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이란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이란어군은 이란어군의 한 갈래로, 고대 페르시아어와 메디아어를 포함하며, 중세에는 중세 페르시아어와 파르티아어가 주요 언어였다. 현대에는 남서이란어군과 북서이란어군으로 나뉜다. 남서이란어군은 페르시아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언과 언어를 포함하며, 북서이란어군은 발루치어, 카스피어군, 쿠르드어군 등을 포함한다. 최근 바투이어가 서이란어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마르카지 주와 이스파한 주에서 페르시아어로 언어가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이란어군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서이란어군 - 페르시아어
페르시아어는 이란 파르스 주에서 유래하여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파르시라고도 불리며, 이란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등의 방언으로 나뉘고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며 오랜 역사와 문학적 전통을 가진 언어이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서이란어군 | |
---|---|
언어 정보 |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 이란어군 |
사용 지역 |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남아시아 서부 |
하위 어군 | 서북이란어군 서남이란어군 |
글롯토로그 | 북서이란어군: nort3177 남서이란어군: sout3157 |
글롯토로그 명칭 | 북서이란어군: Northwestern Iranian 남서이란어군: Southwestern Iranian |
2. 역사적 분류
전통적으로 북서부 계통은 남서부 언어가 아닌 언어들의 관습적인 분류일 뿐, 계통적으로 묶인 그룹은 아니다.[1][2][3]
2. 1. 고대 이란어
고대에는 남서 지역의 고대 페르시아어와 북서 지역의 메디아어가 대표적이었다.2. 2. 중세 이란어
중세 이란어군에는 중세 페르시아어와 파르티아어가 있었다. 중세 페르시아어는 남서 지역에서, 파르티아어는 북서 지역에서 사용되었다.2. 3. 현대 이란어
현대 이란어군은 크게 남서이란어군과 북서이란어군으로 나뉜다.[1][2][3]- 남서이란어군: 페르시아어를 중심으로 다리어, 타지크어 등 다양한 언어와 방언들이 여기에 속한다.
- 북서이란어군: 쿠르드어, 길라키어, 마잔데라니어, 탈리시어 등 다양한 언어와 방언들이 여기에 속한다.
3. 남서이란어군
남서이란어군은 페르시아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언어와 방언이 포함된다.[6]
언어/방언 | 설명 |
---|---|
페르시아어 | 이란 페르시아어, 유대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부하라어, 하자라어, 아이마크 방언, 시스탄 방언, 팔라비 방언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
페르시아계 제어 | 슈스타르어, 데즈풀어, 루르어, 쿠마레이어, 후제스탄 방언들, 파르스 방언들이 있다. |
기타 | 바슈카르드어(남부 바슈카르디어), 가름시르어(북부 바슈카르디어), 쿰자르어, 아촘어, 캅카스 타트어, 유대 타트어 등이 있다. |
3. 1. 페르시아어 및 관련 방언
فارسی|페르시아어fa 및 관련 방언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주요 방언: 이란 페르시아어, 유대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부하라어, 하자라어, 아이마크 방언, 시스탄 방언, 팔라비 방언
- 페르시아계 제어: 슈스타르어, 데즈풀어, 루르어, 쿠마레이어, 후제스탄 방언들, 파르스 방언들
3. 2. 기타 남서이란어군
- '''남서이란어군'''
- * 바슈카르드어(남부 바슈카르디어)
- * 가름시르어(북부 바슈카르디어)
- * 쿰자르어
- * 아촘어
- * 캅카스 타트어, 유대 타트어
4. 북서이란어군
북서이란어군은 쿠르드어, 발루치어 등 다양한 언어를 포함한다. 남서이란어군(페르시아어와 관련 방언)과 달리, 북서이란어군은 이에 속하지 않는 서이란 언어들을 통틀어 가리킨다.
북서이란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속한다.
- '''카스피어군'''
- * 길란어
- * 마잔다란어
- * 고르가니어†
- * 데일라미어†
- '''셈난어군'''
- * 셈난어
- * 상기사르어
- * 라스게르드어-소르헤어
- '''아다르어군''' (고대 아제르어 계통)
- * 타트계 제어
- ** 탈리쉬어 등
- ** 중앙어군 (타트어)
- '''기타 북서이란어군'''
- * 발루치어
- * 쿠르드어군
- ** 쿠르드어
북부 쿠르드어
중앙 쿠르드어
남부 쿠르드어
라크어
- ** 자자-고라니어
자자어
고라니어
- * 카비르어
- * 중앙 평원 방언
- ** 시반드어
- ** 유대 하마단어
- ** 북서어군
- ** 북동어군
- ** 남서어군
- ** 남동어군
4. 1. 쿠르드어군
쿠르드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이란, 이라크, 터키, 시리아 등지에 분포한다.[4][5]자자-고라니어는 다음과 같다.
4. 2. 발루치어군
Balōčiira는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지에 분포한다. 코로시 방언을 포함한다.[1]4. 3. 카스피어군
카스피해 언어군은 이란의 카스피해 연안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이다.- 길란어
- 마잔다란어
- 고르가니어†
- 데일라미어†[1]
4. 4. 셈난어군
셈난어fa상기사르어fa
라스게르드어fa-소르헤어fa (아프타리어fa 포함)
4. 5. 아다르어군 (고대 아제르어 계통)
Ādharīira 계통의 타트계 제어는 다음과 같다.[4][5]구분 | 세부 언어 |
---|---|
타트계 제어 | 탈리쉬어 등 |
중앙어군 (타트어) |
4. 6. 기타 북서이란어군
쿠리어ira (카비르), 시반드어, 유대 하마단어 및 중앙 평원 방언들이 기타 북서이란어군에 속한다.[7]구분 | 하위 언어/방언 |
---|---|
북서부 | 쿤사리어 (유대 쿤사리어, 유대 코메이니어, 바니샤니어, 마할라티어, 바니샤니어, 유대 골파이가니어 등) |
북동부 | 카샤니어: 소이어 (아부자이다바디 방언 포함), 나탄지어 |
남서부 | 가지어 (많은 방언) |
남동부 | 조로아스터교 다리어 (조로아스터교 야즈디어, 유대 케르마니어), 나이니어 |
참조
[1]
논문
The Atlas of the Languages of Iran (ALI)
https://docs.google.[...]
[2]
서적
The Aryanic Languages
Routledge
[3]
glottolog
[4]
웹사이트
Atlas of the Languages of Iran A working classification
http://iranatlas.net[...]
2021-05-25
[5]
웹사이트
Western Iranian Languages, Development of the Persian Language
https://www.destinat[...]
2024-06-16
[6]
백과사전
Kerm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7]
백과사전
Central dialects
http://www.iranicaon[...]
[8]
논문
Median Succumbs to Persian after Three Millennia of Coexistence: Language Shift in the Central Iranian Plateau
[9]
서적
Les dialectes caspiens et les dialectes du nord-ouest de l'Iran
Dr. Ludwig Reichert 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