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하비드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비드야는 힌두교 샥타교에서 숭배되는 10명의 여신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아디 파라샥티, 즉 신성한 어머니의 다양한 측면으로 여겨지며, 각각 고유한 특징과 상징을 지닌다. 마하비드야는 본질적으로 탄트라적이며, 칼리, 타라, 트리푸라 순다리, 부바네스와리, 바이라비, 친나마스타, 두마바티, 바갈라무키, 마탕기, 카말라 등 10명의 여신으로 구성된다. 일부 텍스트에서는 마하비드야를 비슈누의 다샤바타라와 연관시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하비드야 - 칼리
    칼리는 힌두교에서 시간, 죽음, 파괴의 여신이자 시바의 배우자로, '시간의 지배자' 또는 '검은 자'로 풀이되며, 다양한 설화와 형태로 숭배받고 벵골 지역에서 신앙이 깊을 뿐 아니라 탄트라 불교와 싱할라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여신 - 두르가
    두르가는 "넘을 수 없는"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힌두교 여신으로, 마히샤수라마르디니라고도 불리며 나바라트리 축제의 중심인물이자 고대 기원을 가진 여신이다.
  • 힌두 여신 - 바라트 마타
    바라트 마타는 19세기 후반 인도 독립 운동과 함께 등장한 인도의 의인화된 어머니 상징으로, 민족주의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으나, 힌두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종교적, 정치적 논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마하비드야
기본 정보
열 명의 마하비디야 여신
열 명의 마하비디야 여신
다른 이름다샤 마하비디야 (Dasha Mahavidyas)
종교힌두교
신성샤크티
유형지혜의 여신
진언옴 흐림 슈림 크림 프람 칼리케 스와하 (Om Hreem Shreem Kreem From Kalike Swaha)
구성
목록칼리
타라
트리푸라 순다리 (쇼다시)
부바네스와리
트리푸라 바이라비
친나마스타
두마바티
바갈라무키
마탕기
카말라트미카
만트라
칼리크림 (Krim)
타라흐림 스트림 훔 팟 (Hreem Streem Hum Phat)
쇼다시 (트리푸라 순다리)슈림 흐림 크림 아이엠 (Shreem Hreem Kleem Ayeim Sauh)
부바네스와리흐림 (Hreem)
바이라비하임 흐림 흐숨 (Haim Hreem Hsoom)
친나마스타슈림 흐림 크림 아예 바즈로차니예 훔 팟 스와하 (Shreem Hreem Kleem Aye Vajrochaniye Hum Phat Swaha)
두마바티둠 둠 두마바티 스와하 (Dhoom Dhoom Dhumavati Swaha)
바갈라무키옴 흐림 바갈라무키 사르바 두스타남 바참 무캄 스탐바야 지바함 킬라야 부딤 비나사야 흐림 옴 스와하 (Om Hreem Bagalamukhi Sarva Dustanam Vacham Mukham Stambhaya Jivham Kilaya Buddhim Vinashaya Hreem Om Swaha)
마탕기크림 흐림 마탕기에 스와하 (Krim Hreem Matangye Swaha)
카말라트미카흐림 슈림 크림 카말레 카말랄라예 프라시드 프라시드 슈림 흐림 옴 마할락슈미예 나마하 (Hreem Shreem Kreem Kamale Kamalalaye Prasid Prasid Shreem Hreem Om Mahalakshmiye Namaha)

2. 마하비드야의 이름과 형태

샥타교에서는 "하나의 진리가 열 개의 다른 측면으로 감지된다"고 믿으며, 신성한 어머니는 열 개의 우주적 개성으로 숭배된다. 이를 다사-마하비드야("열 마하비드야")라고 부른다.[2] 샥타교의 다른 학파에 따르면 마하비드야는 마하칼리의 형태로 여겨진다. 마하비드야는 본질적으로 탄트라적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식별된다.

열 개의 마하비드야, 라자스탄. 상단: 칼리. 두 번째 줄 (왼쪽->오른쪽): 바이라비, 부바네스와리, 타라. 세 번째 줄 (왼쪽->오른쪽): 바갈라무키, 쇼다시, 친나마스타. 마지막 줄 (왼쪽->오른쪽): 카말라트미카, 마탕기, 두마바티

  • '''칼리''': 브라만의 궁극적인 형태이자 시간을 삼키는 여신이다.
  • '''타라''': 안내자이자 보호자 역할을 하는 여신이다.
  • '''트리푸라 순다리''': "세 세계의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여신이다.
  • '''부바네스와리''': 세계 어머니로서의 여신이다.
  • '''바이라비''': 맹렬한 여신이다.
  • '''친나마스타''': 스스로 머리를 자른 여신이다.[3]
  • '''두마바티''': 과부 여신이다.
  • '''바갈라무키''': 적을 마비시키는 여신이다.
  • '''마탕기''': 라리타의 총리이다.
  • '''카말라''': 연꽃에 거주하는 여신이다.


이 모든 마하비드야는 마니드비파에 거주한다.

''마하 바가바타 푸라나''와 ''브리하드하르마 푸라나''는 쇼다시를 트리푸라 순다리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같은 여신의 또 다른 이름일 뿐이다.[4]

토달라-탄트라와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와 비슈누의 열 개의 아바타다샤바타라의 관계를 다르게 설명한다. 토달라-탄트라는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를 연관시키고,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가 비슈누 아바타의 근원이라고 명시한다.

토달라-탄트라와 구야티 구야-탄트라에서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의 연결
마하비드야토달라-탄트라구야티 구야-탄트라
칼리크리슈나크리슈나
타라맛샤라마
트리푸라 순다리파라슈라마칼키
부바네스와리바마나바라하
바이라비발라라마나라심하
친나마스타나라심하파라슈라마
두마바티바라하바마나
바갈라무키쿠르마쿠르마
마탕기라마붓다
카말라붓다맛샤


2. 1. 칼리

샥타교는 "하나의 진리가 열 개의 다른 측면으로 감지된다. 신성한 어머니는 열 개의 우주적 개성으로 숭배되고 접근된다"고 믿으며, 이를 다사-마하비드야("열 마하비드야")라고 부른다.[2] 샥타교의 또 다른 학파에 따르면 마하비드야는 마하칼리의 형태로 여겨진다. 마하비드야는 본질적으로 탄트라적이다.

'''칼리'''는 브라만의 궁극적인 형태이자 시간을 삼키는 여신 (''칼리쿨라'' 시스템의 최고 신)이다. 마하칼리는 칠흑 같은 어둠보다 더 어두운, 짙은 검은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는 세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빛나는 하얀 송곳니, 벌어진 입, 그리고 붉고 피 묻은 혀가 튀어나와 있다. 묶이지 않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호랑이 가죽을 옷으로 입고, 해골 목걸이와 붉은 장미 꽃 목걸이를 목에 걸치고 있다. 허리에는 뼈, 뼈 손, 잘린 팔과 손으로 장식되어 있다. 네 개의 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두 개는 카르가 (낫 또는 낫)와 검을 들고, 다른 두 개는 악마의 머리와 악마의 머리에서 떨어지는 피를 모으는 그릇을 들고 있다.

토달라-탄트라는 10장에서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 즉 비슈누의 열 개의 아바타와 연관시킨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토달라-탄트라 연관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1.칼리크리슈나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와 다르게 연관시키며, 마하비드야는 비슈누의 아바타가 발생하는 근원이라고 명시한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구야티 구야-탄트라 연관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1.칼리크리슈나


2. 2. 타라

샥타교에서는 신성한 어머니를 열 개의 우주적 개성으로 숭배하고 접근하는데, 이를 다사-마하비드야("열 마하비드야")라고 부른다.[2] 샥타교의 다른 학파에 따르면 마하비드야는 마하칼리의 형태로 여겨진다. 마하비드야는 본질적으로 탄트라적이다.

타라는 안내자이자 보호자 역할을 하는 여신이며, 구원을 제공하는 궁극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그녀는 모든 에너지의 근원의 여신이며, 태양의 에너지는 그녀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사무드라 만타나 사건 이후 시바를 아들로서 치유하기 위해 그의 어머니로 나타났다. 타라는 옅은 파란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 그녀는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반달이 장식된 관을 쓰고 있다. 그녀는 세 개의 눈, 목에 편안하게 감긴 뱀, 호랑이 가죽을 입고 있으며, 해골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다. 그녀는 또한 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치마를 지지하는 허리띠를 착용하고 있다. 그녀의 네 개의 손은 연꽃, 검, 악마 머리, 가위를 들고 있다. 그녀의 왼쪽 발은 누워 있는 시바 위에 놓여 있다.

토달라-탄트라는 10장에서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 즉 비슈누의 열 개의 아바타와 연관시킨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토달라-탄트라 협회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2.타라맛샤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와 다르게 연관시키며, 마하비드야는 비슈누의 아바타가 발생하는 근원이라고 명시한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구야티 구야-탄트라 협회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2.타라라마


2. 3. 트리푸라 순다리 (쇼다시, 라리타)

त्रिपुरसुन्दरी|트리푸라 순다리sa(''쇼다시'', ''라리타'')는 "세 세계의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여신으로, 스리쿨라 시스템의 최고 신이다. "탄트라 파르바티" 또는 "목샤 묵타"라고도 불린다. 그녀는 여신의 영원한 최고 거처인 마니드비파의 통치자이다. 쇼다시는 녹은 금색 피부에 세 개의 평온한 눈, 차분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붉고 분홍색 의복을 입고 신성한 팔다리에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다. 네 개의 손에는 각각 고아드, 연꽃, 활, 화살을 들고 있으며 왕좌에 앉아 있다.[2]

''마하 바가바타 푸라나''와 ''브리하드하르마 푸라나''는 쇼다시를 트리푸라 순다리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같은 여신의 또 다른 이름일 뿐이다.[4]

토달라-탄트라는 비슈누의 열 개의 아바타다샤바타라와 마하비드야를 연관시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토달라-탄트라 연관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3.트리푸라 순다리파라슈라마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와 다르게 연관시키며, 마하비드야는 비슈누 아바타의 근원이라고 명시한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구야티 구야-탄트라 연관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3.트리푸라 순다리칼키


2. 4. 부바네스와리

부바네스와리는 세계의 어머니로서, 그녀의 몸은 우주의 열네 개의 로카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를 가진 여신이다. 부바네스와리는 공정하고 황금빛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세 개의 만족스러운 눈과 차분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그녀는 붉고 노란색 의복을 입고 팔다리에 장식품을 착용하고 있으며, 네 개의 손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네 손 중 두 개는 고아드와 올가미를 들고 있고, 다른 두 손은 열려 있다. 그녀는 신성하고 천상의 왕좌에 앉아 있다.[2]

토달라-탄트라에 따르면 부바네스와리는 바마나와 관련이 있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토달라-탄트라 연관성
번호마하비드야다샤바타라
4.부바네스와리바마나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부바네스와리를 바라하와 연관시킨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구야티 구야-탄트라 연관성
번호마하비드야다샤바타라
4.부바네스와리바라하


2. 5. 바이라비



바이라비는 맹렬한 여신으로, 바이라바의 여성 버전이다. 바이라비는 화산처럼 붉은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세 개의 격노한 눈과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머리카락은 헝클어져 묶여 있으며, 초승달로 장식되어 있고, 각 측면에서 하나씩 튀어나온 두 개의 뿔을 장식하고 있다.[2] 그녀는 피 묻은 입의 끝에서 두 개의 튀어나온 엄니를 가지고 있다. 붉고 푸른색 의복을 입고 목에는 해골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으며, 잘린 손과 뼈가 부착된 허리띠를 착용하고 있다. 뱀과 뱀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팔다리에는 거의 보석을 착용하지 않는다. 네 손 중 두 개는 열려 있고 두 개는 묵주와 책을 들고 있다.[2]

토달라-탄트라에서는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 즉 비슈누의 열 개의 아바타와 연관시키는데, 바이라비는 발라라마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반면 구야티 구야-탄트라에서는 바이라비를 나라심하와 연관시킨다.

토달라-탄트라에서 설명하는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의 관계
번호마하비드야다샤바타라
5.바이라비발라라마



구야티 구야-탄트라에서 설명하는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의 관계
번호마하비드야다샤바타라
5.바이라비나라심하


2. 6. 친나마스타



친나마스타( "머리가 잘린 자")는 자신의 머리를 자른 여신이다.[3] 그녀는 라자스와 타마스 (트리구나의 일부)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머리를 잘랐다. 친나마스타는 붉은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무서운 모습이다.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네 개의 손에는 칼, 자신의 잘린 머리, 올가미와 술잔을 들고 있다. 세 개의 타오르는 눈은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왕관을 쓰고 있다. 부분적으로 옷을 입은 여성으로, 팔다리에 장식품을 착용하고 몸에는 해골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다. 결합하는 부부의 등에 올라타 있다.

2. 7. 두마바티

두마바티는 연기가 자욱한 짙은 갈색 피부에 주름진 얼굴, 마른 입, 일부 빠진 이, 길고 헝클어진 회색 머리카락, 충혈된 눈을 가지고 있다. 과부의 복장인 흰 옷을 입고, 말 없는 전차에 앉아 있으며, 전차 위에는 까마귀 상징과 깃발이 있다. 두 개의 떨리는 손 중 한 손으로는 은혜나 지식을 베풀고, 다른 손으로는 키질 바구니를 들고 있다.[2]

2. 8. 바갈라무키

바갈라무키는 적을 마비시키는 여신이다. 밝은 눈 세 개, 풍성한 검은 머리카락, 온화한 모습을 가진 녹은 금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 노란색 의복을 입고 있으며, 팔다리에 노란색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다. 두 손으로는 또는 곤봉을 들고 악마 마다나수라의 혀를 잡아 그를 멀리한다. 왕좌에 앉아 있거나 두루미의 등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2]

2. 9. 마탕기

마탕기는 샥타교에서 말하는 열 명의 마하비드야 중 한 명이다. 마하비드야는 신성한 어머니를 열 가지 모습으로 숭배하는 샥타교의 한 갈래이다.[2] 마탕기는 "탄트라 사라스와티"라고도 불리며, 스리쿨라 시스템에서 라리타의 총리 역할을 한다.

마탕기는 주로 에메랄드 그린색 피부와 풍성하고 헝클어진 검은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세 개의 눈과 차분한 표정을 하고 있다. 붉은 옷을 입고 여러 장신구를 착용하며, 왕좌에 앉아 네 개의 손에는 칼, 해골, 비나 (악기) 등을 들고 있다. 그녀의 한 손은 숭배자들에게 은혜를 베푼다.

토달라-탄트라에서는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비슈누의 열 가지 아바타)를 연결 짓는데, 마탕기는 라마와 연결된다. 구야티 구야-탄트라에서는 마탕기를 붓다와 연결하며, 마하비드야가 비슈누 아바타의 근원이라고 명시한다.

토달라-탄트라와 구야티 구야-탄트라에서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의 연결
마하비드야토달라-탄트라구야티 구야-탄트라
마탕기라마붓다


2. 10. 카말라트미카 (카말라)

'''카말라'''(카말라트미카)는 힌두교의 마하비드야 중 하나로, 연꽃에 거주하는 여신이다. "탄트라 락슈미"라고도 불린다. 카말라는 녹은 금색 피부, 풍성한 검은 머리카락, 밝고 평온한 세 개의 눈, 자비로운 표정을 가지고 있다. 붉고 분홍색 의복을 입고 다양한 장신구와 연꽃으로 팔다리를 장식하고 있다.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으며, 네 개의 손 중 두 개는 연꽃을 들고, 다른 두 개는 숭배자들의 소원을 들어주고 두려움으로부터 보호해 준다.[2]

토달라-탄트라에서는 마하비드야를 비슈누의 열 개의 아바타다샤바타라와 연관시키는데, 카말라는 붓다와 대응된다. 반면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가 비슈누 아바타의 근원이라고 명시하며, 카말라를 맛샤와 대응시킨다.

토달라-탄트라와 구야티 구야-탄트라에서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의 대응
마하비드야 이름토달라-탄트라구야티 구야-탄트라
카말라붓다맛샤


3.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샥타교는 "하나의 진리가 열 개의 다른 측면으로 감지된다. 신성한 어머니는 열 개의 우주적 개성으로 숭배되고 접근된다"고 믿으며, 이를 다샤-마하비드야("열 마하비드야")라고 부른다.[2] 샥타교의 또 다른 학파에 따르면 마하비드야는 마하칼리의 형태로 여겨진다. 마하비드야는 본질적으로 탄트라적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식별된다.


  • '''칼리''': 브라만의 궁극적인 형태이자 시간을 삼키는 여신 (''칼리쿨라'' 시스템의 최고 신).
  • '''타라''': 안내자이자 보호자 역할을 하는 여신이며, 구원을 제공하는 궁극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여신.
  • '''트리푸라 순다리'''(''쇼다시'', ''라리타''): "세 세계의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여신 (''스리쿨라'' 시스템의 최고 신); "탄트라 파르바티" 또는 "목샤 묵타".
  • '''부바네스와리''': 세계 어머니로서의 여신, 또는 그녀의 몸이 우주의 열네 개의 로카로 구성된 여신.
  • '''바이라비''': 맹렬한 여신.
  • '''친나마스타'''( "머리가 잘린 자"): 스스로 머리를 자른 여신.[3]
  • '''두마바티''': 과부 여신.
  • '''바갈라무키''': 적을 마비시키는 여신.
  • '''마탕기''': 라리타의 총리 (''스리쿨라'' 시스템), Śyāmala("검은 피부", 일반적으로 짙은 파란색으로 묘사됨)라고 불리며 "탄트라 사라스와티"라고도 불린다.
  • '''카말라'''(''카말라트미카''): 연꽃에 거주하는 자; "탄트라 락슈미"라고 불린다.


이 모든 마하비드야는 마니드비파에 거주한다. ''마하 바가바타 푸라나''와 ''브리하드하르마 푸라나''는 쇼다시 (소다시)를 트리푸라 순다리라고 나열하는데, 이는 같은 여신의 또 다른 이름일 뿐이다.[4]

3. 1. 토달라-탄트라의 연관

토달라-탄트라는 10장에서 마하비드야를 비슈누의 열 가지 아바타다샤바타라와 연관시킨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의 관련성 (토달라-탄트라)
번호마하비드야다샤바타라
1칼리크리슈나
2타라맛샤
3트리푸라 순다리파라슈라마
4부바네스와리바마나
5바이라비발라라마
6친나마스타나라심하
7두마바티바라하
8바갈라무키쿠르마
9마탕기라마
10카말라붓다


3. 2. 구야티 구야-탄트라의 연관

구야티 구야-탄트라는 마하비드야를 다샤바타라와 다르게 연관시키며, 마하비드야가 비슈누의 아바타가 발생하는 근원이라고 명시한다.

마하비드야와 다샤바타라 사이의 구야티 구야-탄트라 협회
번호마하비드야 이름다샤바타라 이름
1칼리크리슈나
2타라라마
3트리푸라 순다리칼키
4부바네스와리바라하
5바이라비나라심하
6친나마스타파라슈라마
7두마바티바마나
8바갈라무키쿠르마
9마탕기붓다
10카말라맛샤



''참고'': 위의 목록에서 마탕가 바이라바의 이름을 마탕가 리시와, 나라다 바이라바의 이름을 나라다 리시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4. 참고 문헌

데이비드 R. 킨슬리(David R. Kinsley)의 ''신성한 여성의 탄트라적 비전: 10명의 마하비드야''(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97)와 신재은(Jae-Eun Shin)의 ''변화, 연속성 및 복잡성: 동인도 샥타 전통의 마하비드야''(루틀리지, 2018)를 참고했다.

참조

[1] 서적 The Devī Gītā: The Song of the Goddes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 서적 The Ten Great Cosmic Powers: Dasa Mahavidyas https://books.google[...] Samata Books
[3] 서적 The Myths and Gods of India: The Classic Work on Hindu Polytheism from the Princeton Bollingen Serie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4]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
[5]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The Devī Gītā: the song of the Goddess SUN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