뤄바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뤄바족은 '남쪽 사람들'을 의미하는, 여러 소수 민족을 통칭하는 분류이다. 이들은 주로 티베트와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 거주하며, 이두 미슈미어, 보카르어, 나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한다. 뤄바족은 역사적으로 티베트의 지배를 받았으며, 문화적으로는 부족에 따라 다양한 관습과 의복을 가지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를 믿는다. 음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옥수수, 기장 등을 주식으로 한다. 중국에는 덩족이라는 관련 민족이 있으며, 중국 정부는 뤄바족을 망링, 메토, 룬쩌 등의 민족향에 거주하는 것으로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뤄바족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보카에르 루오바 로파 로바 이두 벵루 |
지역 | 중국 |
인구 (2010년) | 3,682명 |
언어 | 보카르어 이두 미슈미어 아디어 티베트어족 만다린 |
종교 | 애니미즘 기독교 |
관련 민족 | 티베트인 |
어원 | '남쪽 사람들'을 의미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이름 | 로바족, 로파족 |
인구 (2000년) | 중국: 2,300명 인도: 약 575,000명 |
언어 | 로바어 의두어 소룡어 붕여어 티베트어 |
종교 | 본교 샤머니즘 |
관련 민족 | 티베트 민족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이름 | 뤄바족 |
인구 | 약 60만명 |
인구 거점 | 중국 티베트 자치구 - 3,692명 (2010년)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약 577,000명 |
언어 | 보카르어 이두 미슈미어 푸로익어 티베트어 |
종교 | 애니미즘 티베트 불교 |
관련 민족 | 먼바족 티베트족 아디 |
2. 명칭
뤄바(Lhoba)는 '남쪽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로, 하나의 민족이 아닌 여러 소수민족을 통틀어 이르는 편의상의 분류이다.[3] 뤄바는 lho yü 지역 주민을 가리키는 티베트어계 외래어이다.[3]
현대 뤄바족(Lhoba)이 거주하는 지역은 중세 문헌에서 'Lhoyü'(또는 'Luoyu', 'lho-yul', ལྷོ༌ཡུལ་)로 알려져 있었다. Lhoyü는 현재 티베트 지역의 명칭으로 사용되며, 하부 Lhoyü는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주(Arunachal Pradesh)의 일부이다. 루오유(Luoyu)는 7세기부터 티베트의 지배를 받았다.[5]
뤄바족은 티베트-버마어족에 속하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한다. 티베트 내 뤄바족은 최소 세 가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각각 미슈미족, 아디족, 타긴족의 일부이며, 관련 민족은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 더 많이 거주한다.[1] 일부 뤄바족은 티베트계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1] 과거 문자가 없던 시절에는 구전으로 역사를 전하고 매듭으로 사건을 기록했다.[3]
뤄위 지역 뤄바족 남성은 소의 양털로 만든 소매와 단추가 없는 무릎 길이의 검은색 재킷을 착용하고, 곰가죽이나 대나무 조각, 곰가죽으로 엮은 등나무로 만든 투구를 쓴다. 여성은 블라우스와 양털 치마를 입는다. 장신구는 부의 상징이며, 남녀 모두 맨발로 다닌다. 이두족 남성은 검과 방수 투구, 방패를 착용하고, 무기로는 직검, 단검, 활과 독화살을 사용한다.[9] 베베지아 미쉬미족 여성들은 숙련된 직조공이다.
뤄바족의 음식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주식은 옥수수나 기장 가루, 쌀, 메밀 등으로 만든 만두이다. 티베트 공동체 근처에서는 짬파, 감자, 버터차, 매운 음식을 먹는다. 술과 담배를 많이 하며, 축하 행사 때 노래와 술로 풍년과 행운을 빈다. 버터차는 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이다. 그러나 소금 부족으로 인해 갑상선종이 풍토병이며, 청각 장애나 언어 장애를 가진 사람이 많다.
덩족(중국어: 僜人, 병음: Dèng Rén, '''덩바'''라고도 함)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민족 집단이다. 이들은 윈난성의 더룽족 또는 미얀마의 타론족과 관련이 있다. 덩족은 티베트 자치현의 9개 마을과 히말라야산맥과 헝두안 산맥 사이의 해발 1000미터 고지대의 원시림 지역에 거주한다.[10]
뤄바족은 중국 내에서 다음과 같은 민족향(民族鄕)에 거주한다.[1]
[1]
서적
五洲传播出版社
티베트 내의 뤄바족들은 실제로는 적어도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언어를 말하는데, 이두 미슈미어(Idu Mishmi)는 티베트-버마 계열로 추정되는 미분류 언어(아루나찰 제어)이며, 보카르어(Bokar) 또는 아디어(Adi)는 티베트-버마계의 타니어군 계열이며, 나(Nah)는 서부 타니어군 벵니어의 한 방언이다. 이들 언어의 화자 집단은 각각 미슈미족, 아디족, 타긴족의 일부인데, 관련 민족은 티베트보다는 인도 아루나찰 프라데시 주에 더 많이 거주한다. 또한 일부 뤄바족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티베트계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관련 미식별 민족으로 차위현에 거주하며 이두 미슈미족과 가까운 관계인 등인(僜人, Taraon, Digaro Mishmi)이 있는데, 오늘날 대부분은 인도 영내에 거주하고 있다.
3. 역사
현대 뤄바족이 티베트 정복 당시 실제로 루오유(Luoyu)에 거주했는지, 그리고 현대 뤄바족이 사용하는 언어가 이 지역의 토착 언어인지 여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현대 아루나찰프라데시주(Arunachal Pradesh)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타니족(Tani people)은 이 지역 또는 그 주변을 전통적인 고향으로 지목하지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없다.
현대 티베트 자치구(TAR) 내에서 "뤄바족"으로 지정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실 다양한 자칭 명칭(endonym)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며, 전통적으로 단일 집단으로 자신을 식별하지 않는다.[6] TAR에서 "뤄바족"으로 분류되는 두 주요 부족 집단은 이두 미시미어(Idu Mishmi language)를 사용하는 미시미족(义都|Yìdū중국어)과 아보 타니족(Abo Tani)의 보카르 방언(Bokar language) 사용자들이다. 보카르 방언 사용자들은 현대 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주(Arunachal Pradesh)(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에 훨씬 더 많이 거주한다.
중국 당국이 "뤄바족"으로 분류하는 다른 집단으로는 방니-타긴어(Bangni-Tagin language)를 사용하는 타긴족(Tagin people)이 있다.
중국이 인식하는 남부 티베트(인도가 아루나찰프라데시주로 관리)와 관련하여 뤄바족은 중국의 다큐멘터리 영화와 기사에 등장해왔다. 이는 클로드 아르피(Claude Arpi)와 같은 친인도 선전가들에 의해 선전으로 비판받았다.[7][8]
4. 언어
5. 문화 및 종교
이두족은 일부다처제이며 가부장적 사회이다. 집주인의 나무 베개와 집에 보관된 동물 두개골은 신성시된다. 화전 농법을 사용하며, 벼, 토란, 타피오카, 기장,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이두족은 여성의 월경 주기를 기반으로 한 달력을 사용하고, 부족 내 분쟁은 판차야트(아바발라)에서 해결한다.
뤄바족은 티베트인들과 물물교환을 하며, 이로 인해 티베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동물 가죽, 사향, 곰 발톱, 염료(현지어로 '타멘(tamen)', 학명은 ''Rubia cordifolia'') 및 사냥감을 티베트 상인들에게서 농기구, 소금, 양모, 의류, 곡물, 차와 교환한다.
일부 뤄바족은 티베트 불교로 개종했지만, 전통적인 애니미즘 신앙을 유지하는 집단도 있다. 인도의 대다수 뤄바족(보카르족)은 현재 기독교 (오순절교가 주류)를 믿는다. 이두족은 최고신 "인니(Inni)"를 믿는다. 레(Reh)와 같은 축제는 곰팡이 신들을 달래기 위해 개최된다.
뤄바족 소년들은 어려서부터 사냥 훈련을 받고, 여성은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다.
6. 음식
7. 덩족 (Dengba people)
브래들리(2007)에 따르면, 중국에는 약 800명의 Darang Deng(다랑 덩, 达让僜|다랑 덩중국어)과 200명의 Geman Deng(거만 덩, 格曼僜|거만 덩중국어, 인도에서는 카만 또는 미주 미쉬미족으로 알려짐)이 있다. 미얀마에는 Taraung(타라웅)으로 알려진 한 마을이 있고, 인도 북동부에는 타라온, 타이인 또는 타인(이전에는 디가루 미쉬미족)이 있다고 보고한다.[10]
8. 중국 내 자치 구역
현(縣)급 행정구역 민족향(民族鄕) 망링현 남이뤄바족향 메토크현 달목뤄바족향 룬쩌현 두옥뤄바족향
참조
[2]
문서
Six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3]
웹사이트
Lhoba Ethnic Minority
http://en.chinacultu[...]
Ministry of Culture, P.R.China
[4]
웹사이트
The Hidden Kingdom of Pemako ...hidden no more
http://www.indiandef[...]
2019-04-21
[5]
서적
China's Tibet
五洲传播出版社
[6]
웹사이트
Sub-Regional Relations in the Eastern South Asia: With Special Focus on India's North Eastern Region. Chapter 2: Arunachal Pradesh
https://www.ide.go.j[...]
2005-02
[7]
웹사이트
Ten thousand methods to safeguard India's rich tribe
https://www.dailypio[...]
2017-08-03
[8]
웹사이트
China usurps Northeastern tribe to corner India, prove Arunachal Pradesh as part of Tibet
https://www.indiatod[...]
2017-08-17
[9]
웹사이트
Arunachal tribes
http://www.north-eas[...]
[10]
서적
Language Endangerment in China and Mainland Southeast Asia
Mouton de Gruyter
[11]
서적
中国56民族手帳
マガジンハウス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