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쿠터거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버쿠터거북(P. concinna)은 최대 갑장 43.7cm까지 자라는 대형 거북으로, 미국 동부, 텍사스, 오클라호마, 인디애나 남부에 걸쳐 분포한다. 콩키나리버쿠터, 플로리다쿠터, 수와니쿠터 3아종으로 나뉘며, 등갑은 녹갈색, 갈색, 암갈색이며, 연노란색 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주로 강, 호수, 늪에서 서식하며, 식물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식물, 어류, 곤충 등을 먹는다. 짝짓기는 초봄에 이루어지며, 난생으로 80~100일 만에 부화한다.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지만, 서식지 상실, 포식자, 도로 사고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규정에 따라 등갑 길이가 4인치 미만인 거북이의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0년 기재된 파충류 - 바베이도스잎가락도마뱀붙이
- 1830년 기재된 파충류 - 붉은배거북
붉은배거북은 미국 동부의 반수생 거북으로, 붉거나 노란 줄무늬와 잡식성 특징을 가지며 애완동물로 사육되지만,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붉은귀거북과 혼동될 수 있고 국내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 늪거북과 - 붉은귀거북
붉은귀거북은 귀 주변 붉은 줄무늬에서 이름이 유래한 ''Trachemys scripta'' 아종으로, 애완동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야생화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래종이며, 수컷은 발톱과 꼬리에서 암컷과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이다. - 늪거북과 - 붉은귀거북속
붉은귀거북속(Trachemys)은 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적 특징을 보이는 늪거북과에 속하는 거북의 한 속이다. - 미국의 파충류 - 늑대거북
늑대거북은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큰 등껍질과 꼬리,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담수 거북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고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일본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 미국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리버쿠터거북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seudemys concinna |
명명자 | Le Conte, 1830 |
IUCN 보전 상태 | LC |
iNaturalist | Pseudemys concinna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거북목 |
아목 | 잠경아목 |
상과 | 땅거북상과 |
과 | 늪거북과 |
아과 | 아미메가메아과 |
속 | 쿠터거북속 |
종 | 리버쿠터 |
아종 | |
동의어 |
2. 지리적 분포
리버쿠터거북은 미국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는 민물거북이다. 주요 서식지는 버지니아주에서 플로리다주에 이르는 동부 지역과 앨라배마주, 미시시피주 등 남부 내륙 지역을 포함한다. 자세한 서식 범위와 아종별 분포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서식 범위
리버쿠터거북(''P. concinna'')은 버지니아에서 남쪽으로는 조지아주 중부까지, 서쪽으로는 텍사스 동부, 오클라호마, 북쪽으로는 인디애나주 남부까지 분포한다.[4]아종별 서식 범위는 다음과 같다.
아종명 | 모식 산지 | 분포 지역 |
---|---|---|
P. c. concinna (콩키나리버쿠터)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 주변 | 미국 동부 고유 아종 |
P. c. floridana (플로리다쿠터) | 플로리다주 세인트존스강 | 미국 (앨라배마주 남서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버지니아주 남동부, 플로리다주 북부) 고유 아종 |
P. c. suwanniensis (스와니쿠터) | 플로리다주 스와니강 | 미국 (플로리다주 북서부의 스와니강 수계) 고유 아종 |
2. 2. 아종별 분포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는 아종은 2종이다.[5] 각 아종 및 과거 아종이었던 플로리다쿠터거북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학명 | 일반명 | 분포 | 모식 산지 | 비고 |
---|---|---|---|---|
Pseudemys concinna concinna | 동부 리버쿠터거북 | 미국 동부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 주변[5] | |
Pseudemys concinna suwanniensis | 수와니쿠터거북 | 미국 (플로리다주 북서부 수와니강 수계) | 플로리다주 수와니강[5] | 때때로 별도의 종 P. suwanniensis로 간주된다.[5] |
Pseudemys floridana | 플로리다쿠터거북 | 미국 (앨라배마주 남서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버지니아주 남동부, 플로리다주 북부) | 플로리다주 세인트존스강[6][7] | 과거 P. concinna의 아종이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간주된다.[6][7] |
리버쿠터거북은 최대 갑장 43.7cm까지 자라는 대형 거북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며, 수컷의 최대 갑장은 약 30cm이다. 등갑은 뒤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보이며, 복갑은 주로 노란색을 띤다. 머리, 다리, 꼬리는 녹갈색, 갈색, 암갈색 등 다양한 색을 나타내며, 연노란색 또는 노란색의 줄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형태
어린 개체는 등갑의 척갑판 위에 줄무늬가 있는 융기(키일)가 뚜렷하지만, 성장하면서 점차 사라진다. 또한 수컷은 나이가 들면서 몸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검게 변하는 흑색화 현상을 보이며, 암컷 역시 성장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색이 어두워지는 암색화 경향을 보인다. 아종에 따라서는 무늬나 형태에 세부적인 차이가 나타난다.
3. 1. 특징
최대 갑장은 43.7cm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며, 수컷의 최대 갑장은 약 30cm이다. 등갑은 제7연갑판과 제8연갑판의 이음새 부분에서 가장 넓다. 목갑판은 크고 길쭉한 등각사다리꼴 모양이며 뒤쪽 폭은 크게 넓어지지 않는다. 복갑은 노란색을 띠며, 서혜갑판에 어두운 반점이 나타날 수 있다.
머리는 작은 편에서 중간 크기 정도이며, 위턱 바깥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 아니다. 머리, 다리, 꼬리는 녹갈색, 갈색, 암갈색 등을 띠며, 연노란색 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머리와 다리의 세부적인 무늬 특징은 다음과 같다.
부위 | 무늬 특징 |
---|---|
머리 옆 | 불규칙적인 무늬가 있으며, 잔무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머리 위 | 눈 사이에 가는 선 형태의 무늬가 있고, 그 뒤로는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
앞다리 (발등 쪽) | 네 번째 발톱과 연결된 무늬가 중간에 비틀어졌다가 다시 이어진다. |
뒷다리 (발바닥 쪽) | 불규칙적인 무늬들이 흩어져 있다. |
아래턱 (입 아래쪽) | 중앙에 ^ 모양 무늬가 있고, 주변으로 간격을 두고 굵은 무늬가 있다. |
알의 크기는 긴 지름 2.9cm~4.4cm, 짧은 지름 2.2cm~3cm 정도이다. 어린 거북은 척갑판에 줄무늬가 있는 융기(키일)가 있지만, 자라면서 점차 사라진다. 수컷은 성장하면서 몸 전체 또는 일부가 검게 변하는 흑색화 현상을 보이며, 암컷 역시 성장함에 따라 색이 어두워지는 암색화 경향을 보인다.
=== 아종별 특징 ===
- ''P. c. concinna'' (콘키나 리버쿠터)
복갑에는 갑판의 이음새(심) 주변에 어두운 반점이 있지만, 성체에서는 사라지기도 한다. 겨드랑갑판에도 어두운 반점이 있다. 위턱의 끝은 오목하며, 오목한 부분의 양쪽이 돌출되어 이빨 모양처럼 보이기도 한다. 아래턱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머리에서 목까지 이어지는 세로 줄무늬가 11개 이상이다.
- ''P. c. floridana'' (플로리다쿠터)
제2-3늑갑판 뒷부분에 1~3개의 활 모양 가로 줄무늬가 있다. 복갑에는 어두운 반점이 없다. 겨드랑갑판에 어두운 반점이 있는 개체도 있다. 위턱의 끝은 오목하지 않다. 아래턱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 아니다. 머리에서 목까지 이어지는 세로 줄무늬가 10개 이하이다.
- ''P. c. suwanniensis'' (스와니쿠터)
등갑의 색상은 어두우며, 제2늑갑판에는 알파벳 "C"자 모양의 반점이 있다. 복갑에는 이음새 주변에 어두운 반점이 있으며, 성체에서도 잘 사라지지 않는다. 겨드랑갑판에도 어두운 반점이 있다. 위턱의 끝은 오목하며, 오목한 부분의 양쪽이 돌출되어 이빨 모양처럼 보이기도 한다. 아래턱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머리와 목의 색상이 검정에 가깝다.
3. 2. 아종별 특징
현재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는 아종은 2종이다.[5]- ''Pseudemys concinna concinna'' (르콩트, 1830) – 동부 리버쿠터거북
- ''Pseudemys concinna suwanniensis'' (캐러, 1937) – 수와니쿠터거북 (때때로 별도의 종 ''P. suwanniensis''로 간주되기도 한다.)
해안 평원 쿠터거북(''P. floridana'')은 과거 ''P. concinna''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간주된다.[6][7]
- '''콘키나 리버쿠터 (''P. c. concinna'')'''
- * 복갑에는 갑판의 이음새(심) 주변에 어두운 반점이 있지만, 성체가 되면서 사라지기도 한다.[7]
- * 겨드랑갑판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7]
- * 위턱의 끝은 오목하며, 오목한 부분의 양쪽이 돌출되어 이빨 모양처럼 보이기도 한다.[7]
- * 아래턱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7]
- * 머리에서 목까지 이어지는 세로 줄무늬가 11개 이상이다.[7]
4. 생태
리버쿠터거북은 주로 남아메리카 부근에서 서식하며, 수명은 20년에서 50년 이상이다. 평균적인 등껍질 길이는 35cm에서 40cm 정도이며, 때로는 이보다 더 크게 자라기도 한다. 반수생 거북으로, 물속에서 먹이를 찾고 육지에서 쉬거나 일광욕을 한다.[13]
이들은 다양한 담수 및 약한 염분이 있는 기수 환경에서도 서식할 수 있다. 주로 적당한 흐름이 있는 강, 호수, 연못, 늪, 조수 늪 등 무성한 수생 식물이 자라는 곳을 선호한다.[4][9] 특히 강이 굽이치는 곳과 연결된 우각호 주변의 범람원에서 많이 발견된다.[9] 크고 물갈퀴가 달린 발 덕분에 수영 실력이 뛰어나 강한 물살도 헤쳐나갈 수 있다.[9]
서식지의 저질 유형은 아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기아종과 아종 스와니쿠터는 주로 바닥이 바위로 이루어져 있고 수생 식물이 풍부하며 어느 정도 물의 흐름이 있는 강이나 하천, 또는 그 주변의 호수, 우각호, 연못, 늪 등에서 서식한다. 반면 아종 플로리다쿠터는 바닥이 흙으로 된 호수, 연못, 물 흐름이 완만한 하천 등을 선호한다.
리버쿠터거북은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며, 식물성 먹이를 주로 먹는 잡식성이다. 번식은 알을 낳는 난생 방식이다.
4. 1. 행동
리버쿠터거북은 본질적으로 주행성으로, 따뜻한 햇살 아래에서 깨어나 일광욕을 즐기고 먹이를 찾는다.[9] 주로 통나무나 햇볕에 데워진 바위 위에서 일광욕을 하는데, 미끄럼틀거북이나 페인티드거북 같은 다른 물거북들과 함께 발견되기도 하며, 때로는 서로의 등 위에 올라가 겹쳐 있기도 한다.[9] 남쪽 지역에 사는 개체들은 날씨가 매우 더운 날에는 해 질 녘이나 새벽녘에 활동하기도 한다.매우 경계심이 강하여 위협을 느끼거나 사람이 다가가면 재빨리 물속으로 미끄러지듯 피한다.[9] 일단 물속으로 들어가면 관찰하기 어려운데, 이는 물속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도 호흡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리버쿠터거북의 구체적인 행동이나 생태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리버쿠터거북은 물과 육지 양쪽에서 놀라운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9] 때때로 한 담수 지역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개체는 자신만의 넓은 활동 영역을 가지고 그 안에서 주로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9]
밤에는 물속 식물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잠을 잔다.[9] 기후가 따뜻한 지역에서는 겨울에도 활동성을 유지하지만, 추운 지역에서는 최대 2개월까지 강바닥이나 호수 바닥의 진흙 속에서 동면한다.[9] 동면 중에는 신진대사율이 매우 낮아져 폐호흡을 하지 않는 대신, 총배설강을 통해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흡수하여 생명을 유지한다.[9][13] 동면 기간이나 밤에 잠을 잘 때는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수생 식물 아래에 잘 숨는 것을 선호한다.[9]
4. 2. 먹이
리버쿠터거북은 기본적으로 식물성 먹이를 주로 먹는 잡식성이다.[9] 먹이의 종류는 서식 환경에서 구할 수 있는 것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9] 주요 먹이로는 다양한 수생 식물, 물가 근처에서 자라는 풀이나 육상 식물, 조류, 물풀 등이 있으며, 떨어진 과일도 먹는다.[9] 동물성 먹이로는 어류, 양서류의 유생, 곤충류, 갑각류, 조개류, 수생 무척추동물 등을 섭취하며,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는 모습도 관찰되었다.[9]일부에서는 리버쿠터거북이 육식을 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포식 행동이 확인되었다. 물 밖에서는 먹이를 삼킬 수 없기 때문에, 벌레나 지렁이 같은 먹이를 물 밖에서 잡은 뒤 삼키기 위해 다시 물속으로 돌아가기도 하며, 작은 물고기를 적극적으로 사냥하기도 한다.[9] 윗턱에는 이빨과 유사한 돌기가 있어, 잎이나 섬유질이 많은 식물을 먹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9]
성장 단계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어린 개체(유체)는 단백질이 풍부한 동물성 먹이, 예를 들어 수생 무척추동물, 갑각류, 물고기 등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9] 하지만 성장하면서 점차 식물성 먹이의 섭취 비율이 높아져, 성체는 주로 초식성 식단을 유지하지만 때때로 동물성 먹이를 찾기도 한다.[9] 리버쿠터거북 속 내에서도 식물 섭취 경향이 가장 강한 편이지만, 완전한 초식 동물은 아니다.[9]
사육 환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과 일부 고기류를 먹일 수 있으며, 갑오징어뼈 등을 제공하여 스스로 칼슘 섭취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9]
4. 3. 번식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짝짓기는 주로 초봄에 이루어진다. 짝짓기 과정은 붉은귀거북과 매우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작다. 수컷은 암컷의 페로몬 신호를 감지한 후, 긴 앞발톱을 이용해 암컷의 얼굴 주변을 흔들거나 쓰다듬는 방식으로 구애한다. 암컷이 이를 받아들이면 물 밑으로 가라앉아 짝짓기가 이루어진다.[9]짝짓기 후 암컷은 둥지를 틀기 위해 육지로 올라오며, 주로 5월에서 6월 사이에 알을 낳는다. 둥지는 강가에서 약 30.48m 이내의 모래나 양토가 있는 비교적 트인 곳에 뒷발로 구멍을 파서 만든다. 초여름부터 늦여름 사이에 한 번 또는 여러 번에 걸쳐 9개에서 29개(주로 19~2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약 3.81cm 정도이다.[9]
알은 온도에 따라 부화 기간이 달라지지만, 보통 80일에서 100일이 지나면 부화한다. 부화는 주로 8월이나 9월에 이루어진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 거북은 등딱지 지름이 약 약 3.81cm이며 밝은 노란색 무늬가 있는 녹색을 띤다. 일반적으로 부화한 새끼는 첫 겨울 동안 둥지 속에서 보내며, 특히 북부 지역 개체군이나 늦여름에 낳은 알에서 부화한 유체는 땅속에서 월동하고 이듬해 봄에 지표면으로 나온다.[9]
아종인 스와니쿠터(''Pseudemys concinna suwanniensis'')의 경우, 산란 시 둥지 주변에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을 파고 그곳에 1~2개의 알을 낳아 깨뜨려 놓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이는 포식자가 깨진 알을 먼저 먹게 하여 주 둥지에 있는 많은 알을 보호하려는 전략으로 추정된다.[9]
5. 인간과의 관계
리버쿠터거북은 서식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 등지로 수입되기도 한다. 유통량이 많고 주로 어린 개체가 저렴한 가격에 판매된다. 주로 기아종이 유통되며, 아종인 플로리다쿠터의 유통은 매우 드물다. 페닌슐라쿠터가 플로리다쿠터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경우도 있다. 가격이 저렴하여 때로는 거칠게 다루어져 상태가 좋지 않은 개체가 유통되기도 한다.
리버쿠터거북은 대형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사육 시에는 큰 사육장(케이지)이 필요하며, 일반 가정에서는 사육이 어려울 수 있다. 일광욕을 좋아하므로 피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육지와 난방 및 조명 시설을 설치해주어야 한다.[13] 수질 악화에 약하고, 특히 어린 개체는 저온에 약하므로 수질 관리와 온도 유지에 주의해야 한다. 사육 환경에서는 인공 사료나 건조 사료에도 잘 적응하지만, 성장함에 따라 채소나 수초, 식물성 성분이 많이 포함된 관상어용 사료 등을 주어 식물질 섭취 비율을 늘리는 것이 좋다.
5. 1. 보호 현황
리버쿠터거북은 서식지 상실, 포식자, 도로에서의 사고, 일부 사람들의 식용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부화 직후의 어린 개체는 강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조류나 포유류 포식자에게 쉽게 잡히며, 물속에서는 악어나 사향쥐의 위협에 노출된다. 일부는 애완동물 거래를 위해 포획되기도 한다.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부상당한 거북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지만, 종 전체적으로는 강건하며 번성하고 있다. 리버쿠터거북(''P. concinna'')은 40년 이상 살 수 있다.[9]
미국 인디애나주에서는 리버쿠터거북을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10] 아종인 스와니쿠터 역시 플로리다주 정부에 의해 보호 동물로 지정되었으며, 서식지의 일부가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서식지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5. 2. 법적 규제
197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등딱지 길이가 약 10.16cm 미만인 어린 거북이와 거북이 알의 상업적 판매 및 공공 사용을 금지하는 규정을 만들었다.[11] 이 규정은 거북이와 관련된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으로부터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공중 보건 서비스법에 따라 주 및 지방 보건 당국과 협력하여 FDA가 시행하고 있다.[11] 규정을 위반하여 판매 목적으로 거북이나 알을 제공하면 FDA 절차에 따라 폐기될 수 있으며, 정당한 폐기 요구에 불응할 경우 최대 1000USD의 벌금이나 1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11]하지만 이 규정에는 예외 조항이 있어, "애완용이 아닌, 진정한 과학적, 교육적, 또는 전시 목적"으로는 약 10.16cm 미만의 거북이를 판매하는 것이 허용된다.[12] 이 때문에 일부 상점이나 벼룩시장에서는 여전히 작은 거북이가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12]
한편, 리버쿠터거북의 아종인 스와니쿠터(Suwannee cooter|스와니쿠터eng)는 플로리다주 정부에 의해 보호 동물로 지정되었으며, 서식지의 일부는 자연 보호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Pseudemys concinna''"
2022-06-23
[2]
학술지
Checklist of Chelonians of the World
[3]
웹사이트
River Cooter (Pseudemys concinna)
https://www.inatural[...]
2023-01-16
[4]
웹사이트
River Cooter
http://www.enature.c[...]
eNature
2008-10-24
[5]
기타
[6]
서적
Turtles of the World: Annotated Checklist and Atlas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9th Ed.).
http://dx.doi.org/10[...]
Chelonian Research Foundation and Turtle Conservancy
2021-11-15
[7]
웹사이트
Pseudemys floridana
https://reptile-data[...]
2022-03-28
[8]
웹사이트
Cooters
http://mw4.m-w.com/d[...]
Merriam-Webster
2010-08-03
[9]
웹사이트
RIVER COOTER
http://www.turtlepud[...]
Turtle Puddle
2010-08-03
[10]
기타
312 IAC 9-5-4: Endangered species of reptiles and amphibians
http://www.in.gov/le[...]
2012-04-28
[11]
기타
GCTTS FAQ: "4 Inch Law", actually an FDA regulation
http://www.gctts.org[...]
[12]
기타
Turtles intrastate and interstate requirements; FDA Regulation, Sec. 1240.62, page 678 part d1.
http://a257.g.akamai[...]
[13]
웹인용
리버쿠터거북
http://www.turtlepud[...]
Turtle Puddle
2010-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