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후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후커는 1554년경에 태어나 1600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성공회 사제이자 신학자이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템플 교회의 목사로 재직하며 청교도 지도자 월터 트래버스와 갈등을 빚었다. 후커는 청교도와 로마 가톨릭에 맞서 영국 성공회를 옹호하는 《교회 정치론》을 저술했으며, 이성과 경험,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사상은 앵글리칸교의 발전과 존 로크를 비롯한 정치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교수 - 데이비드 밀리밴드
데이비드 밀리밴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구호위원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영국의 정치인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교수 - 이안 보스트리지
이안 보스트리지는 역사학 박사 학위를 가진 영국의 테너 성악가이자 학자로, 슈베르트 가곡 해석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왕립 음악 아카데미 명예 회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칼리지의 명예 펠로우이며 음악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 1554년 출생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그레고리오 15세는 1621년부터 1623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콘클라베 선거 방식을 개정하고 포교성성을 설치하는 등 교황청 개혁을 추진했으며, 반종교개혁을 지원하고 여러 성인을 시성했다. - 1554년 출생 - 김시민
김시민은 임진왜란 당시 진주목사로 진주대첩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4천 명의 군사로 2만 명의 일본군을 물리쳤으나 전투 중 사망하여 선무공신에 봉해진 조선의 무신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동문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는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식민지 건설가로서, 조지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감옥 및 해군 개혁, 노예제도 반대 등 박애주의 활동을 펼쳤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동문 - 데이비드 밀리밴드
데이비드 밀리밴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구호위원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영국의 정치인이다.
리처드 후커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목사 |
이름 | 리처드 후커 |
출생일 | 1554년 3월 25일 |
출생지 | 헤비트리, 엑서터, 데번, 잉글랜드 |
사망일 | 1600년 11월 2일 |
사망지 | 비숍스본, 켄트, 잉글랜드 |
소속 교회 | 잉글랜드 교회 |
교육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
서품일 | 1579년 8월 14일 |
직위 | 부제 교구 목사 |
배우자 | 진 처치먼 |
교회 직책 | |
직책 | 부제, 교구 목사 |
저술 활동 | |
기타 |
2. 생애
리처드 후커는 데번주 엑서터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에서 교육받고 펠로우(장학금 수혜생)가 되었다.[6] 1584년 결혼하여 대학 지위를 사임하고 버킹엄셔주 드레이턴 보샹(Drayton Beauchamp)의 교장이 되었다. 1585년 런던 템플 교회의 목사로 임명되었으나, 청교도 지도자 월터 트래버스와 갈등을 빚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개인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3] 1592년 후커는 윌트셔주 보스콤 교구에 있는 솔즈베리 대성당과 교구 목사 사이에서 규범이 되었다. 1595년 켄트주 비숍스본 교구의 목사가 되었다.
후커는 저서 『교회 정치론』에서 가톨릭과 청교도의 중도(Via Media)를 지지했다. 그는 이성과 경험이 전통만큼이나 성경 해석에 중요하며, 성경은 특정한 역사적·문맥적 상황 속에서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응답으로 쓰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인론』 설교에서는 프로테스탄트 교리의 신앙 의인설을 옹호하면서도,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그리스도교인은 분열되어서는 안 되고 연합해야 한다는 신념을 보였다. 이러한 이성과 관용의 강조는 존 로크의 철학보다 앞서 국교의 교리에 영향을 미쳤으며, 로크는 후커의 권위를 이용하여 인간의 자연 상태에서의 평등을 논증하기도 했다.
2. 1. 유년기와 교육 (1554-1581)
리처드 후커의 삶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주로 아이작 월턴의 전기에서 나온다. 후커는 1554년경 부활절에 데번주 엑서터의 헤비트리 마을에서 태어났다.[6] 그는 1569년까지 엑서터 문법학교에 다녔다. 리처드는 좋은 가정 출신이었지만 귀족이나 부유한 가문은 아니었다. 그의 삼촌 존 후커는 엑서터의 재무관으로 일했다.후커의 삼촌은 리처드를 위해 데번 출신의 솔즈베리 주교 존 주얼의 도움을 받았다. 주교는 리처드가 옥스퍼드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에 입학하도록 주선했고, 1577년에 펠로우가 되었다.[6] 주얼은 입학을 보장하는 것 외에도 후커의 교육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7] 1579년 8월 14일 후커는 당시 런던 주교였던 에드윈 샌디스에 의해 사제 서품을 받았다. 샌디스는 후커를 자신의 아들 에드윈의 가정교사로 삼았고, 리처드는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의 조카인 조지 크랜머도 가르쳤다. 1580년 그는 칼리지 총장 선거에서 패배한 후보(평생 친구였고 후에 청교도의 지도자가 되어 1604년 햄프턴 코트 회의에 참여하게 되는 레이놀즈)를 지지한 '다툼'으로 펠로우 자격을 박탈당했다. 그러나 레이놀즈가 마침내 총장직을 맡게 되자 그는 자격을 회복했다.[8]
2. 2. 런던과 결혼 (1581-1595)
1581년, 후커는 세인트폴 크로스에서 설교를 하도록 임명되었고, 그의 설교가 청교도들의 예정설 이론과 차이가 있어 그들을 불쾌하게 함으로써 더욱 유명해졌다. 후커가 런던에 도착하기 10년 전, 청교도들은 "의회에 대한 권고"와 "교황의 악폐에 대한 관찰"을 함께 발표하고, 1세기가 지난 후에도 계속될 긴 논쟁을 시작했다.[8] 존 휘트기프(곧 캔터베리 대주교가 될)는 반박을 제기했고, 토마스 카트라이트는 그 반박에 대한 반응을 보였다. 후커는 에드윈 샌디스와 조지 크랜머의 영향으로 이 논쟁에 휘말렸다.[8]그는 또한 저명한 런던 상인이자 상인 테일러스 회사의 회장이 된 존 처치맨을 알게 되었다. 그의 첫 번째 전기 작가 월턴에 따르면, 이때 후커는 그의 집주인의 딸인 진 처치맨과 결혼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9] 월턴은 이렇게 말했다.[9] "바퀴 안의 바퀴가 있습니다. 섭리의 신성한 비밀 바퀴(결혼에서 가장 잘 보입니다)는 그의 손에 의해 인도됩니다. 그분은 빠른 자에게 경주를 허락하지 않으며, 지혜로운 자에게 빵을 주지 않으며, 좋은 남자에게 좋은 아내를 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악에서 선을 가져올 수 있는 분(인간은 이 이유를 알지 못합니다)만이 이 축복이 참을성 있는 욥, 온유한 모세, 그리고 우리의 온유하고 참을성 있는 후커 씨에게 왜 주어지지 않았는지 압니다." 그러나 크리스토퍼 모리스는 월턴을 "믿을 수 없는 소문꾼"이라고 묘사하며 "일반적으로 자신의 주제를 기성 패턴에 맞추었다"고 말한다.[10] 그리고 그와 존 부티 모두 결혼 날짜를 1588년으로 제시한다. 후커는 1595년까지 처치맨 가족과 함께 살았던 것 같으며, 부티에 따르면 그는 "존 처치맨과 그의 아내에게 잘 대접받고 상당한 도움을 받았던 것 같다".[8]

후커는 1584년 버킹엄셔주 세인트 메리 드레이턴 보챔프의 사제가 되었지만, 아마 거기에 살지는 않았을 것이다.[6] 그 다음 해, 그는 여왕에 의해 런던의 성전장으로 임명되었다(아마 버러리 경과 휘트기프가 제안한 후보자들에 대한 타협안으로).[8] 거기서 후커는 4년 전 세인트폴 크로스에서의 설교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로 후커가 일부 로마 가톨릭 신자들에게 구원이 가능하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청교도 지도자이자 성전의 독서자(강사)였던 월터 트래버스와 공개적으로 갈등을 빚게 되었다.[3] 트래버스가 1586년 3월 대주교에 의해 침묵당하고 추밀원이 그 결정을 강력히 지지하면서 논쟁은 갑자기 끝났다.
이 무렵, 후커는 그의 주요 작품인 『교회 정치의 법칙』을 쓰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청교도들과 그들의 잉글랜드 교회 공격, 특히 『공통기도서』에 대한 비판이었다.[11]
2. 3. 말년 (1595-1600)
1595년, 후커는 켄트주 비스숍스번(Bishopsbourne)의 성모 마리아 교구와 바험의 세례자 요한 교구의 목사가 되었고, 런던을 떠나 저술 활동을 계속했다. 1597년에는 《교회 정치론》(The Law of Ecclesiastical Polity)의 다섯 번째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앞선 네 권을 합친 것보다 더 길었다. 1600년 11월 3일 비숍스번의 목사관(rectory)에서 사망[6]하여 교회 제단에 매장되었으며, 아내와 네 딸이 그를 뒤따랐다. 그의 유언에는 "나는 비숍스번 교구에 새롭고 충분한 설교단을 건설하는 데 합법적인 영국 화폐 3GBP를 기증하고 유증합니다."라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설교단은 후커의 동상과 함께 비숍스번 교회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1632년 윌리엄 카우퍼(William Cowper)는 그곳에 기념비를 세웠는데, সেখানে 그는 "판단력 있는" 사람으로 묘사되어 있다.[10]3. 사상
리처드 후커는 성공회 신학자로서, 청교도와 로마 가톨릭 양쪽 모두를 비판하고 성공회 신학을 옹호했다. 그의 사상은 이성과 전통, 그리고 성경을 조화롭게 해석하는 중용(Via Media)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후커는 그의 저서 《교회정치법》에서 국가 권력이 교회 내에서 정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교회의 전통과 이성이 성경과 함께 신앙의 기준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교회의 권위를 강조하는 로마 가톨릭과 성경만을 강조하며 성공회의 전통을 반대하는 청교도 양측 모두를 비판하며 성공회를 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22]
그는 공예배가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예배의 모든 세부 사항이 성경에 명시되어야 한다고 보지는 않았다. 즉, 성경에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부분은 교회가 분별하여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22] 후커는 기독론의 결론은 항상 온전한 성례(Sacrementalism)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3]
후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의 사상을 자유주의적인 방식으로 적용했다. 그는 교회 조직이 정치 단체와 마찬가지로 신에게 "무관심한 것"이라고 보았다. 즉, 교리상의 작은 문제는 영혼의 구원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신자의 도덕적, 종교적 생활의 편의를 위한 틀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군주제와 공화제 모두 장단점이 있으며, 중요한 것은 국가가 국민의 충성심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찬가지로 교회의 권위는 성경과 초기 교회의 활동에 기반하지만, 사람들에게 강요하기보다는 이성과 충성심에 기반해야 하며, 권위가 남용될 때는 올바른 이성과 성령에 의해 교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의 설교 『의인론』(A Learned discourse of Justification)에서는 프로테스탄트 교리의 신앙 의인설을 옹호했지만, 이 교리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가톨릭을 포함한 모든 그리스도인이 분열되지 않고 연합해야 한다는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후커의 이성과 관용을 강조하는 사상은 존 로크의 철학에 영향을 주었으며, 로크는 후커의 권위를 인용하여 인간의 자연 상태에서의 평등을 논증하기도 했다.
3. 1. 《교회정치법》
《교회정치법》(원제: ''Of the Lawes of Ecclesiastical Politie'')은 후커의 가장 유명한 저서이다. 처음 네 권은 1594년에, 다섯 번째 권은 1597년에 출판되었고, 나머지 세 권은 사후에 출판되었으며,[3] 실제로는 모두 그의 작품이 아닐 수도 있다. 이 책은 간청서(Admonition)와 토마스 카트라이트의 저술에서 나타나는 청교도주의의 일반 원칙에 대한 반박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주장에 대한 반박이다.- 성경만이 모든 인간 행위를 지배해야 한다.
- 성경은 변치 않는 교회 통치 형태를 규정한다.
- 영국 교회는 로마 가톨릭의 서열, 의식 및 의례 때문에 타락했다.
- 평신도 장로를 허용하지 않는 법은 타락했다.
- "교회에 주교가 있어서는 안 된다."[14]
''국교 정치법''은 "영어로 쓰인 최초의 위대한 철학 및 신학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5] 이 책은 청교도 주장에 대한 단순한 반박을 넘어, 존 S. 마셜의 말을 인용하자면 "성공회 ''공동기도서''와 엘리자베스 시대의 전통적인 측면에 적합한 철학과 신학을 제시하는 지속적이고 일관된 전체"이다.[16]
C. S. 루이스를 인용하여,[17] 스티븐 네일은 긍정적인 측면을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영국에서는 논쟁이 전술만을 포함했지만, 후커는 전략을 추가했다. 3권의 치열한 논쟁이 끝나기 훨씬 전에, 1권과 2권의 대규모 우회 공격으로 청교도의 입장은 절망적인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 따라서 적의 반박은 결국 매우 사소한 일, 부산물로 여겨진다."[18]

이 책은 주로 교회의 적절한 통치("정치")를 다루는 방대한 저서이다. 청교도들은 성직자와 교회주의의 강등을 주장했다. 후커는 어떤 교회 조직 방법이 가장 좋은지 알아내려고 시도했다.[3] 신학 뒤에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서의 지위 문제가 있었다. 만약 교리에 대한 결정권이 당국에 없고, 마르틴 루터의 모든 신자의 사제직 주장이 선출된 자들에 의한 통치라는 극단으로 이어진다면, 군주가 교회의 통치자로 있는 것은 용납될 수 없었다. 반면에, 군주가 하나님에 의해 교회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면, 교리에 관해 자체적으로 나아가는 지역 교구는 용납될 수 없었다.
후커는 설교 『의인론』(A Learned discourse of Justification)에서 프로테스탄트 교리의 신앙 의인설을 옹호했지만, 이 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가톨릭을 포함하여 그리스도교인은 분열되어서는 안 되고 연합해야 한다는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이성과 관용을 강조한 그의 사상은 존 로크의 철학보다 앞서 국교의 교리에 영향을 미쳤으며, 로크는 후커의 권위를 이용하여 인간의 자연 상태에서의 평등을 논증했다.
3. 1. 1. 법과 정부의 기원
《교회정치법》(''Laws of Ecclesiastical Polity'')을 저술하여, 청교도와 로마 가톨릭에 대해 성공회를 옹호하였다. 리처드 후커는 《교회정치법》에서 나라의 권력이 교회 안에서 정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교회의 전통과 이성이 성서와 더불어 신앙의 기준이 된다고 보았다. 이는 교회의 권위를 강조하는 로마 가톨릭과 성서에 쓰인 대로 믿어야 한다면서 성공회의 보편 교회로서의 전통을 반대하는 청교도들로부터 성공회를 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3. 1. 2. 스콜라 철학과 관용
후커는 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연구했지만, 관용적인 방식으로 스콜라 사상을 적용했다. 그는 교회 조직은 정치 조직과 마찬가지로 신에게 "무관심한 것들"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소한 교리적 문제는 영혼을 저주하거나 구원하는 문제가 아니라 신자의 도덕적, 종교적 삶을 둘러싼 틀이라고 썼다. 그는 좋은 군주제와 나쁜 군주제, 좋은 민주주의와 나쁜 민주주의, 좋은 교회 계층과 나쁜 교회 계층이 있다고 주장했다. 중요한 것은 백성의 경건함이었다. 동시에 후커는 권위가 성경과 초기 교회의 전통에 의해 명령받았지만, 권위는 자동적인 임명이 아니라 경건과 이성에 기반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권위는 틀리더라도 순종해야 하며, 올바른 이성과 성령에 의해 시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후커는 주교의 권력과 적절성이 모든 경우에 절대적일 필요는 없다고 확인했다.3. 2. 예배에 대한 관점
그는 공예배에 대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지만, 예배의 모든 문제에 대하여 하나님에 의해 정해져 있다고 보지 않았다. 즉, 성경에 의해 정해져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는 교회가 분별하여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22]3. 3. 기독론
후커는 기독론의 결론은 항상 온전한 성례(Sacrementalism)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3]3. 4. 의인론
후커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롭다 하심 교리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옹호했지만, 이를 이해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조차도 하나님에 의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13]그는 의롭다 하심과 거룩하게 하심을 두 가지 형태의 의로움으로 구분하면서, 동시에 성례전이 의롭다 하심에서 가지는 역할을 강조하는 고전적인 ''ordo salutis''(구원의 질서)를 표현했다. 이 주제에 대한 후커의 접근 방식은 앵글리칸 중도주의(Anglican ''via media'')의 고전적인 예로 여겨진다.
후커의 설교 『의인론』(A Learned discourse of Justification)에서는 프로테스탄트 교리의 신앙 의인설을 옹호했지만, 이 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가톨릭을 포함하여 그리스도교인은 분열되어서는 안 되고 연합해야 한다는 그의 신념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성과 관용의 강조는 존 로크의 철학보다 앞서 국교의 교리에 영향을 미쳤다. 로크는 또한 후커의 권위를 이용하여 인간의 자연 상태에서의 평등을 논증했다.
4. 영향
제임스 1세는 후커의 전기 작가인 아이작 월턴의 말을 인용하여 "후커 씨에게는 어떤 과장된 언어도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중후하고 포괄적이며 명료한 이성의 표현이 있었고, 그것은 성경, 교부들, 스콜라 철학자들, 그리고 신성하고 세속적인 모든 법률의 권위에 뒷받침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19] 후커가 성경, 이성, 전통을 강조한 것은 성공회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존 로크를 포함한 많은 정치 철학자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로크는 『정부론 제2편』에서 후커를 여러 번 인용했으며, 후커의 자연법 윤리와 인간 이성에 대한 확고한 옹호에 큰 영향을 받았다. 프레드릭 코플레스턴이 지적했듯이, 후커의 온건함과 시민적인 논쟁 방식은 당시의 종교적 분위기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20] 잉글랜드 교회에서는 11월 3일[21]에 소축일로 기념되며, 성공회 공동체의 다른 지역 달력에서도 같은 날이 기념된다.
후커는 설교 『의인론』에서 프로테스탄트 교리의 신앙 의인설을 옹호했지만, 이 교리를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가톨릭을 포함하여 그리스도교인은 분열되어서는 안 되고 연합해야 한다는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이성과 관용을 강조한 그의 사상은 존 로크의 철학보다 앞서 국교의 교리에 영향을 미쳤으며, 로크는 또한 후커의 주장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연 상태에서의 평등을 논증했다.
5. 저술 활동
《교회정치법》(''Laws of Ecclesiastical Polity'')은 리처드 후커가 저술하여, 청교도와 로마 가톨릭에 대해 영국성공회를 옹호한 책이다. 리처드 후커는 이 책에서 나라의 권력이 교회 안에서 정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교회의 전통과 이성이 성서와 더불어 신앙의 기준이 된다고 보았다. 이는 교회의 권위를 강조하는 로마 가톨릭과 성서에 쓰인 대로 믿어야 한다면서 성공회의 보편 교회로서의 전통을 반대하는 청교도들로부터 성공회를 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12]
후커의 가장 유명한 저서는 《교회 정치론》(The Law of Ecclesiastical Polity)이다. 그 중 4권까지는 1594년에, 5권은 1597년에 출판되었다. 이 저서에서는 가톨릭과 청교도의 중도(Via Media)에 대한 지지를 보여준다. 후커는 이성과 경험이 전통만큼이나 성경을 해석할 때 중요하며, 성경은 특정한 역사적·문맥적 상황 속에서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응답으로 쓰여졌다는 것을 인정했다. "말씀은 그것이 발표된 장소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4권 11장 7절). 이 방대한 저서의 주요 주제는 "정치 조직으로서의 교회의 관리"이다. 당시 칼뱅의 "제네바 개혁 교회"는 목사와 교회의 지위를 신자들에게까지 낮추는 것을 주장했기 때문에, 교회를 조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밝히려고 했던 것이다. 여기서 걸려 있던 것은 교회 수장으로서의 국왕의 지위였다. 교리가 권위에 의해 정해지지 않고, "모든 신자가 성직자이다"라는 루터의 논의 연장선상에서 선거에 의한 정부가 생각될 수 있다면, 교회의 수장으로 국왕을 받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반대로 국왕이 신에 의해 정해진 교회의 장이라고 주장한다면, 교리를 마음대로 해석하는 지방 교구의 존재는 허용될 수 없었다.
후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의 스콜라 철학 사상을 자유주의적인 방식에 적용했다. 교회 조직은 정치 단체처럼, 신에게 "무관심한 것 things indifferent"이다. 작은 교리상의 문제는 영혼의 멸망·구원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신자의 도덕·종교 생활의 편의나 틀에 불과하다. 군주국과 공화국은 각각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으며, 중요한 것은 그 나라가 국민의 충성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교회의 권위는 성경과 초기 교회의 활동에서 시작되었지만, 사람들에게 따르게 하려면 습관적인 복종보다는 충성심과 이성에 그 기반을 두어야 하며, 권위가 악용될 때에는 올바른 이성과 성령에 의해 교정될 것이다. 주교의 권한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그 직권·직능은 철회될 수 있다. 후커는 고교파의 몇몇 극단적인 주장은 피했다.
후커의 설교 《의인론》(A Learned discourse of Justification)에서는 프로테스탄트 교리의 신앙 의인설을 옹호했지만, 이 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가톨릭을 포함하여 그리스도교인은 분열되어서는 안 되고 연합해야 한다는 그의 신념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성과 관용의 강조는 존 로크의 철학보다 앞서 국교의 교리에 영향을 미쳤다. 로크는 또한 후커의 권위를 이용하여 인간의 자연 상태에서의 평등을 논증했다.
참조
[1]
서적
The Visitations of the County of Devon: Comprising the Heralds' Visitations of 1531, 1564 & 1620
Exeter
[2]
서적
Richard Hooker's Doctrine of the Royal Supremacy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7-03-13
[4]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The Paternoster Press
[5]
서적
The Evolving Reputation of Richard Hooker: An Examination of Responses, 1600–1714
https://www.questia.[...]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Richard Hooker Prophet of Anglicanism
http://www.exeter-ca[...]
Exeter Cathedral
2016-08-16
[7]
서적
Tudor and Stuart Britain
https://www.worldcat[...]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5
[8]
서적
The Spirit of Anglicanism
T&T Clark
[9]
웹사이트
Lives of John Donne, Henry Wotton, Rich'd Hooker, George Herbert, &c, Volume 2
https://www.gutenber[...]
[10]
서적
Of the Laws of Ecclesiastical Polity
Dent
[11]
서적
A New History of the Book of Common Prayer
MacMillan
[12]
서적
The Spirit of Anglicanism
T&T Clark
[13]
서적
The Spirit of Anglicanism
T&T Clark
[14]
서적
The English Religious Tradition and the Genius of Anglicanism
IKON
[15]
서적
History of Political Philosophy
Rand McNally
[16]
서적
Hooker and the Anglican Tradition
[17]
서적
English Literature in the Sixteenth Century, Excluding Drama
[18]
서적
Anglicanism
Pelican
[19]
서적
The Life of Mr Rich. Hooker
Oxford World's Classics
[20]
서적
A History of Philosophy
Newman
[21]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9
[22]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23]
서적
Thirteen Appreciation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