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아 발토르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발토르타는 이탈리아의 작가로, 1897년 카세르타에서 태어나 1961년 비아레조에서 사망했다. 그녀는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를 비롯한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특히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상세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발토르타의 작품은 저술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교황청에서 출판과 보급을 반대하지 않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녀의 유해는 피렌체의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에 안치되어 있으며, 사후에도 작품을 위한 재단이 설립되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세르타 출신 - 클레멘테 루소
    클레멘테 루소는 올림픽 은메달 두 차례, WSB 개인 및 팀 세계 챔피언을 수상한 이탈리아 권투 선수로, 은퇴 후 방송 및 배우로 활동했다.
  • 카세르타 출신 - 마리아 안눈치아타 디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 왕녀
    마리아 안눈치아타 디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 왕녀는 양시칠리아 왕국 페르디난도 2세의 딸로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루트비히와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으나, 28세의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초기의 건축가, 조각가, 기술자로, 피렌체 대성당 돔 설계 및 건설, 선 원근법 체계화 등 건축과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만능인이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마리아 발토르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5세의 마리아 발토르타, 1912년
15세의 마리아 발토르타, 1912년
이름마리아 발토르타
직업작가, 신비주의자
국적이탈리아
출생1897년 3월 14일
출생지카세르타, 이탈리아 왕국
사망1961년 10월 12일
사망지비아레조, 이탈리아
안장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피렌체
작품
주요 작품인간-신의 시
아자리아의 책
장르
장르기독교 신비주의, 환시

2. 유년기와 교육

마리아 발토르타는 1897년 이탈리아 캄파냐 주 카세르타에서 롬바르디아 주 출신 부모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부친 주세페는 이탈리아 기병이었으며, 모친 이시데는 프랑스어 교사였다.[41] 1898년 가족은 아버지의 부대와 함께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의 파엔차로 이사했다.[4][8]

1900년 아버지 부대가 밀라노로 이동했고, 발토르타 가족은 약 12년 후 아버지가 퇴역할 때까지 롬바르디아에 살았다.[4][14][6] 1907년 부대는 보게라로 이동했고, 마리아는 그곳에서 학교를 다녔다. 2013년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마리아 발토르타 정원"이 개장했다.[7][5]

7세 때 마르첼로 수녀원 부속 여학교에 입학했으며, 1909년 3월, 12세 때 몬차의 콜레지오 비안코니 기숙학교로 들어갔다.[8][14][9] 아버지가 군인이었기 때문에 가족은 이탈리아 근처로 이사를 갔으며, 그곳에서 다양한 고전을 접하며 이탈리아 문학 공부를 했다. 1913년 3월, 16세 생일을 직전에 아버지의 군대 퇴역으로 가족과 함께 롬바르디아를 떠나 토스카나의 피렌체로 이사할 때까지 그곳에서 공부했다.[8][9] 피렌체에서 착한 사마리아인 간호사협회 회원으로 입회하여 군 병원에서 18개월간 봉사하였다.

1920년 3월 17일, 23세 때 어머니와 함께 길을 걷던 중 한 비행청소년에게 이유 없이 쇠지레로 등을 세게 맞아 3개월 동안 침상에 누워있었다. 3개월 후 회복세를 보였으며, 10년 후에는 완전히 치유되었다. 하지만 당시 충격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1934년 이후 28년간 침상에 머물게 되었다.[42]

3. 피렌체에서의 10년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은 발토르타 가족이 피렌체에 정착한 지 약 1년 후에 시작되었고, 이탈리아는 1915년 4월 연합군의 편에서 전쟁에 참전했다.[10][8] 1917년 발토르타는 자원하여 사마리아 간호사가 되었고, 18개월 동안 피렌체에 설치된 군 병원에서 전쟁 부상병들을 돌보았다.[10][8][11]

1920년 3월, 23세의 마리아는 어머니와 함께 피렌체의 거리를 걷다가 어머니의 재단사(파시스트 사회주의자)의 아들인 젊은 비행 청소년에게 쇠막대기로 등을 맞는 사건을 겪었다. 그는 부유층과 부르주아지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쳤다.[10][14][8]

이 부상으로 그녀는 몇 달 동안 침대에 누워 있어야 했다. 회복된 것처럼 보였지만, 이 사건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1934년 4월부터 생을 마감할 때까지 28년 동안 침대에 갇히게 되었다.[14][6]

4. 비아레조 정착과 영적 체험

1924년 마리아 발토르타의 아버지가 은퇴하면서, 가족은 토스카나 해안가의 비아레조로 이사했다.[43] 비아레조에 정착한 후, 마리아는 거의 그곳을 떠나지 않고 고독한 삶을 살았다. 바닷가와 소나무 숲으로 가끔씩 나가는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시간을 가족과 함께 쇼핑하거나 성당에서 미사를 보는 것으로 보냈다.

1925년 마리아는 리시외의 데레사의 자서전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아 희생 영혼으로서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고 매일 그 헌신을 새롭게 하겠다는 서약을 했다.[12][1][11] 1929년 12월에는 가톨릭 액션에 청년문화대사로 가입했고, 1930년에는 개인적으로 하느님에게 정결, 청빈, 순명의 덕을 지키겠다고 서약했다.

1933년 1월 4일, 마리아는 허리 부상으로 인한 심한 피로로 인해 마지막으로 집 밖을 나섰다. 1934년 4월 1일부터는 침대에서 아예 일어날 수 없게 되었다.[14][8] 1935년부터 마르타 디초티가 그녀를 돌보기 시작했다.[13]

1942년 성모의 종 수도회 소속 미글리오리니 신부가 마리아를 방문하여 4년 동안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14][15][8] 1943년 어머니가 임종하면서 마르타 디초티는 마리아의 유일한 동반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4월부터 12월까지 루카의 산탄드레아디토콤피토로 잠시 피난 간 것을 제외하고, 마리아는 남은 생애 대부분을 비아레조에서 침상에 누운 채 보냈다.

5. 환시 체험과 저술 활동

1943년 초, 9년 동안 건강이 좋지 않았던 마리아 발토르타에게 그녀의 고해사제이자 영적 조언자인 밀리오니 신부가 자서전을 써보라고 권유했다.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결국 동의하여 약 2개월 후 수백 페이지의 글을 직접 썼다.

1943년 4월 23일 성금요일 아침, 마리아 발토르타는 침대에 누운 채 마르타 디초티에게 갑자기 정체불명의 목소리가 들려 받아쓰라고 했다고 말했다. 마르타는 밀리오니 신부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밀리오니 신부는 마리아에게 목소리의 지시대로 받아 적으라고 하며 노트를 계속 보내주었다.

마리아는 1947년까지 거의 매일, 1947년부터 1951년까지는 간헐적으로 이야기를 받아 적었다. 무릎 위에 수첩을 놓고 만년필로 글을 썼으며, 목차를 만들거나 교정하지도 않았다. 가끔 마르타에게 낭독을 부탁하기도 했다.[44]

마리아 발토르타는 자신이 쓴 글에 대해 "나는 누군가의 도움 없이 순전히 나 혼자서 글을 썼으며, 심지어 글을 쓰는 와중에도 종종 내가 지금 쓰는 글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라고 단언했다. 그녀의 수첩에는 글을 쓴 날짜가 기록되어 있지만,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 마지막 장의 일부 글은 앞장보다 먼저 쓰여 순서대로 기재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간의 글을 통해 앞뒤 부분이 연결되어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인다.[45]

1918년, 21세의 마리아 발토르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구호 간호사의 제복을 입고 있다.


1943년 자서전을 완성한 후, 발토르타는 예수에게서 받았다고 주장하는 메시지를 쓰기 시작했다.[7][3] 1943년부터 1947년까지 약 15,000페이지 분량의 노트를 작성했는데, 이 중 10,000페이지는 주요 저서인 하느님의 사람 시의 기초가 되었고, 나머지는 사후에 점차 출판되었다.[13][7] 발토르타는 사제가 사준 122권의 노트에 만년필로 글을 썼지만, '시'의 에피소드를 연대순으로 쓰지 않아 완성 후 순서를 정하는 표식을 포함했다.[13][11]

처음에는 출판을 꺼렸지만, 1947년 사제의 설득으로 동의했다.[14][16] 초기 4권은 저자명 없이 출판되었다.[29] 1948년 2월, 미글로리니 신부, 코라도 베르티 신부, 체친 신부는 교황 비오 12세와 개인 면담을 가졌고, 이 내용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 보도되었다.[17] 비오 12세는 긍정적이었지만, 1949년 성성은 베르티 신부를 소환하여 출판하지 말라고 명령했다.[18]

1952년 미켈레 피사니가 출판에 동의했고, 1952년 10월 발토르타가 계약서에 서명했다.[13] 1956년 '시' 초판이 출판된 후, 피사니 출판사는 나머지 저작물을 계속 출판했다.[13]

Joachim Bouflet|조아킴 부플레프랑스어는 마리아 발토르타의 삶 대부분이 "그녀가 46세에 쓴 자서전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고 말한다.[19] 그러나 발토르타를 개인적으로 알았던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전기 두 권(''Ricordi di Donne Che Conobbero Maria Valtorta,''[20] ''Una Vita con Maria Valtorta: Testimonianze di Marta Diciotti''[21])이 출판되었다.

5. 1.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

1943년부터 1951년까지 마리아 발토르타는 122권의 수첩에 15,000페이지에 달하는 글을 수기로 썼으며, 추가로 일곱 권의 자서전을 집필하였다. 이 글들은 그녀의 대표작인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의 바탕이 되었으며, 전체 작품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이 책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부터 십자가에 못 박혀 숨을 거둘 때까지의 생애가 복음서보다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나의 혼인잔치는 복음서에는 간략하게 묘사되어 있지만,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에는 참석자들의 대화까지 포함하여 훨씬 방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갈릴래아 전역을 돌아다닌 그리스도의 행적과 열두 제자와의 대화도 묘사되어 있다.[46]

발토르타가 직접 쓴 글은 정정, 수정, 가필 등의 흔적이 전혀 없어 받아쓰기와 유사하다. 심장발작과 폐질환으로 고통받는 중에도 글의 흐름이 자연스럽다는 점이 특징이다. 책에 나오는 다른 인물들과 달리 예수의 어법은 독특하고 눈에 띄는 톤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다. 마리아 발토르타가 이탈리아 외 다른 나라를 방문한 적이 없고 대부분 침상에서 생활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녀의 글에 나타난 성지 예루살렘에 대한 지식은 놀랍다. 지리학자 비토리오 트레디치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지리적·광물학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하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성경학자 드리푸스 신부는 발토르타의 수기에 성경에 없는, 소수 전문가만 아는 이스라엘의 작은 마을 이름들이 열거되어 있다고 지적하였다.[45][47][48]

5. 2. 기타 저서

1961년 발토르타가 사망한 후, 그녀의 필사본 노트에 담긴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 권의 책이 점차 출판되었다.[13] 1943년에 완성한 자서전은 1969년에 출판되었다.[4] 1972년에는 1946년 2월 말부터 1947년 2월 초까지 매주 일요일에 쓴 내용을 바탕으로 한 《아자리아의 서》가 출판되었다.[36][33] 이 책에는 그 일요일에 드린 가톨릭 미사에 대한 영적 교훈이 담겨 있다.[36][34] 발토르타는 그 교훈이 그녀의 수호천사인 아자리아로부터 받았다고 썼다.[35]

1976년에는 그녀가 쓴 122권의 학교 노트에 있던 《시》의 텍스트와 함께 섞여 있던 내용을 바탕으로 한 4권의 "노트" 중 첫 번째 권이 이탈리아어로 출판되었다.[11][13][37] 1977년에는 바울의 로마서에 대한 해설을 담은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바울 서신에 대한 강론》이 이탈리아어로 출판되었다.[38] 2006년에는 그녀의 필사본 노트에서 미출판된 페이지를 모아 이탈리아어로 "소형 노트"로 출판했다.[39]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토르타의 책들은 이탈리아어 외에 다른 언어로도 점차 번역되었다.[11][13]

6. 저술에 대한 논란과 평가

로만 다닐락 주교와 파키암 대주교는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에 대한 출판을 공식 승인했지만,[49][50][51] 교황청의 공식 입장은 불분명했다. 1993년 교황청은 마리아 발토르타의 수기에 대해 공식적인 논평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52]

교황청은 책의 출판과 보급을 반대하지는 않지만, 책 첫 페이지에 “이 책에 인용된 환시와 받아쓰기는 저자가 나름대로 예수님의 생애를 이야기하기 위하여 사용한 문학적 표현 양식일 뿐, 그것을 초자연적인 기원에서 오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라는 경고 문구를 넣도록 요구하고 있다.

6. 1. 지지

수년이 흐르면서 마리아 발토르타의 수기에 대한 지지가 바티칸 내에서 점차 확산되어갔다. 로만 다닐락 주교와 수사 파키암 대주교는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에 대한 출판 허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49][50][51] 하지만 교황청의 공식 입장은 불분명하다. 1993년 교황청은 마리아 발토르타의 수기에 대해 공식적인 논평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52]

현재 마리아 발토르타가 받은 사적 계시와 그녀의 수기인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에 대한 교황청의 공식 입장은 책의 출판과 보급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책을 출판할 때 첫 페이지에 “이 책에 인용된 환시와 받아쓰기는 저자가 나름대로 예수님의 생애를 이야기하기 위하여 사용한 문학적 표현 양식일 뿐, 그것을 초자연적인 기원에서 오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라는 경고 문구를 삽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책을 자유롭게 읽되 그 내용을 초자연적인 기원에서 오는 것으로 여기지 말라는 것이다.

6. 2. 비판적 시각

수년 동안 마리아 발토르타의 수기에 대한 지지가 바티칸 내에서 점차 확산되었다. 로만 다닐락 주교와 수사 파키암 대주교는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에 대한 출판 허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49][50][51] 그러나 교황청의 공식 입장은 불분명하다. 1993년 교황청은 마리아 발토르타의 수기에 대해 공식적인 논평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52]

현재 마리아 발토르타가 받은 사적 계시와 그녀의 수기인 《하느님이시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에 대한 교황청의 공식 입장은 책의 출판과 보급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책을 출판할 때 첫 페이지에 “이 책에 인용된 환시와 받아쓰기는 저자가 나름대로 예수님의 생애를 이야기하기 위하여 사용한 문학적 표현 양식일 뿐, 그것을 초자연적인 기원에서 오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라는 경고 문구를 삽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책을 자유롭게 읽되 그 내용을 초자연적인 기원에서 오는 것으로 여기지 말라는 것이다.

7. 사망과 유산

마리아 발토르타는 1961년 64세의 나이로 비아레조에서 사망하여 그곳에 안장되었다. 1973년 교회로부터 허락을 받아 그녀의 유해는 피렌체에 있는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바실리카의 큰 회랑에 있는 채플로 옮겨졌으며, 묘비에는 ‘거룩한 글을 쓴 작가(DIVINARUM RERUM SCRIPTRIX)’라는 비문이 새겨졌다.[1]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바실리카는 성모의 종의 모 교회이다.[2]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바실리카, 마리아 발토르타가 묻힌 세르비테 수도회의 모 교회.


발토르타의 유해 이장 행사는 몬시뇰 가브리엘 M. 로스키니 O.S.M가 주재하였다.[2]

마리아 발토르타는 사망하기 전 자신의 조수 마르타 디치오티를 저작의 상속자로 지정했고, 2001년 마르타 디치오티는 에밀리오와 클라우디아 피사니를 자신의 상속자로 지정했다. 이후 피사니 부부는 마리아 발토르타의 작품을 위한 재단을 설립했다. 발토르타 사후 피사니 조직은 발토르타의 자필 노트를 바탕으로 책을 출판해 왔으며, 그녀의 ''시''는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3]

한편, 신학 교수인 에르네스토 주키니 신부는 2009년 비아레조에 마리아 발토르타 재단을 설립했으며, 비아레조에서 발토르타 저작에 대한 연례 회의를 개최하고 이탈리아 여러 곳에서 그녀에 대한 발표회를 열어왔다. 2021년 10월 12일(발토르타 사망 60주년)에 열린 회의에는 루카 대주교이자 비아레조시의 관할권을 가진 몬시뇰 파올로 줄리에티가 참석하여 발토르타의 생애와 저작에 대해 강연했다.[4]

참조

[1] 서적 Voices, Visions, and Apparitions OSV Publishing
[2] 서적 To Florence con Amore: 90 Ways to Love the City Florentine Press
[3] 서적 The Woman and the Dragon: Apparitions of Mary Pelican Publishing Company
[4] 서적 Autobiography Editions Paulines
[5] 뉴스 https://www.casertan[...] Caserta News 2013-05-16
[6] 서적 Il Tempo Di Primavera Pellegrini Editore
[7] 뉴스 Il parco per Maria Valtorta https://laprovinciap[...] La Provincia Pavese 2013-05-12
[8] 서적 Indagine sulla croce di Cristo La Fontana di Siloe
[9] 서적 Autobiography Editions Paulines
[10] 서적 Autobiography Editions Paulines
[11] 서적 Indagine su Maria: Le Rivelazioni dei Mistici sulla Vita della Madonna Mondadori
[12] 서적 Autobiography Editions Paulines
[13] 뉴스 Tipi Italiani Il Giornale 2014-08-24
[14] 서적 Dictionnaire des Personnages de l'Evangile Selon Maria Valtorta Salvator
[15] 서적 Autobiography Editions Paulines
[16] 서적 Shepherd of Souls: The Virtuous Life of Saint Anthony Pucci CMJ Marian Press
[17] 간행물 L'Osservatore Romano 1948-02-27
[18] 웹사이트 The Current Juridic and Moral Value of the Index of Forbidden Books https://ruor.uottawa[...] 2017
[19] 서적 Impostures mystiques Éditions du Cerf
[20] 서적 Ricordi di Donne Che Conobbero Maria Valtorta Centro Editoriale Valtortiano
[21] 서적 Una Vita con Maria Valtorta: Testimonianze di Marta Diciotti Centro Editoriale Valtortiano
[22] 문서 Publisher's Notice in the Second Italian Edition (1986), reprinted in English Edition, Gabriel Roschini, O.S.M. (1989). The Virgin Mary in the Writings of Maria Valtorta Kolbe's Publication Inc.
[23] 뉴스 Alla scoperta dell’vangelo di Maria Valtorta https://it.zenit.org[...] Zenit News Agency 2016-10-16
[24] 뉴스 Viareggio, convegno su Maria Valtorta https://www.toscanao[...] Toscana Oggi 2017-10-19
[25] 뉴스 Indagine sugli scritti di Maria Valtorta La Nazione 2020-11-14
[26] 뉴스 Nuovi studi e scoperte sulla tomba di S.Pietro La Nazione 2021-10-23
[27] 웹사이트 Acta Apostolicae Sedis: Commentarium Officiale https://www.vatican.[...] 1960-01-30
[28] 뉴스 Suprema Sacra Congregatio Sanctii Officii: Decretum Proscriptio Librorum http://maria-valtort[...] 1960-01-06
[29] 뉴스 Una vita de Jesù malamente romanzata http://maria-valtort[...] 1960-01-06
[30] 웹사이트 Library : A Badly Fictionalized Life of Jesus http://www.catholicc[...] 2017-09-10
[31] 뉴스 Notificatio http://maria-valtort[...] 1966-06-15
[32] 서적 From Inquisition to Freedom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33] 서적 The Book of Azaria
[34] 서적 The Book of Azaria
[35] 서적 The Book of Azaria
[36] 서적 Indagine su Maria: Le Rivelazioni dei Mistici sulla Vita della Madonna Mondadori
[37] 서적 Maria Valtorta "I quaderni del 1943"
[38] 서적 Maria Valtorta "Lezioni sull'Epistola di Paolo ai Romani"
[39] 서적 Maria Valtorta "Quadernetti "
[40] 웹사이트 Imprimatur for the Writings of Maria Valtorta http://www.bardstown[...]
[41] 웹사이트 The Life of Maria Valtorta http://valtorta.alph[...]
[42] 웹사이트 Illness-28 years confined to bed http://www.mariavalt[...]
[43] 웹사이트 Overview of Valtorta's Life http://www.valtorta.[...]
[44] 웹사이트 Maria Valtorta's Writings http://www.mariavalt[...]
[4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Valtorta http://www.bardstown[...]
[46] 웹사이트 Poem of the Man God Excerpts http://www.valtorta.[...]
[47] 웹인용 Tredici Quote on Valtorta https://web.archive.[...] 2012-04-08
[48] 웹인용 Pende Quotes on Valtorta https://web.archive.[...] 2012-04-08
[49] 웹사이트 Bishop Danylak's Imprimatur http://www.bardstown[...]
[50] 웹사이트 Archbishop Soosa Pakiam of Trivandrum http://mariavaltorta[...]
[51] 웹사이트 Heart of Jesus http://heartofjesus.[...]
[52] 웹사이트 Church letter Regarding Valtorta at http://www.heandi.q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