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나도 말레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나도 말레이어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북부 마나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이다. 5개의 모음과 19개의 자음, 2개의 반모음을 가지며, 어말 비음이 "-ng"으로 바뀌는 특징이 있다. 대명사 체계와 독특한 의문사를 가지고 있으며, 'ada'를 사용하여 완료상을 표현한다.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등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으며, 표준 인도네시아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빠따니 말레이어
    빠따니 말레이어는 태국 남부 빠따니 지역과 말레이시아 켈란탄주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으로,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또는 바하사 파타니라고도 불리며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자위 문자를 사용하며 태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가 존재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마나도 말레이어
언어 정보
이름마나도 말레이어
자기 이름bahasa Manado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사용 지역술라웨시 섬 북부
사용자 수850,000 (2001년)
ISO 639-3xmm
언어 분류
어족말레이어 크리올
하위 어군동부 인도네시아 말레이어
세부 어군마나도 말레이어
방언해안 말레이어 (보르고)
산악 말레이어
도시 말레이어

2. 음운

마나도 말레이어는 5개의 모음 음소와 19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2개의 반모음을 가지고 있다. 강세는 대부분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있지만,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는 단어도 많다.

2. 1. 모음

마나도 말레이어는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마나도 말레이어 모음
전면 모음중앙 모음후면 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2. 2. 자음

마나도 말레이어는 19개의 자음과 2개의 반모음을 가지고 있다.

마나도 말레이어 자음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p bt dc ɟk ɡʔ
마찰음f vsh
측음l
전동음r
반모음wj


2. 3. 강세

대부분의 단어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지만,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는 단어도 많다.

단어
kaDEra의자
STEnga절반
DOi



단어
buTUL오른쪽, 옳다, 진실
toLOR알, 달걀
saBONG비누


3. 문법

마나도 말레이어의 문법은 표준 인도네시아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표준 인도네시아어의 어말 비음은 마나도 말레이어에서 "-ng"로 바뀌는데, 이는 말레이시아의 트렝가누 방언과 유사하며 술라웨시의 다른 언어들(예: 부기스어, 마카사르어)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makang|마캉xmm (인도네시아어 makan|마칸id) = '먹다'
  • jalang|잘랑xmm (인도네시아어 jalan|잘란id) = '걷다'
  • sirang|시랑xmm (인도네시아어 siram|시람id) = '샤워하다'


인도네시아어의 ber-id 접두사는 마나도 말레이어에서 ba-xmm로, me(°)-id 접두사는 ma(°)-xmm로 변형된다. ber-id 접두사는 영어의 '-ing'과 비슷한 기능을 하며, me(°)-id 접두사는 동사를 능동태로 만든다.

Adaxmm ('있다')는 완료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Dorang ada turung pigi Wenangxmm = '그들은 이미 웨낭으로 내려갔다'
  • Torang so makangxmm = '우리는 이미 먹었다' 또는 '우리는 먹었다'

3. 1. 대명사

마나도 말레이어의 대명사는 인도네시아어와 다른 점이 있다. 인칭대명사는 표준 인도네시아어와 형태가 다르며, 소유대명사는 "pe"를 사용하여 만든다.

대명사표준 인도네시아어마나도 말레이어
1인칭 단수sayakita
1인칭 복수kamitorang
2인칭 단수andangana
2인칭 복수kalianngoni
3인칭 단수diadia
3인칭 복수merekadorang


3. 1. 1. 인칭대명사

대명사인도네시아어 표준어마나도 말레이어
1인칭 단수aku|아쿠idkita|키타xmm
1인칭 복수kami/kita|카미/키타idtorang|토랑xmm
2인칭 단수kamu|카무idngana|응아나xmm
2인칭 복수kalian|칼리안idngoni|응오니xmm
3인칭 단수dia|디아iddia|디아xmm
3인칭 복수mereka|므레카iddorang|도랑xmm



마나도 말레이어의 인칭대명사는 1인칭 단수, 1인칭 복수, 2인칭 단수, 2인칭 복수, 3인칭 단수, 3인칭 복수 형태가 표준 인도네시아어와 다르다.

3. 1. 2. 소유대명사

소유대명사는 명사, 대명사, 이름에 "pe"를 붙여서 만든다. 소유대명사는 단어 앞에서 수식한다.

한국어마나도 말레이어
나의 친구kita pe tamang / ta pe tamang
너의 친구ngana pe tamang / nga pe tamang
그의 책dia pe buku / de pe buku
이 책은 너희들의 것이다.ini ngoni pe buku.


3. 2. 의문사

마나도 말레이어에는 '왜', '어디', '누구', '어느 것' 등에 해당하는 고유한 의문사가 있다.

마나도 말레이어한국어
kyapa, bakyapaxmm
(di) manaxmm어디
sapaxmm누구
tu mana, yang manaxmm어느 것


3. 3. 상 (Aspect)

Adaxmm ('있다')는 완료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Dorang ada turung pigi Wenangxmm = '그들은 이미 웨낭으로 내려갔다'
  • Torang so makangxmm = '우리는 이미 먹었다' 또는 '우리는 먹었다'

3. 4. 어말 비음

인도네시아어의 어말 비음과 은 마나도 말레이어에서는 "-ng"로 바뀌는데, 이는 말레이시아의 트렝가누 방언과 유사하며(술라웨시의 다른 언어들, 예를 들어 부기스어와 마카사르어도 마찬가지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makang|마캉xmm (인도네시아어 makan|마칸id) = '먹다'
  • jalang|잘랑xmm (인도네시아어 jalan|잘란id) = '걷다'
  • sirang|시랑xmm (인도네시아어 siram|시람id) = '샤워하다'

3. 5. 접두사

ber-id 접두사는 마나도 말레이어에서 ba-xmm로, me(°)-id 접두사는 ma(°)-xmm로 변형된다. ber-id 접두사는 영어의 '-ing'과 비슷한 기능을 하며, me(°)-id 접두사는 동사를 능동태로 만든다.

3. 5. 1. "ba-" 접두사

인도네시아어의 'ber-' 접두사는 영어의 '-ing'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데, 마나도 말레이어에서는 'ba-'로 변형된다.

  • 예시
  • * ba-jalangxmm (berjalanid, '걷는')
  • * ba-toboxmm (berenangid, '수영하는')
  • * ba-tolorxmm (bertelurid, '알을 낳는')

3. 5. 2. "ma(°)-" 접두사

표준 인도네시아어의 'me(°)-id' 접두사는 동사를 능동태로 만드는 기능을 하는데, 마나도 말레이어에서는 'ma(°)-xmm'로 변형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mang'''aelxmm (mengailid, '낚시하다')
  • '''man'''arixmm (menariid, '춤추다')
  • '''man'''carixmm (mencariid, '찾다')
  • '''mam'''asaxmm (memasakid, '요리하다')
  • '''man'''angisxmm (menangisid, '울다')

4. 영향

마나도 말레이어는 네덜란드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테르나테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동부에 네덜란드포르투갈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탓에, 마나도 말레이어의 여러 단어는 이들 언어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지역 미나하사어의 영향은 거의 없으며, 스페인의 역사적 지배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다. 이는 마나도 말레이어가 미나하사 지역 외부에서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 반면, 포르투갈어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상당한데, 이 지역에서 포르투갈의 존재가 비교적 제한적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고론탈로-몽곤도우어군과 같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군 및 1512년부터 1655년까지 포르투갈이 지배했던 테르나테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의 영향도 일부 존재한다.

4. 1. 차용어

인도네시아 동부에 네덜란드포르투갈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탓에, 마나도 말레이어의 여러 단어는 이들 언어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지역 미나하사어의 영향은 거의 없으며, 스페인의 역사적 지배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다. 이는 마나도 말레이어가 미나하사 지역 외부에서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 반면, 포르투갈어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상당하다. 이 지역에서 포르투갈의 존재가 비교적 제한적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고론탈로-몽곤도우어군과 같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군에서 차용된 단어의 영향도 일부 존재한다. 1512년부터 1655년까지 포르투갈이 지배했던 테르나테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 층도 있다.

인도네시아어마나도 말레이어 차용어원어원어 단어한국어
topicapeo포르투갈어chapéupt모자
bosanfastiu, pastiu포르투갈어fastiopt지루한
untukfor, por네덜란드어voornl~을 위해
garpufork, forok네덜란드어vorknl포크
tenggorokangargantang포르투갈어gargantapt목구멍
kursikadera포르투갈어cadeirapt의자
benderabandera포르투갈어bandeirapt깃발
saputanganlenso포르투갈어lençopt손수건
tapimar네덜란드어maarnl그러나
jagungmilu포르투갈어milhopt옥수수
sudahklar네덜란드어klaarnl끝난
pamanom네덜란드어oomnl삼촌
nenekoma네덜란드어omanl할머니
kakekopa네덜란드어opanl할아버지
teduh(ba)sombar포르투갈어sombrapt그늘
keringatsuar포르투갈어suarpt
bibitante네덜란드어tantenl이모
dahitesta포르투갈어testapt이마
penyututuruga, tuturaga포르투갈어tartarugapt거북이
sepatuchapatu, sapatu, spatu포르투갈어sapatopt신발
kebunkintál포르투갈어quintalpt밭 또는 정원


4. 2. 표준 인도네시아어에 미친 영향

마나도 말레이어의 몇몇 단어는 표준 인도네시아어로 차용되었다.

  • baku|바쿠xmm (상호성을 나타냄) 예: baku hantam|바쿠 한탐id ('서로 주먹으로 치다'), baku ajar|바쿠 아자르id ('서로 때리다'). 원래 테르나테에서 차용된 단어로, 마나도 말레이어를 통해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5. 예시

Kitaxmm 또는 taxmm = 나

Nganaxmm 또는 naxmm = 너

Torangxmm 또는 tongxmm = 우리

Dorangxmm 또는 dongxmm = 그들

Ioxmm = 예

Nyanda’xmm 또는 Ndaxmm = 아니오 (' = 성문 폐쇄음)

문장:


  • Kita/ta pe mama da pi ka pasarxmm : 어머니는 시장에 가셨다.
  • Nyanda’/Nda’ makang Ngana dari kalamareng.xmm : 어제부터 너는 아직 먹지 않았다.
  • Jang badusta ngana pa kita!xmm : 나에게 거짓말하지 마!
  • Pasti torang/tong bisa!xmm : 우리는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