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릴라 수도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라 수도원은 불가리아 릴라 산맥에 위치한 수도원으로, 전통적으로 927년에서 968년 사이 릴라의 이반에 의해 설립되었다고 여겨진다. 불가리아 차르들의 지원을 받으며 문화적, 정신적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14세기에는 현재 위치에 재건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불가리아어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했으며,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6년 불가리아 국립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1983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릴라 수도원은 주 성당, 주거 구역, 흐렐랴 탑, 박물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라파일의 십자가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큐스텐딜주의 관광지 - 릴라산맥
    릴라산맥은 불가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발칸 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맥으로, 무살라 봉우리를 최고봉으로 하며, 빙하 지형과 다양한 동식물을 포함하는 릴라 국립공원 등을 품고 있다.
릴라 수도원
개요
수도원 안뜰
안뜰
종류동방 정교회 수도원
위치릴라 산맥, 불가리아
상세 정보
다른 이름릴스키 마나스티르
성 이반 릴스키 수도원
소속 수도회동방 정교회
설립927년
설립자성 이반 릴스키
헌납성모 마리아
건축 및 위치
고도1,147m
교회 수다수
세계유산 정보
공식 명칭릴라 수도원 복합 단지
종류문화유산
지정 기준(vi)
ID216-001
등재 연도1983년
면적8.7 헥타르
웹사이트릴라 수도원 공식 웹사이트
지리
위치 정보수도원은 불가리아 남서부 릴라 산맥에 위치하고 있으며, 릴라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117 떨어져 있다.

2. 역사

1927년 릴라 수도원의 수도사들


릴라 수도원은 전통적으로 차르 페타르 1세 (927년–968년) 통치 기간에 은둔자 성 이반 릴스키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물질적 소유 없이 동굴에서 생활했으며, 그의 가르침을 따르는 제자들이 수도원을 세웠다.

창건 이후 수도원은 불가리아 통치자들의 지속적인 후원을 받으며 발전했다. 특히 제2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12세기~14세기)에는 국가의 중요한 문화적, 정신적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14세기 전반에는 봉건 영주 흐렐랴에 의해 현재 위치에 재건되었으며, 이때 세워진 흐렐랴 탑 등 일부 건축물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침입으로 수도원은 큰 피해를 입고 15세기 중반에는 파괴되기도 했다.

15세기 말, 외부의 지원과 두프니차 지역 출신 형제들의 노력으로 수도원은 다시 재건되었다.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릴라 수도원은 불가리아어와 문화를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18세기~19세기)에는 1833년 화재로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으나[5], 곧 전국적인 후원을 통해 건축가 알렉시 릴레츠의 지휘 아래 재건되었다. 이 시기 수도원은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네오피트 릴스키가 학교 설립), 바실 레프스키 등 불가리아 혁명가들의 은신처로도 사용되었다.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릴라 수도원은 1976년 국가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1983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1991년부터는 불가리아 정교회 성 시노드에 소속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2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방문하기도 했다.

2. 1. 창건과 중세 시대

흐렐랴 탑(왼쪽)이 보이는 수도원 내부


전승에 따르면, 릴라 수도원은 차르 페타르 1세 (927년–968년)의 통치 기간 동안 성 이반 릴스키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여겨진다. 성 이반 릴스키는 수도원이 세워질 곳에서 멀지 않은 동굴에서 물질적인 소유 없이 은둔하며 지냈으며, 그의 가르침을 받기 위해 산으로 모여든 제자들이 수도원 단지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

창건 이후 릴라 수도원은 불가리아 통치자들의 꾸준한 지원과 존경을 받았다. 특히 제2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12세기~14세기)에는 거의 모든 차르들이 수도원에 상당한 기부를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릴라 수도원은 불가리아 민족 의식의 중요한 문화적, 정신적 중심지로 발전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14세기 전반, 봉건 영주였던 흐렐랴는 현재의 위치에 수도원을 다시 세웠다. 이때 지어진 건물 중 일부는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흐렐랴 탑(1334년1335년 완공)과 그 옆에 있는 작은 교회(1343년 완공)이다. 당시 만들어진 주교의 왕좌와 정교하게 조각된 수도원의 문 역시 이 시기의 유물이다.

그러나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 세력이 발칸 반도로 진출하면서 수도원은 위기를 맞았다. 오스만 군대의 잦은 침입과 약탈이 이어졌고, 결국 15세기 중반에는 수도원이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14세기오스만 투르크가 발칸 반도에 진출하면서 릴라 수도원은 여러 차례 습격을 받았고, 결국 15세기 중반에는 파괴되는 시련을 겪었다.

그러나 15세기 말, 술타나 마라 브란코비치, 러시아 정교회, 그리고 아토스 산의 로시콘 수도원 등의 외부 지원과 기부에 힘입어 수도원은 재건될 수 있었다. 특히 두프니차 지역 출신의 세 형제가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술타나 마라 브란코비치의 영향력 덕분에, 1469년에는 타르노보에 있던 성 이반 릴스키의 유물이 릴라 수도원으로 옮겨져 안치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 기간 동안에도 릴라 수도원은 외세의 통치 하에서 불가리아어와 문화를 지키고 보존하는 중요한 보루 역할을 수행했다.

2. 3.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

불가리아 민족 부흥 시대(18세기와 19세기) 동안 릴라 수도원은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수도원은 1833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나[5], 건축가 알렉시 릴레츠의 지도 아래 1834년부터 1862년 사이에 불가리아 전역의 부유한 국민들의 후원을 받아 재건되었다.

재건 과정에서 수도원은 확장되었는데, 주거용 건물 건설은 1816년에 시작되었고 1844년에는 흐렐랴 탑에 종루가 추가되었다. 또한 수도승 네오피트 릴스키는 이 시기에 수도원 내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릴라 수도원은 불가리아 민족 해방 운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바실 레프스키, 고체 델체프, 페요 야보로프와 같은 불가리아 혁명가들의 은신처로 활용되기도 했다.

2. 4. 현대

불가리아 민족 부흥 건축의 뛰어난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 릴라 수도원 단지는 1976년에 불가리아의 국가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후 1983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1991년부터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성 시노드에 완전히 소속되어 관리되고 있다.

2002년 5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불가리아 순례 중 릴라 수도원을 방문하였다. 당시 수도원의 이구멘이자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관인이었던 요안 주교가 교황을 맞이했다.

3. 건축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3. 1. 수도원 배치

수도원 구내


수도원 전체 단지는 8800m2 면적을 차지하며 직사각형 형태를 이룬다. 프렐료 탑과 주 교회가 위치한 중앙 안뜰의 면적은 3200m2이다.

3. 2. 주 성당

릴라 수도원 주 성당 평면도


릴라 수도원의 중심 건물인 주 성당은 19세기 중반에 건설되었다. 건축가 파벨 이오아노프(Pavel Ioanov)가 1834년부터 1837년까지 건설 작업을 이끌었다. 성당은 총 5개의 , 3개의 제단, 그리고 2개의 측면 예배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당 내부에서 가장 가치 있는 유물 중 하나는 금박을 입힌 이코노스타시스(성상벽)이다. 이 성상벽은 정교한 목각으로도 유명하며, 아타나스 텔라두르, 페타르 다시니, 게오르기 다시니, 디미타르 스타니셰프 등 4명의 장인이 5년에 걸쳐 완성했다. 페트레 필리포비치-가르카타의 참여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3]

1846년에 완성된 프레스코 벽화는 불가리아반스코, 사모코프, 라즐로그 출신 장인들의 작품이다. 특히 불가리아 부흥기의 유명 화가였던 자하리 조그라프와 디미타르 조그라프 형제의 작품이 포함되어 가치를 더한다. 이 외에도 성당에는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제작된 다양한 이콘들이 소장되어 있다.

성당 안뜰 현관의 줄무늬 그림과 돔 양식은 맘루크 왕조의 건축 양식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는 이집트 정복 이후 오스만 제국에서 널리 퍼진 스타일이다.

3. 3. 주거 구역

수도원 복합 단지 내 주거 부분은 지하실을 제외하고 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에는 300개의 방, 4개의 예배당, 수도원장의 방, 주방, 도서관, 그리고 기증자를 위한 방들이 마련되어 있다. 주방은 매우 큰 그릇으로 유명하며, 도서관에는 250개의 필사본과 9,000권의 고서적이 소장되어 있다. 수도원 건물은 높은 돌담과 작은 창문들로 둘러싸여 있어, 외관상 수도원이라기보다는 요새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4. 수도원 박물관

릴라 수도원 박물관은 특히 라파일의 십자가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4. 1. 라파일의 십자가

릴라 수도원 박물관은 라파일의 십자가로 특히 유명하다. 이 나무 십자가는 통나무 한 조각으로 만들어졌으며, 크기는 세로 81cm, 가로 43cm이다. 라파일이라는 수도사가 정교한 조각칼과 돋보기를 사용하여 104개의 종교 장면과 650개의 미니어처 인물을 세밀하게 조각했다. 이 예술 작품은 1802년 그가 시력을 잃기 전까지 최소 12년 이상 작업하여 완성되었다고 전해진다.

5. 매장된 인물

6. 갤러리

프레스코화가 있는 외부 복도


프레스코화 중 하나 세부 묘사


릴라 수도원 입구 세부 묘사


외부의 문 중 하나


성당 내부


수도원의 성당

7.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릴라 수도원은 1984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1]

7. 1. 등재 기준

릴라 수도원은 다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기준을 충족하여 1984년에 등재되었다.

  • '''기준 6:''' 예술적, 문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보편적 중요성을 지닌 사건이나 살아있는 전통, 사상, 신념, 예술 및 문학 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관련된 유형의 문화 유산.

참조

[1] 뉴스 Bulgaria's Rila Monastery Builds Hydro Power Plant with EU Money http://novinite.com/[...] Novinite 2011-12-10
[2] 웹사이트 Currency out of Circulation for Which the Term of Exchange has not Expired: 1 lev http://www.bnb.bg/ 2019-09-29
[3] 간행물 Иконостасите на Рилския манастир (The Iconostases of the Rila Monastery) https://liternet.bg/[...] LiterNet 2009-10-30
[4] 서적 NHK 夢の美術館 世界の名建築100選 (NHK Dream Museum: 100 Selected World Famous Buildings) 新建築社 (Shinkenchiku-sha)
[5]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7〜18 ブルガリア/ルーマニア (地球の歩き方 2017~18 Bulgaria/Romania)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Diamond Big Co.,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