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현대 그랜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대한민국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다. 1세대 모델은 미쓰비시 자동차와의 기술 제휴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쏘나타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독자 개발되었다. 그랜저는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으며, 현재는 7세대 모델(GN7)이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86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포터
    현대 포터는 1977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를 거치며 대한민국 상용차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현대자동차의 1톤급 소형 트럭으로, 4세대 모델인 포터 II는 페이스리프트와 엔진 개선, 안전사양 강화, LPG 터보 및 전기차 모델 출시 등 다양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고 있으며 기아 봉고와 경쟁하고 있고 안전성 및 과적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 1986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는 1936년부터 시작되어 여러 세대를 거치며 다양한 차체 형태와 디자인 변화, 향상된 성능, 안전 기술, 편의 사양을 통해 진화해온 메르세데스-벤츠의 중형차급 승용차 시리즈이며 현재는 11세대 모델이 판매 중이다.
현대 그랜저
자동차 정보
이름현대 그랜저
2023 현대 그랜저 캘리그래피 (GN7; 대한민국)
제조사현대자동차
별칭현대 아제라 (2005–현재)
생산년도1986–현재
차종대형차 (1986년~1998년)
준대형차 (1998년~현재)
조립울산광역시(1986년~1998년)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문방리(1998년~현재)
선행차량현대 그라나다
차체 형식4도어 세단
구동 방식전륜구동 (1986년–현재)
4륜구동 (2022년–현재)
차대모노코크
변속기수동 5단 (1986년~2005년)
자동 4단 (1987년~2005년)
자동 5단 (1998년~2010년)
자동 6단 (2009년~현재)
자동 8단 (2016년~현재)
연료가솔린 (1986년~현재)
디젤 (2014년~2018년)
LPG (1996년~1998년, 2001년~현재)
하이브리드 (2013년~현재)
관련 차량기아 K5
현대 다이너스티
현대 아슬란
현대 쏘나타
기아 K7
기아 K8
미쓰비시 데보네어
별칭미쓰비시 데보네어 (1~2세대)
현대 다이너스티 (2세대)
현대 XG (3세대)
현대 아제라(남아메리카, 중동, 중국) (4~7세대)
차량 분류
차급E-세그먼트

2. 1세대 (YFL, 각 그랜저) (1986년~1992년)

wikitext

1986년 7월 24일에 출시되었다. 사람들 사이에서는 직선이 많아 각이 져 보인다고 하여 '각(角)그랜저'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올림픽 공식 스폰서였던 대한민국 현대자동차일본 미쓰비시자동차공업과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차체와 디자인은 현대자동차가 담당하였고, 엔진과 파워트레인, 설계는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이 담당하였다. 대한민국산 대형차로는 최초로 전륜구동 방식이 채택되어 넓은 실내 공간을 구현하였고 대우 로얄 시리즈가 장악하던 대형차 시장의 선두를 빼앗은 이래, 대한민국산 고급 승용차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하였다. 처음에는 120마력 2.0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에 5단 수동변속기만 적용되었지만, 후에 2.4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며 2.0에도 자동변속기 옵션이 추가됐다. 일본 현지에서는 미쓰비시 데보네어(2세대)로 판매되었지만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 등 경쟁 차종에 밀려 인기를 많이 얻지 못했다. 1989년 9월에는 164마력 V6 3.0ℓ SOHC 사이클론 MPI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안전최고속도는 165km/h였다. V6 3.0 SOHC에는 ABS와 ECS가 적용되었으며, V6 레터링 및 사이드 가니쉬와 15인치 알루미늄 휠로 차별화를 꾀하였다. 이것과 함께 선보인 1990년형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차량의 코드명은 YFL로, Y카 쏘나타의 앞바퀴굴림 롱바디 차량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 그랜저 (전기형) 정측면


현대 그랜저 (전기형) 정측면


2022년 11월 14일에 출시한 7세대 그랜저(GN7)는 리어 글래스, 스티어링 휠 등에서 1세대 그랜저 디자인의 일부를 차용했다.[57]

2. 1. 개발 배경 및 출시

1986년 7월 24일에 출시된 현대 그랜저는 '각(角)그랜저'라는 별칭으로 불렸다.[3]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올림픽 공식 스폰서였던 현대자동차일본 미쓰비시자동차공업과 공동으로 개발하였다.[3] 차체와 디자인은 현대자동차가, 엔진과 파워트레인, 설계는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이 담당하였다. 1988 서울 올림픽 이전, 대한민국의 고급차 시장은 대우 로얄 시리즈가 대부분 점유하고 있었으나,[3] 그랜저는 대한민국산 대형차로는 최초로 전륜구동 방식이 채택되어 넓은 실내 공간을 구현, 대형차 시장의 선두를 빼앗고 대한민국산 고급 승용차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하였다.[3]

1986~1989 그랜저, 후면


처음에는 120마력 2.0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에 5단 수동변속기만 적용되었지만, 후에 2.4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며 2.0에도 자동변속기 옵션이 추가됐다. 1989년 9월에는 164마력 V6 3.0ℓ SOHC 사이클론 MPI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안전최고속도는 165km/h였다. V6 3.0 SOHC에는 ABS와 ECS가 적용되었으며, V6 레터링 및 사이드 가니쉬와 15인치 알루미늄 휠로 차별화를 꾀하였다. 1990년형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차량의 코드명은 YFL로, Y카 쏘나타의 앞바퀴굴림 롱바디 차량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본 현지에서는 미쓰비시 데보네어(2세대)로 판매되었지만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 등 경쟁 차종에 밀려 인기를 많이 얻지 못했다.[3]

2022년 11월 14일에 출시한 7세대 그랜저(GN7)는 리어 글래스, 스티어링 휠 등에서 1세대 그랜저 디자인의 일부를 차용했다.[57]

2. 2. 특징 및 제원

현대 그랜저는 1986년 7월 24일에 출시되었다. 직선 위주의 디자인으로 인해 '각 그랜저'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대한민국 현대자동차일본 미쓰비시자동차공업과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현대자동차가 차체와 디자인을,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이 엔진, 파워트레인, 설계를 담당하였다. 전륜구동 방식이 채택되어 넓은 실내 공간을 구현하였고, 대우 로얄 시리즈가 장악하던 대형차 시장의 선두를 빼앗아 대한민국산 고급 승용차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하였다.

2.0ℓ, 2.4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과 V6 3.0ℓ 사이클론 MPI 엔진을 탑재하였다. 처음에는 120마력 2.0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에 5단 수동변속기만 적용되었지만, 이후 2.4ℓ 시리우스 SOHC MPI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고, 2.0 모델에도 자동변속기 옵션이 추가되었다. 1989년 9월에는 164마력 V6 3.0ℓ SOHC 사이클론 MPI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안전최고속도는 165km/h였다. V6 3.0 모델에는 ABS와 ECS가 적용되었고, V6 레터링 및 사이드 가니쉬와 15인치 알루미늄 휠을 장착하여 차별화를 꾀했다.

일본에서는 미쓰비시 데보네어 2세대로 판매되었으나,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 등 경쟁 차종에 밀려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구분2.0ℓ 시리우스 SOHC2.4ℓ 시리우스 SOHC3.0ℓ V6 사이클론 SOHC
전장(mm)4,865
전폭(mm)1,725
전고(mm)1,4501,430
축거(mm)2,735
윤거(전, mm)1,455
윤거(후, mm)1,405
승차 정원5명
변속기수동 5단
자동 4단
자동 4단
구동 형식전륜구동
엔진 형식G4CPG4CSG6AT
연료가솔린
배기량(cc)1,9972,3512,972
최고 출력(ps/rpm)120/5,000
(이후 111/5,000으로 변경)
130/4,500
(이후 123/5,000으로 변경)
175/5,000
(이후 161/5,000으로 변경)
최대 토크(kgf·m/rpm)16.2/3,500
(이후 17.3/4,000으로 변경)
18.5/4,000
(이후 19.9/4,000으로 변경)
25.5/2,500
(이후 24.5/2,500으로 변경)
공차 중량(kg)1,409(수동 5단)/
1,430(자동 4단)
1,459(자동 4단)1,540(자동 4단)
연비(km/ℓ)10.04(수동 5단)/
8.54(자동 4단)
9.04(자동 4단)7.81(자동 4단)



2. 3. 1세대 디자인 기반 차용 (7세대, GN7)

7세대 그랜저(GN7)는 1세대 그랜저의 디자인을 일부 차용하여 레트로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 현대자동차는 1세대 그랜저를 레트로 스타일로 재해석한 전기차 콘셉트카 '현대 그랜저 헤리티지'를 선보였다. 이는 아이오닉(Ioniq) 라인의 "파라메트릭 픽셀" 디자인 언어를 적용한 레스토모드(restomod) 모델이다.[4][5] 그랜저 35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2021년 11월 12일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공개되었다.[4][5] 현대 포니 EV(Pony EV)에 이은 두 번째 헤리티지 시리즈 레스토모드 전기차이며, 이후 현대 갤로퍼 EV(Galloper EV)가 출시될 예정이다.[6]

3. 2세대 (LX, 뉴 그랜저) (1992년~1998년)

(mm)4,980전폭
(mm)1,810전고
(mm)1,435(1992년~1997년)
1,445(1997년~1998년)1,4351,440(1992년~1997년)
1,445(1997년~1998년)1,4401,440(1992년~1997년)
1,445(1997년~1998년)1,440축거
(mm)2,745윤거
(전, mm)1,540윤거
(후, mm)1,550승차 정원5명변속기수동 5단
자동 4단자동 4단구동 형식전륜구동엔진 형식G4CPG4CSG6AVG6ATG6AU연료가솔린배기량
(cc)1,9972,3512,4972,9723,496최고 출력
(ps/rpm)137/6,000
(이후 146/6,000,
139/6,000으로 변경)123/5,000173/6,000
(이후 167/6,000으로 변경)161/6,000205/6,000
(이후 194/6,000으로 변경)225/5,500최대 토크
(kgf·m/rpm)17.7/4,000
(이후 19.2/4,000,
18.1/4,000으로 변경)18.5/4,00022.4/4,000
(이후 21.4/4,500으로 변경)24.5/2,50027.1/4,000
(이후 25.8/4,500으로 변경)31.8/4,000최고 속도
(km/h)----189(자동 4단)-공차 중량
(kg)1,577(수동 5단)/
1,577(자동 4단)1,560(자동 4단)1,651(자동 4단)1,540(자동 4단)1,713(자동 4단)1,730(자동 4단)연비
(km/ℓ)10.71(수동 5단)/
9.53(자동 4단)9.04(자동 4단)
(이후 9.0(자동 4단)으로 변경)8.79(자동 4단)7.8(자동 4단)8.28(자동 4단)8.0(자동 4단)


3. 1. 특징 및 제원

2세대 그랜저는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자동차공업과 공동 개발하여 1992년 9월 18일에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운전석 에어백, ECS(전자 제어 서스펜션), 냉장 쿨 박스 등이 적용되었고, 가죽 시트와 장미 무늬 우드그레인 등으로 고급스럽게 실내를 꾸몄다. 조수석 에어백과 측면 에어백은 부분변경을 거치면서 추가되었다.

1993년 4월 3일에는 시리우스 2.4ℓ SOHC MPI 엔진이, 1994년 2월 15일에는 사이클론 225마력 V6 3.5리터 DOHC MPI 엔진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10월 12일에는 전자제어 서스펜션과 조수석 에어백이 신규 적용된 199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고,[58] 11월 10일에는 2.4ℓ 시리우스 MPI 엔진을 대체하는 V6 2.5ℓ 사이클론 MPI 엔진이 추가되었다. 1996년 5월에는 페이스 리프트 모델인 다이너스티가 출시되면서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기함이 되었고, 이에 앞서 4월 24일에 나온 1997년형 모델에는 V6 3.5ℓ 사이클론 MPI 엔진이 단종되어 다이너스티로 이관됐다. 1997년 7월 2일에 나온 1998년형은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되었고, 운전석에서 스위치로 접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글래스 안테나가 새로 적용되었으며, 전·후석 AV 시스템이 옵션으로 추가되었다.[59]

택시 모델에는 LPG 엔진이 장착되어 고급 택시 시장을 공략하였는데, 160마력 V6 3.0리터 SOHC LPG 엔진은 현대 갤로퍼, 현대 스타렉스, 현대 리베로와 공유하였다.

2세대 그랜저는 일본에서 미쓰비시 데보네어(3세대)로 판매되었으나,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 뉴 그랜저 제원

구분2.0ℓ 시리우스 DOHC2.4ℓ 시리우스 SOHC2.5ℓ V6 사이클론 DOHC3.0ℓ V6 사이클론 SOHC3.0ℓ V6 사이클론 DOHC3.5ℓ V6 사이클론 DOHC
전장
(mm)
4,980
전폭
(mm)
1,810
전고
(mm)
1,435(1992년~1997년)
1,445(1997년~1998년)
1,4351,440(1992년~1997년)
1,445(1997년~1998년)
1,4401,440(1992년~1997년)
1,445(1997년~1998년)
1,440
축거
(mm)
2,745
윤거
(전, mm)
1,540
윤거
(후, mm)
1,550
승차 정원5명
변속기수동 5단
자동 4단
자동 4단
구동 형식전륜구동
엔진 형식G4CPG4CSG6AVG6ATG6AU
연료가솔린
배기량
(cc)
1,9972,3512,4972,9723,496
최고 출력
(ps/rpm)
137/6,000
(이후 146/6,000,
139/6,000으로 변경)
123/5,000173/6,000
(이후 167/6,000으로 변경)
161/6,000205/6,000
(이후 194/6,000으로 변경)
225/5,500
최대 토크
(kgf·m/rpm)
17.7/4,000
(이후 19.2/4,000,
18.1/4,000으로 변경)
18.5/4,00022.4/4,000
(이후 21.4/4,500으로 변경)
24.5/2,50027.1/4,000
(이후 25.8/4,500으로 변경)
31.8/4,000
최고 속도
(km/h)
----189(자동 4단)-
공차 중량
(kg)
1,577(수동 5단)/
1,577(자동 4단)
1,560(자동 4단)1,651(자동 4단)1,540(자동 4단)1,713(자동 4단)1,730(자동 4단)
연비
(km/ℓ)
10.71(수동 5단)/
9.53(자동 4단)
9.04(자동 4단)
(이후 9.0(자동 4단)으로 변경)
8.79(자동 4단)7.8(자동 4단)8.28(자동 4단)8.0(자동 4단)



현대 뉴 그랜저 (전기형) 정측면


현대 뉴 그랜저 (전기형) 후측면


1997~1998 현대 그랜저(Grandeur), 후면

4. 3세대 (XG, 그랜저 XG) (1998년~2005년)

(장애인용, 렌터카)V6 2.0ℓ 가솔린V6 2.5ℓ 가솔린V6 3.0ℓ 가솔린그랜저 XGT27Q20
L20Q25
Q25 SE
L25Q30 밸류
Q30
L30


4. 1. 개발 배경 및 특징

1998년 10월 1일에 출시된 3세대 그랜저(프로젝트명 XG)는 쏘나타(EF)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독자 개발되었다. 실질적으로는 마르샤의 후속 모델로 기획되었으나, 마르샤의 저조한 인기와 에쿠스 출시를 앞두고 그랜저 브랜드를 존치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그랜저 XG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 다이너스티와 에쿠스의 출시로 인해 그랜저는 오너 드리븐 카 성격의 준대형차로 포지셔닝이 변경되었다.

현대 그랜저 XG 정측면


현대 그랜저 XG 후측면


3세대 그랜저는 기존 사이클론 엔진을 개량한 V6 3.0ℓ 시그마 MPI 엔진 외에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V6 2.0ℓ, V6 2.5ℓ 델타 MPI 엔진을 탑재했다. V6 2.7ℓ 델타 LPG 엔진도 추가되었으나, 초기에는 렌터카와 장애인용으로만 판매되었다. 변속기는 V6 2.0ℓ 및 2.5ℓ 델타 MPI 엔진에는 4단 자동변속기가, V6 3.0ℓ 시그마 MPI 엔진에는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1999년 7월 3일에는 외관, 안전성, 편의성을 개선한 2000년형 모델이 출시되었고, L25 및 L30 모델이 추가되었다. L30 모델은 뒷좌석 열선 내장 시트, 뒷좌석 팔걸이, HID 헤드램프 등을 기본 사양으로 제공했다. 2001년 4월 13일에 선보인 2001년형은 경음기, 차임 버저, 가죽 시트 이중 봉제선 등이 에쿠스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3세대부터 해외 수출을 시작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자동차의 기술력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구분V6 2.7ℓ LPG
(장애인용, 렌터카)
V6 2.0ℓ 가솔린V6 2.5ℓ 가솔린V6 3.0ℓ 가솔린
그랜저 XGT27Q20
L20
Q25
Q25 SE
L25
Q30 밸류
Q30
L30


4. 2. 뉴 그랜저 XG (2002년~2005년)

뉴 그랜저 XG는 그랜저 XG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로, 2002년 3월 7일에 출시되었다. 디자인이 개선되고 편의 사양이 강화되었다.[60] 특히,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4강 신화를 이룬 거스 히딩크 감독에게는 1세대 에쿠스가, 선수단에게는 뉴 그랜저 XG가 지급되어 화제가 되었다.[61]

현대 뉴 그랜저 XG (전기형) 정측면


현대 뉴 그랜저 XG (전기형) 후측면


2004~2005 현대 XG350L (미국)


출시 초기에는 후미등이 L자 형태로 되어 있었으나, 반응이 좋지 않아 미국에 한동안 수출할 수 없었다.[62] 2003년 7월 7일, 트렁크 부분의 램프를 없앤 개선된 2004년형이 선보였다.[63] 같은 해 10월 24일에는 환경 문제와 성능을 개선한 V6 2.7ℓ 델타 LPI 엔진이 택시에 탑재되었다.[64]

2004년형 모델은 전면 및 후면 범퍼, 측면 몰딩, 헤드라이트 (HID 선택 가능), 주행등, 테일램프, 그릴, 그리고 함몰된 번호판 홀더가 있는 데크 리드가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후면 창문의 고정식 제동등(CHMSL)은 새로운 LED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5월에 4세대(TG)가 출시되었으나, 뉴 그랜저 XG는 병행 생산되다가 같은 해 8월에 단종되었다. 뉴 그랜저 XG는 수동변속기 사양이 제공된 마지막 그랜저이다.[65]

; 뉴 그랜저 XG 제원

구분2.0ℓ V6 델타2.5ℓ V6 델타3.0ℓ V6 시그마
전장
(mm)
4,875
전폭
(mm)
1,825
전고
(mm)
1,420
축거
(mm)
2,750
윤거
(전, mm)
1,540
윤거
(후, mm)
1,530
승차 정원5명
변속기수동 5단
자동 4단
자동 4단자동 5단
구동 형식전륜구동
엔진 형식G6BP영어G6BV영어G6CT영어
연료가솔린
배기량
(cc)
1,9982,4932,972
최고 출력
(ps/rpm)
137/6,000172/6,250182/5,500
최대 토크
(kgf·m/rpm)
18.0/4,00022.9/4,00025.7/3,500
연료 탱크 용량
(ℓ)
70
요소수 탱크 용량
(ℓ)
-
공차 중량
(kg)
1,537(수동 5단)/
1,565(자동 4단)
(이후 1,550(자동 4단)으로 변경)
1,729(자동 4단)
(이후 1,577(자동 4단)으로 변경)
1,666(자동 5단)
연비
(km/ℓ)
9.9(수동 5단)/
9.7(자동 4단)
(이후 8.9(자동 4단)으로 변경)
9.3(자동 4단)
(이후 8.6(자동 4단)으로 변경)
8.5(자동 5단)


5. 4세대 (TG) (2005년~2011년)

wikitext

그랜저(TG)는 쏘나타(NF)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2005년 4월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이고 같은 해 5월 18일에 출시되었다.[66]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아랍, 칠레)에서는 '아제라'라는 차명으로 수출되었다. 외관은 3세대와는 달리, 스포티한 부분도 둥글둥글함이 가미되었다. 쏘나타(NF)와 닮은 디자인은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통일성의 시도가 있기도 하였다.[66] 출시 초기에는 역대 그랜저처럼 후드 탑 마크가 적용되어 라디에이터 그릴에 현대자동차의 엠블럼이 없었다. 하지만 당시 쏘나타(NF)와의 패밀리 룩 완성을 위하여 2개월 후인 7월 13일에 후드 탑 마크를 없애고 라디에이터 그릴에 현대자동차의 엠블럼을 붙여서 출시되었다.[66]

V6 2.7ℓ 뮤 MPI 엔진과 V6 3.3ℓ 람다 MPI 엔진이 장착되었다. 이후에 수출용에 적용되었던 V6 3.8ℓ 람다 MPI 엔진이 대한민국 내수용에도 적용되었으나, 인기를 끌지 못했다. 2006년 7월 31일에 수출되었고, 2007년에는 쏘나타(NF)에도 적용되었던 2.4ℓ 세타 MPI 엔진이 추가되었다. 모든 엔진에는 5단 자동변속기만 조합되었다.

일본에도 수출했으며, 일본 현지에서는 TG를 택시로 많이 이용했다.

구분V6 2.7ℓ LPI
(장애인용)
V6 2.7ℓ LPI
(택시, 렌터카)
2.4ℓ 가솔린V6 2.7ℓ 가솔린V6 3.3ℓ 가솔린V6 3.8ℓ 가솔린
그랜저Q270T270 개인형
Q270 모범형
Q270 모범형 팩 Ⅰ
Q270 모범형 팩 Ⅱ
Q240 기본형
Q240 디럭스
Q270 기본형
Q270 기본형 플러스 팩
Q270 디럭스
Q270 모젠 디럭스
Q270 럭셔리
Q270 모젠 럭셔리
Q270 럭셔리 스마트 팩
Q270 모젠 럭셔리 스마트 팩
Q270 프리미어
Q270 모젠 프리미어
Q270 프리미어 스마트 팩
Q270 모젠 프리미어 스마트 팩
L330 탑
L330 모젠 탑
L330 탑 메모리 팩
L330 모젠 탑 메모리 팩
S380 탑
S380 모젠 탑



구분2.4ℓ 세타2.7ℓ V6 뮤3.3ℓ V6 람다3.8ℓ V6 람다V6 2.7ℓ 뮤 LPI
전장
(mm)
4,895
전폭
(mm)
1,850(리피터 내장 사이드 미러 적용시)
1,865
1,8501,865
전고
(mm)
1,490(R16)
1,495(R17)
1,4951,500
축거
(mm)
2,780
윤거
(전, mm)
1,580
윤거
(후, mm)
1,565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5단자동 5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CG6EAG6DBG6DAL6EA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3592,6563,3423,7782,656
최고 출력
(ps/rpm)
164/5,800192/6,000233/6,000264/6,000165/5,400
최대 토크
(kgf·m/rpm)
22.7/4,25025.5/4,50031.0/3,50035.5/4,50025.0/4,000
연료 탱크 용량
(ℓ)
7572
요소수 탱크 용량
(ℓ)
-
공차 중량
(kg)
1,565(자동 5단)1,603(자동 5단)1,689(자동 5단)1,730(자동 5단)1,651(자동 5단)
1,655(자동 5단)
연비
(km/ℓ)
10.4(자동 5단)9.4(자동 5단)9.0(자동 5단)8.6(자동 5단)7.2(자동 5단)
7.5(자동 5단)
Co2 배출량
(g/km)
225(자동 5단)250(자동 5단)260(자동 5단)276(자동 5단)-


5. 1. 그랜저 (2005년~2008년)

현대 그랜저 (전기형) 정측면


현대 그랜저 (전기형) 후측면


그랜저(TG)는 쏘나타(NF)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2005년 4월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이고 같은 해 5월 18일에 출시되었다.[66]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아랍, 칠레)에서는 '아제라'라는 차명으로 수출되었다. 외관은 3세대와는 달리, 스포티한 부분도 둥글둥글함이 가미되었다. 쏘나타(NF)와 닮은 디자인은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통일성의 시도가 있기도 하였다.[66] 출시 초기에는 역대 그랜저처럼 후드 탑 마크가 적용되어 라디에이터 그릴에 현대자동차의 엠블럼이 없었다. 하지만 당시 쏘나타(NF)와의 패밀리 룩 완성을 위하여 2개월 후인 7월 13일에 후드 탑 마크를 없애고 라디에이터 그릴에 현대자동차의 엠블럼을 붙여서 출시되었다.[66]

V6 2.7ℓ 뮤 MPI 엔진과 V6 3.3ℓ 람다 MPI 엔진이 장착되었다. 이후에 수출용에 적용되었던 V6 3.8ℓ 람다 MPI 엔진이 대한민국 내수용에도 적용되었으나, 인기를 끌지 못했다. 2006년 7월 31일에 수출되었고, 2007년에는 쏘나타(NF)에도 적용되었던 2.4ℓ 세타 MPI 엔진이 추가되었다. 모든 엔진에는 5단 자동변속기만 조합되었다.

일본에도 수출했으며, 일본 현지에서는 TG를 택시로 많이 이용했다.

구분V6 2.7ℓ LPI
(장애인용)
V6 2.7ℓ LPI
(택시, 렌터카)
2.4ℓ 가솔린V6 2.7ℓ 가솔린V6 3.3ℓ 가솔린V6 3.8ℓ 가솔린
그랜저Q270T270 개인형
Q270 모범형
Q270 모범형 팩 Ⅰ
Q270 모범형 팩 Ⅱ
Q240 기본형
Q240 디럭스
Q270 기본형
Q270 기본형 플러스 팩
Q270 디럭스
Q270 모젠 디럭스
Q270 럭셔리
Q270 모젠 럭셔리
Q270 럭셔리 스마트 팩
Q270 모젠 럭셔리 스마트 팩
Q270 프리미어
Q270 모젠 프리미어
Q270 프리미어 스마트 팩
Q270 모젠 프리미어 스마트 팩
L330 탑
L330 모젠 탑
L330 탑 메모리 팩
L330 모젠 탑 메모리 팩
S380 탑
S380 모젠 탑



구분2.4ℓ 세타2.7ℓ V6 뮤3.3ℓ V6 람다3.8ℓ V6 람다V6 2.7ℓ 뮤 LPI
전장
(mm)
4,895
전폭
(mm)
1,850(리피터 내장 사이드 미러 적용시)
1,865
1,8501,865
전고
(mm)
1,490(R16)
1,495(R17)
1,4951,500
축거
(mm)
2,780
윤거
(전, mm)
1,580
윤거
(후, mm)
1,565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5단자동 5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CG6EAG6DBG6DAL6EA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3592,6563,3423,7782,656
최고 출력
(ps/rpm)
164/5,800192/6,000233/6,000264/6,000165/5,400
최대 토크
(kgf·m/rpm)
22.7/4,25025.5/4,50031.0/3,50035.5/4,50025.0/4,000
연료 탱크 용량
(ℓ)
7572
요소수 탱크 용량
(ℓ)
-
공차 중량
(kg)
1,565(자동 5단)1,603(자동 5단)1,689(자동 5단)1,730(자동 5단)1,651(자동 5단)
1,655(자동 5단)
연비
(km/ℓ)
10.4(자동 5단)9.4(자동 5단)9.0(자동 5단)8.6(자동 5단)7.2(자동 5단)
7.5(자동 5단)
Co2 배출량
(g/km)
225(자동 5단)250(자동 5단)260(자동 5단)276(자동 5단)-


5. 2. 그랜저 뉴 럭셔리 (2008년~2009년)

2008년 2월 20일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입체적으로 변경하고,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하나의 모니터에서 두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적용한 그랜저 뉴 럭셔리가 출시되었다.[67]
현대 그랜저 뉴 럭셔리 정측면
현대 그랜저 뉴 럭셔리 후측면
같은 해 7월 2일에는 V6 2.7ℓ 뮤 MPI 엔진의 성능을 높이고, 사이드 리피터 일체형 아웃 사이드 미러와 17인치 하이퍼 실버 알루미늄 휠을 확대 적용하였다.[68] 2009년 1월 6일에는 기존 5단 자동변속기를 대체하는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고(V6 2.7ℓ 뮤 LPI 엔진 제외), 기존 엔진에 장착된 VVT 시스템을 2개로 확대하여 엔진 성능과 연비를 개선한 2009년형이 선보였다. 이 외에도 에코 드라이빙 시스템, 실리카 타이어, 블루투스 핸즈프리가 신규 적용되었다.[69]

; 그랜저 뉴 럭셔리 제원

구분2.4ℓ 세타
(이후 2.4ℓ 세타 Ⅱ로 변경)
2.7ℓ V6 뮤3.3ℓ V6 람다2.7ℓ V6 뮤 LPI
전장
(mm)
4,895
전폭
(mm)
1,850(리피터 내장 사이드 미러 적용시)
1,865
1,8501,865
전고
(mm)
1,490(R16)
1,495(R17)
1,4951,500
축거
(mm)
2,780
윤거
(전, mm)
1,580
윤거
(후, mm)
1,565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5단
(이후 자동 6단으로 변경)
자동 5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C
(이후 G4KE로 변경)
G6EAG6DBL6EA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3592,6563,3422,656
최고 출력
(ps/rpm)
164/5,800
(이후 179/6,000으로 변경)
192/6,000
(이후 195/6,000으로 변경)
233/6,000
(이후 259/6,200으로 변경)
165/5,400
최대 토크
(kgf·m/rpm)
22.7/4,250
(이후 23.5/4,000으로 변경)
25.5/4,500
(이후 25.6/4,500으로 변경)
31.0/3,500
(이후 32.2/4,500으로 변경)
25.0/4.000
연료 탱크 용량
(ℓ)
7572
요소수 탱크 용량
(ℓ)
-
공차 중량
(kg)
1,565(자동 5단)1,603(자동 5단)
(이후 1,610(자동 5단),
1,577(자동 6단)으로 변경)
1,689(자동 5단)
(이후 1,680(자동 6단)으로 변경)
1,650(자동 5단)
1,655(자동 5단)
연비
(km/ℓ)
10.4(자동 5단)
(이후 11.3(자동 6단)으로 변경)
9.4(자동 5단)
(이후 9.7(자동 5단),
10.6(자동 6단)으로 변경)
9.0(자동 5단)
(이후 10.1(자동 6단)으로 변경)
7.4(자동 5단)
7.6(자동 5단)
Co2 배출량
(g/km)
225(자동 5단)
(이후 207(자동 6단)으로 변경)
250(자동 5단)
(이후 240(자동 5단),
220(자동 6단)으로 변경)
260(자동 5단)
(이후 231(자동 6단)으로 변경)
238(자동 5단)
233(자동 5단)


5. 3. 더 럭셔리 그랜저 (2009년~2011년)

2009년 11월에 출시된 기아 K7에 대항하기 위하여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범퍼와 헤드 램프, 리어 램프의 디자인을 약간 변경한 더 럭셔리 그랜저가 2009년 12월 16일에 출시되었다.[70] 알칸타라 재질과 전용 우드그레인, 인써트 필름을 적용한 알칸타라 패키지가 선택 사양으로 적용되었고, 사이드&커튼 에어백과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가솔린 전 트림에 기본 적용되었다.[70] 사이드 미러 퍼들 램프, 폴딩 키, 핸즈 프리 음성 인식 기능 등이 적용되어 편의성을 높였으며, 우핸들 사양으로는 마지막으로 나왔다.[70]

현대 더 럭셔리 그랜저 정측면


현대 더 럭셔리 그랜저 후측면


더 럭셔리 그랜저의 엔진 형식은 G4KE, G6EA, G6DB, L6EA 이며, 각각 가솔린, 가솔린, 가솔린, LPG 연료를 사용한다. 배기량은 순서대로 2,359cc, 2,656cc, 3,342cc, 2,656cc 이다. 변속기는 자동 6단(2.7ℓ V6 뮤 LPI 엔진은 자동 5단)이 적용되었고, 전륜 구동 방식이다.

구분2.4ℓ 세타 Ⅱ2.7ℓ V6 뮤3.3ℓ V6 람다2.7ℓ V6 뮤 LPI
전장
(mm)
4,910
전폭
(mm)
1,850
전고
(mm)
1,4901,490(R16)
1,495(R17)
1,4951,500
축거
(mm)
2,780
윤거
(전, mm)
1,580
윤거
(후, mm)
1,565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6단자동 5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EG6EAG6DBL6EA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3592,6563,3422,656
최고 출력
(ps/rpm)
179/6,000195/6,000259/6,200165/5,400
최대 토크
(kgf·m/rpm)
23.5/4,00025.6/4,50032.2/4,50025.0/4.000
연료 탱크 용량
(ℓ)
7572
요소수 탱크 용량
(ℓ)
-
공차 중량
(kg)
1,565(자동 6단)1,577(자동 6단)1,680(자동 6단)1,650(자동 5단)
1,655(자동 5단)
연비
(km/ℓ)
11.3(자동 6단)10.6(자동 6단)10.1(자동 6단)7.4(자동 5단)
7.6(자동 5단)
Co2 배출량
(g/km)
207(자동 6단)220(자동 6단)231(자동 6단)238(자동 5단)
233(자동 5단)


6. 5세대 (HG) (2011년~2016년)

5세대 그랜저는 2011년 1월 13일에 출시되었으며, YF형 쏘나타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되었다.[50] 3년 반의 개발 기간과 4500억 을 투입하여 개발되었으며,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인 플루이딕 스컬프처를 기반으로 한 장엄한 활공을 의미하는 "그랜드 글라이드"를 콘셉트로 디자인되었다. 더욱 스포티한 디자인은 다른 대한민국산 고급 세단의 대부분이 보수적인 디자인으로 안정성을 추구했기에 상당히 도전적인 시도였다. 엔진은 2.4L 시타Ⅱ GDi와 3.0L V형 6기통 람다Ⅱ GDi, 3.0L V형 6기통 람다Ⅱ LPi를 탑재했다. 운전석 무릎 에어백 등 에어백 9개, 타이어 공기압 경고 시스템, 급제동 경고 시스템, 버튼 시동 스마트키 등도 전 차량 기본 장착되었다. 그 외에도 차간 거리 자동 제어 시스템,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전후방 주차 보조 시스템, 차체 자세 제어 시스템, 섀시 통합 제어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이 다수 적용되었다.[51]

현대 아제라 GLS (칠레)


구분2.2ℓ 디젤(장애인용)>V6 3.0ℓ LPI
(택시)|V6 3.0ℓ LPI
(렌터카)
2.4ℓ 가솔린V6 3.0ℓ 가솔린V6 3.3ℓ 가솔린
5G 그랜저HG220 모던
HG220 모던 컬렉션
HG220 프리미엄
HG220 프리미엄 컬렉션
HG300(이후 HG300 프리미엄 스페셜로 변경)TG300 개인형
HG300 모범형
HG300 모범형 VIP 패키지
HG300 프라임(이후 HG300 모던으로 변경)
HG300 이그제큐티브(이후 HG300 프리미엄으로 변경)
HG300 익스클루시브
HG240 럭셔리(이후 HG240 모던으로 변경)
HG240 모던 컬렉션
HG300 프라임(이후 HG300 프리미엄으로 변경)
HG300 프리미엄 컬렉션
HG300 노블(이후 HG300 익스클루시브로 변경)
HG300 익스클루시브 컬렉션
HG300 로얄(이후 HG300 익스클루시브 스페셜로 변경)
HG300 더 타임리스(500대 한정)
HG330 셀러브리티


6. 1. 그랜저 HG (2011년~2016년)

그랜저 HG는 쏘나타(YF)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인 플루이딕 스컬프처를 기반으로 웅장한 비행체가 활공하는 듯한 "그랜드 글라이드" 컨셉을 통해 유려한 디자인을 구현하였다.[16][17] 2011년 1월 13일에 출시되었으며, 2.4ℓ 세타 Ⅱ GDI 엔진, V6 3.0ℓ 람다 Ⅱ GDI 엔진, V6 3.0ℓ 람다 Ⅱ LPI 엔진이 적용되었다.[71] 같은 해 8월에는 V6 3.3ℓ 람다 GDI 엔진이 추가되었다.[71]

현대 그랜저 HG (전기형) 정측면


현대 그랜저 HG (전기형) 후측면


운전석 무릎 에어백이 포함된 9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스마트 키 시스템 등이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이 외에도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자동 조정하고, 교통 흐름에 따라 자동 정지 및 재출발 기능을 지원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주차 가능 영역을 탐색하여 평행 주차를 돕는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71]

2012년 12월 3일에는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이 변경된 2013년형이 출시되었고, 2014년 6월 23일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 등이 변경되고 유로 6 기준을 충족시키는 2.2ℓ R VGT 디젤 엔진이 추가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71] 이때 V6 3.3ℓ 람다 GDI 엔진은 아슬란 출시로 단종되었다.[71] 2016년 3월 2일에는 그랜저 탄생 30주년 기념 컬렉션 트림이 추가된 2016년형이 출시되었고, 5월 9일에는 30주년 기념 더 타임리스 트림이 500대 한정 판매되었다.[71]

초기 한국형 그랜저 모델에는 세타 II 2.4 GDI, 람다 II 3.0 GDI 엔진이 탑재되었다. 한국에서는 202마력의 E-VGT R2.2 디젤 엔진이 제공되었으며, 자동 하이빔, 차선 이탈 경고, 사각지대 감지,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포함되었다.[19] 모든 모델에는 6단 자동변속기가 기본 장착되었다.

구분2.2ℓ 디젤(장애인용)>V6 3.0ℓ LPI
(택시)|V6 3.0ℓ LPI
(렌터카)
2.4ℓ 가솔린V6 3.0ℓ 가솔린V6 3.3ℓ 가솔린
5G 그랜저HG220 모던
HG220 모던 컬렉션
HG220 프리미엄
HG220 프리미엄 컬렉션
HG300(이후 HG300 프리미엄 스페셜로 변경)TG300 개인형
HG300 모범형
HG300 모범형 VIP 패키지
HG300 프라임(이후 HG300 모던으로 변경)
HG300 이그제큐티브(이후 HG300 프리미엄으로 변경)
HG300 익스클루시브
HG240 럭셔리(이후 HG240 모던으로 변경)
HG240 모던 컬렉션
HG300 프라임(이후 HG300 프리미엄으로 변경)
HG300 프리미엄 컬렉션
HG300 노블(이후 HG300 익스클루시브로 변경)
HG300 익스클루시브 컬렉션
HG300 로얄(이후 HG300 익스클루시브 스페셜로 변경)
HG300 더 타임리스(500대 한정)
HG330 셀러브리티



6. 2. 그랜저 하이브리드 (2013년~2017년)

2013년 12월 16일에는 수출용 쏘나타 하이브리드(YF)에 장착되는 2.4ℓ 세타 Ⅱ MPI 엔진에 앳킨슨 사이클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되었다.[72] 이 모델은 대한민국에서만 판매된다.[72] 엔진 출력은 159마력으로, 35kW 모터와 결합하여 작동하는 1모터 2클러치 방식(쏘나타 하이브리드와 동일)을 채택했다. 배터리는 LG화학의 리튬이온폴리머전지가 탑재되었다.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


2014년 12월 7일에는 스마트 트렁크와 롤 오버 센서 내장 에어백 등이 신규 적용되고, 범퍼 디자인이 개선된 201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외관상 가솔린 모델과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전용 알루미늄 휠과 "blue drive", "hybrid" 엠블럼이 적용되었다. 계기판 중앙에는 연비 정보를 표시하는 4.6인치 LCD 컬러 디스플레이가, 중앙 콘솔에는 주행 모드를 표시하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었다.[20] 16.0km/L의 연비는 가솔린 모델(2359cc, 11.3km/L)에 비해 크게 향상된 수치이다.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2.4리터 세타 II MPi 엔진(159PS), 47PS 전기 모터를 탑재하고, 프로젝터 빔 헤드램프, LED 테일램프, 듀얼 배기 시스템, 17인치 알루미늄 휠, 나파 가죽 시트, 가죽 스티어링 휠, 우드 그레인 트림, 듀얼 존 자동 에어컨, 열선 시트, 후방 카메라, USB 충전 시스템, 6인치 디스플레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파노라마 선루프,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 GPS 내비게이션은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7. 6세대 (IG) (2016년~2022년)

wikitext

2016년 11월 22일에 출시된 현대 그랜저(IG)는 2.2ℓ 디젤, 2.4ℓ 가솔린, 3.0ℓ 가솔린, 3.0ℓ LPI, 3.3ℓ 가솔린 등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제공하였다.[24] 출시 당일 사전 계약 대수가 15,973대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현대 그랜저 정측면


현대 그랜저 후측면


구분2.2ℓ 디젤2.4ℓ 가솔린V6 3.0ℓ LPI
(장애인용)
V6 3.0ℓ LPI
(택시)
V6 3.0ℓ 가솔린
(렌터카)
V6 3.3ℓ 가솔린
그랜저모던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모던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프리미엄 스페셜
익스클루시브 스페셜
개인형
모범형
모범형 VIP 패키지
모던 베이직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익스클루시브
익스클루시브 스페셜
셀러브리티



그랜저(IG)는 전장 4,930mm, 전폭 1,865mm, 전고 1,470mm, 축거 2,845mm이며, 5인승 전륜구동 모델이다. 변속기는 엔진에 따라 자동 6단 또는 8단이 적용되었다.

구분2.2ℓ R e-VGT2.4ℓ 세타 Ⅱ GDI3.0ℓ V6 람다 Ⅱ GDI3.3ℓ V6 람다 Ⅱ GDI3.0ℓ V6 람다 Ⅱ LPI
엔진 형식D4HBG4KJG6DGG6DHL6DB
연료디젤가솔린LPG
배기량
(cc)
2,1992,3592,9993,3422,999
최고 출력
(ps/rpm)
202/3,800190/6,000266/6,400290/6,400235/6,000
최대 토크
(kgf·m/rpm)
45.0/1,750~2,75024.6/4,00031.4/5,30035.0/5,20028.6/4,500



== 그랜저 하이브리드 (2017년~2019년) ==

현대 그랜저 하이브리드 정측면


현대 그랜저 하이브리드 후측면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2017년 3월 30일에 출시되었다.[24] 고전압 배터리의 용량은 중량 증가 없이 기존 1.43㎾h에서 약 23% 개선된 1.76㎾h로 늘어났고,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은 약 2.6% 개선되었다. 차량 전장품의 전력 사용, 엔진 출력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EV 작동 구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환경 부하 로직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연료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실주행 시 사용 빈도가 높은 엔진 저회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엔진의 소음과 진동을 모터의 역방향 토크로 상쇄하는 능동 부밍 제어 기술이 적용되었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기 위하여 운전자가 혼자 탑승한 경우 운전석에만 공조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전용 듀얼 풀오토 에어컨도 적용되었다.[24]

구분2.4ℓ 세타 Ⅱ MPI
전장
(mm)
4,930
전폭
(mm)
1,865
전고
(mm)
1,470
축거
(mm)
2,845
윤거
(전, mm)
1,612(R17)
윤거
(후, mm)
1,620(R17)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6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K
연료가솔린+전기
배기량
(cc)
2,359
최고 출력
(ps/rpm)
159/5,500
최대 토크
(kgf·m/rpm)
21.0/4,500
모터 최고 출력
(kW)
38
모터 최대 토크
(Nm)
205
연료 탱크 용량
(ℓ)
65
공차 중량
(kg)
1,675(R17)
연비
(km/ℓ)
도심 16.1/고속 16.2/복합 16.2(R17)
Co2 배출량
(g/km)
97(R17)



== 더 뉴 그랜저 (2019년~2022년) ==

현대 더 뉴 그랜저 정측면


현대 더 뉴 그랜저 후측면


2019년 11월에 출시된 더 뉴 그랜저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지만 풀 체인지 수준의 디자인 변화와 휠베이스 확장으로 상품성이 대폭 강화되었다.[23] 휠베이스는 40mm, 전장은 60mm, 전폭은 10mm 늘어났다.[23] 외관은 더 커진 그릴과 통합된 방향지시등 및 주간주행등(DRL), 새로운 헤드라이트와 테일라이트가 적용되었다.[23] 내부는 새로운 12.3인치 와이드스크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옵션), 버튼 타입의 전자식 셀렉터, 새로운 터치스크린 방식의 공조장치 조절장치 등이 적용되어 고급스러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23]

기존의 2.4ℓ GDi 엔진은 2.5ℓ 앳킨슨 사이클 스마트스트림 GDi 엔진으로 변경되었으며,[23] V6 3.3ℓ DOHC 엔진에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가 적용된다. 2.2리터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단종되었고, 기어 셀렉터는 팰리세이드, 8세대 쏘나타와 동일한 버튼 타입 전자식 셀렉터로 바뀌었다.[23]

더 뉴 그랜저는 장시간 한국 시장에서 국민차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던 쏘나타의 판매량이 급감한 것과는 달리, 월 9만~10만 대가 판매되며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 더 뉴 그랜저 제원

구분2.5ℓ 스마트스트림 G GDI3.3ℓ V6 람다 Ⅱ GDI3.0ℓ V6 람다 Ⅱ LPI
전장
(mm)
4,990
전폭
(mm)
1,875
전고
(mm)
1,470
축거
(mm)
2,885
윤거
(전, mm)
1,612(R17)
1,607(R18)
1,602(R19)
1,607(R18)
1,602(R19)
1,612(R17)
1,607(R18)
1,602(R19)
윤거
(후, mm)
1,620(R17)
1,615(R18)
1,610(R19)
1,615(R18)
1,610(R19)
1,620(R17)
1,615(R18)
1,610(R19)
승차 정원5명
변속기스마트스트림 자동 8단스마트스트림 자동 8단자동 6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NG6DHL6DB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4973,3422,999
최고 출력
(ps/rpm)
198/6,100290/6,400235/6,000
최대 토크
(kgf·m/rpm)
25.3/4,00035.0/5,20028.6/4,500
연료 탱크 용량
(ℓ)
7080
공차 중량
(kg)
1,575(R17)/
1,590(R18)/
1,625(R19)
1,660(R18)/
1,670(R19)
1,640(R17)/
1,665(R18)/
1,700(R19)
연비
(km/ℓ)
도심 10.3/고속 14.6/복합 11.9(R17)/
도심 10.1/고속 14.0/복합 11.6(R18)/
도심 9.7/고속 13.4/복합 11.1(R19)
도심 8.3/고속 12.0/복합 9.7(R18)/
도심 8.3/고속 11.7/복합 9.6(R19)
도심 6.4/고속 9.3/복합 7..5(R17)/
도심 6.3/고속 9.3/복합 7.4(R18)/
도심 6.3/고속 9.0/복합 7.3(R19)
Co2 배출량
(g/km)
142(R17)/
146(R18)/
153(R19)
178(R18)/
179(R19)
177(R17)/
180(R18)/
182(R19)



==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 (2019년~2022년) ==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2019년에 출시된 현대 그랜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전장은 4,990mm, 전폭은 1,875mm, 전고는 1,470mm, 축거는 2,885mm이다. 2.4ℓ 세타 Ⅱ MPI 엔진과 전기 모터가 결합되어 최고 출력 159마력(ps/rpm), 최대 토크 21.0kgf·m/rpm을 발휘하며, 모터 최고 출력은 38kW, 모터 최대 토크는 205Nm이다. 복합 연비는 17인치 휠 기준 16.2km/ℓ, 18인치 휠 기준 15.2km/ℓ이다.

현대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 정측면


현대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 후측면


구분2.4ℓ 가솔린 하이브리드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프리미엄


7. 1. 그랜저 (2016년~2019년)

2016년 11월 22일에 출시된 현대 그랜저(IG)는 2.2ℓ 디젤, 2.4ℓ 가솔린, 3.0ℓ 가솔린, 3.0ℓ LPI, 3.3ℓ 가솔린 등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제공하였다.[24] 출시 당일 사전 계약 대수가 15,973대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구분2.2ℓ 디젤2.4ℓ 가솔린V6 3.0ℓ LPI
(장애인용)
V6 3.0ℓ LPI
(택시)
V6 3.0ℓ 가솔린
(렌터카)
V6 3.3ℓ 가솔린
그랜저모던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모던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프리미엄 스페셜
익스클루시브 스페셜
개인형
모범형
모범형 VIP 패키지
모던 베이직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익스클루시브
익스클루시브 스페셜
셀러브리티



그랜저(IG)는 전장 4,930mm, 전폭 1,865mm, 전고 1,470mm, 축거 2,845mm이며, 5인승 전륜구동 모델이다. 변속기는 엔진에 따라 자동 6단 또는 8단이 적용되었다.

구분2.2ℓ R e-VGT2.4ℓ 세타 Ⅱ GDI3.0ℓ V6 람다 Ⅱ GDI3.3ℓ V6 람다 Ⅱ GDI3.0ℓ V6 람다 Ⅱ LPI
엔진 형식D4HBG4KJG6DGG6DHL6DB
연료디젤가솔린LPG
배기량
(cc)
2,1992,3592,9993,3422,999
최고 출력
(ps/rpm)
202/3,800190/6,000266/6,400290/6,400235/6,000
최대 토크
(kgf·m/rpm)
45.0/1,750~2,75024.6/4,00031.4/5,30035.0/5,20028.6/4,500


7. 2. 그랜저 하이브리드 (2017년~2019년)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2017년 3월 30일에 출시되었다.[24] 고전압 배터리의 용량은 중량 증가 없이 기존 1.43㎾h에서 약 23% 개선된 1.76㎾h로 늘어났고,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은 약 2.6% 개선되었다. 차량 전장품의 전력 사용, 엔진 출력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EV 작동 구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환경 부하 로직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연료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실주행 시 사용 빈도가 높은 엔진 저회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엔진의 소음과 진동을 모터의 역방향 토크로 상쇄하는 능동 부밍 제어 기술이 적용되었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기 위하여 운전자가 혼자 탑승한 경우 운전석에만 공조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전용 듀얼 풀오토 에어컨도 적용되었다.[24]

구분2.4ℓ 세타 Ⅱ MPI
전장
(mm)
4,930
전폭
(mm)
1,865
전고
(mm)
1,470
축거
(mm)
2,845
윤거
(전, mm)
1,612(R17)
윤거
(후, mm)
1,620(R17)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6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K
연료가솔린+전기
배기량
(cc)
2,359
최고 출력
(ps/rpm)
159/5,500
최대 토크
(kgf·m/rpm)
21.0/4,500
모터 최고 출력
(kW)
38
모터 최대 토크
(Nm)
205
연료 탱크 용량
(ℓ)
65
공차 중량
(kg)
1,675(R17)
연비
(km/ℓ)
도심 16.1/고속 16.2/복합 16.2(R17)
Co2 배출량
(g/km)
97(R17)


7. 3. 더 뉴 그랜저 (2019년~2022년)



2019년 11월에 출시된 더 뉴 그랜저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지만 풀 체인지 수준의 디자인 변화와 휠베이스 확장으로 상품성이 대폭 강화되었다.[23] 휠베이스는 40mm, 전장은 60mm, 전폭은 10mm 늘어났다.[23] 외관은 더 커진 그릴과 통합된 방향지시등 및 주간주행등(DRL), 새로운 헤드라이트와 테일라이트가 적용되었다.[23] 내부는 새로운 12.3인치 와이드스크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옵션), 버튼 타입의 전자식 셀렉터, 새로운 터치스크린 방식의 공조장치 조절장치 등이 적용되어 고급스러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23]

기존의 2.4ℓ GDi 엔진은 2.5ℓ 앳킨슨 사이클 스마트스트림 GDi 엔진으로 변경되었으며,[23] V6 3.3ℓ DOHC 엔진에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가 적용된다. 2.2리터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단종되었고, 기어 셀렉터는 팰리세이드, 8세대 쏘나타와 동일한 버튼 타입 전자식 셀렉터로 바뀌었다.[23]

더 뉴 그랜저는 장시간 한국 시장에서 국민차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던 쏘나타의 판매량이 급감한 것과는 달리, 월 9만~10만 대가 판매되며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 더 뉴 그랜저 제원

구분2.5ℓ 스마트스트림 G GDI3.3ℓ V6 람다 Ⅱ GDI3.0ℓ V6 람다 Ⅱ LPI
전장
(mm)
4,990
전폭
(mm)
1,875
전고
(mm)
1,470
축거
(mm)
2,885
윤거
(전, mm)
1,612(R17)
1,607(R18)
1,602(R19)
1,607(R18)
1,602(R19)
1,612(R17)
1,607(R18)
1,602(R19)
윤거
(후, mm)
1,620(R17)
1,615(R18)
1,610(R19)
1,615(R18)
1,610(R19)
1,620(R17)
1,615(R18)
1,610(R19)
승차 정원5명
변속기스마트스트림 자동 8단스마트스트림 자동 8단자동 6단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G4KNG6DHL6DB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4973,3422,999
최고 출력
(ps/rpm)
198/6,100290/6,400235/6,000
최대 토크
(kgf·m/rpm)
25.3/4,00035.0/5,20028.6/4,500
연료 탱크 용량
(ℓ)
7080
공차 중량
(kg)
1,575(R17)/
1,590(R18)/
1,625(R19)
1,660(R18)/
1,670(R19)
1,640(R17)/
1,665(R18)/
1,700(R19)
연비
(km/ℓ)
도심 10.3/고속 14.6/복합 11.9(R17)/
도심 10.1/고속 14.0/복합 11.6(R18)/
도심 9.7/고속 13.4/복합 11.1(R19)
도심 8.3/고속 12.0/복합 9.7(R18)/
도심 8.3/고속 11.7/복합 9.6(R19)
도심 6.4/고속 9.3/복합 7..5(R17)/
도심 6.3/고속 9.3/복합 7.4(R18)/
도심 6.3/고속 9.0/복합 7.3(R19)
Co2 배출량
(g/km)
142(R17)/
146(R18)/
153(R19)
178(R18)/
179(R19)
177(R17)/
180(R18)/
182(R19)


7. 4.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 (2019년~2022년)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2019년에 출시된 현대 그랜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전장은 4,990mm, 전폭은 1,875mm, 전고는 1,470mm, 축거는 2,885mm이다. 2.4ℓ 세타 Ⅱ MPI 엔진과 전기 모터가 결합되어 최고 출력 159마력(ps/rpm), 최대 토크 21.0kgf·m/rpm을 발휘하며, 모터 최고 출력은 38kW, 모터 최대 토크는 205Nm이다. 복합 연비는 17인치 휠 기준 16.2km/ℓ, 18인치 휠 기준 15.2km/ℓ이다.

구분2.4ℓ 가솔린 하이브리드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프리미엄


8. 7세대 (GN7) (2022년~현재)

7세대 그랜저는 6세대 그랜저 출시 6년 후인 2022년 11월 14일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다.[26] 이전 모델과 비교하여 전장은 5,035mm로 45mm 길어졌으며, 휠베이스와 후방 오버행은 각각 10mm 및 50mm 증가했다.[27]

외관은 주간주행등(DRL)과 위치등이 전체 너비에 걸쳐 수평으로 이어지고 방향 지시등 기능이 통합된 디자인이며, 카울 포인트가 후방으로 이동했다. 내부는 감싸는 듯한 구조에 부드럽게 퍼지는 분위기 조명과 한국적인 느낌으로 디자인된 도어 트림 패턴이 특징이다.

7세대 그랜저는 ccNC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두 개의 내장 카메라, 두 개의 디지털 키, 실내 지문 인증 시스템, 리클라이닝(뒷좌석), 전동식 도어 커튼을 갖추고 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드라이브 모터를 사용하는 E-모션 드라이브가 장착되어 주행 성능을 향상시켰다.[28]

; 디 올 뉴 그랜저 (2022년~2024년)

디 올 뉴 그랜저(7세대)는 2016년 11월 6세대 그랜저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2022년 10월 19일 내·외장 디자인이 공개[73]된 후 동년 11월 14일에 출시되었다. 3세대(XG) 이후 오랜만에 프레임리스 도어가 적용되었으며, 전면부에는 '끊김없이 연결된 수평형 램프(Seamless Horizon Lamp)'가 통합형 그릴과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되었다.[74] 측면부는 헤드램프에서 리어 램프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선과 프레임리스 도어,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이 조화를 이루며, 후면부에도 수평형 램프가 적용되었다. 실내는 랩어라운드(wrap-around) 구조와 함께 앰비언트 무드램프, 대한민국적인 느낌으로 디자인된 도어 트림의 패턴이 특징이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세타2 198마력 직렬 4기통 앳킨슨 사이클 2.5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을 유지하면서, V6 가솔린 엔진은 K8에서 선보인 300마력 V6 3.5리터 DOHC 가솔린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V6 3.5리터 DOHC 가솔린 엔진에는 AWD 선택이 가능하다. V6 LPG 엔진 역시 K8스타리아에 적용된 240마력 V6 3.5리터 DOHC LPG 엔진으로 변경되었으며, 도넛형 봄베(80% 안전 충전 기준 71리터)가 장착된다. 또한, 230마력 1.6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가 적용되어 기존 2.4리터 자연흡기 가솔린 하이브리드를 대체한다.

디 올 뉴 그랜저는 빌트인 캠 2, 디지털 키 2, 실내 지문 인증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75]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구동 모터를 활용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E-모션 드라이브가 적용되었는데, 이는 불규칙한 노면에서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는 E-컴포트 드라이브와 급가속 및 코너링 등의 상황에서 안정적인 운동 성능을 구현하는 E-다이내믹 드라이브로 나뉜다.[76]

자동변속기는 역대 그랜저 최초로 컬럼+로터리식으로 장착되었다. 벤츠의 컬럼식 자동변속기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아이오닉 5와 같이 레버 끝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조작하는 방식이다.

2023년 6월 20일에 현대 쏘나타 7세대 LPG 택시가 단종되면서, 현대자동차에서 직접 생산하는 세단형 LPG 택시는 그랜저만 남게 되었다.

구분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 엔진스마트스트림 가솔린 V6 3.5 엔진스마트스트림 LPG V6 3.5 엔진스마트스트림 LPG V6 3.5 엔진(장애인용)
디 올 뉴 그랜저프리미엄프리미엄프리미엄프리미엄 플러스



; 디 올 뉴 그랜저 제원

구분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스마트스트림 가솔린 3.5스마트스트림 LPG 3.5
전장
(mm)
5,035
전폭
(mm)
1,880
전고
(mm)
1,460
축거
(mm)
2,895
윤거
(전, mm)
1,628(18")1,628(18")1,628(18")
윤거
(후, mm)
1,635(18")1,635(18")1,635(18")
승차 정원5명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4973,4703,470
최고 출력
(ps/rpm)
198/6,100300/6,400240/6,000
최대 토크
(kgf·m/rpm)
25.3/4,00036.6/5,00032.0/4,500
연료 탱크 용량
(ℓ)
6071 (80% 충전 기준)
트렁크 용량
(ℓ, VDA)
480480320



사양[29][30]
모델년도변속기출력토크0–100 km/h
(0-62 mph)
(공식)
가솔린
Smartstream G2.5 GDI2022년~현재8단 자동198 PS @ 6,100 rpm25.3 kgf·m @ 4,000 rpm
Smartstream G3.5 GDI300 PS @ 6,400 rpm36.6 kgf·m @ 5,000 rpm
하이브리드
Smartstream G1.6 T-GDI Hybrid2022년~현재6단 자동230 PS @ 5,500 rpm35.7 kgf·m @ 1,500–4,400 rpm
LPG
Smartstream L3.5 LPi2022년~현재8단 자동240 PS @ 6,000 rpm32 kgf·m @ 4,500 rpm



; 2025 그랜저 (2024년~현재)

2024년 6월 5일에 그랜저의 연식 변경 모델인 2025 그랜저가 출시되었다. 2025 그랜저는 그릴, 앰블럼 등 외장 요소 일부를 블랙컬러로 선택 가능한 블랙 익스테리어 패키지가 새로 추가되었다.[77]

또한 차로 유지 보조 2,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 시스템, 트렁크 리드 조명, 후석 시트 벨트 조명, 실내 소화기, 전자식 변속칼럼 진동 경고 기능 등 새로운 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되었으며,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적용 범위가 공조제어기까지 확대되었다. 가솔린 2.5 모델은 3,768만 원부터, 하이브리드 프리미엄 모델은 세제혜택 반영 후 4,291만 원부터 시작한다. 옵션을 기본화하고도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했고, 이때부터 법규 개정으로 차량용 소화기가 의무 적용되며 빌트인 캠 2 적용 시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다.[78]

8. 1. 디 올 뉴 그랜저 (2022년~2024년)

디 올 뉴 그랜저(7세대)는 2016년 11월 6세대 그랜저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2022년 10월 19일 내·외장 디자인이 공개[73]된 후 동년 11월 14일에 출시되었다. 3세대(XG) 이후 오랜만에 프레임리스 도어가 적용되었으며, 전면부에는 '끊김없이 연결된 수평형 램프(Seamless Horizon Lamp)'가 통합형 그릴과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되었다.[74] 측면부는 헤드램프에서 리어 램프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선과 프레임리스 도어,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이 조화를 이루며, 후면부에도 수평형 램프가 적용되었다. 실내는 랩어라운드(wrap-around) 구조와 함께 앰비언트 무드램프, 대한민국적인 느낌으로 디자인된 도어 트림의 패턴이 특징이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세타2 198마력 직렬 4기통 앳킨슨 사이클 2.5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을 유지하면서, V6 가솔린 엔진은 K8에서 선보인 300마력 V6 3.5리터 DOHC 가솔린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V6 3.5리터 DOHC 가솔린 엔진에는 AWD 선택이 가능하다. V6 LPG 엔진 역시 K8스타리아에 적용된 240마력 V6 3.5리터 DOHC LPG 엔진으로 변경되었으며, 도넛형 봄베(80% 안전 충전 기준 71리터)가 장착된다. 또한, 230마력 1.6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가 적용되어 기존 2.4리터 자연흡기 가솔린 하이브리드를 대체한다.

디 올 뉴 그랜저는 빌트인 캠 2, 디지털 키 2, 실내 지문 인증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75]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구동 모터를 활용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E-모션 드라이브가 적용되었는데, 이는 불규칙한 노면에서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는 E-컴포트 드라이브와 급가속 및 코너링 등의 상황에서 안정적인 운동 성능을 구현하는 E-다이내믹 드라이브로 나뉜다.[76]

자동변속기는 역대 그랜저 최초로 컬럼+로터리식으로 장착되었다. 벤츠의 컬럼식 자동변속기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아이오닉 5와 같이 레버 끝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조작하는 방식이다.

2023년 6월 20일에 현대 쏘나타 7세대 LPG 택시가 단종되면서, 현대자동차에서 직접 생산하는 세단형 LPG 택시는 그랜저만 남게 되었다.

구분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 엔진스마트스트림 가솔린 V6 3.5 엔진스마트스트림 LPG V6 3.5 엔진스마트스트림 LPG V6 3.5 엔진(장애인용)
디 올 뉴 그랜저프리미엄프리미엄프리미엄프리미엄 플러스



; 디 올 뉴 그랜저 제원

구분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스마트스트림 가솔린 3.5스마트스트림 LPG 3.5
전장
(mm)
5,035
전폭
(mm)
1,880
전고
(mm)
1,460
축거
(mm)
2,895
윤거
(전, mm)
1,628(18")1,628(18")1,628(18")
윤거
(후, mm)
1,635(18")1,635(18")1,635(18")
승차 정원5명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2,4973,4703,470
최고 출력
(ps/rpm)
198/6,100300/6,400240/6,000
최대 토크
(kgf·m/rpm)
25.3/4,00036.6/5,00032.0/4,500
연료 탱크 용량
(ℓ)
6071 (80% 충전 기준)
트렁크 용량
(ℓ, VDA)
480480320



사양[29][30]
모델년도변속기출력토크0–100 km/h
(0-62 mph)
(공식)
가솔린
Smartstream G2.5 GDI2022년~현재8단 자동198 PS @ 6,100 rpm25.3 kgf·m @ 4,000 rpm
Smartstream G3.5 GDI300 PS @ 6,400 rpm36.6 kgf·m @ 5,000 rpm
하이브리드
Smartstream G1.6 T-GDI Hybrid2022년~현재6단 자동230 PS @ 5,500 rpm35.7 kgf·m @ 1,500–4,400 rpm
LPG
Smartstream L3.5 LPi2022년~현재8단 자동240 PS @ 6,000 rpm32 kgf·m @ 4,500 rpm



8. 2. 2025 그랜저 (2024년~현재)

2024년 6월 5일에 그랜저의 연식 변경 모델인 2025 그랜저가 출시되었다. 2025 그랜저는 그릴, 앰블럼 등 외장 요소 일부를 블랙컬러로 선택 가능한 블랙 익스테리어 패키지가 새로 추가되었다.[77]

또한 차로 유지 보조 2,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 시스템, 트렁크 리드 조명, 후석 시트 벨트 조명, 실내 소화기, 전자식 변속칼럼 진동 경고 기능 등 새로운 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되었으며,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적용 범위가 공조제어기까지 확대되었다. 가솔린 2.5 모델은 3,768만 원부터, 하이브리드 프리미엄 모델은 세제혜택 반영 후 4,291만 원부터 시작한다. 옵션을 기본화하고도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했고, 이때부터 법규 개정으로 차량용 소화기가 의무 적용되며 빌트인 캠 2 적용 시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다.[78]

9. 역대 슬로건

10. 미디어 속 그랜저

주로 정치인이나 전문직, 대기업 임원급에 있는 배역의 차량으로 자주 등장하며, 조직폭력배에서 높은 직급에 있는 배역의 차량으로도 종종 등장하는데, 어떤 위치에서도 사회에서 어느정도 자리잡은 중산층 이상의 배역들의 차량으로 등장하는 편이다.

3세대 모델 그랜저 XG는 출시된 지 10년이 넘은 2010년대 이후로는 국내영화나 드라마 교통사고 장면에서 자주 등장하는 차량이기도 하다.[79] 중고 가격이 비싸지 않으면서도 그렇게 오래 되지 않은 고급차라 등장시키기 적당하다는 이유인 듯하다. 이후 2010년대 후반부터는 4세대 그랜저 TG도 적지 않게 보인다.[80] 이전에는 1세대와 2세대 그랜저도 사고씬에 많이 투입됐으나, 더 이상 중고 매물을 찾기도 힘들고 매물이 있도라도 올드카 프리미엄이 붙어, 중고가가 올라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젊은 남자에서는 이한(이정재 분)이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 3.0ℓ)으로 짧은 추격신을 펼치는 장면이 나온다. 공공의 적에서는 사채업자 두목(윤문식 분) 아지트에서 깡패가 창문 밖으로 떨어지면서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을 덮친다. 경마장 가는 길에서는 1세대 그랜저 전기형(베이지색 2.0ℓ)이 잠시 등장한다.

투캅스에서는 강민호 형사(박중훈 분)에게 쫓기던 소매치기(강성진 분)를 1세대 그랜저 전기형(검은색 2.4ℓ)이 들이받는다. 또한 강민호 형사와 추격전을 벌이는 변태 살인범(강신범 분)의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전기형(은색 2.0ℓ)이, 마약사범 형제 태성(최종원 분) 및 황조(임대호 분)의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전기형(검은색 2.4ℓ)이 등장한다. 투캅스 3에서는 범죄자 김태식(김춘식 분)을 태운 차량으로 2세대 그랜저 후기형(뉴 그랜저 검은색)이 등장한다.

돈을 갖고 튀어라에서는 천달수(박중훈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뉴 그랜저(흰색 3.5ℓ 골드)가 등장한다. 넘버 3에서는 보스 강도식 (안석환 분)의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 3.0ℓ)이 등장한다. 주유소 습격 사건에서는 연예 기획사 사장의 차량으로 2세대 뉴 그랜저(흰색 3.0ℓ)가 등장한다.

동해물과 백두산이에서는 최백두(정준호 분)와 림동해 (공형진 분)가 2세대 뉴 그랜저(검은색 3.0ℓ 택시)를 탈취하여 해수욕장까지 간다. 공동경비구역 JSA에서는 준장의 차량으로 2세대 뉴 그랜저(검은색 이그제큐티브)가 등장한다. 황해에서는 김구남(하정우 분)이 4세대 그랜저(검은색 Q270)를 타고 추격전을 벌이다 반파되었다.

에서는 고속도로 운전자가 놀라는 철판에 3세대 그랜저 XG 전기형(검은색 Q25)이 박살난다. 친구 2에서는 이준석(유오성 분)의 수하들이 4세대 그랜저 뉴 럭셔리(검은색 L330)를 경호 차량으로 사용한다.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는 최익현(최민식 분)의 의전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후기형(은색)이 등장한다.

내부자들에서는 조 상무(조우진 분)가 4세대 그랜저 뉴 럭셔리(검은색 Q270)를 탄다. 범죄도시에서는 흑룡파 일당의 차량으로 3, 4세대 그랜저가 등장하고, 독사파와 춘식이파 조직원들이 타는 차량으로도 나온다. 범죄도시 2에서도 그랜저 TG가 등장한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는 이준하(정준하 분) 가족이 타는 자동차로 4세대 그랜저(TG) 초기형(은색)이 나온다. 모래시계에서는 여러 대의 1세대 그랜저 후기형 (검은색 2.0)이 등장한다.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는 순양 자동차 야심작인 순양 아테나로 초기형에 F/L 휠을 장착한 모델이 나오나, 에피소드 마지막에 IMF 외환위기가 터진다. 카지노 시즌 2에서는 5세대 그랜저 HG 전기형 (검은색 HG240 LUXURY) 모델이 등장하는데, 2화에서 서태석(허성태 분)이 차무식(최민식 분)을 트렁크에 가두고 강물에 수장시킨다.

헬로 카봇에서는 주인공인 차탄을 지켜주는 로봇인 카봇 호크가 등장하는데, 카봇 호크의 차량은 5세대 HG 그랜저 중기형(파란색 HG330 셀러브리티)이다. 터닝메카드 W에 등장하는 메카니멀 로봇인 크라켄은 5세대 HG 그랜저 후기형(흰색 HG300 익스클루시브)을 기반으로 한다.

싸이의 7집 앨범인 칠집싸이다에 수록된 곡인 나팔 바지의 뮤직 비디오에도 등장하는데, 해당 차량은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 2.0)이다.

경찰청 사람들에서 범죄 재구성 시 1세대, 2세대 현대 그랜저 차량이 나온다.

10. 1. 영화

젊은 남자에서는 이한(이정재 분)이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 3.0ℓ)으로 짧은 추격신을 펼치는 장면이 나온다. 공공의 적에서는 사채업자 두목(윤문식 분) 아지트에서 깡패가 창문 밖으로 떨어지면서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을 덮친다. 경마장 가는 길에서는 1세대 그랜저 전기형(베이지색 2.0ℓ)이 잠시 등장한다.

투캅스에서는 강민호 형사(박중훈 분)에게 쫓기던 소매치기(강성진 분)를 1세대 그랜저 전기형(검은색 2.4ℓ)이 들이받는다. 또한 강민호 형사와 추격전을 벌이는 변태 살인범(강신범 분)의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전기형(은색 2.0ℓ)이, 마약사범 형제 태성(최종원 분) 및 황조(임대호 분)의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전기형(검은색 2.4ℓ)이 등장한다. 투캅스 3에서는 범죄자 김태식(김춘식 분)을 태운 차량으로 2세대 그랜저 후기형(뉴 그랜저 검은색)이 등장한다.

돈을 갖고 튀어라에서는 천달수(박중훈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뉴 그랜저(흰색 3.5ℓ 골드)가 등장한다. 넘버 3에서는 보스 강도식 (안석환 분)의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 3.0ℓ)이 등장한다. 주유소 습격 사건에서는 연예 기획사 사장의 차량으로 2세대 뉴 그랜저(흰색 3.0ℓ)가 등장한다.

동해물과 백두산이에서는 최백두(정준호 분)와 림동해 (공형진 분)가 2세대 뉴 그랜저(검은색 3.0ℓ 택시)를 탈취하여 해수욕장까지 간다. 공동경비구역 JSA에서는 준장의 차량으로 2세대 뉴 그랜저(검은색 이그제큐티브)가 등장한다. 황해에서는 김구남(하정우 분)이 4세대 그랜저(검은색 Q270)를 타고 추격전을 벌이다 반파되었다.

에서는 고속도로 운전자가 놀라는 철판에 3세대 그랜저 XG 전기형(검은색 Q25)이 박살난다. 친구 2에서는 이준석(유오성 분)의 수하들이 4세대 그랜저 뉴 럭셔리(검은색 L330)를 경호 차량으로 사용한다.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는 최익현(최민식 분)의 의전 차량으로 1세대 그랜저 후기형(은색)이 등장한다.

내부자들에서는 조 상무(조우진 분)가 4세대 그랜저 뉴 럭셔리(검은색 Q270)를 탄다. 범죄도시에서는 흑룡파 일당의 차량으로 3, 4세대 그랜저가 등장하고, 독사파와 춘식이파 조직원들이 타는 차량으로도 나온다. 범죄도시 2에서도 그랜저 TG가 등장한다.

10. 2.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는 이준하(정준하 분) 가족이 타는 자동차로 4세대 그랜저(TG) 초기형(은색)이 나온다. 모래시계에서는 여러 대의 1세대 그랜저 후기형 (검은색 2.0)이 등장한다.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는 순양 자동차 야심작인 순양 아테나로 초기형에 F/L 휠을 장착한 모델이 나오나, 에피소드 마지막에 IMF 외환위기가 터진다. 카지노 시즌 2에서는 5세대 그랜저 HG 전기형 (검은색 HG240 LUXURY) 모델이 등장하는데, 2화에서 서태석(허성태 분)이 차무식(최민식 분)을 트렁크에 가두고 강물에 수장시킨다.

10. 3. 만화

헬로 카봇에서는 주인공인 차탄을 지켜주는 로봇인 카봇 호크가 등장하는데, 카봇 호크의 차량은 5세대 HG 그랜저 중기형(파란색 HG330 셀러브리티)이다. 터닝메카드 W에 등장하는 메카니멀 로봇인 크라켄은 5세대 HG 그랜저 후기형(흰색 HG300 익스클루시브)을 기반으로 한다.

10. 4. 뮤직 비디오

싸이의 7집 앨범인 칠집싸이다에 수록된 곡인 나팔 바지의 뮤직 비디오에도 등장하는데, 해당 차량은 1세대 그랜저 후기형(검은색 2.0)이다.

10. 5. 교양

경찰청 사람들에서 범죄 재구성 시 1세대, 2세대 현대 그랜저 차량이 나온다.

11.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Hyundai teases new Azera, which will not come to the US https://www.cnet.com[...]
[2] 웹사이트 Hyundai Azera large sedan officially dead in America http://www.autoblog.[...] 2017-07-06
[3] 웹사이트 Blast From the Past #16: The elite's ride of choice, from CEOs to mobsters https://web.archive.[...] Korea JoongAng Daily 2010-02-22
[4] 보도자료 Hyundai Motor Pays Tribute to Original Grandeur Flagship Sedan with Heritage Series EV Resto-mod https://www.hyundai.[...] Hyundai Motor Corporation 2021-11-12
[5] 웹사이트 Hyundai introduces retro BEV for its 35th https://www.electriv[...] 2021-11-17
[6] 웹사이트 The Heritage Series Grandeur: A modern take on the 1986 flagship sedan https://www.hyundai.[...] Hyundai Motor Corporation 2021
[7] 웹사이트 國產 HYUNDAI XG Q20 2.0 房車正式發表 http://www.auto-onli[...]
[8] 웹사이트 현대 트라제XG / 고급차 분위기에 승차감도 좋아 / 소음 없고 힘 좋지만 비싼게 흠 https://www.hani.co.[...] 1999-11-18
[9] 웹사이트 Vehicle History 1999 TRAJET XG https://www.hyundai.[...]
[10] 웹사이트 Grandeur coréenne https://www.vroom.be[...]
[11] 웹사이트 Avera Motors changes name to Rivian Automotive, begins road tests https://web.archive.[...] Autoblog 2011-03-15
[12] 웹사이트 IIHS-HLDI: Hyundai Azera https://web.archive.[...] Iihs.org 2008-11-25
[13] 웹사이트 IIHS-HLDI: Hyundai Azera https://web.archive.[...] Iihs.org 2008-11-25
[14] 웹사이트 Safercar.gov https://archive.toda[...] Safercar.gov 2007-09-04
[15] 웹사이트 First Drive: 2012 Hyundai Azera – Automobile Magazine https://web.archive.[...] Automobilemag.com 2012-02-24
[16] 웹사이트 2012 Hyundai Azera First Drive – Review – Car and Driver http://www.caranddri[...] Caranddriver.com 2012-02
[17] 뉴스 Moving to the Intersection of Avalon and LaCrosse https://www.nytimes.[...] 2012-03-16
[18] 웹사이트 2012 Hyundai Grandeur 5G gets 3.0L GDI V6 Theta engine https://web.archive.[...] hyundai blog 2011-01-13
[19] 웹사이트 Grandeur https://web.archive.[...] Hyundai Motor
[20] 웹사이트 Hyundai Grandeur Hybrid introduced, features a combined output of 204 HP https://www.motor1.c[...]
[21] 웹사이트 2014 Hyundai Azera gives you more for less https://www.autoblog[...] 2013-12-20
[22] 웹사이트 Hyundai Will Drop The Azera From Its U.S. Lineup https://www.carscoop[...] 2017-07-05
[23] 웹사이트 2020 Hyundai Grandeur facelift receives big new grille - paultan.org https://paultan.org/[...] 2019-11-14
[24] 웹사이트 Azera Highlights | Sedan - Hyundai Worldwide https://www.hyundai.[...]
[25] 웹사이트 Hyundai to Launch Grandeur Heritage-Inspired EV Sedan in 2023 https://thekoreancar[...] 2021-11-22
[26] 뉴스 Hyundai's Grandeur Gets 1st Full Revamp in 6 Years https://english.chos[...]
[27] 뉴스 Hyundai Motor's new Grandeur boasts futuristic design https://www.koreatim[...]
[28] 뉴스 Hyundai представила новый Grandeur https://auto.24tv.ua[...]
[29] 웹사이트 제원 https://www.hyundai.[...]
[30] 웹사이트 제원 https://www.hyundai.[...]
[31] 웹사이트 2010 Ford Taurus Limited AWD vs. 2011 Toyota Avalon Limited vs. 2010 Hyundai Genesis 3.8 Comparison https://web.archive.[...] Motor Trend
[32] 웹사이트 Buick LaCrosse vs. Ford Taurus, Hyundai Genesis, Lexus ES350 – Comparison Tests http://www.caranddri[...] Caranddriver.com 2012-10-10
[33] 웹사이트 Sales Results | IR Resources | IR | Hyundai Worldwide https://www.hyundai.[...]
[34] 뉴스 자동차까지 레트로, '각 그랜저' 드디어 출시되나 https://topclass.cho[...] 톱클래스 2022-09-01
[35] 웹사이트 三菱 デボネアVは厳つそうだけどシンプル、重厚そうだけどパーソナル?【ネオ・クラシックカー・グッドデザイン太鼓判「個性車編」第14回】 https://clicccar.com[...] 2021-08-28
[36] Youtube PSY - 'That That (prod. & feat. SUGA of BTS)' MV https://www.youtube.[...] 2022-04-29
[37] Youtube PSY - 나팔바지(NAPAL BAJI) M/V https://www.youtube.[...] 2017-05-10
[38] Youtube Feel the Rhythm of Korea with BTS – DAEJEON ROCK N ROLL https://www.youtube.[...] 2022-10-20
[39] 웹사이트 ヒュンダイ 「グレンジャー」35周年記念のEVコンセプトカー発表 https://www.goo-net.[...] 2024-10-06
[40]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4-10-07
[41] 웹사이트 現代 그랜저 등 대형차 全차종 모델변경 https://n.news.naver[...] 2024-10-07
[42] 웹사이트 현대차 뉴그랜저XG 美서 퇴짜…“뒷면 디자인 맘에 안들어” https://n.news.naver[...] 2024-10-09
[43] 웹사이트 현대차, 첨단 LPI 엔진 탑재 차량 출시 https://n.news.naver[...] 2024-10-09
[44] 웹사이트 [경제플러스] 42만대 팔린 그랜저 XG 8월 단종 https://n.news.naver[...] 2024-10-09
[45] 웹사이트 현대차 그랜저 "패밀리 룩 이끈다" https://n.news.naver[...] 2024-10-12
[46] 웹사이트 현대차, 안락함 강조한 '그랜저 뉴 럭셔리' 출시 https://n.news.naver[...] 2024-10-12
[47] 웹사이트 그랜저 뉴 럭셔리, 2.7업그레이드 모델 출시 https://n.news.naver[...] 2024-10-12
[48] 웹사이트 현대차, 6단 자동변속기 장착 2009 그랜저 뉴 럭셔리 출시 https://n.news.naver[...] 2024-10-12
[49] 웹사이트 時事通信の記事 http://www.jiji.com/[...]
[50] 뉴스 4500億ウォン投入した現代自新型「グレンジャー」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01-14
[51] 뉴스 現代車の新型グレンジャー、最高出力270馬力・エアバッグ9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0-12-07
[52] 뉴스 현대자동차 エンジンのピストンがボンネットを突き抜けて脱出 グレンジャーHG http://biz.chosun.co[...] 조선Biz 2013-06-07
[53] 뉴스 韓経:韓日のセダン、米国市場での激戦を予告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12-12
[54] 웹사이트 18年のエコカー販売26.6%増 EVが3万台初突破=韓国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7-01-07
[55] 웹사이트 現代自が新型「グレンジャー」デザイン公開 6年ぶりフルモデルチェンジ(聯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10-19
[56] 웹사이트 5m超えの高級セダン登場! 韓国ヒョンデのフラッグシップ 新型「グレンジャー」グローバル発表 初代は「三菱高級セダン」似だった? https://kuruma-news.[...] 2022-11-15
[57] 웹사이트 신형 그랜저, 추억 속 '각그랜저' 닮았다 http://autotimes.han[...]
[58] 뉴스 현대自 95년형 그랜저 시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10-11
[59] 뉴스 現代 그랜저 등 대형차 全 차종 모델 변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7-02
[60] 기타
[61] 뉴스 현대차, 히딩크 감독.선수단에 차량 증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7-03
[62] 뉴스 현대차 뉴그랜저XG 美서 퇴짜… "뒷면 디자인 맘에 안들어"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2-05-24
[63] 뉴스 뉴 그랜저 XG 2004형부터 후면램프 원위치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3-07-06
[64] 뉴스 현대차, 첨단 LPI 엔진 탑재 차량 출시 https://news.naver.c[...] 디지털타임스 2003-10-27
[65] 뉴스 경제플러스 42만대 팔린 그랜저 XG 8월 단종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5-06-18
[66] 뉴스 현대차 그랜저 "패밀리 룩 이끈다"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05-07-13
[67] 뉴스 현대차, 안락함 강조한 '그랜저 뉴 럭셔리' 출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2-20
[68] 뉴스 그랜저 뉴 럭셔리, 2.7업그레이드 모델 출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7-02
[69] 뉴스 현대차, 6단 자동변속기 장착 2009 그랜저 뉴 럭셔리 출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1-05
[70] 뉴스 현대차, 고품격 '더 럭셔리 그랜저' 출시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9-12-15
[71] 뉴스 현대차, 그랜저 탄생 30주년 기념 '그랜저 더 타임리스' 출시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6-05-03
[72] 뉴스 현대차 준대형 그랜저도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12-15
[73] 뉴스인용 “밤과 아침 가르는 새벽 경계선”… 돌아온 ‘각 그랜저’ 베일 벗었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2-10-20
[74] 뉴스인용 원조 사장님車의 귀환…현대차, 풀체인지 그랜저 공개 https://www.asiatoda[...] 아시아투데이 2022-10-19
[75] 뉴스인용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 디자인 최초 공개 http://www.m-i.kr/ne[...] 매일일보 2022-10-19
[76] 뉴스인용 최첨단 대형차 ‘디 올 뉴 그랜저’ 출시… 시작가 324만 원 인상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2-11-14
[77] 웹인용 '베스트셀링카' 그랜저 25년형 출시…최신 안전·편의사양 기본화 https://www.news1.kr[...] 2024-06-05
[78] 웹인용 “국가대표 세단의 연식변경”…현대차 ‘2025 그랜저’ 3768만원부터 출시 https://www.mk.co.kr[...] 2024-06-05
[79] 목록 황해, 스캔들: 매우 충격적이고 부도덕한 사건, 하루 (2017년 영화), 왔다! 장보리, 너희들은 포위됐다, 내사랑 나비부인, 전설의 마녀, 울지 않는 새, 아수라, 내 딸 금사월, 여자의 비밀, 디데이 등
[80] 목록 르노삼성 SM5(2세대 SM5), 기아 쎄라토(쎄라토), 쌍용 카이런(카이런) 더불어 여전히 교통사고 장면에 쓰이지 않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