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레비전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여러 방송국을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배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라디오 네트워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초기에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송했다. 미국에서는 ABC, CBS, NBC, Fox가 주요 네트워크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BBC가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니혼 TV, TV 아사히, TBS 텔레비전, 후지 텔레비전, TV 도쿄를 중심으로 5대 네트워크 체제를 갖추고 있다. 한국은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방송사를 중심으로 텔레비전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 네트워크 - 텔레비전 채널
    텔레비전 채널은 텔레비전 방송국 또는 유료 텔레비전 채널을 의미하며, 지상파, 케이블, 위성, IPTV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물리 채널과 논리 채널의 구분이 존재하며, 한국을 포함한 각 국가별로 채널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 텔레비전 네트워크 - 디즈니 스타
    디즈니 스타는 1990년 스타 TV로 설립되어 아시아 지역 방송 사업을 전개해 온 미디어 그룹으로, 2019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인수된 후 영화 제작,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리그 지분 투자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아시아 시청자에게 폭넓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2024년 Viacom18과의 합병을 통해 변화를 맞이할 예정이다.
텔레비전 네트워크

2. 역사적 배경

초기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라디오 네트워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라디오가 번성하면서 미국에서는 실험적인 텔레비전 방송국들이 산발적으로 방송을 시작했다.[3] 텔레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초기 텔레비전 방송국이 정규 방송을 시작하면서, 한 방송국의 신호를 원격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텔레비전 신호 네트워킹 아이디어가 생겨났다. 그러나 라디오 신호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텔레비전 신호는 광대역 전송 매체가 필요했다.[4]

AT&T 자회사인 벨 연구소는 1929년에 동축 케이블을 특허 받았다. 이 케이블은 높은 용량 덕분에 장거리 텔레비전 전송에 이상적이었다.[4] 독일 텔레비전은 1936년에 베를린에서 라이프치히로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으로 전송된 전화 통화를 중계하여 이를 시연했다.[5]

AT&T는 뉴욕시와 필라델피아 사이에 최초의 동축 케이블을 설치하고, 1937년에는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영화를 전송하는 실험을 했다.[6] 벨 연구소는 1940년과 1941년에 뉴욕-필라델피아 텔레비전 링크를 시연했다. AT&T는 1940년 6월 필라델피아에서 뉴욕시로의 공화당 전당대회를 전송하기 위해 동축 링크를 사용했으며, 이는 NBC 방송국 W2XBS(WNBC로 발전)를 통해 수백 명의 수신자에게 방송되었으며, 뉴욕 방송국의 공중 중계를 통해 WRGB로 발전한 W2XB를 통해 뉴욕 스케넥터디에서도 시청되었다.[7]

NBC는 1940년 2월 1일 뉴욕시 방송국에서 제너럴 일렉트릭 중계 안테나를 통해 뉴욕주 스케넥터디로 도시 간 텔레비전 방송을 시연했고, 1941년에는 필라델피아와 스케넥터디에 불규칙적으로 일부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시작했다. 듀몽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1946년 8월 15일에 뉴욕시와 워싱턴을 연결했다.[8][9] NBC는 1947년 6월 27일에 뉴욕시, 필라델피아, 스케넥터디 및 워싱턴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시했다.[10] 1947년 말에는 볼티모어와 보스턴이 NBC 텔레비전 네트워크에 추가되었다. 듀몽과 NBC에는 1948년에 CBS와 ABC가 합류했다.

1949년 1월, 듀몽의 WDTV가 피츠버그에서 개국하면서 미국 중서부와 미국 동부 해안 네트워크가 마침내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었다.[12] 1951년까지 4개의 네트워크는 AT&T 롱 라인의 새로운 마이크로파 라디오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해안에서 해안까지 뻗어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에 제정된 방송법으로 인해, 민영 방송국은 도도부현 또는 그 몇 개를 합한 구역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고, 전국 방송은 할 수 없게 되어, 니혼 TV가 구상하던 전국 방송 계획은 좌절되었다.

매스 미디어 집중 배제 원칙에 의해, 일본 방송 협회(NHK) 이외에는 복수의 방송국을 개설하는 것도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뉴스 계열 (뉴스 영상의 배신·상호 이용을 실시)이 먼저 형성되고, 이어서 방송 프로그램의 배신·공급을 실시하는 네트워크가 생겨났다.

먼저 도쿄 방송 (TBS 텔레비전)이 JNN을 결성하여, 가맹한 사업자(가맹국)에 뉴스 이외의 프로그램도 TBS가 스폰서와 함께 배급했다. 현재도, TBS 계열에서는 일반 프로그램의 가맹국 대상 판매는 JNN의 부대 업무로서 실시되고 있다. 지방국은 영업의 생력화, TBS에는 프로그램 예산의 확대라는 양자에게 이점이 생겼다.

타 방송국도 잇따라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당초에는 지방의 국 수가 절대적으로 적어, 지방국에서도 어느 국의 프로그램을 방송할 것인가나 자사 제작 프로그램의 삽입에 비교적 선택의 여지가 컸지만, 1968년 이후 지방의 다국화가 진행됨에 따라 네트워크의 힘이 커지고, 양자는 거의 사실상 일체가 된다. 일본에서의 방송 네트워크는 신문사와의 관계가 강하지만, 우정 대신 시대에 대량 개국을 실시한 다나카 가쿠에이가 신문사에 방송 면허를 주는 노선을 취했기 때문이다.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과 관련해, 방송법 제110조에서 지상 기간 방송 사업자는 "특정인으로부터만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을 받게 되는 조항을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에 관한 협정을 체결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많은 시간대에, 네트워크의 프로그램을 강제적으로 방송하는 듯한 구조가 되어 있다.

2. 1. 초기 역사 (미국)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라디오가 번성하면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모두 방송하는 실험적인 텔레비전 방송국이 산발적으로 방송을 시작했다.[3] 텔레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초기 텔레비전 방송국이 정규 방송을 시작하면서 텔레비전 신호를 네트워킹하는 아이디어(한 방송국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원격 방송국으로 전송)가 생겨났다. 그러나 라디오 신호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 텔레비전 시스템의 신호는 광대역 전송 매체가 필요했다. 전국적인 일련의 라디오 중계탑을 통한 전송은 가능하지만 비용이 매우 많이 들 것이었다.[4]

AT&T 자회사인 벨 연구소(Bell Telephone Laboratories)의 연구원들은 1929년에 동축 케이블을 전화 개선 장치로 특허를 받았다. 이 케이블은 높은 용량(240개의 전화 통화를 동시에 전송)으로 인해 장거리 텔레비전 전송에도 이상적이었으며, 1 MHz의 주파수 대역을 처리할 수 있었다.[4] 독일 텔레비전은 1936년에 베를린에서 라이프치히로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으로 전송된 전화 통화를 중계하여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처음 시연했다.[5]

AT&T는 뉴욕시와 필라델피아 사이에 최초의 L-캐리어 동축 케이블을 설치했으며, 1937년에는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영화를 전송하는 실험을 했다.[6] 벨 연구소는 1940년과 1941년에 뉴욕-필라델피아 텔레비전 링크를 시연했다. AT&T는 1940년 6월 필라델피아에서 뉴욕시로의 공화당 전당대회를 전송하기 위해 동축 링크를 사용했으며, 이는 NBC 방송국 W2XBS(나중에 WNBC로 발전)를 통해 수백 명의 수신자에게 방송되었으며, 뉴욕 방송국의 공중 중계를 통해 WRGB로 발전한 W2XB를 통해 뉴욕 스케넥터디에서도 시청되었다.[7]

NBC는 1940년 2월 1일 뉴욕시 방송국에서 제너럴 일렉트릭 중계 안테나를 통해 뉴욕주 스케넥터디로 도시 간 텔레비전 방송을 시연했고, 1941년에는 필라델피아와 스케넥터디에 불규칙적으로 일부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시작했다. 듀몽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전쟁 전에 실험 방송을 시작했고, 1946년 8월 15일에 뉴욕시와 워싱턴을 연결했다.[8][9] 이에 질세라 NBC는 1947년 6월 27일에 뉴욕시, 필라델피아, 스케넥터디 및 워싱턴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시했다.[10] 1947년 말에는 볼티모어와 보스턴이 NBC 텔레비전 네트워크에 추가되었다. 듀몽과 NBC에는 1948년에 CBS와 ABC가 합류했다.

1949년 1월, 듀몽의 WDTV가 피츠버그에서 개국하면서 미국 중서부와 미국 동부 해안 네트워크가 마침내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었다.[12] 1951년까지 4개의 네트워크는 AT&T 롱 라인의 새로운 마이크로파 라디오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해안에서 해안까지 뻗어 있었다.

2. 2. 대한민국

1950년(쇼와 25년) 제정된 방송법으로, 민영 방송국은 도도부현 또는 그 몇 개를 합한 구역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고, 전국 방송은 할 수 없게 되어, 니혼 TV가 구상하던 전국 방송 계획은 좌절되었다.

매스 미디어 집중 배제 원칙에 의해, 일본 방송 협회(NHK) 이외에는 복수의 방송국을 개설하는 것도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뉴스 계열 (뉴스 영상의 배신·상호 이용을 실시)이 먼저 형성되고, 이어서 방송 프로그램의 배신·공급을 실시하는 네트워크가 생겨났다.

먼저 도쿄 방송 (TBS 텔레비전)이 JNN을 결성하여, 가맹한 사업자(가맹국)에 뉴스 이외의 프로그램도 TBS가 스폰서와 함께 배급했다. 현재도, TBS 계열에서는 일반 프로그램의 가맹국 대상 판매는 JNN의 부대 업무로서 실시되고 있다. 지방국은 영업의 생력화, TBS에는 프로그램 예산의 확대라는 양자에게 이점이 생겼다.

타 방송국도 잇따라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당초에는 지방의 국 수가 절대적으로 적어, 지방국에서도 어느 국의 프로그램을 방송할 것인가나 자사 제작 프로그램의 삽입에 비교적 선택의 여지가 컸지만, 1968년(쇼와 43년) 이후 지방의 다국화가 진행됨에 따라 네트워크의 힘이 커지고, 양자는 거의 사실상 일체가 된다. 일본에서의 방송 네트워크는 신문사와의 관계가 강하지만, 우정 대신 시대에 대량 개국을 실시한 다나카 가쿠에이가 신문사에 방송 면허를 주는 노선을 취했기 때문이다.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과 관련해, 방송법 제110조에서 지상 기간 방송 사업자는 "특정인으로부터만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을 받게 되는 조항을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에 관한 협정을 체결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많은 시간대에, 네트워크의 프로그램을 강제적으로 방송하는 듯한 구조가 되어 있다.

3. 주요 특징

텔레비전 네트워크의 본사는 프로그램 편성을 담당하고,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각 네트워크나 영화사가 보유한 TV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다.[17] 뉴스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중계도 그룹 내의 제작사가 제작한다. 그것을 각지의 계열국에 배급하게 되어 있다.

제작과 편성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프로그램이 그대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는 제작이 20세기 폭스 텔레비전이지만, Fox에서는 방송되지 않고, 1997년부터 2001년까지 WB(The WB)에서 방송되었으며, 2001년 도중에 UPN으로 이적했다.

실제로 방송하는 것은 전국에 널리 있는 "방송국"이며, 거의 모든 지역을 커버하고 있다. 네트워크가 직접 소유하는 방송국을 "직영국"(Owned-and-operated station, O&O)이라고 칭하고, 그 외의 기업이 보유하는 방송국을 "가맹국"(Affiliated station)이라고 칭한다.[21]

직영국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뉴욕주뉴욕WABC-TV, 캘리포니아주로스앤젤레스의 KABC-TV, 펜실베이니아주필라델피아의 WPVI는 ABC의 직영국이다. 직영국이 없는 지역에서는 각 방송국과 계약을 맺음으로써, 그 지역의 "가맹국"이 된다. 예를 들어 매사추세츠주보스턴의 WBTS-LD는 NBC와 계약을 맺고 있다. 네트워크는 가맹국에 대해 계약료를 지불하게 되어 있으며, 이 계약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직영국 쪽이 수익이 높다.

같은 지역의 텔레비전 방송국끼리 넷 체인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같은 지역의 방송국을 같은 회사가 여러 개 가질 수 있다. 방송국 자체의 매매가 이루어지고, 오너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 텔레비전 방송 시작기부터 감소했지만, 복수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크로스넷을 하고 있는 방송국이 존재한다. 케이블 TV나 디지털 방송이 보급되면서, 케이블 TV나 디지털 방송의 서브 채널에서 신흥 네트워크의 방송을 시작하는 사례가 많다.

3. 1. 네트워크 운영 방식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프로그램 편성을 중앙에서 담당하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각 네트워크나 영화사가 보유한 TV 제작사에서 제작된다.[17] 뉴스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중계도 그룹 내 제작사가 제작하여 각 지역의 계열국에 배급한다. 제작과 편성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프로그램이 다른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는 20세기 폭스 텔레비전에서 제작했지만, Fox에서는 방송되지 않고 1997년부터 2001년까지 WB에서 방송되었으며, 2001년 도중에 UPN으로 방송사를 옮겼다.[17]

네트워크가 직접 소유하는 방송국은 "직영국"(Owned-and-operated station, O&O)이라고 하며, 그 외 기업이 소유하는 방송국은 "가맹국"(Affiliated station)이라고 한다.[21] 직영국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유하며, 뉴욕주뉴욕WABC-TV, 캘리포니아주로스앤젤레스의 KABC-TV, 펜실베이니아주필라델피아의 WPVI는 ABC의 직영국이다. 직영국이 없는 지역에서는 각 방송국과 계약을 맺어 해당 지역의 "가맹국"이 된다. 예를 들어 매사추세츠주보스턴의 WBTS-LD는 NBC와 계약을 맺고 있다. 네트워크는 가맹국에 계약료를 지불하며, 이 계약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직영국 쪽이 수익이 높다.

같은 지역의 텔레비전 방송국끼리 넷 체인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같은 지역의 방송국을 같은 회사가 여러 개 소유할 수도 있다. 방송국 자체의 매매가 이루어져 소유주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텔레비전 방송 초창기부터 감소했지만, 복수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크로스넷을 하는 방송국도 존재한다. 케이블 TV나 디지털 방송이 보급되면서, 케이블 TV나 디지털 방송의 서브 채널에서 신흥 네트워크의 방송을 시작하는 사례가 많다.

네트워크 배급이 없고, 자체 제작도 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방송 프로그램 판매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매한다. 낮 시간대의 토크쇼 등이 그 중심이지만, 아침 뉴스 프로그램이나 연예 뉴스 프로그램, 과거 드라마 재방송 등 종류는 다양하다. 방송 프로그램 판매용으로 새롭게 제작되는 프로그램은 "퍼스트 런(First-run)", 드라마 제작사가 재방송 권리를 판매하는 것을 "오프 네트워크(Off-network)"라고 대별한다. 퍼스트 런 프로그램으로는 『오프라 윈프리 쇼』, 『Jeopardy!』, 『엔터테인먼트 투나잇』 등이 유명하다.

3. 2. 프로그램 종류

프라임 타임 시간대는 평일 20~23시, 휴일 19시부터이다. 동부 표준시를 기준으로, 아침 정보 프로그램, 저녁 전국 뉴스, 지역 뉴스, 일요일 토론 프로그램, 토요일 어린이 프로그램 등이 방송된다. 대도시권은 1960년대부터 22시에 로컬 뉴스를 방송해 왔기 때문에 전국 뉴스 프로그램은 방송되지 않는다.

3대 네트워크 계열 방송국은 로컬 뉴스(주로 평일 18시, 22시대)를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 중소 도시에는 로컬 뉴스가 없는 방송국도 있지만, 주말을 중심으로 지역 프로 스포츠나 대학 스포츠 경기 중계를 하기도 한다.

Fox는 NFL 중계 등 스포츠 콘텐츠와 토론 프로그램, 보도 특집을 편성하지만, CW는 스포츠나 보도 관련 프로그램은 편성하지 않고 낮에 토크쇼나 드라마 재방송을 전국 대상으로 편성한다. 네트워크 배급이 없는 시간대에는 방송 프로그램 판매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매하며, 퍼스트 런(First-run) 프로그램과 오프 네트워크(Off-network)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퍼스트 런 프로그램으로는 『오프라 윈프리 쇼』, 『Jeopardy!』, 『엔터테인먼트 투나잇』 등이 있다.

4. 한국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대한민국의 지상파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전국적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방송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KBS (한국방송공사): KBS대한민국의 공영 방송사로,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1TV2TV를 통해 뉴스, 드라마, 스포츠, 교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KBS1은 재난 방송 주관 방송사로서 국가 재난 상황 발생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MBC (문화방송): MBC는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춘 방송사로,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MBC는 더불어민주당에 우호적인 논조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것으로 평가받는다.

  • SBS (서울방송): SBS서울특별시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이지만, 지역 민방 네트워크를 통해 전국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SBS는 국민의힘에 우호적인 논조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것으로 평가받는다.

  •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EBS는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으로 하는 공영 방송사이다. 주로 교육 및 어린이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4. 1. 지상파 텔레비전 네트워크

대한민국의 지상파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전국적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방송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KBS (한국방송공사): KBS대한민국의 공영 방송사로,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1TV2TV를 통해 뉴스, 드라마, 스포츠, 교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KBS1은 재난 방송 주관 방송사로서 국가 재난 상황 발생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MBC (문화방송): MBC는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춘 방송사로,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MBC는 더불어민주당에 우호적인 논조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것으로 평가받는다.

  • SBS (서울방송): SBS서울특별시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이지만, 지역 민방 네트워크를 통해 전국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SBS는 국민의힘에 우호적인 논조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것으로 평가받는다.

  •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EBS는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으로 하는 공영 방송사이다. 주로 교육 및 어린이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4. 2. 종합편성채널 (종편)

4. 3. 뉴스 전문 채널

5. 국제 텔레비전 네트워크

영국의 주요 국제 텔레비전 방송사는 BBC로, 뉴스 채널인 BBC 뉴스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영국 왕실이 소유한 BBC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BBC 브랜드의 영국 서비스는 영국 거주자가 지불하는 영국 텔레비전 면허료로 자금을 조달하므로, 이 서비스에는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다. 광고 기반 부서(BBC 스튜디오)는 영국 내 방송사인 UKTV 운영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23,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실험적인 텔레비전 방송은 존 로지 베어드가 개발한 전자기계식 30라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1929년에 시작되었다.[1] 이 시스템을 사용한 제한적인 정규 방송은 1934년에 시작되었으며, 확장된 서비스 (현재 BBC 텔레비전으로 알려짐)는 1936년 11월 알렉산드라 팰리스에서 시작되었다.[2]

대부분의 북미 이외 지역의 텔레비전 서비스는 공영 방송 사업자와 상업 방송 사업자의 조합에 의해 설립된 국가적 네트워크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비슷한 방식으로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설립했다. 각 국가의 최초 텔레비전 서비스는 종종 텔레비전 면허 수수료로 자금을 조달하는 공영 방송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나중에 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방송국을 설립했다. 민간 기업이 텔레비전 방송 면허를 신청하면서 상업 텔레비전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종종 각 새로운 네트워크는 채널 번호로 식별되어 개별 방송국은 "1", "2", "3" 등으로 번호가 매겨졌다.

5. 1. 미국

미국의 텔레비전 방송은 오랫동안 아메리칸 방송 회사(ABC), CBS(구 컬럼비아 방송 시스템), NBC라는 빅 3 텔레비전 네트워크가 주도해 왔다. 1986년 10월에 시작된 폭스 방송 회사(Fox)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현재는 "빅 4"로 간주된다. 2006년 9월에는 타임 워너 계열의 WB와 CBS 코퍼레이션 계열의 UPN(United Paramount Network)이 통합되어 CW(C는 CBS, W는 워너의 머리글자)가 결성되었다.

NBC, CBS, ABC를 3대 네트워크, Fox를 더해 "4대 네트워크", 4대 네트워크 + The CW로 "5대 네트워크"가 된다. 이들 외에도 공영 방송 서비스(PBS)나, 스페인어 방송 네트워크인 유니비전(Univision)과 텔레문도(Telemundo) 등이 있다.

미국의 네트워크 체제는 프로그램 제작과 편성이 분리되어 있다. 네트워크 본사는 프로그램 편성을 담당하고, 프로그램 제작은 각 네트워크나 영화사가 보유한 TV 제작사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기존 프로그램이 다른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는 20세기 폭스 텔레비전에서 제작되었지만, Fox가 아닌 The WB에서 방송되었고, 이후 UPN으로 방송사가 이동했다.

실제 방송은 전국 각지의 "방송국"에서 담당하며, 이 방송국들은 네트워크가 직접 소유하는 "직영국"(Owned-and-operated station, O&O)과 계약을 통해 운영되는 "가맹국"(Affiliated station)으로 나뉜다. 연방 통신 위원회(FCC)의 규정에 따라, 한 네트워크가 소유할 수 있는 직영국의 수에는 제한이 있다.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의 채택으로, 텔레비전 방송국의 디지털 서브채널에서 배포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텔레비전 네트워크도 생겨났다. Weigel Broadcasting (Movies! 및 Me-TV의 소유주) 및 넥스타 미디어 그룹(Rewind TV 및 Antenna TV의 소유주)과 같은 회사가 운영하는 고전 텔레비전 시리즈 및 영화에 중점을 둔 네트워크와 음악, 스포츠 및 기타 틈새 프로그램에 중점을 둔 네트워크가 포함된다.

프라임 타임 시간대는 평일 20시부터 23시, 휴일 19시부터이며, 동부 표준시를 기준으로 한다. 보도 프로그램,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 등은 동일한 시간대에 편성되는 경향이 있다.

5. 2. 영국

영국 최초의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영국 방송 공사(BBC)가 운영했다. 1936년 11월 2일, BBC는 알렉산드라 팰리스에서 405개의 라인 송신기를 통해 세계 최초의 정규 고화질 텔레비전 서비스를 시작했다. BBC는 1955년 9월 22일 상업 방송이 설립되어 두 번째 텔레비전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때까지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했다. BBC의 경우처럼 단일 회사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지역 채널이 있는 단일 네트워크를 만드는 대신, 각 지역은 독립적으로 소유하고 운영하는 별도의 텔레비전 채널을 가지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채널은 특히 저녁 피크 시간대에 많은 프로그램을 공유했다. 이러한 채널들은 ITV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UHF 방송의 출현으로 더 많은 텔레비전 채널을 방송할 수 있게 되자 BBC는 두 번째 채널인 BBC 2를 출시했다(원래 서비스는 BBC 1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두 번째 전국 상업 네트워크인 채널 4가 출시되었지만, 웨일스에서는 대신 S4C라는 웨일스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후 세 번째 상업 네트워크인 채널 5가 출시되었다. 디지털 텔레비전이 도입된 이후 BBC, ITV, 채널 4 및 채널 5는 각각 여러 개의 디지털 전용 채널을 도입했다. 스카이(Sky Limited)는 많은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UKTV도 마찬가지다.

5. 3. 일본

일본의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4대 네트워크와 독립 방송국으로 구분된다.[20] 4대 네트워크는 니혼 TV(NTV) 계열의 NNN/NNS, TV 아사히(EX) 계열의 ANN, TBS 텔레비전(TBS) 계열의 JNN, 후지 텔레비전(CX) 계열의 FNN/FNS가 있다. TV 도쿄(TX) 계열의 TXN을 포함하여 5대 네트워크라고도 부른다. 각 네트워크는 도쿄의 방송국을 키국으로, 오사카의 방송국을 준 키국으로 하여, 각 도도부현에 있는 방송국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20]

4대 네트워크는 일본 전국을 거의 커버하지만, 47개 도도부현 모두를 커버하지는 못한다.[20]

수도권, 긴키 지방, 도카이 지방에는 5개 계열에 속하지 않는 독립 방송국이 존재하며, 독자적인 편성을 하고 있지만, 프로그램 상호 유통을 통해 사실상 6번째 계열로 기능하기도 한다.[20] 이들은 도메이한 넷 6, 수도권 트라이앵글, 5 함께 3 채널 등을 결성하여 프로그램 공동 제작을 하는 등 네트워크에 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계열네트워크 명칭 (약칭)키국사업자 수 (풀 네트워크/크로스 네트워크)
니혼 TV 계열NNN/NNS니혼 TV(NTV)30/29 (27/3)
TV 아사히 계열ANNTV 아사히(EX)26 (24/2)
TBS 계열JNNTBS 텔레비전(TBS)28 (28/배타 협정에 의해 금지)
TV 도쿄 계열TXNTV 도쿄(TX)6 (6/0)
후지 TV 계열FNN/FNS후지 텔레비전(CX)28 (26/2)



이 외에도, 일반적인 네트워크와는 다르지만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민간 방송 교육 협회가 있다.

6. 논란 및 비판

6. 1. 과도한 경쟁과 선정성

6. 2. 특정 정당 편향성

6. 3. 지역 방송 소외

7. 미래 전망

8.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1920s http://bbc.com/histo[...] 2020-11-18
[2] 서적 Here's Looking at You: The Story of British Television 1908–1939 https://archive.org/[...]
[3] 학술지 Broadcasting's Oldest Stations: An Examination of Four Claimants http://www.ieee.org/[...] 1977-12-01
[4] 잡지 Coaxial Cable https://web.archive.[...] Time 1935-10-14
[5] 이미지 Television in Germany http://www.tvhistory[...] 1936-01-01
[6] 잡지 Television 'Piped' From New York to Philadelphia http://www.earlytele[...] Short Wave & Television 1938-02-01
[7] 웹사이트 GOP Convention of 1940 in Philadelphia http://www.ushistory[...]
[8] 서적 The Columbia History of American Televis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10-12
[9] 서적 The Forgotten Network: DuMont and the Birth of American Television Temple University Press
[10] 잡지 Beginning https://web.archive.[...] Time 1947-07-07
[11] 학술지 The Impact of the FCC's Chain Broadcasting Rules
[12] 뉴스 Eyewitness: 1949 / TV makes Pittsburgh 'A New Promise' http://www.post-gaze[...] 2010-05-16
[13] 웹사이트 Canadian Broadcasting Act of 1991 https://laws-lois.ju[...] 2020-07-01
[14] 뉴스 Brazil profile https://www.bbc.co.u[...] 2016-05-24
[15] 서적 放送ハンドブック改訂版
[16] 웹사이트 公正取引委員会 政府規制等と競争政策に関する研究会 平成21年10月9日 通信・放送の融合の進展下における放送分野の競争政策の在り方 https://www.jftc.go.[...] 2009-10-09
[17] 웹사이트 日本の放送体制:その現状と諸問題 https://cir.nii.ac.j[...]
[18] 웹사이트 放送衛星のデジタル化と規制システム https://cir.nii.ac.j[...]
[19] 논문 民放ネットワークをめぐる議論の変遷 https://www.nhk.or.j[...]
[20] 문서 関東キー局のリモコンキーID
[21] 웹사이트 American Media 319号 https://www.tv-asahi[...] テレビ朝日アメリカ 2021-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