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노삼성 SM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노삼성 SM7은 2004년 출시되어 2020년 단종된 르노삼성자동차의 준대형 세단이다. 1세대 모델은 닛산 티아나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2008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2세대는 르노삼성 SM5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2011년에 출시되었으며, 2014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SM7 노바가 출시되었다. SM7은 2.3L, 2.5L, 3.5L V6 가솔린 엔진과 2.0L LPG 엔진을 탑재했으며, 2012년부터 르노 탈리스만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시장에 판매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노코리아의 차종 - 르노코리아 QM6
    르노코리아 QM6는 르노코리아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중형 SUV로, 2016년 대한민국에서 처음 출시되어 디젤, 가솔린, LPG 엔진 모델이 추가되었고, 2019년에는 SUV 최초로 LPG 모델이, 2023년에는 2인승 밴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2024년 4월 르노 QM6로 차명이 변경되었다.
  • 르노코리아의 차종 - 삼성 야무진 SV110
    1998년 11월에 출시된 삼성 야무진 SV110은 닛산 아틀라스 100을 기반으로 닛산 TD27 엔진을 탑재하고 에어컨과 케이블 파킹 브레이크를 기본 장착한 삼성상용차의 1톤 트럭이었으나, 프레임 강성 부족과 인지도 부족으로 2000년 11월에 단종되었다.
  • 2004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GT
    포드 GT는 포드가 제작한 고성능 스포츠카로, 1세대와 2세대 모델이 있으며, 각 세대는 기념적인 배경과 특징적인 엔진, 한정 생산, 레이싱 활약 등을 통해 포드의 기술력을 보여준다.
  • 2004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모닝
    기아 모닝은 2004년 기아 비스토의 후속으로 출시되어 대한민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서 판매되는 경차로, 모델 체인지를 거치며 디자인, 안전성,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르노삼성 SM7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정보
제조사르노삼성자동차
별칭르노 탈리스만(중국)
생산 기간2004년–2019년
모델 연도2005–2020
차종준대형차/Executive car (E)
차체 형식4도어 세단
구동 방식전륜구동
차대모노코크
엔진
연료가솔린(2004년~2020년)
LPG(2015년~2020년)
변속기
종류자동 4단(2004년~2006년)
자동 5단(2004년~2011년)
자동 6단(2011년~2020년)
CVT(2015년~2020년)
크기
기타 정보
관련 차량르노삼성 SM5
닛산 티아나(J31)
닛산 알티마(L32)
르노 래티튜드
르노 탈리스만
조립 장소부산광역시 강서구

2. 역사

르노삼성자동차의 SM7은 닛산 티아나를 기반으로 2004년 12월에 처음 출시되었다.[1][2] 2002년 10월부터 닛산 J31 플랫폼을 바탕으로 "EX"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 이 플랫폼은 닛산 티아나 및 6세대 닛산 맥시마와 하부 구조를 공유했다.[3]

초기 모델은 닛산티아나를 기본으로 하되, 한국 도로 사정과 소비자 취향에 맞게 내외장을 개선했다. 엔진은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형 NEO VQ23과 NEO VQ35를 탑재했다. VQ35 엔진 탑재 차량은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AT)를 사용했다.

2006년 5월에는 "SM7 Premiere"가 출시되었는데, 30GB HDD를 탑재한 텔레매틱스 단말(INS700)과 7인치 모니터의 3D 내비게이션을 갖추고 있었다. 2006년 9월에는 NEO VQ23 엔진 탑재 차량의 AT가 4단에서 5단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 1월에는 현대 제네시스 등 경쟁 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아트라는 서브 네임이 추가되었다. 2009년 4월 1일에는 프레스티지 트림을 추가하여 상품성을 강화했다.

2세대 SM7은 3세대 르노삼성 SM5(L43)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2011년 8월에 출시되었다.

2014년 9월 2일에 부분 변경 모델인 뉴 SM7 노바가 출시되었다. QM3부터 시작된 르노삼성자동차의 패밀리 룩이 적용되었다. 같은 해 9월 4일 서병수 부산광역시장에쿠스 대신 관용차로 뉴 SM7 노바 1호차를 선택했다.[35]

2015년 8월 3일에는 SM5에 적용되는 140마력 I4 2.0ℓ DOHC LPG 엔진과 CVT가 장착된 LPe 트림이 출시되었다.[36] 2019년 3월 26일 LPG 차량의 일반인 판매가 허용되면서, I4 2.0ℓ LPG 엔진 장착 사양의 민수 판매가 시작되었다.[37] 2019년 9월 10일 생산이 중단되었고, 2020년 1월 재고 소진 후 최종적으로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2. 1. 1세대 (EX2/LF, 2004년-2011년)

1세대 SM7은 닛산 티아나(J31)를 기반으로 2004년 12월에 출시되었다.[1][2] 르노삼성자동차는 2002년 10월, 닛산 J31 플랫폼을 기반으로 "EX"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이 플랫폼은 닛산 티아나 (아시아 시장) 및 6세대 닛산 맥시마 (유럽, 북미, 호주)와 하부 구조를 공유했다. 2004년 11월 30일에 고급 모델로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티아나와 차별화를 위해 더욱 견고한 이미지를 주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 차는 뛰어난 안전 장비를 기본으로 갖추고 있었으며, SE, XE, LE, XE35, RE35의 5가지 트림 레벨로 출시되었다.[3]

초대 모델은 닛산티아나를 기반으로 한 닛산의 플래그십 모델이었으며, 내외장을 한국의 도로 사정과 한국인의 취향에 맞게 개선하여 등장했다. 엔진은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형 NEO VQ23과 NEO VQ35 엔진을 탑재했다. VQ35 탑재 차량은 내구성과 비용 문제로 엑스트로닉 CVT-M6가 아닌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AT)를 사용했다.

기계적인 측면에서는 인텔리전트 키나 대형 액정 모니터, 리어 멀티 링크 서스펜션 등 티아나의 장점을 계승했다. 외관은 고급스러움과 독자성을 강조하기 위해 티아나뿐만 아니라 SM5와도 차별점을 두었다.

2006년 5월에는 "SM7 Premiere"가 등장했는데, 30GB HDD를 탑재한 텔레매틱스 단말(INS700) 외에 7인치 모니터의 3D 내비게이션 등을 탑재한 모델이다. 이 시스템은 SK Telecom의 NATE Drive 또는 KTF의 K-ways 및 블루투스 탑재 휴대폰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 정보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었다. 2006년 9월에는 NEO VQ23 엔진 탑재 차량의 AT를 4단에서 5단으로 변경했다.

2. 1. 1. SM7 (2004년 12월-2008년 1월)

2004년 12월 1일SM5의 상급 차종이자 르노삼성자동차의 기함으로 출시되었다. 닛산 티아나(1세대)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독자성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대형 프론트 및 리어 범퍼, 후드 탑 엠블렘, LED 리어 램프 등을 적용하여 차별화를 꾀했다.[27]

르노삼성 SM7 정측면


르노삼성 SM7 후측면


V6 2.3L 및 3.5L 닛산 VQ 엔진을 탑재하였다. 2.3L 엔진에는 자동 4단 또는 5단 변속기가, 3.5L 엔진에는 자동 5단 변속기가 적용되었다. 2006년 5월 2일에는 고급 사양을 더한 프리미에르 모델을 8월까지 한정 판매했으며,[28] 9월 1일부터는 V6 2.3ℓ 가솔린 엔진에 선택 사양이었던 5단 자동변속기가 기본 사양이 되었다.[29]

구분V6 2.3ℓ 가솔린V6 3.5ℓ 가솔린
전장(mm)4945mm
전폭(mm)1790mm
전고(mm)1475mm
축거(mm)2775mm
윤거(전, mm)1540mm(R16)
1530mm(R17)
윤거(후, mm)1545mm(R16)
1535mm(R17)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4단
자동 5단
자동 5단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VQ23VQ35
연료가솔린
배기량(cc)2,3493,498
최고 출력(ps/rpm)170/6,600217/5,600
최대 토크(kg*m/rpm)23.0/4,40032.0/3,500
연료 탱크 용량(ℓ)70L
공차 중량(kg)1,555(자동 4단)/
1,565(자동 5단)
1,580(자동 5단)
연비(km/ℓ)9.8(자동 4단)/
9.8(자동 5단)
9.0(자동 5단)



2008년 1월에 SM7 뉴 아트로 페이스 리프트를 거쳤다.

2. 1. 2. SM7 뉴 아트 (2008년 1월-2011년 8월)

르노삼성 SM7 뉴 아트 정측면


르노삼성 SM7 뉴 아트 후측면


현대 제네시스 등 경쟁 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2008년 1월 3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아트라는 서브 네임이 더해졌다. 헤드 램프를 비롯한 전면 디자인이 변경되어 SM5(2세대)와 휀더 형상이 달라졌으며, 후면부 또한 리어 램프, 트렁크 리드, 리어 범퍼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삼성전자의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인 SPI 모듈이 기본 적용되었다.[30] 2009년 4월 1일에는 프레스티지 트림을 추가하여 상품성을 강화했다.

구분V6 2.3ℓ 가솔린V6 3.5ℓ 가솔린
전장(mm)4950mm
전폭(mm)1785mm
전고(mm)1475mm
축거(mm)2775mm
윤거(전, mm)1540mm(R16)
1530mm(R17)
윤거(후, mm)1545mm(R16)
1535mm(R17)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5단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VQ23VQ35
연료가솔린
배기량(cc)2,3493,498
최고 출력(ps/rpm)170/6,600217/5,600
최대 토크(kg*m/rpm)23.0/4,40032.0/3,500
연료 탱크 용량(ℓ)70L
공차 중량(kg)1,565(자동 5단)1,580(자동 5단)
연비(km/ℓ)9.8(자동 5단)9.0(자동 5단)
Co2 배출량(g/km)239(자동 5단)260(자동 5단)


2. 2. 2세대 (L47, 2011년-2020년)

2세대 SM7은 3세대 르노삼성 SM5(L43)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2011년 8월에 출시되었다.

2014년 9월 2일에 부분 변경 모델인 뉴 SM7 노바가 출시되었다. QM3부터 시작된 르노삼성자동차의 패밀리 룩이 적용되어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LED 주간 주행등에 변화를 주었다. '노바'는 라틴어로 신성을 의미하며, 새로운 유러피언 프리미엄 승용차를 표방했다.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와이파이를 활용한 스마트 미러링 시스템이 적용되었는데, 스마트폰과 차량 모니터를 와이파이로 연결하여 안드로이드 폰에서는 양방향 조작도 가능했다.[35] 같은 해 9월 4일 서병수 부산광역시장에쿠스 대신 관용차로 뉴 SM7 노바 1호차를 선택했는데, 부산 향토 기업인 르노삼성자동차를 살리겠다는 취지였다.[35]

2015년 8월 3일에는 SM5에 적용되는 140마력 I4 2.0ℓ DOHC LPG 엔진과 CVT가 장착된 LPe 트림이 출시되어 장애인용과 렌터카로 판매되었다.[36] 트렁크 공간을 넓히기 위해 스페어 타이어 공간에 도넛® 탱크를 적용하고, 스키스루 시트를 적용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2016년 7월 4일에는 2017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라인업이 단순화되고 스마트 커넥트와 피아노 블랙 인테리어가 기본 적용되었으며, 2가지 디자인의 18인치 알루미늄 휠을 무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I4 2.0ℓ LPG 택시 모델도 출시되었다. 2019년 3월 26일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LPG 차량의 일반인 판매가 허용되면서, I4 2.0ℓ LPG 엔진 장착 사양의 민수 판매가 시작되었다.[37] SM7의 모델 말년에는 2.0 DOHC LPG 모델이 판매 비중을 높였다. 2019년 9월 10일 생산이 중단되었고, 2020년 1월 재고 소진 후 최종적으로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2세대 SM7 제원
구분I4 2.0ℓ LPGV6 2.5ℓ 가솔린V6 3.5ℓ 가솔린
전장(mm)4995mm
전폭(mm)1870mm
전고(mm)1480mm
축거(mm)2810mm
윤거(전, mm)1565mm
윤거(후, mm)1565mm
승차 정원5명
변속기CVT자동 6단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M4RN2ZV5ZV
연료LPG가솔린
배기량(cc)1,9982,4953,498
최고 출력(ps/rpm)140/6,000190/6,000258/6,000
최대 토크(kg*m/rpm)19.7/3,70024.8/4,40033.7/4,400
연료 탱크 용량(ℓ)6070
공차 중량(kg)1,535(자동 6단)1,635(자동 6단)1,640(자동 6단)
연비(km/ℓ)도심 7.8/고속 9.9/복합 8.6(자동 6단)도심 8.9/고속 12.2/복합 10.2(자동 6단)도심 8.2/고속 11.7/복합 9.4(자동 6단)
Co2 배출량(g/km)155(자동 6단)174(자동 6단)188(자동 6단)


2. 2. 1. 올 뉴 SM7 (2011년 8월-2014년 9월)

2011년 4월 서울 모터쇼에서 '''SM7 컨셉트'''라는 이름의 쇼카로 처음 공개되었다.[21] 닛산 푸가(인피니티 M) 기반 후륜구동 방식으로 개발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SM5(3세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전륜구동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파워트레인은 3세대 닛산 VQ 엔진 2종 (V6 2.5L 및 3.5L)을 탑재하고 6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했다. 르노삼성은 SE, LE, RE의 세 가지 트림 레벨을 선보였다. 트림에 따라 3존 자동 에어컨, 향상된 ABS 시스템, 특수 머리 받침대, 향수 디퓨저, 마사지 시트, 듀얼 스테이지 에어백, 패들 시프트 및 압력 감지 댐퍼 등이 포함된다.[11]

신차 개발에는 32개월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약 4000억 (2.7억유로)의 비용이 들었다.[9]

2012년에는 르노 탈리스만으로 중국 시장에 수출을 시작했다.[6] 2001년 컨셉트 카에서 이름을 따왔으며[17], 2012년 오토 차이나에서 공개되었다.[18]

올 뉴 SM7 트림별 엔진 라인업 (2011년 8월 ~ 2014년 9월)
엔진트림명비고
V6 2.5ℓ 가솔린SE2016년 단종
LE2016년 단종
LE 아트 컬렉션2013년 출시, 2013년 단종
LE 아트 컬렉션 Ⅱ2014년 출시
LE 파노라마2014년 출시, 2014년 단종
LE S/S 컬렉션2014년 출시
RE2016년 단종
V6 3.5ℓ 가솔린SE352013년 단종
LE352016년 단종
RE352016년 단종
V6 352016년 출시


2. 2. 2. 뉴 SM7 노바 (2014년 9월-2020년 1월)

2014년 9월, 르노삼성자동차는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된 SM7 노바를 공개했다. '노바'는 라틴어로 '신성(새로운 별)'을 의미한다.[16] QM3에서 선보인 디자인과 유사하게 르노삼성의 새로운 패밀리룩 디자인이 적용되었는데, 보닛, 헤드램프, 라디에이터 그릴, 주간주행등이 포함된 범퍼, 펜더 등이 모두 새롭게 디자인되었다.[14][15] 하지만 차체 크기는 이전 모델과 동일하다.

르노삼성 SM7 노바 후면


또한, 대한민국 자동차 최초로 Wi-Fi를 활용한 스마트 미러링 시스템이 탑재되었다.[15] 이는 스마트폰과 차량 모니터를 Wi-Fi로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는 차량 모니터와 스마트폰 양방향 조작이 가능했다. 엔진은 기존과 동일한 V6 2.5L 및 3.5L 닛산 VQ 엔진이 탑재되었다.

2015년에는 2.0L LPG 모델인 SM7 LPe가 출시되었다. SM7 LPe는 SM5와 동일한 2.0L LPLi 엔진을 사용하며, 트렁크 공간 활용성을 높인 도넛형 LPG 탱크를 적용했다. SM7 LPe는 장애인 및 렌터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출시되었다.

2016년에는 엠블럼 서체가 SM6와 동일하게 변경되는 등 상품성이 개선되고, 트림이 단순화된 2017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2019년 3월에는 LPG 차량 일반인 판매가 허용됨에 따라 2.0L LPG 모델의 민수 판매가 시작되었다.

2019년 12월, 르노삼성 SM7은 SM6에 통합되는 형태로 생산이 중단되었으며,[20] 2020년 1월 재고가 모두 소진되어 판매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르노삼성 SM7 노바 제원
구분내용
엔진V6 2.5L / 3.5L VQ 가솔린, 2.0L CVTC LPLi
변속기6단 자동변속기 (V6 모델, 패들 시프트 포함), CVT (LPLi 모델)
구동 방식FF
전장 (mm)4995mm
전폭 (mm)1870mm
전고 (mm)1480mm
휠베이스 (mm)2810mm


3. 디자인

1세대 SM7은 닛산 티아나(J31)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대형 프론트 및 리어 범퍼, 후드 탑 엠블럼, LED 리어 램프 등을 적용하여 차별화했다.[5] 2008년 1월 3일에는 "'''SM7 뉴 아트'''"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현대 제네시스에 대응하기 위해 헤드램프를 포함한 전면부 디자인을 완전히 변경하고, 후면부 역시 새로운 디자인의 범퍼 (유럽형 번호판 대응), 트렁크 리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채용했다.[5]

2011년 8월에 출시된 2세대 SM7은 2011년 4월에 공개된 SM7 콘셉트의 디자인을 계승하여 볼륨감 있고 유려한 라인이 특징이다.[8] 알레한드로 메소네로-로마노스가 디자인하였다. 2014년 9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SM7 노바(Nova|노바la)가 출시되었는데, QM3에서 소개된 르노삼성자동차의 새로운 패밀리룩 디자인을 적용하여 새로운 전면부 레이아웃을 갖추었다.[14]

3. 1. 1세대

2004년 12월, SM5의 상위 차종이자 르노삼성의 플래그십 모델로 출시되었다. 닛산 티아나(J31)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대형 프론트 및 리어 범퍼, 후드 탑 엠블럼, LED 리어 램프 등을 적용하여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했다.[5]

엔진은 티아나와 마찬가지로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형 NEO VQ23과 NEO VQ35 엔진을 탑재했다. VQ35 엔진에는 내구성과 비용 문제로 엑스트로닉 CVT-M6 대신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가 사용되었다. SM7의 등장으로 이듬해 출시된 2세대 SM5에는 V6 엔진 탑재 모델이 제외되었다.

기계적인 측면에서는 인텔리전트 키나 대형 액정 모니터, 리어 멀티 링크 서스펜션 등 티아나의 장점을 계승했다. 외관은 티아나 및 SM5와 차별화하여, 전후 범퍼, 대형 프런트 그릴, 보닛, 전용 트렁크 리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렌즈 등에서 독자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부품들은 티아나뿐만 아니라 SM5와도 형태가 달라 호환되지 않는다.

2006년 5월에는 "SM7 Premiere"가 출시되었다. 30GB HDD를 탑재한 텔레매틱스 단말(INS700), 7인치 모니터의 3D 내비게이션, 인 대시 타입 MP3/WMA 호환 6CD 체인저, SD/MMC/MS 메모리 카드 슬롯, USB 포트, Video AUX, 지상파/위성 디지털 방송 튜너, 리어 뷰 모니터를 탑재했다. 이 시스템은 SK Telecom의 NATE Drive 또는 KTF의 K-ways 및 블루투스 탑재 휴대폰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 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했다.

2006년 9월, NEO VQ23 엔진 탑재 차량의 자동변속기가 4단에서 5단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 1월 3일, "'''SM7 뉴 아트'''"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 새로운 전면 그릴과 함께 핸들링 및 가속 성능이 개선되었고, 차량 치수도 약간 변경되었다.[5] 대한민국 시장에서 경쟁 모델인 현대 제네시스에 대응하기 위해 헤드램프를 포함한 전면부 디자인을 완전히 변경하고, 후면부 역시 새로운 디자인의 범퍼 (유럽형 번호판 대응), 트렁크 리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채용했다. SM5와의 외장 부품 호환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했다. 각 엔진은 세부적인 개선을 통해 출력을 2~3% 정도 향상시켰다.

새로운 디자인의 알루미늄 휠과 미국 BOSE 사와 공동 개발한 10 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이 탑재되었고, 사이드 미러에는 후방 주차 시 변속 레버를 "R"로 하면 자동으로 조수석 측 사이드 미러가 아래로 향하는 기능과 방향지시등이 추가되었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슈퍼 플라즈마 이온 (SPI) 모듈"이 기본 장착되어, 공기 중 수증기를 분해하여 활성 수소와 산소 이온을 발생시켜 바이러스와 세균을 제거한다.

2009년 4월에는 2.3L RE 트림을 기반으로 전용 디자인 17인치 알루미늄 휠, "PRESTIGE" 로고가 새겨진 검은색 가죽 시트 및 매트, 킥킹 플레이트, 전용 검정색 우드 패널 등을 장착한 특별 사양 "프레스티지"(The PRESTIGE)가 추가되었고, 프레스티지 전용 색상으로 회색이 제공되었다.

2009년 10월 1일에는 2010년형 모델이 발표되었다. 가죽 시트 패턴이 변경되었고, 외장 색상에 NEW SM3에도 채용된 슈퍼 실버와 미드나잇 블루가 추가되었다. SE 트림을 기반으로 펀칭 가죽 시트, 선루프, 17인치 알루미늄 휠 등을 채용한 "SE PLEASURE (플레져)" 트림도 추가되었다.

2010년 6월에는 2011년형 모델이 발표되었다. 신규 색상인 라바 그레이가 추가되었고, 가죽 시트에 음이온 처리가 적용되었으며, 붉은색 나파 가죽 사양이 추가되었다. 17인치 휠에는 하이그로시 도장이 적용되었고, 전자식 룸미러와 뒷좌석 히터 시트가 전 모델에 기본 장착되었다.

일본에서는 2008년 6월에 기본 모델인 티아나가 풀 모델 체인지되었고, 2010년 1월에는 2세대 SM5도 풀 모델 체인지되었지만, SM7은 앞서 언급된 페이스리프트 덕분에 2011년 9월까지 계속 생산되었다.

구분V6 2.3ℓ 가솔린V6 3.5ℓ 가솔린
전장(mm)4,9454,945
전폭(mm)1,7901,790
전고(mm)1,4751,475
축거(mm)2,7752,775
윤거(전, mm)-
윤거(후, mm)-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4단/5단자동 5단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VQ23VQ35
연료가솔린
배기량(cc)2,3493,498
최고 출력(ps/rpm)-
최대 토크(kg*m/rpm)-
최고 속도(km/h)-
연료 탱크 용량(ℓ)-
요소수 탱크 용량(ℓ)-
공차 중량(kg)-
연비(km/ℓ)-
Co2 배출량(g/km)-


3. 2. 2세대

2세대 SM7은 2011년 8월에 대한민국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2011년 4월에 공개된 SM7 콘셉트의 디자인을 계승하여 볼륨감 있고 유려한 라인이 특징이다.[8] 신차 개발에는 32개월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약 4,000억 (2.7억유로)의 비용이 들었다.[9] 3세대 르노삼성 SM5 (L43)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알레한드로 메소네로-로마노스가 디자인했다.

파워트레인은 3세대 닛산 VQ 엔진 2종 (2.5 및 3.5L)과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바이-제논 어댑티브 헤드램프와 후면에 LED 램프가 통합된 전면 범퍼-그릴이 적용되었다.[11]

2014년 9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SM7 노바(Nova|노바la)가 출시되었다. 노바는 라틴어로 새로운 별을 의미한다.[16] QM3에서 소개된 르노삼성자동차의 새로운 패밀리룩 디자인을 적용하여, 새로운 전면부 레이아웃을 갖추었다.[14]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스마트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되었다.[15]

2015년 8월에는 SM7 최초로 4기통 엔진과 LPG 사양인 "SM7 LPe"가 출시되었다.

연도내용
2011년
2012년
2014년 9월 2일부분 변경 모델 "SM7 Nova" 출시. 라틴어로 "신성"을 의미하는 "Nova"를 서브 네임으로 추가.
2015년 8월 3일4기통 엔진과 LPG 사양 "SM7 LPe" 출시.
2016년 2월소폭 개선. 엠블럼 서체 변경.
2019년 12월SM6에 흡수 통합되는 형태로 판매 종료.



4. 성능

1세대 SM7은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 엔진(NEO VQ23, NEO VQ35)을 탑재했다.[4] VQ35 엔진 모델은 내구성과 비용 문제로 CVT 대신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했다.

엔진코드배기량출력토크
가솔린 엔진
2.3L V6Neo VQ232,349 cc170hp at 6,600 rpm225Nm at 4,400 rpm
3.5L V6Neo VQ353,498 cc217hp at 5,600 rpm314Nm at 3,500 rpm



2006년 9월에는 NEO VQ23 엔진 탑재 차량의 자동변속기가 4단에서 5단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 1월 3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SM7 뉴 아트"는 엔진의 세부 개선을 통해 출력이 소폭 향상되었다.[5]

엔진코드배기량출력토크
가솔린 엔진
2.5L V6VQ25 (2ZV)2,495 cc190hp (6,000 rpm)243Nm (4,400 rpm)
3.5L V6VQ35 (5ZV)3,498 cc258hp (6,000 rpm)330Nm (4,400 rpm)



2세대 SM7은 3세대 닛산 VQ 엔진 2종(2.5L 및 3.5L)을 탑재하여 더욱 강력한 성능을 발휘했다.[11] 6단 자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11]

엔진코드배기량출력토크
가솔린 엔진
2.5L V6VQ25 (2ZV)2,495 cc(6,000 rpm)(4,400 rpm)
3.5L V6VQ35 (5ZV)3,498 cc(6,000 rpm)(4,400 rpm)



개선된 VQ25 및 VQ35 엔진과, 자트코(JATCO) 6단 자동변속기와 르노삼성 최초로 패들 시프트가 조합되었다. 국산차 최초로 듀얼 배기 시스템을 채택했다.

2015년 8월에는 SM7 최초의 4기통 LPG 모델인 "SM7 LPe"가 출시되었다. 2.0L LPLi 엔진과 도넛 탱크를 채택했다.

4. 1. 1세대

2004년 12월, SM5의 상위 차종이자 르노삼성의 플래그십 모델로 출시되었다.[4]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 엔진(NEO VQ23, NEO VQ35)을 탑재했다.[4] VQ35 엔진 탑재 모델은 내구성과 비용 문제로 CVT 대신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했다.

엔진코드배기량출력토크
가솔린 엔진
2.3L V6Neo VQ232,349 cc170hp-metric at 6,600 rpm225Nm at 4,400 rpm
3.5L V6Neo VQ353,498 cc217hp-metric at 5,600 rpm314Nm at 3,500 rpm



인텔리전트 키, 대형 액정 모니터, 리어 멀티 링크 서스펜션 등 티아나의 장점을 계승하면서도, 외관은 티아나 및 SM5와 차별화했다. 전후 범퍼, 대형 프런트 그릴, 보닛, 전용 트렁크 리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렌즈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2006년 5월에는 "SM7 Premiere"가 출시되었다. 30GB HDD 텔레매틱스 단말(INS700), 7인치 3D 내비게이션, 6CD 체인저, 메모리 카드 슬롯, USB 포트, Video AUX, 지상파/위성 디지털 방송 튜너, 리어 뷰 모니터 등을 탑재했다. SK Telecom의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제공했다.

2006년 9월, NEO VQ23 엔진 탑재 차량의 자동변속기가 4단에서 5단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 1월 3일, "'''SM7 뉴 아트'''"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5] 현대 제네시스와의 경쟁을 위해 대대적인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헤드램프, 범퍼, 트렁크 리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이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엔진은 세부 개선을 통해 출력이 소폭 향상되었다.[5]

엔진코드배기량출력토크
가솔린 엔진
2.5L V6VQ25 (2ZV)2,495 cc190hp-metric (6,000 rpm)243Nm (4,400 rpm)
3.5L V6VQ35 (5ZV)3,498 cc258hp-metric (6,000 rpm)330Nm (4,400 rpm)



새로운 알루미늄 휠, BOSE 오디오 시스템, 사이드 미러(후방 주차 보조, 방향지시등 포함), 삼성전자의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SPI 모듈) 등이 탑재되었다.

2009년 4월에는 특별 사양 "프레스티지"가 추가되었다. 전용 디자인 휠, 검은색 가죽 시트, 검정색 우드 패널 등이 적용되었다. 10월에는 2010년형 모델이 출시되어 외장 색상(슈퍼 실버, 미드나잇 블루)이 추가되고, "SE PLEASURE" 트림이 추가되었다.

2010년 6월에는 2011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신규 색상(라바 그레이)이 추가되고, 가죽 시트에 음이온 처리 및 붉은색 나파 가죽 사양이 추가되었다. 전자식 룸미러와 뒷좌석 히터 시트가 전 모델에 기본 장착되었다.

2011년 9월, 판매가 종료되었다.

4. 2. 2세대

2세대 SM7은 3세대 르노삼성 SM5를 기반으로 2011년 8월에 출시되었다.[8] 개발에는 32개월 동안 약 4000억이 투입되었으며, 르노삼성의 R&D 부서에서 주도했다.[9][10]

2세대 SM7은 3세대 닛산 VQ 엔진 2종(2.5L 및 3.5L)을 탑재하여 더욱 강력한 성능을 발휘했다.[11] 6단 자동변속기가 제공되었으며, 바이-제논 어댑티브 헤드램프와 LED 램프가 통합된 디자인을 선보였다.[11]

엔진코드배기량출력토크
가솔린 엔진
2.5L V6VQ25 (2ZV)2,495 cc(6,000 rpm)(4,400 rpm)
3.5L V6VQ35 (5ZV)3,498 cc(6,000 rpm)(4,400 rpm)



SE, LE, RE의 세 가지 트림 레벨로 출시되었으며, 트림에 따라 3존 자동 에어컨, 향상된 ABS 시스템, 특수 머리 받침대, 향수 디퓨저, 마사지 시트, 듀얼 스테이지 에어백, 패들 시프트 및 압력 감지 댐퍼 등 다양한 편의/안전 사양이 제공되었다.[11]

플랫폼은 2세대 닛산 티아나 및 3세대 SM5와 동일한 닛산 D 플랫폼을 사용했지만, 차체는 전용 설계를 적용하여 차별화를 꾀했다. 전장 4,995mm, 전폭 1,870mm, 전고 1,480mm, 휠베이스 2,810mm로 이전 세대보다 크기가 확대되어 뒷좌석 공간이 70mm 넓어졌다.

엔진은 개선된 VQ25 및 VQ35 엔진 2종이 탑재되었으며, 자트코(JATCO) 6단 자동변속기와 르노삼성 최초로 패들 시프트가 조합되었다. 국산차 최초로 듀얼 배기 시스템을 채택했다.

뒷좌석 편의를 위해 항공기 퍼스트 클래스 시트에서 영감을 얻은 에어 내장형 헤드레스트와 마사지 시트, 뒷좌석 독립 3존 풀 오토 에어컨, 풋 램프 등을 적용했다. 파나소닉 8 스피커 시스템이 기본 제공되며, RE 트림에는 BOSE와 공동 개발한 12 스피커 라이브 사운드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2011년 4월 서울 모터쇼에서 "SM7 컨셉트"가 공개되었고,[21] 8월 16일에 "All-New SM7"으로 정식 출시되었다.[23] 2012년 5월에는 AVM(Around View Monitoring) 패키지가 추가되었고, 11월에는 2013년형 모델에 "스마트 ECO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BSW)이 추가되었다.

2014년 9월 부분 변경 모델인 "SM7 Nova"가 출시되었다. 라틴어로 "신성"을 의미하는 "Nova"를 서브 네임으로 사용했다. 르노 그룹의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여 전면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Wi-Fi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미러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2015년 8월에는 SM7 최초의 4기통 LPG 모델인 "SM7 LPe"가 출시되었다. 2.0L LPLi 엔진과 도넛 탱크를 채택하여 트렁크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2016년 2월에는 엠블럼 서체가 SM6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2019년 12월, SM6에 통합되는 형태로 판매가 종료되었다.

5. 기술

1세대 SM7은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 엔진(NEO VQ23, NEO VQ35)을 탑재했다. VQ35 엔진에는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고, VQ23 엔진에는 초기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다가 2006년 9월에 5단 자동변속기로 변경되었다. 닛산 티아나의 기술을 계승하여 인텔리전트 키, 대형 액정 모니터, 리어 멀티 링크 서스펜션 등을 적용했다.

2세대 SM7은 2.5L 및 3.5L 닛산 VQ 엔진 2종과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으며, 바이-제논 어댑티브 헤드램프와 LED 램프가 적용되었다.[11] 2013년형 모델에는 사각지대 경보 시스템, 새로운 위성 항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추가되었다.[13]

5. 1. 1세대

2004년 12월, SM5의 상위 차종이자 르노삼성의 플래그십 모델로 출시되었다. 닛산 이와키 공장에서 생산된 VQ 엔진(NEO VQ23, NEO VQ35)을 탑재했다. VQ35 엔진에는 자트코의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고, VQ23 엔진에는 초기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다가 2006년 9월에 5단 자동변속기로 변경되었다.

닛산 티아나의 기술을 계승하여 인텔리전트 키, 대형 액정 모니터, 리어 멀티 링크 서스펜션 등을 적용했다. 외관은 티아나 및 SM5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전후 범퍼, 대형 프런트 그릴, 보닛, 트렁크 리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렌즈 등이 특징이다.

2006년 5월에는 30GB HDD를 탑재한 텔레매틱스 단말(INS700), 7인치 모니터의 3D 내비게이션, 6CD 체인저 등을 갖춘 "SM7 Premiere"가 출시되었다. 이 시스템은 SK Telecom의 NATE Drive 등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8년 1월에는 현대 제네시스에 대응하기 위해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SM7 New Art'''"가 출시되었다. 헤드램프, 범퍼, 트렁크 리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이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엔진 성능이 개선되었고, 미국 BOSE 사와 공동 개발한 오디오 시스템, 삼성전자의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인 SPI 모듈 등이 적용되었다.

2009년 4월에는 특별 사양 "프레스티지"가 추가되었고, 10월에는 2010년형 모델이 발표되었다. 2010년 6월에는 2011년형 모델이 발표되었으며, 신규 색상과 음이온 처리된 가죽 시트 등이 적용되었다.

2011년 9월에 단종되었다.

5. 2. 2세대

2세대 르노삼성 SM7은 3세대 르노삼성 SM5를 기반으로 2011년 8월에 출시되었다. 신차 개발에는 32개월 이상, 약 4,000억 (2.7억유로)이 투입되었다.[9] 2.5L 및 3.5L 닛산 VQ 엔진 2종과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으며, 바이-제논 어댑티브 헤드램프와 LED 램프가 적용되었다.[11]

SE, LE, RE의 세 가지 트림으로 출시되었으며, 트림에 따라 3존 자동 에어컨, 향상된 ABS 시스템, 특수 머리 받침대, 향수 디퓨저, 마사지 시트, 듀얼 스테이지 에어백, 패들 시프트 등이 적용되었다.[11] 특히, 항공기 퍼스트 클래스 시트에서 영감을 받은 에이비에이션 헤드 레스트와 마사지 시트는 뒷좌석 승객의 편의성을 높였다.

2013년형 모델에는 사각지대 경보 시스템, 새로운 위성 항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추가되었고, 전면 그릴 디자인이 소폭 변경되었다.[13]

2014년 9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SM7 노바(Nova|노바la)가 출시되었다. QM3에서 선보인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함께 국내 최초로 Wi-Fi를 활용한 스마트 미러링 시스템이 적용되었다.[14][15]

2015년 8월에는 SM7 최초로 4기통 LPG 모델인 "SM7 LPe"가 출시되었다.

2019년 12월, SM6에 통합되는 형태로 판매가 종료되었다.

2세대 SM7 주요 변경 사항
연도주요 변경 내용
2011년 8월2세대 출시 (All-New SM7)
2012년 5월AVM(Around View Monitoring) 패키지 추가
2012년 11월2013년형 모델 출시 (스마트 ECO 매니지먼트 시스템,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BSW) 추가)
2014년 9월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 (SM7 Nova, 스마트 미러 시스템 추가)
2015년 8월LPG 모델 출시 (SM7 LPe)
2016년 2월엠블럼 서체 변경 (SM6와 동일)
2019년 12월판매 종료 (SM6에 통합)


6. 르노 탈리스만 (중국 시장)

'''르노 탈리스만'''은 르노삼성 SM7의 개정판으로, 2012년 6월부터 르노 브랜드로 중국 시장에서 판매된 모델이다.[19] 중국에서 르노의 플래그십(flagship) 세단이었다.[19]

탈리스만은 2001년 컨셉트 카에서 이름을 따왔으며[17], 2012년 오토 차이나에서 공개되었다.[18] 이 차의 도입 목표는 젊은 사업가들을 사로잡는 것이었다.[19]

2012년 3월 16일, 르노는 SM7을 기반으로 한 "탈리스만(TALISMAN, 塔利斯曼)"을 4월의 베이징 모터쇼에서 데뷔시킬 것을 발표하고, 티저 사진을 공개했다. 이후 4월 23일부터 개최된 동 쇼에서 발표되었다.

엔진은 기반이 된 SM7과 동일한 2.5L와 3.5L의 VQ 엔진을 탑재했다. 2.5L는 3개 트림, 3.5L는 2개 트림으로 출시되었다. 해당 차량은 중국 시장 전용의 고급 차종인 동시에,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에 필수적인 차종이며, 르노삼성의 실적을 보완하는 역할도 하였다.[24][25] SM7과의 차이점은 엠블럼류에 그쳤으며, 대부분의 부분은 SM7의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부산광역시에 있는 르노삼성 부산공장 생산분이 수입되었으며, 6월 14일 발표 및 인도가 시작되었다. "탈리스만"이라는 차명은 2001년에 발표한 컨셉트 카에 사용되었던 것이다.[26]

2016년에 단종되었다.

7. 라인업

SE영어 (Sensible Edition, 보급형 트림), LE영어 (Luxury Edition, 고급 트림), RE영어 (Royal Edition, 최고급 트림) 등의 명칭은 현재 없다.


  • V6 (2.5 V6)
  • V6 35 (3.5 V6)
  • 장애인용 (2.0 LPLi영어)
  • 택시/렌터카 사양 (2.0 LPLi영어)

8. 역대 슬로건


  • Better & Different영어 (뉴 SM7 노바)[1]
  • 좋은 차 그 이후 (올 뉴 SM7)[2]
  • The European Prestige영어 (올 뉴 SM7)[3]
  • 차가 사람을 사랑할 때 (올 뉴 SM7)[4]

9. 마케팅


  • "좋은 차 그 이후" (올 뉴 SM7)[31][32]
  • "The European Prestige" (올 뉴 SM7)[31][32]
  • "차가 사람을 사랑할 때" (올 뉴 SM7)[31][32]
  • "Better & Different" (뉴 SM7 노바)

9. 1. 1세대 (EX2/LF)

2011년 4월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SM7 컨셉트라는 쇼 카로 처음 공개되어 많은 관심과 높은 반응을 얻었다. 정식 출시에 앞서 2011년 6월에 이미지를 공개했고,[31] 그해 7월 19일에는 언론 발표회와 기자 시승회를 개최했다.[32] 독립 3존 풀 오토 에어컨, 에이비에이션 헤드 레스트, 소프트 디퓨전 기능, 마사지 시트, 스마트 에어백, 스포츠 모드, 패들 시프트 등의 사양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출시 이전에는 닛산 푸가(인피니티 M)를 바탕으로 한 후륜구동 방식으로 개발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33] 실제로는 SM5(3세대)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전륜구동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2012년 3월 19일부터 르노 탈리스만으로 중국 시장에 수출을 시작하였다. 11월 8일에는 타이어 공기압 자동 감지 시스템을 기본 적용하고, 바이 제논 어댑티브 헤드 램프의 색상을 블랙 베젤 또는 크롬 베젤 중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기존 오디오의 조작성을 개선한 프리미엄 오디오를 신규 적용한 2013년형이 선보였다. 2012년 6월 30일 이내까지 출고된 VQ 2.5 엔진 차량은 저공해 3종 차량 대상으로, 국내 동급 세단 중에서는 6기통으로는 유일하다.[34]

구분V6 2.5ℓ 가솔린V6 3.5ℓ 가솔린
전장(mm)4995mm
전폭(mm)1870mm
전고(mm)1480mm
축거(mm)2810mm
윤거(전, mm)1565mm
윤거(후, mm)1565mm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6단
서스펜션(전/후)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2ZV5ZV
연료가솔린
배기량(cc)2,4953,498
최고 출력(ps/rpm)190/6,000258/6,000
최대 토크(kg*m/rpm)24.8/4,40033.7/4,400
최고 속도(km/h)--
연료 탱크 용량(ℓ)70L
요소수 탱크 용량(ℓ)-
공차 중량(kg)1,635(자동 6단)1,640(자동 6단)
연비(km/ℓ)11.0(자동 6단)
(이후 도심 8.9/고속 12.2/복합 10.2(자동 6단)로 변경)
9.6(자동 6단)
(이후 도심 8.2/고속 11.7/복합 9.4(자동 6단)으로 변경)
Co2 배출량(g/km)212(자동 6단)
(이후 174(자동 6단)로 변경)
244(자동 6단)
(이후 188(자동 6단)으로 변경)


9. 2. 2세대 (L47)

2세대(L47) 모델은 2011년에 출시되었다. 2세대 티아나 및 3세대 SM5와 동일한 D 플랫폼을 사용했지만, 차체는 2세대 SM5와 공유했던 이전 세대와 달리 전용 설계로 변경되었다. SM5와 차별화를 위해 크기가 더 커졌으며, 뒷좌석 다리 공간이 1세대 대비 70mm 넓어졌다.[23]

엔진은 "VQ25"와 "VQ35" 두 종류이며, 모두 자트코(JATCO) 6단 자동변속기(6AT)를 사용한다. 르노삼성차 최초로 패들 시프트도 장착되었으며, 국산차 최초로 듀얼 배기 시스템을 채용했다.[23]

뒷좌석을 중시하여 항공기 퍼스트 클래스 시트에서 착안한 에어 내장형 헤드레스트와 마사지 시트, 뒷좌석을 효율적으로 냉난방하는 "뒷좌석 독립 3존 풀 오토 에어컨" 등을 채택했다. 오디오는 기본적으로 파나소닉 8 스피커 시스템이 기본이며, RE 트림에는 BOSE와 공동 개발한 12 스피커 라이브 사운드 시스템이 장착된다. "VIP 패키지" 옵션을 선택하면 뒷좌석 리클라이닝 기능, VIP 암레스트, 전동 리어 선셰이드,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 에어 내장 헤드레스트가 추가된다.[23]

전 차종에 스마트 에어백(2단계 에어백)과 커튼 실드 에어백을 장착했으며, 언덕길 밀림 방지 기능(HSA), 타이어 공기압 경고 시스템(TPMS),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KB)도 갖추고 있다.[23]

1세대는 2세대 등장 후에도 2011년 9월 말까지 병행 판매되었다.[21]

  • 2011년
  • 4월 - 서울 모터쇼에서 2세대 모델의 기반이 되는 "SM7 컨셉트"가 최초 공개되었다.
  • 6월 14일 - 시판형 사진 및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 7월 19일 - 사전 예약 시작.
  • 8월 16일 - "All-New SM7"으로 발표 및 판매 시작. 32개월의 기간과 4000억 이상을 투자하여 개발되었다.
  • 2012년
  • 5월 2일 - AVM(Around View Monitoring,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패키지 설정. 닛산의 어라운드 뷰 모니터와 거의 동일하다.
  • 11월 8일 - 2013년형 모델 출시. "스마트 ECO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BSW)을 새롭게 장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eoul show: Samsung teases sleek new SM7 sedan https://www.goauto.c[...]
[2] 웹사이트 Renault Samsung SM7 Concept Seoul show teaser - Drive https://www.caradvic[...]
[3] 웹사이트 르노삼성의 운전 재미가 살아있는 최고급세단 – SM7 http://www.autoview.[...] Autoview.co.kr 2014-03-27
[4] 웹사이트 Renault-Samsung SM7 in detail https://www.motor1.c[...]
[5] 웹사이트 Renault Samsung SM7 New Art 확고하고 차분한 감성의 진화 http://www.carlife.n[...] Carlife.net 2014-03-27
[6] 뉴스 2013 Renault Talisman teased – WorldCarFans http://www.worldcarf[...]
[7] 웹사이트 New SM7 http://www.renault.c[...]
[8] 웹사이트 SM7 컨셉트 온라인 이벤트 진행 http://www.autoview.[...] Autoview.co.kr 2014-03-26
[9] 웹사이트 Renault-Samsung SM7 in detail http://www.worldcarf[...] Worldcarfans.com 2012-08-02
[10] 웹사이트 Renault Samsung SM7 2011 Specifications http://reviews.in.88[...] 2012-08-02
[11] 웹사이트 신형 SM7 전격 공개···가격 3000만~3900만원대 http://www.hankyung.[...] Korea Economic Daily 2014-03-26
[12] 웹사이트 르노삼성, LPG차 'SM7 LPe' 판매 돌풍..그 이유는? http://m.dailycar.co[...] 2020-01-16
[13] 웹사이트 르노삼성, 2013 SM7 출시 http://auto.daum.net[...] Daum 2014-03-26
[14] 웹사이트 SM7의 재발견… 르노삼성 부활 이끌까? http://biz.chosun.co[...] Chosun 2014-09-07
[15] 웹사이트 Renault Samsung aims to sell 800 SM7 Nova sedans per month in 2014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4-09-07
[16] 웹사이트 Renault Samsung rolls out New SM7 "Nova" http://english.hanky[...] Korea Economic Daily 2014-09-07
[17] 웹사이트 Discover Renault Talisman on video http://blog.renault.[...] Renault Blog 2012-08-02
[18] 웹사이트 Renault Introduces Talisman Flagship Saloon at the Auto China 2012 http://carscoop.blog[...] Carscoop.com 2012-08-02
[19] 웹사이트 Auto China 2012: Renault Talisman aims at young businessmen http://www.4wheelsne[...] 4WheelNews.com 2012-08-02
[20] 웹사이트 르노삼성 'SM 3·5·7' 단종…'XM3·캡처·QM6' SUV 라인업으로 빈자리 채운다 http://m.etnews.com/[...] 2020-01-16
[21] 웹사이트 【ソウルモーターショー11】ルノーサムスン SM7 詳細画像…注目のサイドビュー http://response.jp/a[...] Response. 2011-05-12
[22] 웹사이트 Renault Samsung Debut New SM7 Saloon in South Korea http://carscoop.blog[...] Carscoop 2011-06-14
[23] 뉴스 新コンセプト準大型セダン 「All New SM7」 http://kr.news.yahoo[...] Yahoo!KOREA内オートウィークリー 2011-08-18
[24] 뉴스 現代車、中国人の好みに合わせた車で勝負…オートチャイナ2012きょう開幕(2)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2-04-23
[25] 뉴스 【北京モーターショー12】ルノーの最上級サルーン、タリスマン…ベースはサムスン http://response.jp/a[...] Response. 2012-04-24
[26] 웹사이트 Renault Slaps its Badge on the Samsung SM7 and Calls it the New Talisman Sedan http://carscoop.blog[...] Carscoop 2012-03-16
[27] 뉴스 뉴SM5―SM7 도대체 어디가 다르다는 거지?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5-01-21
[28] 웹사이트 르노삼성, 'SM7 프리미에르' 한정판매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6-05-02
[29] 웹사이트 르노삼성, 2007년형 SM시리즈 판매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06-09-01
[30] 웹사이트 르노삼성, SM7 프레스티지 모델 출시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9-04-01
[31] 웹사이트 르노삼성자동차, SM7 후속 모델 이미지 공개 https://news.naver.c[...] 매일경제신문 2011-06-13
[32] 웹사이트 신형 SM7 전격 공개···가격 3000만~3900만원대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1-07-17
[33] 웹사이트 'SM7' 후속, 그랜저보다 파격적...카이젠 엔진 탑재 http://www.gyotongn.[...] 교통신문 2011-03-21
[34] 웹인용 '[기자 블로그] 김광수 기자의 \'아! 차!\' (23)' https://news.naver.c[...] 2020-01-29
[35] 웹사이트 부산시장 관용차, 에쿠스에서 SM7으로 바뀐 사연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4-09-05
[36] 뉴스 르노삼성, SM7 노바 LPe 출시 '세제 혜택 등 최대 940만 원 절약'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5-08-03
[37] 뉴스 르노삼성, SM6·SM7 LPG 모델 일반인 판매 시작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9-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