이스빌 예술 연합은 스타인웨이 피아노 설치 기금 모금을 위해 25000USD를 기부했다.[2] 2011년과 2012년, ''The Flower Mound Connection'' 신문은 MCL 그랜드를 덴턴 카운티 최고의 이벤트 장소로 선정했다.[3][4]
원래 이 시설은 지역 병원과의 10년 명명권 계약으로 메디컬 센터 오브 루이스빌 그랜드 극장(Medical Center of Lewisville Grand Theater)으로 불렸다. 이후 병원 브랜드 변경으로 메디컬 시티 루이스빌 그랜드 극장(Medical City Lewisville Grand Theater)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020년 12월, 메디컬 시티 루이스빌과의 명명권 계약이 종료되면서 시설은 다시 루이스빌 그랜드 극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6. 2. 도서관

루이스빌 시 정부는 1968년 신디 베넷을 초대 관장으로 임명하여 루이스빌 공공 도서관을 설립했다. 현재 시청이 위치한 곳에 약 464.52m2 규모의 건물이 지어졌다. 1986년에는 메인 스트리트에 있는 시청 건물 일부로 새로운 도서관 시설이 건설되었다. 2001년 루이스빌 유권자들은 새로운 도서관 시설 건설에 일부 할당된 4B 세금 패키지를 승인했으며,[1] 이 중 어린이 구역은 베넷에게 헌정되었다.[2] 1100만달러 규모의 개조 공사는 2006년에 완공되었고,[3] 그해와 2009년에 도서관 우수성 성과상을 수상했다.[4] 루이스빌은 2013년까지 조지 W. 부시 대통령 도서관의 임시 소재지이기도 했다.[5][6]
6. 3. 미디어
루이스빌은 주로 댈러스 지역의 미디어에서 제공되지만, 여러 전문 출판물에서 지역 뉴스에 집중한다. 《루이스빌 엔터프라이즈》는 1962년 《루이스빌 리더》와 합병되었다. 당시 신문의 발행인이자 편집인이었던 U.O. 클레멘츠는 완고한 보수주의자였지만, 루이스빌 독립 교육구의 인종 통합을 열렬히 지지하여 쿠 클럭스 클랜 회원들로부터 많은 익명의 협박을 받았다.[1] 클레멘츠는 1971년 신문을 하테-핸크스 커뮤니티 신문에 매각했다.[2] 《리더》를 소유한 스타 신문은 2012년 1013 커뮤니케이션즈에 인수되었다.[3] 이 신문은 플라노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1년, 루이스빌 시의회는 《댈러스 모닝 뉴스》의 주간 섹션인 《Neighborsgo》의 루이스빌 부분을 시의 공식 기록 신문으로 지정했다.[4]6. 4.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루이스빌시는 공원, 2개의 레크리에이션 센터, 약 약 22.53km의 산책로를 포함한 공공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16] 2009년에는 2천만 달러 규모의 철도 공원이 0.25% 판매세 인상으로 마련된 수익금으로 건설되었으며, 당시 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본 프로젝트였다. 2010년에는 1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으로 토요타 오브 루이스빌 철도 공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 공원에는 야구/소프트볼 단지, 미식축구 단지, 8개의 조명이 설치된 축구장, 2개의 매점 건물, 주변 산책로/조깅 트레일, 3개의 인공 호수, 애견 공원 및 사이언 스케이트 공원이 있다.[17] 2010년부터 스케이트 공원에서는 전국에서 열리는 연례 스케이트보드 대회 시리즈의 일부인 사이언 지역 아마추어 투어가 개최되었다.[18] 2012년에는 덴턴 카운티의 법원 지정 특별 변호사 (CASA)를 위한 첫 번째 연례 철인 3종 경기 행사가 열렸다.[19]루이스빌 호수 공원은 662acres를 포함하며, 시는 이를 미국 육군 공병대로부터 임대한다. 이 공원에는 운동장과 지정된 캠프장을 비롯한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다. 1958년에 개장한 실내외 낚시 시설인 루이스빌 낚시 바지선이 호수에 있다.[20][21] 또한 이 공원에서는 매년 루이스빌 고등학교 육상부에서 주최하는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대회인 릭 닐 기념관도 개최된다.[22] 2013년 2월, 시는 호수 옆 60acres 부지에 리조트 호텔 및 컨벤션 센터를 건설하기 위한 개발 제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23]
루이스빌 호수 환경 학습 구역 (LLELA)은 루이스빌 ISD 및 UNT와 협력하여 시에서 관리하는 2600acre 규모의 자연 보호 구역이다.[13] 7마일이 넘는 하이킹 코스가 있으며 낚시, 카약, 카누를 즐길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14] LLELA는 루이스빌 호수 주변의 자연 공간을 보존하고 이 도시를 DFW 광역 지역 내의 주요 레크리에이션 목적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시의 그린 센터피스 마스터 전략의 핵심 역할을 한다.[15]
루이스빌은 또한 댈러스-포트워스 광역권의 북부 골프 회랑의 주요 허브이기도 하다.[24] 도시의 남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레이크스 앳 캐슬 힐스는 제이 모리시가 설계한 코스로 1990년대 후반에 개장했다. 비평가들은 이 코스에 대해 편의 시설과 난이도를 칭찬하며 높은 평가를 내렸다. 루이스빌 호수 근처의 레이크 파크 골프 코스는 초보자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9홀, 약 1576.43m 규모의 레이크 파크 이그제큐티브 코스는 1994년에 개장했다. 루이스빌은 또한 2003년 투어 챔피언십 우승자인 프로 골퍼 채드 캠벨의 고향이기도 하다.
2011년, 루이스빌 공원 위원회는 시의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에 대한 새로운 마스터 플랜을 제안했다. 이 계획에는 약 82.08km의 오프스트리트 산책로, 약 80.47km의 개선된 보도, 약 80.47km의 자전거 도로, 트리니티 강의 엘름 포크를 따라 약 11.91km의 패들 트레일, 그리고 이 지역 전체에 31개의 주요 및 부 트레일 헤드(그 중 다수는 다른 트레일 네트워크에 연결됨)를 포함하여 시의 트레일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에는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고속도로 35E를 여러 번 건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012년 3월, 공원 위원회는 시의 향후 10년간의 공원 개발을 다루는 새로운 마스터 플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7. 교육
Lewisville Independent School District는 이 지역의 공립 학교 시스템을 운영하며, 여기에는 루이스빌 고등학교가 포함된다. 교육구의 4개 중학교는 2개의 고등학교 진학 캠퍼스로 연결되며, 2011–2012 학년도부터 Killough 캠퍼스와 Harmon 캠퍼스는 도시의 9학년 및 10학년 학생들을, FM 1171 (메인 스트리트)과 밸리 파크웨이의 교차로에 위치한 메인 캠퍼스는 주로 11학년 및 12학년 학생들을 위해 사용된다.[16] 교육구는 또한 Lewisville에서 야간 고등학교를 운영하는 것과 더불어 2개의 위치(동부 및 서부)에 기술 탐구 및 직업 센터를 운영한다.[16]
미국 커뮤니티 조사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25세 이상 도시 인구의 86.7%가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29.7%가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했으며, 8.4%가 대학원 또는 전문 학위를 소지했다. 이 설문 조사에 따르면 3세 이상의 Lewisville 거주자 24,879명이 학교에 등록되어 있었다.[16]
Lewisville | 텍사스 | 미국 | |
---|---|---|---|
고등학교 졸업 이상 | 86.7% | 80.4% | 85.4% |
학사 학위 이상 | 29.7% | 26.1% | 28.2% |
출처: 미국 인구 조사국, 2007–2011 미국 커뮤니티 조사[16] |
또한 Lewisville에는 Explorations Preparatory School과 Lakeland Christian Academy 두 개의 사립 학교가 있다.
Lewisville에 기반을 둔 ResponsiveEd가 운영하는 차터 스쿨인 Founders Classical Academy도 Lewisville에 위치해 있다.
8. 행정
루이스빌시는 1963년부터 자치 도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의회-매니저 형태의 시 정부를 갖추고 있다. 주민들은 시장을 포함하여 6명의 전체 선거구 의원을 시의회에 선출한다. 텍사스주의 시의회 선거는 무소속 선거이다.[19] 의원들은 3년 임기로 선출되며, 임기 제한은 없다.[20] 시장은 동점인 경우를 제외하고 시의회에 상정된 문제에 대해 투표하지 않는다. 1985년에서 2000년 사이에 3명의 여성 시장이 있었지만, 2001년 이후 여성은 시의회에서 활동하지 않았다.[21] 2011년, 피치 그룹은 시의 일반 채무 채권 등급을 "AA+"에서 "AAA"로 상향 조정했다.[23] 루이스빌은 댈러스-포트워스 대도시권에서 가장 낮은 시 재산세율을 가지고 있다.[24] 2012-2013 회계 연도에 시 정부의 운영 자금은 총 1.24845436억달러였다.
루이스빌 경찰서는 1977년에 27명의 선서 경찰관을 보유했으며, 2007년까지 그 수가 136명으로 증가했다. 2015년 현재, 부서에는 229명의 정규직 직원이 있었으며, 그 중 4명은 관리자였다. 루이스빌 소방서에는 146명의 정규직 직원이 있었으며, 그 중 6명은 관리자였다. 9.11 테러 이후, 소방서와 당시 서장이었던 릭 라스키는 피해자 가족을 위해 많은 기부금을 모금하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 보상으로 존 트라볼타, 호아킨 피닉스, 로버트 패트릭은 2004년에 영화 ''래더 49''의 홍보를 위해 소방서를 방문했다. 2011년 5월, 루이스빌 주민들은 두 개의 공공 안전 지구를 만들기 위해 판매세 인상안을 승인했다. 이 인상으로 얻은 수입은 새로운 경찰관 및 차량을 포함한 시의 경찰 및 소방서에 대한 투자뿐만 아니라 시 동부에 새로운 소방서 건설에 자금을 지원할 것이다.
루이스빌은 텍사스주 제26선거구에 속하며, 미국 하원에서 마이클 C. 버지스가 대표한다. 2023년 현재, 이 도시는 제12지구의 텍사스 상원에서 탄 파커가 대표한다. 이 도시는 두 개의 텍사스 하원 선거구로 나뉜다. 제63지구는 벤 범가너가, 제65지구는 크론다 타이메쉬가 대표한다. 루이스빌은 노스 센트럴 텍사스 정부 협의회의 자발적인 회원이며, 그 목적은 개별 및 집단적인 지방 정부를 조정하고 지역적 해결책을 촉진하며,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하고 공동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시에서 발행하는 포괄적인 연간 재정 보고서에 따르면, 시의 예산은 세입 1.472억달러, 세출 9570만달러이며, 총 자산 6.736000000000001억달러, 총 부채 1.345억달러, 현금 및 투자액 1.536억달러이다.[22]
9. 교통
루이스빌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고속도로는 I-35E이다. 고속도로 건설 이전에는 Mill Street (US Highway 77)가 주요 간선 도로였으며, 북쪽의 덴턴과 남쪽의 댈러스를 연결했다.[1] 1998년 텍사스 교통부는 I-635와 U.S. Route 380 사이의 I-35E 구간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는 주요 투자 연구를 수행했다.[2] 주요 초점은 텍사스 주 고속도로 121에서 루이스빌 호수를 가로지르는 다리까지 약 약 12.87km 구간이었다.[3] 이 프로젝트는 관리형 통행료 차선 외에 각 방향으로 일반 통행 차선을 추가할 예정이다.[4] 이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는 I-35 회랑의 해당 부분을 대대적으로 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5]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 건설은 2013년 여름에 시작하여 2016년 말에 완료되었다.[6]
샘 레이번 유료 도로를 따라 이어지는 텍사스 주 고속도로 121은 도시 남동쪽 가장자리에서 I-35E와 교차한다. 메인 스트리트는 I-35E에서 I-35W까지 도시 중앙 부분을 동서로 가로지른다. Farm to Market Road 407은 도시 북쪽 부분을 동서로 가로지른다. 루이스빌은 또한 Farm to Market Road 3040의 대부분을 포함하며, 이 도로는 캐럴턴과 플라워 마운드를 향해 동서로 뻗어 있다.[7]
2003년 9월 13일 특별 선거에서 루이스빌 주민들은 덴턴 카운티 교통국 (DCTA)의 정식 회원이 되기 위해 투표했다.[8] 이 기관은 2006년 11월에 광역 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9] 2011년에는 올드 타운, 헤브론, 하이랜드 빌리지/루이스빌 호수 역이 DCTA의 A-train 노선을 따라 통근 정류장으로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북쪽으로 덴턴까지, 남쪽으로 캐럴턴의 트리니티 밀스 역까지 이어지며, 여기서 댈러스 지역 급행 수송 (DART) 그린 라인과 연결되어 댈러스로 간다.[10] DCTA는 또한 루이스빌에 철도 운영 및 유지 보수 시설을 소유하고 있다.[11]
2021년 9월, DCTA는 Via Transportation과 제휴하여 덴턴 카운티 전역에서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인 GoZone을 출시했다. 2021년 12월, 고정 노선인 루이스빌 커넥트 버스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GoZone이 도시 전체의 대중교통을 담당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2020 U.S. Gazetteer Files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07-24
[2]
GNIS
[3]
웹사이트
Explore Census Data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3-10-16
[4]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QuickFacts: Lewisville city, Texas; United States
https://www.census.g[...]
2023-09-16
[5]
웹사이트
4,500-home Castle Hills community is now a part of Lewisville
https://www.dallasne[...]
2021-11-15
[6]
웹사이트
City and Town Population Totals: 2020-2022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3-10-16
[7]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2016-06-04
[8]
웹사이트
City and Town Population Totals: 2020-2023
https://www.census.g[...]
2024-11-15
[9]
웹사이트
P004: Hispanic or Latino, and Not Hispanic or Latino by Race – 2000: DEC Summary File 1 – Lewisville city, Texa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10]
웹사이트
P2: Hispanic or Latino, and Not Hispanic or Latino by Race – 2010: DEC Redistricting Data (PL 94-171) – Lewisville city, Texa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11]
웹사이트
P2: Hispanic or Latino, and Not Hispanic or Latino by Race – 2020: DEC Redistricting Data (PL 94-171) – Lewisville city, Texa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12]
웹사이트
New Faces of Immigration in North Texas
http://www.nbcdfw.co[...]
2015-03-17
[13]
웹사이트
LLELA History and Organization {{!}} Lewisville Lake Environmental Learning Area
https://www.llela.or[...]
2022-03-25
[14]
웹사이트
Things to Do or See {{!}} Lewisville Lake Environmental Learning Area
https://www.llela.or[...]
2022-03-25
[15]
웹사이트
Green Centerpiece Master Strategy
https://www.llela.or[...]
2022-03-25
[16]
웹사이트
Explorations Preparatory School
http://www.explorati[...]
[17]
웹사이트
GoZone On-Demand {{!}} DCTA
https://www.dcta.net[...]
2022-02-04
[18]
웹사이트
DCTA Bus Service Scheduled to End in Lewisville, Riders Encouraged to Use GoZone
https://www.nbcdfw.c[...]
2021-12-11
[19]
웹사이트
Quickfacts.census.gov
https://www.census.g[...]
2023-11-07
[20]
웹사이트
Handbook of Texas Online - LEWISVILLE SITE
http://www.tshaonlin[...]
2009-11-09
[21]
뉴스
Lewisville to debate English as the city's official language.
http://www.dallasnew[...]
The Dallas Morning News
2008-10-06
[22]
문서
City of Lewisville CAFR
http://www.cityoflew[...]
2009-07-20
[23]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27
[24]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6-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