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타(Ṛta)는 베다 산스크리트어 단어로, "고정된 질서, 규칙, 신성한 법 또는 진실"을 의미한다. 원시 인도유럽어의 "적절히 결합된, 올바른, 참된"에서 파생된 이 단어는 우주적 질서, 보편적인 법칙을 나타내며, 아베스타어의 아샤(aṣ̌a)와 어원을 공유한다. 베다에서 르타는 3가지 특징(지속적인 움직임, 상호 의존적인 시스템, 고유한 질서)을 가지며, 물, 하늘, 태양과 같은 물리적 현상, 다양한 신들을 나타내기도 한다. 르타는 바루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다르마, 카르마와 같은 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르타는 개인의 이름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루나 - 마카라
    마카라는 힌두교와 불교 예술에서 물과 풍요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신화 속 혼종 동물로, 다양한 동물 신체 부위의 결합으로 묘사되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 바루나 - 미트라-바루나
    미트라-바루나는 힌두교 및 베다 경전에서 계약, 우정, 물, 하늘, 진실을 관장하며 정의와 질서를 유지하는 한 쌍의 신적 존재이다.
  • 힌두 철학 개념 - 간디주의
    간디주의는 마하트마 간디의 사상을 따르는 철학으로, 비폭력, 진리 추구, 자급자족 경제, 사회 정의를 핵심 가치로 삼고, 사티아그라하와 아힘사를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하며,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철학 개념 - 아바타라
    아바타라는 신이나 초월적 존재가 인간이나 동물의 형태로 강림하는 것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로, 힌두교에서는 특히 비슈누의 화신을 지칭하며 다르마 회복과 악의 소멸을 위해 나타나는 존재를 뜻한다.
르타
어원
의미"진리", "우주의 질서", "자연의 법칙" 등을 의미함
로마자 표기Ṛta
개념
설명리그베다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우주의 근본적인 원리, 자연 질서, 도덕 법칙 등을 포괄함
중요성우주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로 여겨짐
관련 신바루나 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아디티와도 관련됨
특징인간의 행동과 자연 현상을 연결하며, 도덕적 책임과 질서 유지를 강조함
역할희생 제사의 올바른 수행을 보장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영향후대 힌두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침

2. 어원

ṛtása와 그에 상응하는 아베스타어 단어인 aṣ̌aae는 모두 원시 인도이란어의 *Hr̥tás "진실"[4]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다시 원시 인도유럽어 ''*h₂r-tós'' "적절히 결합된, 올바른, 참된"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추정되는 어근 ''*h₂er-''에서 비롯되어, 라틴어 ''ordo'' 및 영어의 ''order''와 먼 친족 관계를 형성한다. 파생 명사 ''ṛta''는 "고정되거나 정해진 질서, 규칙, 신성한 법 또는 진실"로 정의된다.[5]

Mahony (1998)가 언급했듯이, 이 용어는 "적절한 방식으로 움직인 것"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 의미는 권위 있는 산스크리트어 사전에서는 실제로 인용되지 않지만, 동사 어근 ṛ, "움직이다"와 과거 분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ta로부터 파생된 일반적인 형태이므로, 이 단어의 추정 기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 추상적으로는 "보편적인 법칙", "우주적 질서" 또는 단순히 "진실"로 번역된다.[6] 후자의 의미는 ''Ṛta''의 아베스타어 동족어인 ''aṣ̌a''에서 우세하다.[7]

이 단어의 올바른 산스크리트어 발음은 ṛta이며, ṛ는 미국식 발음과 같이 r이 로틱(rhotic) r로 발음될 때 pert 또는 dirt의 ṛ와 같은 모음 r이고, 그 뒤에 단모음 a가 온다. 현대 인도 언어 사용자의 가장 일반적인 발음은 "rita"인데, 이는 산스크리트어의 후속 언어인 프라크리트어와 현대 인도 아리아어에서 모음 r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 발음은 단모음 i와 단모음 a로 발음된다.

이 용어는 베다 텍스트와 포스트 베다 텍스트에 Ṛta와 파생어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기원전 2세기의 텍스트인 파탄잘리의 ''마하바샤''에서 그는 ''Ṛtaka''를 아들의 이름에 대한 문법적으로 올바른 형태로 설명하는데, 이 이름은 "진실한 아이"를 의미한다.[8]

3. 기원

학계에서는 ''Ṛta''의 기원에 대한 공통된 입장이 없다. 많은 인도유럽어족 문화권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며, 이름은 동일한 어근 단어 ''*''에서 파생될 수 있다. 이것이 일부 학자들이 인도유럽 문화권의 하위 문화에서 나타나는 개념들이 원시 인도유럽 문화에서 공통 조상을 갖는다는 입장을 취하는 이유이다.[9]

반대로 헤르만 올덴베르크(1894)는 ''Ṛta''의 개념이 원래 인도 아리아인 시대에 세상의 자연 질서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일종의 인과적 필연성을 갖는다는 고찰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측했다.[10] 베다의 ''Ṛta''와 아베스타의 아샤(''aša'')는 물리적, 윤리적, 의례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삼위일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11] 고대 베다 종교의 맥락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의 특징들은 물리적 우주에서 ''Ṛta''의 힘이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다.[12] 인간 영역에서 ''Ṛta''는 사회의 도덕적 질서와 베다 의례의 올바른 수행을 뒷받침하는 필연적인 힘으로 이해되었다.[13] 보편적인 자연 질서의 원리에 대한 개념은 베다에만 있는 것이 아니며, ''Ṛta''는 고대 이집트 종교의 마아트, 모이라와 그리스 다신교의 로고스, 그리고 도교와 같은 다른 문화의 유사한 개념과 비교되어 왔다.[14]

4. 베다에서의 Ṛta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특성상, "Ṛta(르타)"와 같은 용어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다양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인도와 유럽 학자들은 베다에서 "Ṛta(르타)"의 다양한 용법에 적합한 해석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질서 있는 행위"라는 근본적인 의미는 보편적으로 분명하게 남아 있다.[15] 리그베다에서 "Ṛta(르타)"라는 용어는 390회나 등장하며, "리그베다 사상을 관통하는 유일한 개념"으로 특징지어져 왔다.[16]

우주 질서인 "Ṛta(르타)"는 다음 세 가지 특징을 지닌다.[17]


  • ''Gati(가티)''는 지속적인 움직임 또는 변화를 의미한다.
  • ''Samghatna(삼가트나)''는 상호 의존적인 부분에 기반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 ''Niyati(니야티)''는 상호 의존과 움직임의 고유한 질서를 의미한다.


"Ṛta(르타)"는 "법", "명령", "질서", "희생", "진실", "규칙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데 가장 자주 등장하지만, "Ṛta(르타)" 작용의 현현(顯現)으로서의 물, 하늘 또는 태양과 같은 물리적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Ṛta(르타)"는 또한 다양한 베다 신을 언급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 브리하스파티는 "그 끈이 "Ṛta(르타)"인" 강력한 활을 소유하고 "Ṛta(르타)"의 전차를 탈 준비가 된 자로 언급된다.
  • 아그니는 "Ṛta(르타)를 갈망하는 자", "Ṛta(르타)를 생각하는 자"이며 "Ṛta(르타)에 의해 하늘과 땅을 펼치는 자"로 묘사된다.
  • 마루트는 "Ṛta(르타)의 집에서 기뻐하는 자"와 "Ṛta(르타)를 아는 자"로 언급된다.
  • 우샤스는 "Ṛta(르타)의 근본에 놓여진 자"로 묘사된다.
  • 바루나는 "Ṛta(르타)의 형태를 가진 자"로 칭찬받으며, 미트라와 함께 미트라-바루나로서 "Ṛta(르타)에 의해 적을 파괴하는 자"이며 "Ṛta(르타)에 의해 Ṛta(르타)를 공언하는 자"로 칭찬받는다.
  • "Ṛta(르타)에서 태어난" 및 "Ṛta(르타)의 보호자"와 같은 수식어는 수많은 신뿐만 아니라 희생의 불과 희생 자체에도 자주 적용된다.[18]


이러한 언급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신들은 결코 "Ṛta(르타)"를 지배하는 것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대신, 신들은 모든 창조된 존재와 마찬가지로 "Ṛta(르타)"에 종속되며, 그들의 신성은 그것의 현현의 집행자, 대리인 또는 도구로서 "Ṛta(르타)"를 섬기는 데 크게 기인한다.[19] Day(1982)가 지적했듯이, 신들은 "Ṛta(르타)를 다스리기보다는 신성한 명령과 보상과 처벌에 관한 징벌의 특수성을 통해 내재화한다. 이런 의미에서 그들은 "Ṛta(르타)"를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대리인과 조력자로서 섬긴다."[20]

4. 1. 바루나와의 관계

바루나를 묘사한 17세기 수채화. (여기서는 마카라를 타고 있다.) 그는 베다에서 ''르타''와 밀접하게 연관된 신이다.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로서의 ''르타'' 개념은 베다 시대의 의인화 경향에 저항했지만, 점차 개별 신들의 행위와 연관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전지전능하고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하늘의 신 바루나와 연관되었다.[21] 아디티아스가 집단으로서 "''르타''의 전차부"라고 불리며 "''르타''의 집에 거주하는" 등 ''르타''와 관련되어 있지만, 특히 "''르타''의 친구"로 확인되는 것은 바루나이다.[22] 바루나와 ''르타''의 연결은 물리적 영역을 넘어 의식 숭배의 영역까지 확장되었으며, 희생 제단 자체가 "''르타''의 고삐를 잡고, ''르타''를 위해 노력할 때 바루나가 된다"라고 칭송받았다.[23] 제임스(1969)는 바루나가 "''르타''를 유지하는 탁월한 보편적 힘"의 지위에 도달했으며, "하늘과 땅을 분리하고 세우고, 상하의 창공으로 펼쳐놓았으며, 스스로 보편적인 왕으로서 그 위에 왕좌에 앉아 불변의 도덕률을 정하고, ''르타''의 주권으로 자신의 통치를 행사했다"라고 칭송받았다고 언급했다.[24]

5. 다르마(Dharma)

초기 베다 문헌에서 르타(Ṛta)는 윤리적 원칙으로서 우주적 보응 개념과 연결된다. 리그베다의 중심 사상은 창조된 존재들이 르타의 명령에 따라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따를 때 참된 본성을 실현하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재앙과 고통을 겪는다는 것이다.[25] 따라서 자신의 행동을 르타의 지배에 맡기고 다르마(Dharma)를 따르는 것은 개인의 안녕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었다.[26] 이런 맥락에서 자연의 명령에 따르는 개인은 "르타의 다르마"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다.[27] 다르마는 본래 "의례적 규정, 공법, 도덕적 원칙 및 자연법에 표현된 보편적 질서의 측면으로, 세속적 자연, 종교, 사회, 도덕 영역과 관련하여 르타의 특수화된 발현"으로 여겨졌다.[28]

원래 형이상학적 개념인 르타의 하위 요소로 이해되었던 다르마는 이후 베다와 초기 힌두 문학에서 중요성이 커져 르타를 능가하게 되었다. Day (1982)에 따르면, 다르마 개념은 "...종교적, 도덕적, 사회적 규정을 제정하는 데 매우 유용해져서, 사회 및 도덕 질서에 대한 관심과 적용 논의가 형이상학적, 신학적 사상 논의를 압도하게 되었다. 다르마는 인도 전역의 광대한 문학 전통의 중심 주제가 되었지만, 르타 개념은 주로 베다와 그 주석에 국한되었으므로, 자연스럽게 오래되고 고귀한 개념을 희생하면서 바라문적 사고를 장악했다."[29]

6. 카르마(Karma)

베다 시대 말기에 ''다르마'' 개념이 강조되면서 개인의 윤리적 책임과 과실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30] 이 과실에 대한 논의 중심에는 ''카르마''(Karma, 문자 그대로 "행동") 개념이 있다. 카르마는 개인이 수행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다르마''와 일치하거나 반대될 수 있고, 따라서 ''르타''와도 일치하거나 반대될 수 있으며, 삶에서 경험하는 고통과 즐거움에 인과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31]

후기 베다 및 초기 힌두 전통에서 ''카르마''가 중심 교리로 등장한 것은 부분적으로 신정론 문제 때문이다. ''르타''의 내재된 선함과 우주의 작용에 대한 절대적인 힘을 고려할 때, 세상에 존재하는 심각한 불평등과 불의는 심각한 종교적, 철학적, 윤리적 딜레마를 나타냈다. ''카르마'' 개념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데, 이는 세상을 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부터 신들과 ''르타''를 효과적으로 면책하고, 그 책임을 개인에게 온전히 두는 "도덕적 인과 관계의 법칙"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32]

''르타''의 확장으로서 ''카르마''는 동일한 절대적인 효율성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여겨졌다.[33] Day (1982)는 "행위는 그 선함이나 악함에 따라 인과적으로 결정되며, 그 결과는 가차 없다. 보복적 효과를 일으키거나 ''카르마''의 엄격한 기계적 효율성을 방해할 수 있는 침입적이거나 임의적인 요인은 없다. 또한, 개인의 행운과 불운은 오직 그의 과거 행동의 결과이므로, 그는 삶이 마땅한 것보다 더 관대하거나 가혹하다고 믿을 근거가 없다. 그는 신의 자비를 찬양하거나 신의 분노를 애도할 이유가 없다."라고 언급했다.[34]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은 카르마의 관점에서 볼 때, 권력을 남용하고 부정한 방법으로 이익을 취한 행위에 대한 필연적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7. 고유 명사에서의 사용

ऋ|ṛsata- 또는 Arta-는 베다 및 인도 개인 이름의 요소로 나타난다.[35] 현대 인도에서는 ऋ|ṛsata가 Rita, Ruta, Ritambhar, Ritik, Ritwik, Ritesh 등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미탄니 이름 중에는 아르타타마 1세, 아르타슈마라, Artamanya 등이 있다.[36]

참조

[1] 참고
[2] 참고
[3] 참고
[4] 웹사이트 AṦA (Asha "Truth")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Iranicaonline.org 2013-02-21
[5] 참고
[6] 참고
[7] 참고
[8] 서적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9] 서적 Science and Religion: One Planet Many Possibilities Routledge
[10] 참고
[11] 참고
[12] 참고
[13] 참고
[14] 참고
[15] 참고
[16] 참고
[17] 참고
[18] 참고
[19] 참고
[20] 참고
[21] 참고
[22] 참고
[23] 참고
[24] 참고
[25] 참고
[26] 참고
[27] 참고
[28] 참고
[29] 참고
[30] 참고
[31] 참고
[32] 참고
[33] 참고
[34] 참고
[35] 참고
[36] 서적 Amarna Personal Names Eisenmans
[37] 간행물
[38] 간행물
[39]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