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잔다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잔다란어는 이란 북부 마잔다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타바리'라고도 불린다. 10세기부터 15세기까지 문헌 기록이 풍부하며, 길라키어와 어휘가 유사하다. 마잔다란어는 페르시아 문자로 표기되며, 300만 명의 원어민이 사용한다.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이란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된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를 따르며, 굴절어이다. 마잔다란어는 고대 인도유럽어 단어를 보존하고 있으며, 다른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잔다란주 - 타바리스탄
    타바리스탄은 카스피해 연안의 고대 이란 지역으로, 이슬람 침공에 저항하며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시아파 이슬람 전파와 이란 민족 의식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 마잔다란주 - 니알라 (이란)
    니알라는 이란 호라산에라비 주에 위치한 마을로, 2006년 155명에서 2016년 119명으로 인구가 감소했다.
  • 서이란어군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서이란어군 - 페르시아어
    페르시아어는 이란 파르스 주에서 유래하여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파르시라고도 불리며, 이란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등의 방언으로 나뉘고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며 오랜 역사와 문학적 전통을 가진 언어이다.
  • 이란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이란의 언어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마잔다란어
언어 정보
이름마잔다란어
고유 이름مازِرونی (마제루니), طبری (타바리)
사용 국가이란 (마잔다란 주와 알보르즈 주, 테헤란 주, 카즈빈 주, 셈난 주, 골레스탄 주 일부 지역)
사용 지역카스피해 남쪽 해안
모어 화자 수약 136만 명 (2021년 기준)
민족약 460만 명 마잔다란족 (2021년 기준)
언어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이란어군
분파서이란어군
방언북서이란어군
하위카스피 제어
방언
하위 방언고르가니-마잔다란어 (동부)
카툴리-마잔다란어 (동부)
타바리-마잔다란어 (중부)
코주리-마잔다란어 (서부)
켈라레스타기-마잔다란어 (서부)
길라키-마잔다란어 (서부)
갈레시-마잔다란어 (남부)
탈레가니-마잔다란어 (남부)
샤미르자디 (남부)
일리카에이 (남부)
카스라니 (남부)
문자
문자 체계페르시아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mzn
Glottologmaza1305 (마잔다란어-샤미르자디어)
ELP9250 (샤미르자디어)
기타
마잔다란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지역
언어 관리 기관공식 기관은 없으나, 마잔다란 대학교 언어학부에서 언어 관련 자료를 수집함.

2. 명칭

마잔다란어(Mazanderani)라는 이름은 역사적인 지역인 마잔다란에서 유래되었으며, 마잔다란어로는 ''Mazerun''으로 불린다.[12] 마잔다란은 과거 타푸리아 왕국의 일부였다.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타바리''라고 부르며, 타바리족도 그렇게 부른다.[12]

''타푸리''/''타바리''(과거 타푸리아 어딘가에서 사용된 고대 언어의 이름)라는 이름은 현재 젊은 세대에 의해 ''마잔다란어'' 대신 사용된다. 길란과 마잔다란 모두 타푸리아로 알려진 국가의 일부를 형성했다.

타바리라고 불리는 마잔다란어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초기 무슬림 지리학자들의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무카다시(10세기)는 "코미시와 고르간의 언어는 유사하며, 'hā'를 사용하는데, 'hā-dih'와 'hāk-un'과 같이 사용하며, 듣기에 좋으며, 그것들과 관련된 것은 타바리스탄의 언어인데, 속도만 다르다."라고 언급한다.[12]

3. 역사

살아있는 이란어 중, 마잔다란어는 10세기부터 15세기까지 가장 긴 문헌 기록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위는 아랍 침공 이후 수 세기 동안 마잔다란의 독립 및 반독립 통치자들이 장기간 통치하면서 이루어졌다.[13]

이 언어의 풍부한 문학 작품으로는 ''마르즈반 나메'' (나중에 페르시아어로 번역됨)와 아미르 파제바리의 시 등이 있다. 그러나 마잔다란어의 사용은 한동안 쇠퇴해 왔다. 17세기 초 마잔다란이 국가 행정에 통합될 무렵, 문학적, 행정적 지위는 페르시아어에 밀려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14]

4. 분류

마잔다란어는 길라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두 언어는 어휘가 유사하다. 1993년, ''Ethnologue''에 따르면 마잔다란어 사용 원어민은 300만 명이었다.[15]

마잔다란어의 방언에는 사라비, 아몰리, 바볼리, 가엠샤흐리, 찰루시, 누리, 샤흐사바리, 가스라니, 샤흐미르자디, 다마반디, 피루즈쿠히, 아스타라바디, 카툴리가 있다.[15]

골레스탄주의 알리아바드에 카툴, 고르간, 코르드쿠이, 반다르에 가즈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테헤란주의 셈미라나트, 다마반드, 피루즈쿠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알보르즈주의 카라지와 탈레간 북부의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카즈빈주알라무트 동부 사람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셈난주의 아라단, 가름사르, 샤흐미르자드, 담간 북부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마잔다란주의 갈루가, 베흐샤르, 네카, 사리, 샤히, 바볼, 아몰, 노우샤르, 찰루스, 켈라르다슈트, 아바스아바드, 토네카본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다양한 마잔다란어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을 묘사한 지도

4. 1. 방언

마잔다란어의 방언에는 사라비, 아몰리, 바볼리, 가엠샤흐리, 찰루시, 누리, 샤흐사바리, 가스라니, 샤흐미르자디, 다마반디, 피루즈쿠히, 아스타라바디, 카툴리가 있다.[15]

골레스탄주의 알리아바드에 카툴, 고르간, 코르드쿠이, 반다르에 가즈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테헤란주의 셈미라나트, 다마반드, 피루즈쿠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알보르즈주의 카라지와 탈레간 북부의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카즈빈주알라무트 동부 사람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셈난주의 아라단, 가름사르, 샤흐미르자드, 담간 북부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마잔다란주의 갈루가, 베흐샤르, 네카, 사리, 샤히, 바볼, 아몰, 노우샤르, 찰루스, 켈라르다슈트, 아바스아바드, 토네카본 원주민들은 마잔다란어를 사용한다.[16][17]

5. 음운론

5. 1. 모음

wikitable



```

/a/는 근저모음 [æ] 또는 더 후설 모음 [ʌ]로 발음될 수도 있다. /e, u, o, ɑ/의 이음은 [ɪ, ʊ, ɒ]로 들린다. /ə/는 [ɛ] 또는 [ɐ]로도 들릴 수 있다.

5. 2. 자음

colspan="2" |(경구개-)치경음
비음mn
파열음/무성음ptt͡ʃkq(ʔ)
유성음bdd͡ʒɡ(ɢ)
마찰음무성음fsʃxh
유성음v~()zʒʁ
접근음lj
탄음/플랩음ɾ



/w/는 어말 위치에서 /v/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ɾ/는 어말 위치에서 무성 떨림음 [r̥]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방언에 따라 드물게 성문 파열음 /ʔ/ 또는 무성 구개수 마찰음 /ʁ/ 또는 유성 파열음 /ɢ/도 들릴 수 있다.[23][24][25]

6. 문자

마잔다란어는 일반적으로 페르시아 문자로 표기된다.[26] 하지만 일부는 로마자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SMS 메시지에서 사용된다.

7. 문법

마잔다란 주 언어 지도


마잔다란어는 굴절어이며 성 구분이 없는 언어이다.[18]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를 따르지만, 특정 방언에서는 시제에 따라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따르기도 한다.[19][20]

위치의미
Sere -(a/o/e)주격
Sere re대격(행위) 집
Sere -(o/e)호격집!
Sere şe소유격집의
Sere re여격집에
Sere ye jä탈격/도구격집으로, 집에서



형용사위치의미
And-e Sere적용 
Gat e Sere비교훌륭한 집
untä Sere결정저 집



마잔다란어의 부치사는 단어 뒤에 위치하며, 영어와 페르시아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른 언어는 일반적으로 전치사 체계를 갖추고 있다. 때때로 전치사가 되는 유일한 일반적인 후치사는 ''Še''와 ''tā''이다. 자주 사용되는 후치사는 다음과 같다.

후치사의미
dəle~안에
re~의 / ~에게
je~에서 / ~에 의해
vəse~을 위해
~까지 / ~에
həmrā / jā~와 함께
səri~위에
bəne~아래에
pəli~근처에 / ~쯤
vāri/ tarā~처럼
derū~중에 / ~안에



아래 목록은 [https://web.archive.org/web/20070518152850/http://www.tabarestan.ir/ 온라인 마잔다란-페르시아어 사전]에서 얻은 샘플 목록이다.

접미사예시의미
카쉬하르카쉬좋은 장소
투트켈뽕나무 한계
이지요쉬지요시안
체나르본질경이에서
서레 자집에 관련된
사르베네사르아래에



접미사예시의미
차프 (Chaf)아우 차프 (Au Chaf)물을 빠는 사람
루쉬 (Rush)할리크루쉬 (Halikrush)열매 판매자
수 (Su)버르그수 (Vərgsu)늑대 사냥꾼
카프 (Kaf)우카프 (Ukaf)물에서 행동을 하는 사람
베지 (Vej)갈베이 (Galvej)쥐를 찾는 사람
옐 (Yel)벙옐 (vəngyel)악대장



'''형태론'''

마잔다란어는 다른 현대 이란어와 마찬가지로 여격과 대격의 구분이 없으며, 문장의 주격은 지시어가 거의 없지만 어순으로 추론할 수 있다(방언에 따라 a/o/e로 끝날 수 있음). 관사가 없으므로 문장의 명사에 대한 굴절(명사에 대한 수정)이 없다.

정의상 명사는 접미사 ''e''를 사용한다(''me dətere''는 ''나의 딸''을 의미하고, ''me dəter''는 ''내 딸''을 의미한다). 단수 명사의 부정 관사는 ''a-tā''이며, 수의 결정을 위해 ''tā''를 사용한다(''a-tā kijā''는 ''한 소녀''를 의미한다).

과거 마잔다란어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주격에서 여성 명사는 ''a''로 끝나고 남성 명사는 ''e''로 끝났다는 것을 나타낸다(''jənā''는 ''그 여자''를 의미하고, ''mərdē''는 ''그 남자''를 의미한다). 문법적 성은 셈난어, 상게사리어, 자자어와 같이 마잔다란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특정 현대 언어에서도 여전히 존재한다.

'''대명사'''

마잔다란어에서 독립 인칭 대명사는 능격, 피동, 소유격 세 가지 격을 갖는다.[21]

식별단수 1인칭단수 2인칭단수 3인칭복수 1인칭복수 2인칭복수 3인칭
주격, 사리mənəmâšəmâvəšún
목적격, 사리məretərevəreəmârešəmârevəšúnre
소유격, 사리meteveamešemevešúne



'''동사 활용'''

마잔다란어(Sari 방언)의 동사 활용(hākārden) "일하다"의 시제/인칭별 활용은 다음과 같다.[22]

시제/인칭단수 1인칭단수 2인칭단수 3인칭복수 1인칭복수 2인칭복수 3인칭
과거hâkârdemehâkârdihâkârdehâkârdemihâkârdenihâkârdene
대과거hâkârde-bimehâkârde-bihâkârde-biehâkârde-bimihâkârde-binihâkârde-bine
과거 가정법hâkârde-buemhâkârde-buihâkârde-buehâkârde-buimhâkârde-buinhâkârde-buen
대과거 가정법hâkârde-bai-buemhâkârde-bai-buihâkârde-bai-buehâkârde-bai-buimhâkârde-bai-buinhâkârde-bai-buen
불완료 과거 (1형)kârdemekârdikârdekârdemikârdenikârdene
불완료 과거 (2형)kândessemekândessikândessekândessemikândessenikândessene
과거 진행 (1형)dai(me)-kârdemedai(i)-kârdidai(e)-kârdedai(mi)-kârdemidai(ni)-kârdenidai(ne)-kârdene
과거 진행 (2형)dai(me)-kândessemedai(i)-kândessidai(e)-kândessedai(mi)-kândessemidai(ni)-kândessenidai(ne)-kândessene
현재kâmbe/kândemekândikândekâmbi/kândemikândenikândene
현재 진행dar(eme)-kâmbedar(i)-kândidar(e)-kândedar(emi)-kâmbidar(eni)-kândenidar(ene)-kândene
가정법hâkânemhâkânihâkânehâkânimhâkâninhâkânen
미래xâmbe hâkânemxâni hâkânixâne hâkânexâmbi hâkânimxânni hâkâninxânne hâkânen


7. 1. 형태론

마잔다란어는 다른 현대 이란어와 마찬가지로 여격과 대격의 구분이 없으며, 문장의 주격은 지시어가 거의 없지만 어순으로 추론할 수 있다(방언에 따라 a/o/e로 끝날 수 있음). 관사가 없으므로 문장의 명사에 대한 굴절(명사에 대한 수정)이 없다.

정의상 명사는 접미사 ''e''를 사용한다(''me dətere''는 ''나의 딸''을 의미하고, ''me dəter''는 ''내 딸''을 의미한다). 단수 명사의 부정 관사는 ''a-tā''이며, 수의 결정을 위해 ''tā''를 사용한다(''a-tā kijā''는 ''한 소녀''를 의미한다).

과거 마잔다란어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주격에서 여성 명사는 ''a''로 끝나고 남성 명사는 ''e''로 끝났다는 것을 나타낸다(''jənā''는 ''그 여자''를 의미하고, ''mərdē''는 ''그 남자''를 의미한다). 문법적 성은 셈난어, 상게사리어, 자자어와 같이 마잔다란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특정 현대 언어에서도 여전히 존재한다.

7. 2. 대명사

마잔다란어에서 독립 인칭 대명사는 능격, 피동, 소유격 세 가지 격을 갖는다.[21]

식별단수 1인칭단수 2인칭단수 3인칭복수 1인칭복수 2인칭복수 3인칭
주격, 사리mənəmâšəmâvəšún
목적격, 사리məretərevəreəmârešəmârevəšúnre
소유격, 사리meteveamešemevešúne


7. 3. 동사 활용

마잔다란어(Sari 방언)의 동사 활용(hākārden) "일하다"의 시제/인칭별 활용은 다음과 같다.[22]

시제/인칭단수 1인칭단수 2인칭단수 3인칭복수 1인칭복수 2인칭복수 3인칭
과거hâkârdemehâkârdihâkârdehâkârdemihâkârdenihâkârdene
대과거hâkârde-bimehâkârde-bihâkârde-biehâkârde-bimihâkârde-binihâkârde-bine
과거 가정법hâkârde-buemhâkârde-buihâkârde-buehâkârde-buimhâkârde-buinhâkârde-buen
대과거 가정법hâkârde-bai-buemhâkârde-bai-buihâkârde-bai-buehâkârde-bai-buimhâkârde-bai-buinhâkârde-bai-buen
불완료 과거 (1형)kârdemekârdikârdekârdemikârdenikârdene
불완료 과거 (2형)kândessemekândessikândessekândessemikândessenikândessene
과거 진행 (1형)dai(me)-kârdemedai(i)-kârdidai(e)-kârdedai(mi)-kârdemidai(ni)-kârdenidai(ne)-kârdene
과거 진행 (2형)dai(me)-kândessemedai(i)-kândessidai(e)-kândessedai(mi)-kândessemidai(ni)-kândessenidai(ne)-kândessene
현재kâmbe/kândemekândikândekâmbi/kândemikândenikândene
현재 진행dar(eme)-kâmbedar(i)-kândidar(e)-kândedar(emi)-kâmbidar(eni)-kândenidar(ene)-kândene
가정법hâkânemhâkânihâkânehâkânimhâkâninhâkânen
미래xâmbe hâkânemxâni hâkânixâne hâkânexâmbi hâkânimxânni hâkâninxânne hâkânen


8. 어휘

마잔다란어는 높은 알보르즈 산맥에 의해 보호받는 지역에서 사용되며, 페르시아어와 같은 현대 이란어에서 더 이상 흔히 사용되지 않는 많은 고대 인도유럽어 단어를 보존하고 있다.

영어마잔다란어페르시아어베다어원시 인도유럽어예시
newneo/neomznno/nofa / now/nowfanávas/návasvsn*néwos/*néwosund형용사
greatgat/gatmznbozorg/bozorgfa, gozorg/gozorgfa, gonde/gondefa, got/gotfa형용사
betterbetter/bettermznbehtar/behtarfa부사
beenbine/binemznbudeh/budehfa조동사
beingbien/bienmznbudan/budanfabhū-/bhū-vsn*bʰuH-/*bʰuH-und동사 부정사
fatherpiar/piarmznpedar/pedarfa명사
mothermâr/mârmznmâdar/mâdarfa명사
brotherberar/berarmznbarâdar/barâdarfa명사
daughterdeter/determzndokhtar/dokhtarfadúhitā/dúhitāvsn*dʰugh₂tḗr/*dʰugh₂tḗrund명사
grandpagatepa/gatepamznpedar bozorg / pedar gozorg/pedar bozorg / pedar gozorgfa명사
moonmoong/moongmzn / mong/mongmznmâh/mâhfamā́s/mā́svsn*mḗh₁n̥s/*mḗh₁n̥sund명사
cowgo/gomzn / gu/gumzn / guw/guwmzngâv/gâvfagáuṣ/gáuṣvsn*gʷṓws/*gʷṓwsund명사
wolfverg/vergmzngorg/gorgfa명사
myme/memzn / mi/mimzn (명사 앞)am/amfa (명사 뒤), om/omfamā́ma/mā́mavsn*méne/*méneund동사
gabgab/gabmzngap/gapfa동사
rightrast/rastmznrâst/râstfa형용사
damagedamej/damejmznâsib/âsibfa명사



마잔다란어는 동의어가 풍부하며, 일부 명사는 인도유럽어 시대에 가지고 있던 성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miš/mišmzn, gal/galmzn, gerz/gerzmzn는 모두 를 의미하지만, 모두 같은 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많은 인도이란어에서 muš/mušmzn 또는 muska/muskamzn 또는 mušk/muškmzn와 같은 남성 명사를 사용하지만, 마잔다란어에서 쥐를 지칭하는 가장 흔한 이름은 여성 명사 gal/galmzn이다.

또 다른 예는 인도유럽 문화의 상징에서 가장 중요한 동물인 소와 관련이 있다. 마잔다란어에는 다양한 종류의 소를 지칭하는 1000개 이상의 단어가 있다. 마잔다란에서는 이 소 명명법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지식을 가진 사람을 결정하기 위한 대회도 열린다.

9. 현대 이란에서의 영향

이란에서는 리카(남자) 또는 키자(여자)와 같이 마잔다란어 단어에서 이름을 따온 인기 있는 회사나 제품이 있다.[27]

10. 다른 언어에 끼친 영향

투르크멘어에는 일부 마잔다란어 차용어가 있다.[28]

참조

[1] 웹사이트 Considerations about the dialect of Alamut district from the northern dialects of Iran http://ensani.ir/fa/[...] پرتال جامع علوم انسانی
[2] 서적 Iranian Languages and Dialects Past and Present
[3] 웹사이트 کاهش توجه به زبان مازندرانی در قرن بیستم https://www.irna.ir/[...] [[Islamic Republic News Agency]] 2020-12-19
[4] 웹사이트 ساری {{!}} مرکز دائرةالمعارف بزرگ اسلامی https://www.cgie.org[...] 2024-03-25
[5] 문서 Iran:Demography and Ethnography Encyclopedia of Islam
[6] 문서 Muslim cultures today: a reference guid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7]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8] 논문 Concomitant Replacement of Language and mtDNA in South Caspian Populations of Iran
[9] 문서 Academic American Encyclopedia Grolier Incorporated
[10] 논문 The Tati Language Group in the Sociolinguistic Context of Northwestern Iran and Transcaucasia https://www.jstor.or[...] 1981
[11] 기타 Bilingualism in Mazandaran: Peaceful Coexistence with Persian
[12] 논문 Māzandarān: Language and People [[Brill Publishers|Brill]] 2004
[13] 문서 New Iranian languages: Overview L. Reichert 1989
[14] 웹사이트 Bilingualism in Mazandaran: Peaceful Coexistence With Persian http://www.tc.columb[...] Society for International Education 2005
[15] 문서 mzn
[16] 웹사이트 Spoken L1 Language: Mazanderani https://glottolog.or[...]
[17] 서적 Compendium linguarum Iranicarum L. Reichert
[18] 문서 She means only her 'husband': politeness strategies amongst Mazanderani-speaking [[rural women]] 2004
[19] 서적 Turkic-Iranian Contact Areas Historical and Linguistic Aspects.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2006
[20] 서적 Linguistic Convergence and Areal Diffusion: Case Studies from Iranian, Semitic and Turkic. https://books.google[...] RoutledgeCurzon 2005
[21] 논문 The Mazandarani Dialect of Kalijān Rostāq https://www.academia[...] 2019
[22] 논문 The Mazandarani Dialect of Kalijān Rostāq https://www.academia[...] 2019
[23] 서적 Sārī Dialect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1996
[24] 서적 When Tradition Meets Modernity: Five Life Stories from the Galesh Community in Ziarat, Golestan, Iran Uppsala Universitet
[25] 서적 The Mazandarani Dialect of Kalijān Rostāq Iranian Studies
[26] 웹사이트 language-keyboard.com - language-keyboard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www.language-[...]
[27] 웹사이트 شهرداری بهشهر http://www.behshahr.[...]
[28] 문서
[29] 논문 Mysterious Memories of a Woman: Ethno-Linguistic Materials from Rural Mazandaran https://www.academia[...] 2007
[30] 웹사이트 Mazandarani https://www.ethnolog[...] [[国際SIL]] 2021-11-15
[31] 웹사이트 She means only her 'husband': politeness strategies amongst Mazanderani-speaking rural women http://www.nord.hel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