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의 미식별 민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미식별 민족은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은 민족 집단을 의미하며, 이들은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독자적인 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이들 중에는 부누인, 천청인, 와샹인, 투르크멘인, 혁가인, 애이누인, 회휘인, 카이펑 유대인, 푸위 키르기스인, 셰르파족, 알바진인 등이 있으며, 대부분 소수 민족 정책의 적용을 받지 못해 사회적, 정치적 쟁점을 야기한다. 이 문제는 중국 정부의 국가 통합 노력과 미승인 민족들의 자율성 요구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미식별 민족 - 샨족
    샨족은 자신들을 '타이'라 부르는 타이어 사용자 민족으로,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여러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자적인 문화를 가졌으나 미얀마 정부와의 분쟁으로 독립 투쟁 및 망명 생활을 하고 있다.
  • 중국의 미식별 민족 - 알타이인
    알타이인은 러시아 알타이 지역에 거주하며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겪었다.
중국의 미식별 민족
개요
명칭미식별 민족
다른 이름무호구 (无户口)
흑호 (黑户)
정의중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민족 집단
현황
원인민족 식별 과정의 엄격성
소수 민족으로의 편입 기피
역사적 요인
규모수십만에서 수백만 명으로 추정 (정확한 통계 부재)
주요 분포 지역구이저우성
윈난성
티베트 자치구
기타 변경 지역
주요 미식별 민족
차바인 (穿青人)구이저우성에 거주하며,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를 보유하고 있음
게라우족 (革家人)구이저우성에 거주하며, 독특한 전통 의상과 풍습을 유지하고 있음
모수오족 (摩梭族)윈난성쓰촨성 경계 지역에 거주하며, 모계 사회 구조를 특징으로 함
등족 (僜人)티베트 자치구에 거주하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음
유대인 ( евреи )중국에 거주하는 유대인 후손
문제점
법적 지위중국 국민으로서의 기본권 보장 미흡
교육, 의료, 취업 등 사회 서비스 접근 제한
사회적 차별소수 민족으로서의 정체성 인정 부재
사회적 편견과 차별 심화
문화적 정체성고유한 문화와 언어 보존의 어려움
중국 정부의 정책
민족 식별 사업미식별 민족의 민족 지위 획득을 위한 노력
소수 민족 지원 정책교육, 의료, 경제 개발 등 지원을 통해 사회 통합 유도
과제미식별 민족의 권리 보장과 사회 통합
다양한 민족 문화의 공존과 발전 도모
같이 보기
관련 항목중국의 민족
민족 식별
호구 제도

2. 주요 민족 목록

명칭중문 명칭영문 명칭공식 귀속분포인구설명
부누인(포노인)布努人Bunu요족광시 좡족 자치구700,000흐몽어를 사용하는 야오족 계통의 민족이다.[2]
천청인穿青人Chuanqing한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 비제시670,000
와향인瓦乡人Waxiang한족, 묘족, 투자족후난성400,000
투르크멘인土庫曼族Turkmen우즈베크족신장 위구르 자치구85,000
혁가인革家人Gejia묘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50,000
애이누인(애노인)艾努人Äynu/Abdal위구르족신장 호탄 지구50,000위구르어와 다른 애이누어를 사용하고 시아파 이슬람을 믿는다.
회휘인回辉人Utsul회족하이난성8,500참파 멸망 이후 피난한 참족의 후예이다.
카이펑 유대인(토생 유태인)开封犹太人(土生犹太人)Kaifeng Jew회족, 한족, 미식별 민족허난성 카이펑시600 - 1,000
푸위 키르기스인富裕柯尔克孜Fuyu Kyrgyz키르기스족헤이룽장성 푸위현1,400실제로는 키르기스인과 큰 관련이 없으며 오늘날의 하카스인과 가깝다.
셰르파족夏尔巴人Sherpa족계 미확정2,000
알바진인阿尔巴津人Albazinian만주족에 귀속, 일부는 러시아족500
모수인摩梭人Mosuo윈난성나시족에 귀속,쓰촨성몽골족에 귀속됨40,000
투바인图瓦人Tuvan몽골족신장 북단부3,900
부랴트인布里亚特人Buryat몽골족



나머지 민족에 대한 정보는 '기타 미승인 민족'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주요 민족 상세 정보

중국에는 다양한 미식별 민족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각기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요 미식별 민족들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명칭중문 명칭영문 명칭공식 귀속분포인구설명
채가인蔡家人Caijia한족, 바이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40,000바이어와 가까운 채가어를 사용한다.
동가인东家人Dongjia써족구이저우성40,000
고총인苦聪人Kucong라후족윈난성40,000
목료인木佬人Muxi이족, 무로족구이저우성, 저장성30,000
백마인白马人Baima티베트족간쑤성, 쓰촨성15,000저족(氐族)의 후예로 여겨진다.
용가인龙家人Longjia한족, 바이족, 부이족구이저우성10,000
서가인西家人Xijia묘족구이저우성9,000
요가인绕家人Raojia요족구이저우성9,000
노인卢人Lu (Luren)만주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7,747
크무족克木族Khmu부랑족윈난성7,000
구게인(고격인)古格人Guge칭하이에서는 한족, 윈난성에서는 티베트족으로 분류칭하이성 하이둥시, 윈난성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티베트 라싸시5,000
아카인阿卡人Akha하니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6,000
비소인毕苏人Bisu란창현 등지는 라후족, 멍하이현은 미식별 민족으로 분류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6,000
라오미안인老缅人Laomian라후족윈난성4,000
등인僜人Deng미식별 민족티베트 닝치시2,000
곤격인昆格人Kunge부랑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1,656 (338호)
팔갑인八甲人Bajia부랑족, 이족, 다이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1,500
커리야인克里雅人Keriya위구르족신장 호탄 지구1,300타클라마칸 사막의 깊은 곳에서 살아가며, 아리 구게 왕조의 후예라는 설이 있다.
예인羿人Yi (Yiren)한족, 거라오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330
만미인曼咪人Manmi부랑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1,000
강가인康家人Kangjia회족칭하이성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500 - 600
망인莽人Mang부랑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568
탁무인(퉈마오인)托茂人Tomao/Tuomao회족신장, 칭하이성500무슬림 소수 집단으로, 몽골어를 바탕으로 아랍어, 페르시아어가 섞인 말을 사용한다.
노품인老品人Laopin다이족, 미식별 민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233 (52호)
채족인菜族人Caizu한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170 (32호)
애인诶人좡족5,000
표족인标族人한족80,000
차동인茶洞人대부분 한족, 일부분 좡족20,000
가융인哥隆人한족60,000
아농인阿侬人누족500
포노인包瑙人요족30,000
격노인格鲁人Gelu티베트족120,000
고챵인顾羌人Kuqiang티베트족6,000
무인茂人Mao티베트족8,000
목아인木雅人티베트족10,000
얼소인尔苏人티베트족20,000
나무이인纳木依人티베트족6,000
얼공인尔龚人티베트족40,000
각역인却域人티베트족20,000
납기족拉基族Laji이족2,000
토생 포르투갈인土生葡人Macanese포르투갈 후예 주민 (마카오 기본법 제42조)마카오4,000
보표인普标人Pubiao이족300
재와인载瓦人징포족80,000
샨족인掸族人Shan일부는 부이족이나 좡족,일부는 미식별 민족
자래채인者来寨人Zhelaizhai한족400
야쿠트인雅库特人Yakut예벤키족2,600


2. 1. 1. 부누인 (布努人)

부누인은 광시 좡족 자치구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으로, 인구는 약 70만 명이다.[2] 이들은 야오족으로 분류되지만, 흐몽어를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2]

2. 1. 2. 천청인 (穿青人)

천청인(穿靑人)은 구이저우성 비제시를 중심으로 약 67만 명이 거주하는 중국의 미식별 민족이다. 이들은 한족 군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지만, 스스로는 별개의 집단으로 여기며, 대부분 안순시 지역에 거주한다.[2] 다른 지역 주민들은 이들을 "다 자오 반"(큰 발) 또는 "다 시우즈"(큰 소매)라고 부르기도 한다.[2] 천청인은 우셴(五显)이라는 신을 숭배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2]

2. 1. 3. 와샹인 (瓦乡人)

와샹인(와향인)은 후난성에 거주하며, 한족, 묘족, 투자족 등으로 분류되지만,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7] 인구는 약 40만 명으로 추산된다. 많은 와샹인들은 먀오족으로 지정되었으며, 일부는 투자족 또는 한족으로 지정되었다.

2. 1. 4. 투르크멘인 (土庫曼族)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거주하는 투르크멘인(투르크멘어: Türkmenler|투르크멘레르tk, 중국어: 土庫曼族|투쿠만족중국어)은 공식적으로 우즈베크족으로 분류되지만, 투르크메니스탄투르크멘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 이들은 주로 투르크멘어와 관련된 언어를 사용한다.

2. 1. 5. 혁가인 (革家人)

혁가인(革家人)은 구이저우성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 집단이다. 먀오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미식별 민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2]

명칭혁가인
중문 명칭革家人
영문 명칭Gejia
공식 귀속먀오족, 미식별 민족
분포구이저우성
인구50,000명


2. 1. 6. 애이누인 (艾努人)

애이누인(아이누족)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호탄 지구(허톈 지구)에 주로 거주하며, 위구르족으로 분류된다.[2] 그러나 이들은 위구르어와 다른 애이누어를 사용하고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는 등 민족적, 언어적으로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2] 인구는 약 50,000명이다.[2] 홋카이도와 사할린의 아이누와는 관련이 없다.

2. 1. 7. 회휘인 (回辉人)

회휘인은 하이난성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공식적으로 회족으로 분류되지만, 참파 멸망 이후 베트남에서 피난 온 참족의 후예로 여겨진다.[15] 인구는 약 8,500명이다.

2. 1. 8. 카이펑 유대인 (开封犹太人)



카이펑 유대인은 허난성 카이펑시에 거주하는 중국 내 유대인 집단이다. 이들은 회족, 한족 또는 미식별 민족 등으로 분류되지만, 일부는 유대교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15] 이들은 유대인 실크로드 상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2. 1. 9. 푸위 키르기스인 (富裕柯尔克孜人)

푸위 키르기스인은 헤이룽장성 푸위현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다. 이들은 중국 정부에 의해 키르기스족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키르기스인과 큰 관련이 없으며 오늘날의 하카스인과 더 가깝다.[2] 인구는 약 1,400명이다.[2]

2. 1. 10. 셰르파족 (夏尔巴人)

셰르파족()은 중국 내 미식별 민족 중 하나로, 인구는 약 2,000명 정도이다. 이들은 주로 티베트 자치구에 거주하며, 족계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1]

2. 1. 11. 알바진인 (阿尔巴津人)

알바진인(Албазинцы|Albazintsyru)은 17세기부터 러시아에서 청나라로 이주해 온 러시아인들의 후손이다. 이들은 주로 만주족으로 분류되지만, 일부는 러시아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2] 인구는 약 500명 정도이다.[12]

2. 1. 12. 모수인 (摩梭人)

모수인은 윈난성쓰촨성에 거주하며, 윈난성에서는 나시족으로, 쓰촨성에서는 몽골족으로 분류된다.[2] 인구는 약 40,000명이다.[2]

2. 1. 13. 기타 미승인 민족

명칭중문 명칭영문 명칭공식 귀속분포인구설명
부누인(포노인)布努人Bunu요족광시 좡족 자치구700,000흐몽어를 사용하는 야오족 계통의 민족이다.[2]
천청인穿青人Chuanqing한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 비제시670,000
와향인瓦乡人Waxiang한족, 묘족, 투자족후난성400,000
투르크멘인土庫曼族Turkmen우즈베크족신장 위구르 자치구85,000
혁가인革家人Gejia묘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50,000
애이누인(애노인)艾努人Äynu/Abdal위구르족신장 호탄 지구50,000위구르어와 다른 애이누어를 사용하고 시아파 이슬람을 믿는다.
채가인蔡家人Caijia한족, 바이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40,000바이어와 가까운 채가어를 사용한다.
동가인东家人Dongjia써족구이저우성40,000
고총인苦聪人Kucong라후족윈난성40,000
목료인木佬人Muxi이족, 무로족구이저우성, 저장성30,000
백마인白马人Baima티베트족간쑤성, 쓰촨성15,000저족(氐族)의 후예로 여겨진다.
용가인龙家人Longjia한족, 바이족, 부이족구이저우성10,000
서가인西家人Xijia묘족구이저우성9,000
요가인绕家人Raojia요족구이저우성9,000
회휘인回辉人Utsul회족하이난성8,500참파 멸망 이후 피난한 참족의 후예이다.
노인卢人Lu (Luren)만주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7,747
크무족克木族Khmu부랑족윈난성7,000
구게인(고격인)古格人Guge칭하이에서는 한족, 윈난성에서는 티베트족으로 분류칭하이 하이둥시, 윈난성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티베트 라싸5,000
아카인阿卡人Akha하니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6,000
비소인毕苏人Bisu란창현 등지는 라후족, 멍하이 현은 미식별 민족으로 분류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6,000
라오미안인老缅人Laomian라후족윈난성4,000
투바인图瓦人Tuvan몽골족신장 북단부3,900
등인僜人Deng미식별 민족티베트 닝치2,000
곤격인昆格人Kunge부랑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1,656 (338호)
팔갑인八甲人Bajia부랑족, 이족, 다이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1,500
푸위 키르기스인富裕柯尔克孜Fuyu Kyrgyz키르기스족헤이룽장성 푸위현1,400실제로는 키르기스인과 큰 관련이 없으며 오늘날의 하카스인과 가깝다.
커리야인克里雅人Keriya위구르족신장 호탄 지구1,300타클라마칸 사막의 깊은 곳에서 살아가며, 아리 구게 왕조의 후예라는 설이 있다.
예인羿人Yi (Yiren)한족, 거라오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330
만미인曼咪人Manmi부랑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1,000
카이펑 유대인(토생 유태인)开封犹太人(土生犹太人)Kaifeng Jew회족, 한족, 미식별 민족허난성 카이펑시600 - 1,000
강가인康家人Kangjia회족칭하이성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500 - 600
망인莽人Mang부랑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568
탁무인(퉈마오인)托茂人Tomao/Tuomao회족신장, 칭하이성500무슬림 소수 집단으로, 몽골어를 바탕으로 아랍어, 페르시아어가 섞인 말을 사용한다.
노품인老品人Laopin다이족, 미식별 민족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233 (52호)
채족인菜族人Caizu한족, 미식별 민족구이저우성170 (32호)
애인诶人좡족5,000
표족인标族人한족80,000
차동인茶洞人대부분 한족, 일부분 좡족20,000
가융인哥隆人한족60,000
아농인阿侬人누족500
포노인包瑙人요족30,000
격노인格鲁人Gelu티베트족120,000
고챵인顾羌人Kuqiang티베트족6,000
무인茂人Mao티베트족8,000
목아인木雅人티베트족10,000
얼소인尔苏人티베트족20,000
나무이인纳木依人티베트족6,000
얼공인尔龚人티베트족40,000
각역인却域人티베트족20,000
납기족拉基族Laji이족2,000
토생 포르투갈인土生葡人Macanese포르투갈 후예 주민 (마카오 기본법 제42조)마카오4,000
모수인摩梭人Mosuo윈난성나시족쓰촨성몽골족40,000
보표인普标人Pubiao이족300
재와인载瓦人징포족80,000
샨족인掸族人Shan일부는 부이족이나 좡족,일부는 미식별 민족
셰르파족夏尔巴人Sherpa족계 미확정2,000
부랴트인布里亚特人Buryat몽골족
자래채인者来寨人Zhelaizhai한족400
알바진인阿尔巴津人Albazinian만주족,일부는 러시아족500
야쿠트인雅库特人Yakut예벤키족2,600


3. 미승인 민족 관련 쟁점

중국에는 56개의 공인된 민족 외에도 수많은 미승인 민족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중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른 민족 집단에 포함되어 있거나 '미식별 민족'으로 분류된다.[2] 이러한 미승인 민족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언어, 문화, 관습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미승인 민족 중 일부는 상당한 인구 규모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추안칭족은 약 67만 명으로 한족으로 분류되지만, 독자적인 정체성을 주장하고 있다.[2] 링가오족은 약 5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좡족으로 등록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한족으로 등록되어 있다.[3] 이 외에도 왁시앙족, 토르구트족, 자롱족 등 다양한 미승인 민족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자신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이라는 기치 아래 민족 통합을 강조하며, 소수민족의 독자적인 움직임을 경계하는 경향이 있어, 미승인 민족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때로는 차별과 억압을 받기도 한다. 특히, 신장 위구르 자치구티베트 지역의 소수민족 문제는 국제적인 관심사로, 중국 정부는 이 지역에서 '재교육 수용소'를 운영하며, 소수민족의 문화를 말살하고 강제 동화를 시도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 소수민족의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다음 표는 중국에 있는 미승인 민족의 일부를 나타낸다.

중국의 미승인 민족 (일부)
민족명 (영어)민족명 (중국어 간체/번체)인구분류지역
부누700,000야오족광시 좡족 자치구
추안칭670,000한족구이저우성
링가오
500,000한족 또는 좡족하이난성
왁시앙
400,000한족후난성
토르구트
150,000몽골족신장
자롱
120,000티베트족쓰촨성



더불어민주당 지지 관점에서는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에 대해 강제 동화와 문화 말살이라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다양한 민족의 공존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은 참고할 만하다.

3. 1.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 내 탈북민 중에는 중국의 미승인 민족 출신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중국에서 소수민족으로 인정받지 못해 차별과 억압을 겪었을 가능성이 크며, 탈북 과정에서도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을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와 시민사회는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은 강제 동화와 문화 말살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다양한 민족의 공존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은 참고할 만하다. 대한민국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국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소수 집단의 권리를 존중하고 문화 다양성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소수자와 약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이들의 인권 보호와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조

[1] 서적 Negotiating Ethnicity in China: Citizenship as a Response to the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2] 웹사이트 Bùnǔ Yáo léigōng miào de wénhuà nèihán jiědú http://www.pacilutio[...] 2021-06-06
[3] 서적 Zhōngguó dìlǐ https://books.google[...] Zhongguo renmin daxue shubao ziliaoshe 1986
[4] 간행물 Hua nan shi fan da xue xue bao: Journal of South China Normal University. She hui ke xue ban https://books.google[...] 1983
[5] 서적 Zhōngguó de mínzú shìbié: 56 gè mínzú de láilì https://books.google[...] Minzu chubanshe 2005
[6] 간행물 東南文化 https://books.google[...] 1987
[7] 간행물 Xiāngxī Wǎxiāng rénmín wèn shòuliè xísú chūtàn 2009
[8] 웹사이트 Jiědú: Měiguó wèihé huì yǒu 3200 míng Tǔěrhùtèrén? Tāmen shì zěnme dào dì Měiguó? https://www.163.com/[...] 2021-06-25
[9] 간행물 民族硏究 https://books.google[...] 1999
[10] 서적 Mòyǔ yánjiū https://books.google[...] Zhongyang minzu daxue chubanshe 2000
[11] 문서 Altai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2] 웹사이트 Left Behind: Japan's Wartime Defeat and the Stranded Women of Manchukuo http://japanfocus.or[...] 2015-05-22
[13] 간행물 Tuvans of Mongolia and China 1996
[14] 서적 On Diversity and Complexity of Languages Spoken in Europe and North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2014
[15] 웹사이트 Taking the Silk Route Back Home https://www.haaretz.[...] 2021-09-08
[16] 간행물 Shi jie zong jiao yan jiu https://books.google[...] 1990
[17] 웹사이트 Ili Turki https://www.ethnol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