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파 전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로파 전송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1930년대에 영국 해협을 가로지르는 실험을 통해 상용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이더 기술 발달과 함께 발전했으며, 1950년대 미국 AT&T 장거리 통신망 구축에 활용되었다. 마이크로파 전송은 이동형과 고정형 FPU로 구분되며, 주파수 변조(FM) 방식과 디지털 방식을 사용한다. 마이크로파는 좁은 빔을 만들어 지점 간 통신에 유리하며, 위성 통신, 레이더, 센서 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하지만 시선 전파에 제한적이며,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크로파 기술 - 공간 전하
공간 전하는 전극 사이나 물질 내부에 자유 전하가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현상으로, 진공관, 유전체, 반도체 등에서 발생하며, 공간 전하 효과, 절연 파괴 전압, 소자 동작, 공간 전하 제한 전류 등 다양한 전기적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 마이크로파 기술 - 진행파관
진행파관은 전자빔과 고주파 신호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증폭하는 진공관으로, 넓은 대역폭과 높은 출력을 특징으로 하며 위성통신, 레이더 등에 사용되고, 진행파관과 전원 공급 장치 등이 통합된 증폭기는 진행파관 증폭기로 불린다. - 에너지 개발 - 에너지 산업
에너지 산업은 석탄, 전기, 가스, 석유, 원자력, 신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다루며, 사회의 필수 조건인 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모색한다. - 에너지 개발 - 연료
연료는 연소, 핵분열, 핵융합 등을 통해 열에너지, 동력, 전기 에너지를 얻는 물질로, 초기 식물성 연료에서 화석 연료를 거쳐 바이오 연료, 핵연료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환경 문제로 인해 대체 연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텔레비전의 역사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의 역사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마이크로파 전송 | |
---|---|
개요 | |
이름 | 마이크로파 전송 |
정의 |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 |
주파수 범위 | 일반적으로 300MHz에서 300GHz 사이 |
원리 | |
작동 방식 | 마이크로파는 송신기에서 생성되어 안테나를 통해 공간으로 방사됨 수신 안테나는 이러한 마이크로파를 수신하여 수신기로 전달 수신기는 신호를 처리하여 원래 정보를 복구 |
응용 분야 | |
통신 | 이동통신 위성 통신 무선 네트워크 |
레이더 | 기상 레이더 군사 레이더 교통 감시 레이더 |
기타 | 전자레인지 의료 영상 산업 공정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높은 대역폭으로 많은 양의 정보 전송 가능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장거리 통신 가능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 |
단점 | 장애물에 의해 신호가 감쇠될 수 있음 기상 조건에 민감 전파 간섭에 취약 |
구성 요소 | |
송신기 | 마이크로파 신호 생성 |
수신기 | 마이크로파 신호 수신 및 처리 |
안테나 | 마이크로파 신호를 공간으로 방사하거나 수신 |
도파관 | 마이크로파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선로 |
유형 | |
지상 마이크로파 전송 | 지상에 설치된 송신기와 수신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전송 일반적으로 중계기를 사용하여 장거리 전송 |
위성 마이크로파 전송 | 위성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전송 장거리 통신 및 방송에 사용 |
관련 기술 | |
주파수 변조 | 마이크로파 신호에 정보를 담는 데 사용되는 기술 |
다중화 | 여러 신호를 하나의 전송 채널로 결합하는 기술 |
암호화 | 마이크로파 전송의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 |
방송 분야 | |
FPU (Field Pickup Unit) | 방송 현장에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휴대용 무선 장비 |
사용 예시 | 뉴스 속보, 스포츠 이벤트 생중계 등에 사용 |
관련 법규 | 대한민국의 경우, 전파법에 따라 FPU 사용이 규제됨 |
2. 역사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는 장거리 전화 및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정보를 좁은 마이크로파 빔을 이용하여 지상의 두 지점 사이에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마이크로파 송신기와 지향성 안테나는 정보를 전달하는 좁은 마이크로파 빔을 시정거리 경로를 통해 다른 중계소로 전송하고, 거기서 다시 지향성 안테나와 수신기로 수신하여 두 지점 사이에 고정된 무선 연결을 형성했다. 이 링크는 양방향으로 작동하여 각 끝에 송신기와 수신기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았다. 기지국 간 간격은 시정거리(약 약 48.28km 에서 약 80.47km)로 제한되었지만, 중계소를 통해 더 먼 거리까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마이크로파 중계소 체인을 통해 대륙 간 통신이 가능했으며, 중계소는 주로 높은 건물이나 산꼭대기에 설치되었다.
1950년대부터 미국 AT&T 장거리 통신망 시스템과 같은 마이크로파 중계 링크 네트워크는 도시 간 장거리 전화 및 텔레비전 방송을 전달했다.[1] AT&T가 개발한 최초의 시스템인 TDX는 1947년 뉴욕과 보스턴을 8개의 무선 중계소로 연결했다.[1] 이후 미국 전역에 걸쳐 개선된 버전인 TD2 네트워크가 배치되었으며, 여기에는 산맥을 가로지르고 대륙을 연결하는 긴 데이지 체인 링크가 포함되었다.
2. 1. 발전 과정
무선 중계 통신의 역사는 1898년 요한 마타우슈(Johann Mattausch)가 오스트리아 저널인 Zeitschrift für Elektrotechnik에 발표한 논문에서 시작되었지만,[3][4] 당시 기술로는 실용화하기 어려웠다. 1899년 에밀 구아리니-포레시오(Emile Guarini-Foresio)가 무선 중계기 기지국 실험을 수행했지만,[3] 초기 무선 통신은 저주파 및 중주파를 사용하여 지표파 및 천파 전파를 통해 장거리 통신이 가능했기 때문에 중계 기술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1931년, 앙드레 클라비에(Andre C. Clavier)가 이끄는 영불 합작 기업은 접시 안테나를 사용하여 영국 해협을 가로지르는 실험적인 마이크로파 중계 링크를 시연했다.[5]
영국 도버와 프랑스 칼레 사이의 양방향 1.7 GHz 빔을 통해 전화, 전신 및 팩시밀리 데이터가 전송되었다. 이때 사용된 방사 전력은 0.5와트 수준이었다. 1933년 프랑스 생탱글베르(St. Inglevert) 공항과 영국 림프네(Lympne) 공항 사이의 군용 마이크로파 링크가 이어졌고, 1935년에는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파 중계 시스템인 300 MHz 통신 링크가 등장했다.[6]
레이더 기술의 발전, 특히 클라이스트론 발진기와 포물선 안테나 설계 기술은 마이크로파 통신 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은 무선 세트 번호 10을 군사 통신에 활용했다.
전쟁 이후, 마이크로파는 직접 시선으로 전파되어 시정거리에 의해 약 40 km의 전파 거리로 제한되었지만, 전화 회사들은 장거리 전화를 위한 대규모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이 기술을 사용했다.
1950년대 미국 전화 통신 사업자인 AT&T 장거리 회선은 미국 전역에 마이크로파 중계 링크의 횡단 대륙 시스템을 구축하여, 미국의 대부분의 장거리 통화 전화 트래픽과 텔레비전 네트워크 신호를 전송하는 규모로 성장했다.[7] 1946년 케이블 대신 마이크로파 무선을 사용하려는 주된 동기는 대용량을 빠르고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당시 마이크로파 무선의 연간 운영 비용은 케이블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전시 중 단절로 인한 장거리 전화 서비스에 대한 억눌린 수요와 라디오보다 더 많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매체인 텔레비전의 등장은 마이크로파 기술 도입을 가속화했다. TDX라고 불린 시제품은 1946년 뉴욕시와 벨 연구소가 있는 머레이 힐 사이의 연결을 통해 테스트되었으며, 1947년 뉴욕과 보스턴 사이에 설치되었다. TDX는 송신기에서 웨스턴 일렉트릭이 제조한 모튼 관(Morton tube, 416B 및 후기형 416C)을 사용한 TD2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나중에는 고체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TD3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서베를린으로의 마이크로파 중계 링크는 기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구축 및 운영되었다. 이 링크는 전화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TV 및 라디오 방송 배포에도 사용되었다.
군용 마이크로파 중계 시스템은 1960년대까지 계속 사용되었지만, 대류권 산란 또는 통신 위성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NATO 군사 조직이 설립되면서 이러한 기존 장비의 상당 부분이 통신 그룹으로 이전되었다.
1980년대까지 많은 국가에서 장거리 마이크로파 중계 네트워크가 구축되었지만, 광섬유 케이블 및 통신 위성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점차 자리를 내주었다.
냉전 기간 동안 미국 국가 안보국(NSA)과 같은 미국의 정보 기관은 라이올라이트/아쿠아케이드와 같은 위성을 사용하여 소련의 마이크로파 통신을 도청할 수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8]
21세기 초,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 시스템은 휴대용 무선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시 활용되기 시작했다. 낮은 운영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 하드웨어 직접 접근성 등이 장점으로 작용했다.
2. 2. 한국의 FPU 도입 및 발전
서울 올림픽(1988년)을 앞두고 한국 방송사들은 최첨단 방송 중계 기술 도입을 위해 FPU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방송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했고, FPU 시스템은 방송 현장에서 필수 장비로 자리 잡았다. 특히 한일 월드컵(2002년)을 거치면서 HD급 고화질 방송 중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FPU 시스템 역시 고도화되었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방송 통신 융합 환경 변화에 발맞춰 FPU 기술 개발 및 장비 국산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최근에는 5G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FPU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방송 중계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3. 종류
FPU는 크게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분류된다. 이동형은 중계차에 탑재하는 차량 탑재형과 사람이 휴대하는 휴대형 FPU로 나뉘며, 현장 중계에 쓰인다. 고정형 FPU는 주로 수신 기지국 대용으로 사용된다.[13]
3. 1. 이동형 FPU
차량 탑재형 FPU는 중계차에 탑재되어 기동성을 확보하며,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휴대형 FPU는 백팩 형태 등으로 제작되어 사람이 직접 메고 이동하며,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골프 중계나 보도 등에서 사용된다.[13]3. 2. 고정형 FPU
고정형 FPU는 주로 높은 산이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FPU는 예리한 지향성을 가진 패러볼라 안테나나 야기우다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 기지국으로 프로그램 소스를 전송한다.[13] 고정형 FPU의 주요 용도는 수신 기지국 대용이다.[13]4. 기술적 특징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짧아 크기가 적당한 안테나로 좁은 빔을 만들어 수신 안테나를 직접 조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점 간 통신에 널리 사용된다. 집중된 빔을 사용하면 같은 지역의 마이크로파 송신기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어, 부족한 무선 주파수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의 높은 주파수는 매우 큰 정보 전달 용량을 제공하며, 마이크로파 대역의 대역폭은 그 아래의 모든 무선 주파수 대역의 30배에 달한다.[1]
마이크로파 무선 전송은 지구 표면의 지점 간 통신 시스템, 통신위성 통신, 심우주 무선 통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마이크로파 무선 대역의 다른 부분은 레이더, 무선 항법 시스템, 센서 시스템 및 전파 천문학에 사용된다.
30 GHz ~ 300 GHz 대역은 파장이 10 mm ~ 1 mm이기 때문에 "밀리미터파"라고 불린다.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파는 지구 대기의 기체에 의해 강하게 감쇠되므로 실용적인 전송 거리가 수 킬로미터로 제한되어 장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밀리미터파 대역에 필요한 전자 기술은 마이크로파 대역의 기술보다 개발 단계가 초기 단계이다.
마이크로파는 시선 경로를 통해 전파되므로, 송수신 안테나 사이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빔의 감쇠를 막기 위해 빔 주변의 첫 번째 프레넬 영역에도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높은 산봉우리나 산등성이는 안테나 설치에 이상적인 위치이다.
장애물, 지구 곡률, 지형, 인근 토지 사용 등은 무선 링크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호수나 강과 같은 수면은 빔을 반사하여 다중 경로 페이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0G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강우 페이딩을 일으키는 강우와 강설도 고려해야 한다.
마이크로파 통신망은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의 전파 빔을 사용하여 두 지점 간에 비디오, 음향,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수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까지의 거리를 커버할 수 있다.
- 시선 통신(LOS, Line-of-sight propa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 강우 감쇠(rain fade)를 포함한 환경적 제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언덕, 건물,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대한 투과력이 매우 제한적이다.
- 공기 중 빛의 속도가 광케이블보다 빠르기 때문에 광섬유 네트워크보다 전파 지연이 낮다.[10]
4. 1. 전송 방식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장거리 전화 및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정보를 좁은 마이크로파 빔을 이용하여 지상의 두 지점 사이에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된 기술이다.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에서 마이크로파 송신기와 지향성 안테나는 많은 정보 채널을 전달하는 좁은 마이크로파 빔을 시정거리 경로를 통해 다른 중계소로 전송하며, 이곳에서 지향성 안테나와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두 지점 사이의 고정된 무선 연결을 형성한다.마이크로파 통신망의 전송 방식에는 초기부터 사용되어 온 아날로그 방식(FM 방식)과 1990년대 후반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디지털 방식이 있다. 디지털 방식은 단일 반송파를 사용하는 QAM 방식과, 매우 많은 반송파를 고밀도로 배치하는 멀티캐리어 OFDM 방식이 있다.
4. 2. 주파수 대역
FPU는 주로 마이크로파 대역을 사용하며, 국가별로 할당된 주파수가 다르다. 일본의 경우 다음과 같은 주파수 대역이 사용된다.[14]- 1.2GHz 대역: 1.24GHz - 1.3GHz
- 2.3GHz 대역: 2.33GHz - 2.37GHz
- B 대역: 5.85GHz - 5.925GHz
- C 대역: 6.425GHz - 6.57GHz
- D 대역: 6.87GHz - 7.125GHz
- E 대역: 10.25GHz - 10.45GHz
- F 대역: 10.55GHz - 10.68GHz
- G 대역: 12.9GHz - 13.25GHz
한국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주파수 분배를 담당하며, 관련 법규에 따라 FPU 주파수가 할당된다. 800MHz 대역은 원래 FPU에 사용되었으나, 2012년 주파수 할당 계획 변경에 따라 휴대전화 주파수로 전환되었으며, 한국에서는 2017년 3월 31일 전환이 완료되었다.[15]
총무성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용 기한 대상 무선국 수의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2011년 | 2012년 | 2012년 | 2013년 | 2013년 | 2014년 | 2014년 | 2015년 | 2015년 | 2016년 | 2016년 | 2017년 |
---|---|---|---|---|---|---|---|---|---|---|---|---|
월 | 10월 | 4월 | 10월 | 4월 | 10월 | 4월 | 10월 | 4월 | 10월 | 4월 | 10월 | 4월 |
국 수 | 102 | 102 | 104 | 104 | 104 | 102 | 98 | 98 | 88 | 83 | 58 | 0 |
주파수 사용 기한이 정해진 전파 이용 시스템 등의 무선국 수 추이[16]에 따름. 육상 이동국과 휴대국의 합산임. |
4. 3. 안테나
FPU는 지향성이 강한 파라볼라 안테나나 야기우다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 기지국으로 프로그램 소스를 전송한다.[12][13] 과거에는 이동 중계차에서 송출되는 프로그램 소스를 수신 기지국 방향으로 정확하게 안테나를 조준해야 했다. 이 작업은 '마이크로맨'이라 불리는 조작원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했기 때문에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지털 변조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전화처럼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여러 수신 기지국으로 프로그램 소스를 전송하고 중계하는 방식이 채택되면서 이 부분은 자동화되고 있다.4. 4. 장점 및 한계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짧아 적당한 크기의 안테나로 좁은 빔을 만들 수 있어 지점 간 통신에 널리 사용된다. 집중된 빔을 사용하면 같은 지역의 마이크로파 송신기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어, 부족한 무선 주파수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의 높은 주파수는 매우 큰 정보 전달 용량을 제공하며, 마이크로파 대역의 대역폭은 그 아래의 모든 무선 주파수 대역의 30배에 달한다.하지만 마이크로파는 시선(Line-of-sight) 전파에 제한되며, 저주파 무선파처럼 언덕이나 산을 넘어 전파되지 않는다.
마이크로파 무선 전송은 지구 표면의 지점 간 통신 시스템, 통신위성 통신, 심우주 무선 통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마이크로파가 무선 전력 전송에도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장거리 전화 및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정보를 좁은 마이크로파 빔을 이용하여 지상의 두 지점 사이에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된 기술이다.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에서 마이크로파 송신기와 지향성 안테나는 많은 정보 채널을 전달하는 좁은 마이크로파 빔을 시정거리 경로를 통해 다른 중계소로 전송하며, 이곳에서 지향성 안테나와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두 지점 사이의 고정된 무선 연결을 형성한다.
마이크로파 전송에서 파장은 한 안테나에서 다른 안테나로 시선(line-of-sight) 경로에 한정된 좁은 빔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다른 마이크로파 장비와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한 마이크로파 링크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고주파수 때문에 역 사이에 시선 경로가 필요하다. 또한 빔의 감쇠를 피하기 위해 빔 주변의 영역인 첫 번째 프레넬 영역이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신호 필드의 장애물은 원치 않는 감쇠를 일으킨다. 높은 산봉우리나 산등성이는 종종 안테나에 이상적인 위치이다.
장애물, 지구의 곡률, 지역의 지형 및 인근 토지(예: 제조 및 임업) 사용으로 인한 수신 문제는 무선 링크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대기 성층의 영향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무선 경로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높이에 따른 온도, 습도 및 압력 프로필의 드문 사건은 전파의 큰 편차와 왜곡을 생성하고 전송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10GHz 이상의 주파수에서 강우 페이딩을 일으키는 고강도 강우와 강설도 장애 요인으로 고려해야 한다.
'''마이크로파 통신망'''(microwave link)은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의 전파 빔을 사용하여 두 지점 간에 비디오, 음향,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수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까지의 거리를 커버할 수 있다.
- 시선 통신(LOS, Line-of-sight propa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 강우 감쇠(rain fade)를 포함한 환경적 제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언덕, 건물,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대한 투과력이 매우 제한적이다.
- 공기 중 빛의 속도가 광케이블보다 빠르기 때문에 광섬유 네트워크보다 전파 지연이 낮다.[10]
지상 마이크로파 중계 링크는 송신탑 높이에 따라 수십 킬로미터의 시정거리로 제한된다. 대류권 산란(troposcatter 또는 scatter)은 1950년대에 개발된 기술로, 수백 킬로미터 범위까지 수평선 너머로 마이크로파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한다.
5. 구성 요소
(내용 없음)
5. 1. 한국 주요 FPU 제조사
이케가미 통신기(PF 시리즈)[17], 히타치 국제전기(ZS 시리즈)[18], NEC(TVL 시리즈)[19] 등이 주요 FPU 제조사이다.6. 활용 분야
FPU는 방송 중계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뉴스, 스포츠 중계, 드라마 제작 등 현장에서 촬영된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방송국에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12][13] 특히, 이동성이 중요한 스포츠 중계(마라톤, 사이클 등)에서 FPU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계열 방송국의 각지 중계차가 동원된다. 재난 현장, 선거 개표 방송 등 신속한 현장 상황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도 FPU가 활용된다.
수신한 방송국의 연주소(스튜디오)에서는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소스를 편집 및 가공하거나 생방송으로 방송에 송출한다.
대표적인 휴대용 장치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나뉘며, 각각 패러볼라 안테나와 일체화된 고주파 부와 제어부 총 4개의 케이스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이 시스템이 자동차에 탑재되면 중계차가 되고, 헬리콥터에 탑재되면 헬리텔레 시스템이 된다. 중계차에 사용하는 것은 육상 이동국 면허가, 헬리텔레 시스템은 휴대국 면허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송신기, 수신기 모두 제어부와 고주파부는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와 고주파부의 영상 및 음성 신호 교환은 다중화된 것을 전송 손실이 적은 낮은 주파수(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전원도 제어부에서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에 중첩시켜 고주파부로 보내고 있다. 또한, UHF 대역에서는 안테나가 커지기 때문에 고주파부에서 특히 전송 손실이 적은 동축 케이블 등을 짧게 사용하여 외장하고 있다.
마이크로파, UHF파 모두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송신기와 수신기가 설치되는 위치는 기본적으로 시야 확보가 가능해야 한다.
취재 현장의 송신기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파는 연주소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현장에서 연주소를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시야 확보가 가능한 높은 산이나 철탑 등에 수신 설비를 설치하여 여기서 수신하고 연주소로 중계한다. 그 외에 취재처의 중계차에서 수신하여 여기서 1차적인 프로그램 제작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FPU에서는 예리한 지향성을 가진 패러볼라 안테나나 야기우다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 기지국으로 프로그램 소스를 전송한다.
참조
[1]
서적
The Tube Guys
Russ Cochran
[2]
웹사이트
A vintage document: Reference Radio Link Telettra on the Red Sea, 360km and world record
http://www.facebook.[...]
Telettra
2010-05-21
[3]
학회논문
First Antennas for Relay Stations.
http://www.slyusar.k[...]
2015
[4]
학술지
Telegraphie ohne Draht. Eine Studie
http://www.slyusar.k[...]
Elektrotechnischen Vereines in Wien
1898-01-16
[5]
잡지
Searchlight radio with the new 7 inch waves
http://www.americanr[...]
Radio Science Publications
1931-08
[6]
잡지
Microwaves span the English Channel
http://www.americanr[...]
Popular Book Co
1935-09
[7]
잡지
Sugar Scoop Antennas Capture Microwaves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85-02
[8]
서적
The Shadow Factory
https://archive.org/[...]
Doubleday
[9]
MSc
Analyzing Microwave Spectra Collected by the Solar Radio Burst Locator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North Texas
2007-05
[10]
학술지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Financial Markets in Chicago and New York
https://onlinelibrar[...]
2014-05
[11]
문서
Field는 "현장" 이라는 의미이다.
[12]
웹사이트
Ikegami Engineer Talks (FPU編)- Vol.1
https://www.ikegami.[...]
池上通信機
2024-12-12
[13]
웹사이트
放送事業用無線局(FPU)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4-12-12
[14]
PDF
新旧対照表(総務省 - 所管法令等新規制定・改正 - 平成24年4月17日告示第172号)
www.soumu.go.jp/main[...]
2012-05-08
[15]
PDF
700/900MHz帯の周波数再編(総務省電波利用ホームページ - 700/900MHz帯周波数再編ポータルサイト)
www.tele.soumu.go.jp[...]
2018-08-01
[16]
PDF
周波数の使用期限に定めのある電波利用システム等の無線局数の推移(周波数再編アクションプラン関連)(平成29年4月現在)p.10(総務省情報通信統計データベース - その他の無線局数 - 周波数再編アクションプラン関連)
www.soumu.go.jp/joho[...]
2017-07-01
[17]
웹사이트
https://www.ikegami.[...]
[18]
웹사이트
https://www.hitachi-[...]
[19]
웹사이트
https://jpn.nec.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