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보미르 후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보미르 후자르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전 대주교였다. 그는 우크라이나 르비우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으로 이주하여 사제 서품을 받았다. 이후 로마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스투디테 형제회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77년 주교로 서품되었다. 2001년 리비우 대주교가 되었고, 같은 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2011년 시력 악화로 조기 사임했으며, 201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로 귀화한 사람 - 미헤일 사카슈빌리
    미헤일 사카슈빌리는 조지아의 정치인으로, 장미 혁명을 통해 대통령이 되어 부패 척결, 경제 개혁, 친서방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러시아-조지아 전쟁과 권위주의적 통치로 비판받았으며, 퇴임 후 우크라이나 망명, 국적 박탈, 조지아 귀국 후 수감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 우크라이나로 귀화한 사람 - 파르비즈 나시보우
류보미르 후자르
기본 정보
류보미르 후자르
본명류보미르 후자르
우크라이나어Любомир Ярославович Гузар
로마자 표기Liubomyr Yaroslavovych Huzar
직함
직위추기경, 키이우-할리치 주요 대주교
소속 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관구키이우
대교구키이우
임명일2005년 8월 29일
퇴임일2011년 2월 10일
이전 직위니사 인 리키아 명의 주교 (1996–2001)
리비우 주요 대주교 (2001–2004)
키이우 주요 대주교 (2004–2011)
다른 직위산타 소피아 아 비아 보체아 성당의 사제 추기경
서품 및 성좌
서품일1958년 3월 30일
서품자암브로시 안드레이 세니신
성좌일1977년 4월 2일
성좌자요시프 슬리피
추기경 서임일2001년 2월 21일
추기경 서임자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계급사제 추기경
개인 정보
출생 이름류보미르 후자르
출생일1933년 2월 26일
출생지폴란드 제2공화국 르부프 (현재의 르비우, 우크라이나)
사망일2017년 5월 31일
사망지키이우, 우크라이나
종교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거주지크냐지치, 키이우 주
기타
문장

2. 생애

류보미르 후자르는 1933년 폴란드령 르부프(현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났다.[1][2] 제2차 세계 대전소련군의 진격을 피해 가족과 함께 오스트리아를 거쳐 1949년 미국으로 이주했다.[4] 미국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958년 스탬퍼드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구 소속 사제로 서품되었다.[5]

사제 서품 후 미국에서 교육과 사목 활동을 하다가 1969년 로마로 건너가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스투디테 형제회에 입회하여 수도원장이 되었다. 1977년, 요시프 슬리피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서품되었는데, 이는 로마 교황청의 공식 승인 없이 이루어져 논란이 있었다.[6][7][8] 이후 스투디테 수도사들의 대수도원장으로 활동하며 우크라이나 내 수도원 설립에도 기여했다.

1995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UGCC)의 키예프 및 비슈호로드 대주교 관할 구역의 엑사르크(총대주교 대리)로 선출되었고, 1996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니사 디 리치아의 명목 대주교로 임명되며 교황청의 인정을 받았다.[7] 그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헌신을 보이기 위해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우크라이나 시민권을 취득했다.

2001년 1월, UGCC 주교 시노드에 의해 리비우의 대주교로 선출되었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를 승인하며 같은 해 2월 그를 추기경으로 서임했다.[7] 그는 2005년 교황 선출 회의에 참여했으며,[7] 교회 개혁을 논의하는 장크트갈렌 그룹의 일원이기도 했다.[10][11] 2005년 UGCC의 주교좌를 리비우에서 수도 키예프로 이전하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시력 악화로 인해[7] 2011년 2월 대주교직에서 조기 사임했으며,[14] 이는 UGCC 역사상 이례적인 일이었다. 사임 후에도 정신적 지도자로서 존경받다가 2017년 5월 31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5]

2. 1. 초기 생애와 사제 서품

그는 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당시 폴란드령 르부프)에서 야로슬라프 후자르[1]와 로스티슬라바 뎀추크 사이에서 태어났다.[2] 외할아버지 루카 뎀추크[3]는 1909년부터 1929년까지 즈보리우 흐로마다의 칼네 마을에 있는 부활 성당의 사제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진격하는 소련군을 피해 부모와 함께 고향을 떠나야 했다. 후자르 가족은 처음에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잠시 머물렀고, 1949년에는 미국으로 이주했다.[4]

1950년부터 1954년까지 미국 코네티컷주 스탬퍼드에 있는 성 바실 대학 신학교에서 공부했다. 이후 미국 가톨릭 대학교[5]와 포드햄 대학교에서도 학업을 이어갔다. 1958년 3월 30일 스탬퍼드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구 소속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2. 2. 사목 활동

1958년부터 1969년까지 그는 성 바실 대학교 신학대학에서 가르쳤고, 1966년부터 1969년까지는 뉴욕주 커혼크슨에 있는 성 삼위일체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에서 사목했다. 1969년, 후자르는 로마로 가서 3년간 교황청 우르바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그는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있는 스투디테 형제회 수도원에 들어가 1974년에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2. 3. 주교 서품과 활동

1977년, 후자르는 카스텔 간돌포의 한 예배당에서 요시프 슬리피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서품되었다. 이 서품식에는 지그리스의 명목 주교 이반 프라스코와 토론토 주교 이시도르 보레키가 함께 했다.[6][7] 당시 로마 교회법은 주교 서품에 로마 교황청의 승인(사도적 위임)을 요구했지만, 동방 교회의 법규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이 서품은 교황청의 승인 없이 이루어졌다. 이는 로마 교황청에 상당한 불쾌감을 안겨주었다.[8]

1978년에는 유럽과 아메리카 지역 스투디테 수도사들의 대수도원장(Archimandrite)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우크라이나에서의 활동을 넓혀나가, 1994년에는 우크라이나 테르노필주 콜로디이우카에 새로운 성 테오도르 스투디테 수도원을 세우는 데 기여했다.

1995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UGCC)의 주교 시노드는 그를 키예프 및 비슈호로드 대주교 관할 구역의 엑사르크(Exarch, 총대주교 대리)로 선출했다. 이듬해인 1996년 2월, 교황은 그를 니사 디 리치아의 명목 대주교로 임명하며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7] 같은 해 10월 14일, UGCC 주교 시노드는 후자르를 리비우 대주교의 보좌 주교(특별 대표 권한 소유)로 임명했다. 1999년 10월에는 유럽을 위한 제2차 특별 총회에 참석했다.[7]

한때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우크라이나로 이주한 후에는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우크라이나 시민권을 취득하여 우크라이나에 대한 그의 헌신을 보여주었다.

2. 4. 대주교와 추기경

2000년 12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후자르를 우크라이나 그리스 대교구 리비우의 사도적 관리자로 임명했고,[7] 2001년 1월 우크라이나 그리스 시노드는 그를 대주교로 선출했으며, 이는 다음날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7] 그해 2월 2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후자르를 산타 소피아 아 비아 보체아(Santa Sofia a Via Boccea)의 추기경 사제로 임명했다.[7]

후자르 추기경은 2005년 교황 선출 회의에 참가한 세 명의 동방 가톨릭 신자 중 한 명이었다.[7] 다른 두 명은 시리아 가톨릭 교회의 이그나티우스 모세 1세 다우드(Ignatius Moses I Daoud)와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교회의 바르키 비타야틸(Varkey Vithayathil)이었다. (마론파(Maronite Church)의 나스랄라 부트로스 스페이르(Nasrallah Boutros Sfeir)와 콥트 가톨릭 교회(Coptic Catholic Church)의 스테파노스 2세 가타스(Stéphanos II Ghattas)는 모두 80세 이상이어서 참여할 수 없었다.) 그 교황 선출 회의에서 그는 교황 후보로 여겨진 추기경 중 한 명이었으며,[9] 이는 동방 가톨릭교회에서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또한 후자르 추기경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대주교로서는 처음으로 추기경 선거인 자격으로 교황 선출 회의에 참여했다.

후자르는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스위스 장크트갈렌에서 매년 모여 주교 임명, 공의회, 주교 회의, 교황 수위권 및 성적 도덕과 관련한 개혁을 논의한 약 12명의 뜻을 같이하는 유럽 고위 성직자 중 한 명이었다. 그들은 서로 의견이 달랐지만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이 다음 교황 선출 회의에서 자신들이 선출되기를 바라는 후보와는 다른 종류의 인물이라는 데 동의했다.[10][11]

리비우의 대주교 주교좌는 2005년 8월 21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로 옮겨졌다. 그는 추종자들로부터 키예프-갈리치아의 총대주교로 추앙받았지만, 이 칭호는 성좌에서 인정하지 않았다.

2007년 10월, 후자르는 미국 UGCC의 첫 번째 주교 임명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 가톨릭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008년 2월에는 후자르 추기경의 75번째 생일과 사제 서품 50주년을 기념하는 축하 전례가 로마의 산타 소피아 대성당에서 열렸다. UGCC 수장은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환영을 받았으며, 그의 연설은 레오나르도 잔드리 추기경의 비서인 마우리치오 말베스티티 몬시뇰이 대독했다.[13] 같은 해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후자르 추기경에게 현명공 야로슬라프 훈장 (3등급)을 수여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민족의 정신적 부흥에 대한 탁월한 개인적 공헌, 오랜 교회 활동, 그리고 그의 75세 생일을 기념하여" 최고 국가 훈장을 받았다.

치료받지 못한 눈 질환으로 시력이 악화되어[7] 교회의 복잡한 전례 의식을 암기해야 했던 그는 2011년 2월 10일 조기 사임을 수락받았다.[14] 일반적으로 대주교는 종신직을 수행하며, 우크라이나 대주교가 생존해 있는 동안 직무를 떠난 것은 1882년 이후 처음이었다. 후자르 추기경의 사임은 한 달 이내에 시작해야 하는 새로운 대주교 선출을 위해 전 세계 주교들로 구성된 우크라이나 교회의 시노드 회의를 촉발했다. 그동안 리비우의 대주교인 이호르 보즈니악, C.SS.R.이 관리자로 재임했다. 새 대주교인 스뱌토슬라프 솁추크는 3월 23일 우크라이나 시노드에 의해 선출되었고, 2011년 3월 25일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해 확정되었다.

2013년 2월 26일,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사임 발표 2일 전, 후자르 추기경은 80세가 되어 교황 선출 회의에 참여할 권리를 잃었다.[7] 그는 2017년 5월 31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5]

3. 평가와 유산

류보미르 후자르 추기경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지도자로서 교회의 재건과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소련 해체 이후 혼란기에 교회를 안정시키고 신자들의 영적 구심점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후자르 추기경은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노력한 종교 지도자였다. 특히 2004년 오렌지 혁명 당시에는 국민들에게 분열 대신 통합을 강조하고 평화적인 시위를 통해 민주주의를 실현할 것을 호소하며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는 당시 우크라이나 사회의 민주화 과정에서 중요한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종교 지도자로서 그는 다른 종교와의 대화와 화합에도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사회적 약자를 돕고 정의를 실현하는 데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우크라이나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유산을 남겼다.

참조

[1] 웹사이트 Greek Catholic Church. Stanislau (Stanislau). Metrical books, 1783-1931. Volume 631-1/707 Births 1890-1901 https://www.familyse[...]
[2] 웹사이트 Ростислава Олександра Демчук (Гузар) b. 3 мај 1904 d. 23 август 1992 - Родовид https://sr.rodovid.o[...] 2023-05-09
[3] 웹사이트 Лука Демчук b. 1873 d. 6 март 1929 - Родовид https://sr.rodovid.o[...] 2023-05-09
[4] 웹사이트 A Church that was supposed to disappear http://www.zenit.org[...] Zenit News Agency 2010-11-15
[5] 웹사이트 Чим дивує вулиця Кардинала Гузара у Львові - lviv-future.com.ua https://lviv-future.[...] 2023-05-09
[6] 웹사이트 Apostolische Nachfolge. Ukraine. German [English] site of the German CSSp Province http://www.apostolis[...]
[7]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s://web.archive.[...]
[8] 서적 Codex iuris canonici (1917) http://www.intratext[...] IntraText 2022-03-03
[9] 웹사이트 The Word from Rome http://nationalcatho[...]
[10] 뉴스 Cardinal Danneels Admits to Being Part of 'Mafia' Club Opposed to Benedict XVI http://www.ncregiste[...] 2015-09-24
[11] 뉴스 Cardinal Danneels' Biographers Retract Comments on St. Gallen Group http://www.ncregiste[...] 2015-09-26
[12] 웹사이트 RISU News http://www.risu.org.[...] 2023-05-09
[13] 뉴스 Pope Honors Head of UGCC on Priesthood Anniversary RISU News 2008-02
[14] 뉴스 RINUNCIA DELL’ARCIVESCOVO MAGGIORE DI KYIV-HALYČ http://press.Catholi[...]
[15] 뉴스 Помер Любомир Гузар https://www.bbc.com/[...] 2023-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