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라슈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슈라마는 힌두교 신화에 등장하는 비슈누의 여섯 번째 화신이자, 리시 자마다그니의 아들이다. 그는 크샤트리야를 멸족시키고,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도 등장하며,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의 스승으로 묘사된다. 파라슈라마는 시바에게서 도끼를 받아 '도끼를 든 라마'로 불리며, 브라만에게 땅을 나누어주고, 칼리 유가 말기에 칼키에게 무예를 전수할 것으로 전해진다. 서부 해안 지역은 파라슈라마가 바다에서 땅을 되찾았다는 전설과 관련되어 있으며, 파라슈라마 크셰트라로 불린다. 힌두교 문헌에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사원과 대중문화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이나교 신화 - 바마나
    바마나는 힌두교 신화에서 비슈누의 다섯 번째 화신으로, 난쟁이 모습으로 아수라 왕에게 땅을 요구한 후 거대한 모습으로 세상을 되찾았다는 전승을 가진 신이다.
  • 브라만 - 라마누자
    라마누자는 11~12세기에 활동한 인도의 철학자이자 힌두교의 스리바이슈나바 전통의 중요한 인물로, 비시슈타드바이타 철학을 발전시키고 박티 운동을 이끌었으며 사회 개혁에도 기여했다.
  • 브라만 - 라바나
    라바나는 힌두교 신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열 개의 머리를 가진 라크샤사 악마 왕으로, 랑카를 다스렸으며 강력한 힘과 지략을 가졌으나 라마에게 패배하고 시바신의 숭배자이자 일부 지역에서 신으로 숭배받는다.
  • 리쉬 - 브리하스파티
    브리하스파티는 힌두교 신화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신이자 데바들의 스승으로, 천문학에서는 목성을 지칭하며, 힌두교 점성술에서 목요일에 숭배된다.
  • 리쉬 - 리샤바
    리샤바는 베다 문헌에서 황소, 수컷 동물, 가장 뛰어난 존재 또는 약초를 의미하며,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까지 숭배되었고, 자이나교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파라슈라마
기본 정보
도끼를 든 파라슈라마
파라슈라마 (라자 라비 바르마 그림)
다른 이름바르가바 라마
자마다그냐 라마
라마바드라
데바나가리어परशुराम
산스크리트어 음역Paraśurāma
아버지자마다그니
어머니레누카
배우자다라니 (락슈미)
소속비슈누
거주지마헨드라 산맥
무기파라슈 (Paraśu)
형제자매리마반, 수호트라, 바수, 비슈바바수
탄생일악샤야 트리티야
탄생지자나파브
신화적 정보
주요 역할다샤바타라의 여섯 번째 화신, 치란지비
숭배 대상비슈누
탄생 요일목요일
다샤바타라 순서
이전 화신바마나
다음 화신라마
일본어 정보
다른 이름바르가바 라마
자마다그냐 라마
람바드라
무기도끼 (paraśu)
한국어 추가 정보
스승아수라들의 스승
제자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칼리

2. 전승

푸라나에 따르면 파라슈라마는 비슈누의 여섯 번째 화신이자 성선으로, 리쉬 자마다그니의 아들이다.[51] 그는 시바 신의 제자로서 강력한 도끼 파라슈를 받아 '도끼를 든 라마'라는 뜻의 파라슈라마로 불리게 되었다.[52] 그의 주된 임무는 오만해진 크샤트리야 계급을 멸족시키는 것이었다.

파라슈라마의 삶에는 극적인 사건들이 많았다. 아버지의 명으로 어머니를 죽였다가 다시 살렸으며,[52] 이후 크샤트리야 왕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44]가 아버지의 신성한 소 카마데누(수라비)를 훔치고 아버지를 살해하자[53][54] 이에 격분하여 복수를 시작했다. 그는 21번에 걸쳐 크샤트리야 대학살을 감행하여 한 시대의 크샤트리야를 거의 전멸시켰다고 전해진다.[52] 이 대학살 이후 크샤트리야의 땅을 브라만에게 나누어 주어 브라만 계급의 사회적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파라슈라마는 인도의 양대 서사시인 라마야나마하바라타 모두에 등장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라마야나에서는 후임 화신인 라마찬드라를 시험하고 인정하는 선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10] 마하바라타에서는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등 여러 영웅들의 스승으로 등장하여[30][31] 그들에게 무기술과 아스트라(신성 무기)를 전수했다. 특히 카르나와는 그의 신분 문제로 인해 저주를 내리는 등 복잡한 관계를 맺기도 했다.[55] 그는 비슈누의 활 비자야와 차크람인 수다르샤나 차크라 등 강력한 무기들을 소유했으며, 이를 다른 영웅들에게 넘겨주기도 했다.

일설에 따르면 가네샤의 어금니를 부러뜨린 장본인이 파라슈라마라고 하며,[45][46] 대륙을 창조하기 위해 자신의 도끼 파라슈를 바다에 던졌다는 신화도 전해진다. 또한 인도의 고대 무술 칼라리파야트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크샤트리야 학살이라는 업보 때문에 하늘로 돌아가지 못하고, 지금도 지상의 어딘가에서 고행하며 칼리 유가 말기에 나타날 비슈누의 마지막 화신 칼키에게 무예를 전수할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전해진다.[55] 현재에도 인도에서는 그의 탄생을 기리는 파라슈라마 자얀티 축제가 열린다.

2. 1. 탄생과 유년기

파라슈라마 (라비 바르마 그림)


푸라나에 따르면, 파라슈라마는 세상의 모든 크샤트리야를 멸망시키기 위해 태어난 비슈누의 여섯 번째 화신이다. 그는 리쉬 자마다그니의 아들로 태어났다.[51]

파라슈라마는 힘을 얻고자 히말라야 산에서 시바 신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수련 중 아수라를 물리치고, 스승 시바와의 대련에서 시바의 이마에 상처를 입히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 시바는 그의 공적을 인정하여 신성한 도끼 파라슈를 하사했다.

어느 날, 아버지 자마다그니는 아내가 아수라의 유혹에 넘어가 부정을 저질렀다고 의심하며 파라슈라마에게 어머니의 목을 치라고 명령했다. 파라슈라마는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시바에게 받은 도끼 파라슈로 어머니의 목을 베었다. 이 사건으로 그는 '도끼를 든 라마'라는 뜻의 '파라슈라마'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그는 아버지에게 어머니를 다시 살려달라고 간청했고, 자마다그니는 아들을 위해 아내를 되살려주었다.[52]

시간이 흘러, 크샤트리야 계급의 왕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44](카르타비크야라고도 함)가 자마다그니가 가진, 소원을 들어주는 신성한 암소 카마데누(또는 수라비)를 탐내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했다.[53][54] 이에 격분한 파라슈라마는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를 찾아가 그의 천 개의 팔을 도끼로 베어 죽이고[44] 암소를 되찾아왔다.[53][54]

그러나 아버지 자마다그니는 아들의 살생 행위가 지나쳤다며 꾸짖고, 속죄를 위해 성지 순례를 떠나거나[44] 숲속에서 속죄 의식을 치르라고 명했다.[53][54] 파라슈라마가 속죄를 위해 집을 비운 사이, 살아남은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의 아들들이 복수를 위해 자마다그니를 찾아와 살해했다.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의 죽음과 슬퍼하는 어머니를 본 파라슈라마는 극도로 분노했다. 그는 어머니가 아버지의 죽음을 슬퍼하며 가슴을 친 횟수인 스물한 번에 걸쳐,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의 아들들을 포함한 세상의 모든 크샤트리야를 멸족시키겠다고 맹세하고 대학살을 감행했다.

2. 2. 크샤트리야 멸족



푸라나에 따르면, 파라슈라마는 이 세상의 모든 크샤트리야를 멸족시킬 목적으로 태어난 비슈누의 6번째 다샤바타라로, 리쉬 자마다그니의 아들이다.[51] 그는 시바 신에게 받은 도끼 파라슈를 들고 다녔기에 '도끼를 든 라마'라는 뜻의 파라슈라마로 불리게 되었다.[52]

크샤트리야 멸족의 직접적인 계기는 크샤트리야 계급 출신의 왕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44](다른 기록에는 카르타비크야)가 아버지 자마다그니가 소유한, 소원을 들어주는 신성한 소 수라비(카마데누)를 탐내 훔쳐간 사건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격분한 파라슈라마는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를 찾아가 그의 천 개의 팔을 도끼 파라슈로 베어 죽이고 소를 되찾아왔다.[53][54]

그러나 아버지 자마다그니는 파라슈라마가 살생을 저지른 것을 꾸짖고, 속죄를 위해 성지 순례를 떠나도록 명했다. 파라슈라마가 속죄 의식을 치르러 자리를 비운 사이, 복수심에 불탄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의 아들들이 자마다그니를 살해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아버지의 죽음을 알게 된 파라슈라마는 극도로 분노했다. 그는 아버지의 죽음을 슬퍼하는 어머니의 탄식 소리를 듣고, 그 횟수인 21번에 걸쳐[52] 세상의 모든 크샤트리야를 멸족시키겠다고 맹세했다. 이 맹세에 따라 파라슈라마는 총 21번의 대규모 전쟁을 일으켜 크샤트리야 계급을 완전히 몰살시켰다.

크샤트리야를 모두 제거한 후, 파라슈라마는 자신이 저지른 대량 학살을 속죄하는 의미로 크샤트리야들이 소유했던 모든 땅을 브라만 계급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후 시간이 흘러 새로운 크샤트리야 일족들이 다시 생겨나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인도 사회의 주도권은 브라만 계급에게 넘어가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2. 3. 라마야나

파라슈라마는 후대의 다샤바타라인 라마찬드라가 활약하는 라마야나 시대에도 등장하여, 라마찬드라의 능력을 시험하고 인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라마야나』에 따르면, 라마가 미틸라에서 시타와 결혼한 후 아야디아로 돌아가는 길에 그의 일행은 지진과 먼지 폭풍 같은 불길한 징조를 겪는다. 이때 파라슈라마가 그들 앞에 나타나 라마에게 결투를 제안한다. 파라슈라마는 라마가 자신의 활인 샤랑가의 시위를 당기고 화살을 쏘아 힘을 증명해야 한다고 조건을 걸었다. 다샤라타 왕은 라마를 해치지 말라고 간청했지만, 파라슈라마는 활의 신성한 유래와 역사를 설명하며 전사로서 라마의 기량을 시험하고자 했다. 라마는 파라슈라마에게서 활을 받아 시위를 당기는 데 성공했고, 이로 인해 파라슈라마는 자신의 신성한 힘 일부를 잃게 되었다. 파라슈라마는 겸허하게 라마가 비슈누의 화신임을 인정하고, 자신이 마헨드라 산으로 돌아가 요가를 수행하며 공덕을 쌓을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라마에게 경의를 표한 후, 파라슈라마는 자신의 은둔처로 돌아갔다.[10]

2. 4.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에서 파라슈라마는 주요 인물들의 스승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는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등 전쟁의 핵심 전사들을 가르쳤다.[30][31] 마하바라타 전쟁에서 사용된 뛰어난 무기술 중 상당수는 파라슈라마와 그의 스승 시바 신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파라슈라마는 자신의 제자인 비슈마와 암바 공주 문제로 충돌했다. 암바를 대신하여 비슈마에게 그녀와 결혼하라고 명령했으나, 독신 서약을 지키려는 비슈마는 이를 거절했다.[11] 격분한 파라슈라마는 비슈마와 쿠룩셰트라에서 23일간 결투를 벌였으나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12][13] 일부 기록에 따르면 싸움은 신들의 중재로 무승부로 끝났다고 하며[14], 다른 기록에서는 비슈마가 파라슈라마에게 배운 기술 외의 오의를 사용하여 잠들게 함으로써 파라슈라마가 패배했다고도 한다.[55] 싸움 이후 파라슈라마는 비슈마를 최고의 전사 중 한 명으로 인정했다. 암바는 파라슈라마의 조언을 거부하고 고행을 통해 복수를 다짐했다.[15]

카르나 역시 파라슈라마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카르나는 브라흐마스트라의 아종인 바르가바스트라를 배우기 위해 자신의 카스트(크샤트리아)를 숨기고 브라만이라고 속였다.[55] 파라슈라마는 카르나의 뛰어난 인내심(수련 중 스승을 깨우지 않으려 벌레에게 물리는 고통을 참음)을 보고 그가 브라만이 아님을 간파했다. 분노한 파라슈라마는 카르나에게 "전투 중 가장 결정적인 순간에 배운 아스트라(신성 무기)의 주문을 잊어버리게 될 것"이며 "전차 바퀴가 땅에 빠질 것"이라는 저주를 내렸다.[55] 이 저주는 훗날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카르나가 아르주나와의 대결에서 패배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파라슈라마는 카르나의 용맹함을 인정하여 자신이 가진 비슈누의 활 비자야를 그에게 주었다.

파라슈라마는 크리슈나에게 수다르샤나 차크라를 하사하기도 했다. 그는 마하바라타 시대 이후 깊은 숲 속으로 은둔하여 고행을 계속하고 있다고 전해진다.[55] 그는 칼리 유가 말기에 나타날 비슈누의 마지막 화신 칼키에게 무예와 아스트라 사용법을 전수할 스승으로서의 역할을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55] 일부 문헌에서는 파라슈라마가 권력을 남용한 크샤트리아들을 도끼(파라슈)로 응징한 분노한 브라만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7]

2. 5. 칼리 유가

마하바라타 이후 파라슈라마는 깊은 숲속으로 자취를 감추었다고 전해진다.[55] 그는 칼리 유가 말기에 나타날 비슈누의 마지막 화신칼키에게 각종 아스트라를 비롯한 무예를 전수할 때까지, 오늘날에도 사람의 눈길이 닿지 않는 깊은 숲속에서 고행과 수련을 하며 지내고 있다고 한다. 이는 파라슈라마가 화신으로서 행하는 마지막 역할로, 칼키에게 기술을 전수하여 칼리 유가의 종결을 돕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때 전수될 기술 중에는 지구를 파괴할 힘을 지닌 브라흐마시라스트라도 포함될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슈누의 화신임에도 불구하고 생전에 많은 크샤트리아를 죽인 업보로 인해 하늘로 돌아가지 못하고, 지금도 지상 어딘가에서 살아 있다고 여겨진다.

3. 파라슈라마 크셰트라

정착민들에게 둘러싸여 물의 신 바루나에게 브라만들을 위해 고카르나에서 칸야쿠마리까지 '''파라슈라마 크셰트라'''로 알려진 땅을 만들라고 명령하는 파라슈라마
인도 서부 해안의 지리적, 문화적 기원을 설명하는 여러 전설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마하비슈누의 화신인 파라슈라마가 바다로부터 서부 해안 땅을 되찾았다는 이야기이다. 이 전설에 따르면, 파라슈라마는 자신의 전투 도끼를 바다에 던졌고, 그 결과 서부 해안의 땅이 솟아올라 물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파라슈라마가 도끼를 던진 장소는 마하라슈트라주 나시크 구 바글란 탈루카에 있는 살헤르 요새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마하라슈트라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자 가장 높은 요새이다. 요새 정상에는 파라슈라마에게 바쳐진 사원이 있으며, 일반 사람 크기의 4배에 달하는 발자국이 바위에 새겨져 있다. 요새의 낮은 고원에는 파라슈라마의 어머니인 렌우카 여신을 모시는 사원과 야그야 쿤다(Yagya Kunda, 제사를 지내는 곳)가 있는데, 큰 물탱크 기슭에는 천막을 세울 수 있었던 기둥 구멍들이 남아 있다.

17세기 말라얄람어 작품 ''케랄로파트히''에는 이 전설이 더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케랄라 땅은 도끼를 휘두르는 전사 현자 파라슈라마, 즉 비슈누의 여섯 번째 화신에 의해 바다에서 회복되었으며, 이 때문에 케랄라는 '파라슈라마 크셰트람'(Parashurama Kshetram, 파라슈라마의 땅)이라고도 불린다.[18] 파라슈라마가 도끼를 바다 건너 던지자, 도끼가 떨어진 곳까지 물이 물러났다. 이렇게 새로 생긴 땅은 고카르나에서 칸야쿠마리까지 확장되었다고 전해진다.[19] 바다에서 솟아오른 땅은 소금기로 인해 사람이 살기 어려웠다. 그래서 파라슈라마는 뱀의 왕 바수키를 불러 도움을 청했고, 바수키는 성스러운 독을 뱉어 땅을 비옥하고 푸르게 만들었다. 이후 바수키와 모든 뱀들은 이 땅의 보호자이자 수호자로 존경받게 되었다.

한편, 상감 시대 고전 ''푸라나누루''에는 다른 이야기가 전해진다. 체라의 왕 센구투반이 칸야쿠마리와 히말라야 산맥 사이의 땅을 정복한 후, 더 이상 싸울 적이 없자 자신의 창을 바다에 던져 바다를 포위했다고 한다.[16][17] 학자 P. T. 스리니바사 아이옌가르는 센구투반의 이야기가 초기 아리아인 정착민들이 가져온 파라슈라마 전설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20]

'파라슈라마 크셰트라'(Parashurama Kshetra, 파라슈라마의 땅)의 범위에 대해서는 푸라나 등 문헌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일반적으로 고카르나에서 칸야쿠마리에 이르는 인도의 서부 해안 지역 전체를 가리킨다.[34]
  • 콘칸 지역만을 파라슈라마 크셰트라로 보기도 한다.[35] 현재의 고아(곰탁)는 콘칸의 일부이며, 남고아 구 카나코나에는 파라슈라마에게 헌정된 사원이 있다.[21][22][23]
  • 고대 사프타콘카나는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하는데, 사히야드리칸다(Sahyadrikhanda) 문헌에서는 이 지역을 파라슈라마크셰트라(산스크리트어로 "파라슈라마의 땅")라고 부른다. 이 범위는 구자라트주 남부의 바피에서 타피 지역까지 포함하며, 이 지역은 "파르슈람 니 부미"(Parshuram Ni Bhoomi, 파라슈람의 땅)라고 불린다.[36]

4. 힌두교 문헌 속 파라슈라마



파라슈라마는 일반적으로 레누카와 리쉬 자마다그니의 다섯째 아들로 묘사된다.[9] 푸라나를 비롯한 여러 힌두교 문헌에 따르면, 그는 오만한 크샤트리야 계급을 멸망시키기 위해 태어난 비슈누의 여섯 번째 다샤바타라(화신)이다.[51] 그는 힘을 얻고자 히말라야 산에서 시바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수행 중 아수라를 물리치고 스승 시바와의 대련에서 공을 세워 신성한 도끼 파라슈를 하사받았다. 이로 인해 "도끼(파라슈)를 든 라마"라는 뜻의 파라슈라마로 불리게 되었다.

어느 날 아버지 자마다그니는 아내 레누카의 부정을 의심하여 파라슈라마에게 어머니의 목을 치라고 명했다. 그는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파라슈로 어머니를 죽였으나, 곧 아버지에게 간청하여 어머니를 다시 살려냈다.[52] 이후 크샤트리야 왕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가 아버지 자마다그니의 소유인 소원을 들어주는 암소 카마데누(또는 수라비)를 훔쳐가자[44], 파라슈라마는 격분하여 그의 천 개의 팔을 베어 죽이고 소를 되찾았다.[53][54] 그러나 자마다그니는 아들의 살생을 꾸짖으며 속죄를 위한 성지 순례를 명했다. 파라슈라마가 집을 비운 사이, 카르타비리야 아르주나의 아들들이 복수심에 불타 자마다그니를 살해했다. 돌아와 아버지의 죽음을 알게 된 파라슈라마는 크나큰 분노에 휩싸여 세상의 모든 크샤트리야를 멸족시키겠다고 맹세했다. 그는 어머니가 흘린 눈물의 횟수만큼인 21번의 전쟁을 치러 크샤트리야 계급을 몰살시켰고, 이후 속죄의 의미로 그들의 땅을 브라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브라만 계급이 사회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파라슈라마는 인도의 양대 서사시인 라마야나마하바라타에도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라마야나에서는 후임 다샤바타라인 라마찬드라가 시바의 활을 다루는 것을 보고 그의 힘을 시험한 뒤, 라마찬드라의 신성을 깨닫고 자신의 활 피나카를 물려주며 그의 앞날을 축복한다.

마하바라타에서는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등 위대한 영웅들의 스승으로 나타난다. 그는 제자 비슈마와 암바(시크한디의 전생) 문제로 대립하여 23일간의 격전을 벌였으나 패배를 인정하고 그를 최고의 전사로 칭찬하며 무기를 하사했다. 또 다른 제자 카르나브라흐마스트라의 아종인 바르가바스트라를 배우기 위해 브라만으로 신분을 속였는데, 파라슈라마는 이를 간파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배운 기술을 잊게 될 것이라는 저주를 내렸다.[55] 하지만 그의 용맹함과 인내심을 높이 사 자신이 가진 비슈누의 활 비자야를 주기도 했다. 또한 크리슈나에게는 강력한 원반 무기인 수다르샤나 차크라를 하사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일설에 따르면 지혜의 신 가네샤의 어금니 한쪽을 부러뜨린 장본인도 파라슈라마라고 한다.[45][46] 또한 그는 자신의 도끼 파라슈를 바다에 던져 새로운 땅을 만들어냈다는 창세 신화와도 연관되어 있다.

비슈누의 화신임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살생을 저질렀기에 하늘로 돌아가지 못하고, 지금도 어딘가에서 고행하며 칼리 유가 말기에 나타날 마지막 화신 칼키에게 아스트라를 비롯한 궁극의 기술들을 전수할 날을 기다리고 있다고 여겨진다. 인도에서는 그의 탄생을 기리는 파라슈라마 자얀티 축제가 열리며, 고대 무술 칼라리파야트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4. 1.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 6장에서는 파라슈라마가 강렬한 빛과 함께 허벅지에서 태어났다고 묘사한다. 이 빛은 모든 전사들의 눈을 멀게 할 정도였으며, 눈이 먼 전사들은 자신들의 사악한 행동을 뉘우치고 앞으로 도덕적인 삶을 살겠다고 약속한 후에야 시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소년 모습의 파라슈라마는 이들에게 축복을 내렸다고 전해진다.[9]

4. 2. 비슈누 푸라나

비슈누 푸라나 4장에는 파라슈라마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르치카라는 인물이 두 여인을 위해 각각 다른 식사를 준비했는데, 하나는 평범한 식사였고 다른 하나는 먹으면 강력한 힘을 가진 아들을 낳게 되는 특별한 재료가 들어간 식사였다. 그런데 르치카의 아내인 레누카가 실수로 이 특별한 식사를 먹게 되었고, 그 결과로 파라슈라마를 낳게 되었다고 전해진다.[9]

4. 3. 바유 푸라나

바유 푸라나 제2장에서는 파라슈라마의 탄생에 대해 다르게 설명한다. 그의 어머니 레누카가 루드라(시바)와 비슈누에게 바쳐진 희생 제물을 먹은 후 파라슈라마를 잉태하였으며, 이로 인해 그는 크샤트리야브라만의 이중적인 특성을 동시에 지니게 되었다고 전해진다.[26]

5. 도상학

도끼를 든 파라슈라마(두 가지 표현)


파라슈라마의 도상에 관한 힌두교 문헌들의 설명은 다소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비슈누 다르모타라 푸라나』와 『루파만다나』는 파라슈라마를 땋은 머리에 두 손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하며, 한 손에는 도끼를 들고 있다고 설명한다.

반면, 『아그니 푸라나』는 그를 네 개의 손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하며, 각각 도끼, 활, 화살, 칼을 들고 있다고 한다. 『바가바타 푸라나』 역시 네 개의 손을 가진 전사의 모습으로 묘사하는데, 도끼, 활, 화살, 방패를 들고 있다.[37]

파라슈라마는 전사이지만, 힌두교 사원 내에서 그가 전쟁 장면으로 묘사되는 경우는 드물다. (바소홀리 사원이 그러한 예외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손을 가지고 있으며, 오른쪽 손에 도끼를 들고 앉거나 서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37]

6. 사원

이름위치사진특징
아난테스와라 사원파라슈라마우두피카르나타카 주--파라슈라마는 링감 형태로 숭배된다.[38]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람티루발람, 티루바난타푸람케랄라 주--
아티야랄라 사원파라슈라마라잼페트안드라프라데시 주
108 시바 사원시바108개 지역카르나타카 주, 케랄라 주파라슈라마가 헌정했다고 여겨짐
파르슈람 쿤드파라슈라마로히트 구아루나찰프라데시 주--순례자들은 매년 겨울, 특히 마카르 상크란티에 죄를 씻어준다고 믿어지는 성스러운 목욕을 하기 위해 방문한다.[39][40]
마후르가드레누카, 파라슈라마난데드 구마하라슈트라 주--샤크티 피타 사원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치플룬, 라트나가리 구마하라슈트라 주
파라슈람 만디르파라슈라마모카마비하르 주칼라쉬 야트라



파라슈라마 크셰트라스 툴루나두 (해안 카르나타카)
이름위치사진특징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콜루르카르나타카 주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코테스와라카르나타카 주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쿠케 수브라마니야카르나타카 주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우두피카르나타카 주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고카르나카르나타카 주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아네구데 (쿰바시)카르나타카 주
파라슈라마 사원파라슈라마샹카라나라야나카르나타카 주


7. 대중 문화



파라슈라마는 인도 문화의 여러 영역에 걸쳐 등장하는 인물이다. 칸나다어 민속, 특히 데브다시들이 부르는 헌신적인 노래에서는 종종 옐람마의 아들로 언급된다. 그의 전설은 폭력과 보복의 순환, 그리고 크로다(분노)라는 감정과 그 부적절함, 나아가 뉘우침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파라슈라마는 인도의 양대 서사시인 라마야나마하바라타 모두에 중요한 역할로 등장한다.


  • 라마야나에서는 영웅 라마시바 신에게 받은 활을 부러뜨리자 격분하여 라마시타의 결혼식장에 나타나 라마와 대결한다. 하지만 이내 라마가 자신과 마찬가지로 비슈누 신의 화신임을 깨닫고 자신의 무례함을 사과하며 물러난다.
  • 마하바라타에서는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와 같은 여러 영웅들의 스승으로 등장한다. 마하바라타 전쟁에서 사용된 많은 무술과 무기들이 파라슈라마로부터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제자 카르나가 신분을 속인 것을 알게 되자 결정적인 순간에 배운 기술을 잊게 되는 저주를 내렸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용맹함을 높이 사 자신이 가진 최고의 무기 중 하나인 비슈누의 활 비자야를 하사하기도 했다.[44]


인도의 고대 무술인 칼라리파야트는 일부 지역에서 파라슈라마를 창시자로 여기고 있다. 이 때문에 칼라리파야트는 비슈누 신에게 직접 전수받은 무술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무술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오늘날에도 인도에서는 파라슈라마의 탄생을 기념하는 파라슈라마 자얀티라는 축제가 열린다. 신화에 따르면, 파라슈라마는 비슈누의 마지막 화신인 칼키에게 강력한 무기(브라마스트라로 추정됨)를 전수하여 악이 만연한 시대인 칼리 유가를 끝내는 것을 돕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전해진다.[45][46]

8. 칼라리파야트

인도의 고대 무술인 칼라리파야트는 일부 지역에서 파라슈라마를 그 창시자 또는 개조(開祖)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전승 때문에 칼라리파야트는 비슈누 신에게서 유래한 무술로 여겨지기도 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무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또한, 후대에 등장한 소림사 권법이나 가라데 등 여러 무술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Vishnu Purana - Bibek Debroy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India Private Limited 2022-09-25
[2] 웹사이트 Story of Jamadagni https://www.wisdomli[...] 2019-01-28
[3] 웹사이트 পুরীধাম ও জগন্নাথদেবের ব্রহ্মরূপ বৃত্তান্ত https://epaper.thest[...] Dainik Statesman 2023-06-28
[4]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5]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N–Z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7] 웹사이트 Parashurama | Hindu mythology https://www.britanni[...] 2024-08-06
[8] 서적 Khazan Ecosystems of Goa: Building on Indigenous Solutions to Cope with Global Environmental Change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9] 서적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in Honour of Dr. U. P. Shah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0] 서적 The Ramayana http://archive.org/d[...]
[11] 서적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05
[12] 웹사이트 Section CLXXXI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13] 간행물 Amb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4] 웹사이트 Section CLXXXVIII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15] 웹사이트 Section CLXXXIX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16] 서적 Kerala History and its Makers D C Books
[17] 문서 ''Ancient Indian History'' By Madhavan Arjunan Pillai, p. 204 #REDIRECT #REDIRECT
[18] 문서 S. C. Bhatt, Gopal K. Bhargava (2006) "Land and People of Indian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Volume 14", p. 18
[19] 서적 The Travancore State Manual https://books.google[...] Travancore Government Press 2007-11-12
[20] 서적 History of the Tamils: From the Earliest Times to 600 A.D. Asian Educational Services
[21] 문서 '' Shree Scanda Puran (Sayadri Khandha)'' – Ed. Dr. Jarson D. Kunha, Marathi version Ed. by Gajanan Shastri Gaytonde, published by Shree Katyani Publication, Mumbai
[22] 문서 ''Gomantak Prakruti ani Sanskruti'' Part 1, p. 206, B. D. Satoskar, Shubhada Publication
[23] 서적 The Travancore State Manual https://books.google[...] Travancore Government Press 2007-11-12
[24] 서적 Classical Hindu Mythology: A Reader in the Sanskrit Puranas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5] 서적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in Honour of Dr. U.P. Shah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6] 서적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in Honour of Dr. U.P. Shah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7] 웹사이트 Drona Parva Section LXX http://www.sacred-te[...] Sacred Texts 2016-06-15
[28] 서적 Incarnation in Hinduism and Christianity: The Myth of the God-Ma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9] 서적 Myth and Mythmaking: Continuous Evolution in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 웹사이트 Mahabaratha, Digvijaya yatra of Karna http://www.sacred-te[...] Sacred Texts 2015-06-11
[31] 서적 Myth and Mythmaking: Continuous Evolution in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 서적 Myth and Mythmaking: Continuous Evolution in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서적 Myth and Mythmaking: Continuous Evolution in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4] 서적 India : A Sacred Geography Harmony/Rodale 2012-03-27
[35] 문서 Stanley Wolpert (2006), Encyclopedia of India, Thomson Gale, {{ISBN|0-684-31350-2}}, page 80
[36] 서적 Encyclopedia of Hindu Gods & Goddesse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37] 서적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in Honour of Dr. U.P. Shah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38] 서적 Tulu Tales: A Soota Chronicle https://books.google[...] Rupa & Company
[39] 웹사이트 Thousands gather at Parshuram Kund for holy dip on Makar Sankranti http://thenewsmill.c[...] The News Mill 2017-01-13
[40] 뉴스 70,000 devotees take holy dip in Parshuram Kund http://archive.india[...] 2014-06-29
[41] 웹사이트 दशावतार कीर्तनमाला परशुराम अवतार श्रावण विशेष ह.भ.प. डॉ. चारुदत्तबुवा आफळे #vishnu Dashavtarv https://www.youtube.[...] 2024-08-17
[42] 웹사이트 Janapav to be developed into international pligrim centre https://www.oneindia[...] 2019-11-17
[43] 서적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in Honour of Dr. U.P. Shah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44] 문서 またの名をサハスラ・アルジュナという。当時の[[ハイハヤ族]](ヤーダヴァの一部族)の支配者。ダッタートレーヤを崇めて満足させた結果、千本の腕と数々の恩寵を与えられた。レーヴァー河を堰き止め、それが原因で起こった氾濫に激怒したラーヴァナと戦い、勝利した。後のクシャトリヤ大虐殺の直接の原因となった王。なお、マハーバーラタに登場するアルジュナとは同名の別人である。
[45]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N-Z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46]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47] 웹인용 পুরীধাম ও জগন্নাথদেবের ব্রহ্মরূপ বৃত্তান্ত https://epaper.thest[...] Dainik Statesman 2023-06-28
[48]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49]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0]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N–Z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51] 웹사이트 https://www.britanni[...]
[52] 문서 donaldson159
[53] 문서 Lochtefeld2002p500
[54] 서적 Khazan Ecosystems of Goa: Building on Indigenous Solutions to Cope with Global Environmental Change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55] 간행물 Mahabaratha, Digvijaya yatra of Karna https://sacred-texts[...] Sacred Texts 18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