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시아 인구와 말레이시아 이민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2010년 기준 세계 인구의 0.4%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 인구의 약 30%는 이민자이거나 이민자의 후손이며, 2031년에는 15세 이상 인구의 거의 절반이 외국 출생이거나 외국 출생 부모를 둔 것으로 추산된다. 2019년 기준 말레이시아 디아스포라 인구는 173만 명이다. 말레이시아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미푸테라가 전체 인구의 61.85%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의 공식 언어는 말레이어이며, 영어는 비즈니스 언어로 사용된다.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 사람 - 믈라카의 엔리케
믈라카의 엔리케는 16세기 초 마젤란 탐험대의 통역관으로, 믈라카 또는 수마트라 출신으로 추정되며, 마젤란의 노예가 된 후 세계 일주 항해에 동행했지만 마젤란 사후 행적이 묘연하여 세계 일주 완수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고, 다양한 대중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며 민족성과 정체성에 대한 여러 주장이 있다. - 말레이시아의 민족 - 오랑 아슬리
오랑 아슬리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원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세망, 세노이, 원말레이 세 그룹으로 나뉘지만, 빈곤과 차별, 토지 소유권 문제 등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민족 - 모로족
모로족은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에 거주하는 다양한 무슬림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스페인 식민 시대 "무어"에서 유래했으며, 독립 및 자치권 요구와 무장 단체 활동, 필리핀 정부와의 갈등을 겪었고, 현재는 방사모로 자치구를 통해 자치권을 확보했으나 평화 정착 과정이 진행 중이다.
말레이시아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말레이시아인 |
원어 명칭 | (자위) (중국어) (타밀어) |
![]() | |
인구 | |
총인구 | 약 3400만 ~ 3500만 명 |
해외 거주 말레이시아인 | 1,730,152명 |
말레이시아 인구 (디아스포라 제외) | 34,340,000명 (2017년 추정) |
주요 거주 지역 | 크리스마스 섬: 981명 이상 싱가포르: 952,261명 오스트레일리아: 174,136명 영국: 84,638명 미국: 77,647명 브루나이: 52,001명 중국: 26,248명 캐나다: 25,337명 일본: 18,821명 뉴질랜드: 8,661명 인도: 12,228명 리비아: 8,404명 독일: 5,676명 아일랜드: 4,595명 네덜란드: 4,036명 브라질: 2,608명 인도네시아: 2,363명 |
언어 | |
주요 언어 |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및 기타 중국어 방언) 인도어 |
기타 언어 | 말레이어 계통 북보르네오어 계통 멜라나우-카장어 계통 아슬리어 계통 육지 다약어 계통 사마-바자우어 계통 필리핀어 계통 |
종교 | |
주요 종교 | 이슬람교 63.5% |
소수 종교 | 불교 18.7% 기독교 9.1% 힌두교 6.1%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인도네시아인 |
2. 인구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민족은 기관 간 기술 위원회(IATC)에서 설정한 기준을 따르며, 지역별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말레이시아 반도 |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 사라와크 |
---|---|---|
말레이시아 시민 | ||
부미푸트라 말레이 | 부미푸테라 말레이 카다잔-두순족 바자우 무룻 | 부미푸테라 말레이 이반 비다유족 오랑 울루족 멜라나우 |
기타 부미푸테라 | ||
기타 말레이인 / 아낙 다강 인도네시아인: 말레이, 아체, 반자르, 바탁족, 참, 부기스, 자바, 만다일링족, 미낭카바우, 순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및 태국 출신 기타 민족 집단 | ||
비부미푸테라 중국인: 광동어 사용자, 복건어 사용자, 해남어 사용자, 형화어 사용자, 복청어 사용자, 학저우어 사용자, 푸젠어 사용자, 후이족, 객가어 사용자, 광서어 사용자, 택화어 사용자, 기타 중국인 인도인: 무슬림 인도인 / 말라바리, 말라얄리, 펀자브, 시크교도, 스리랑카인, 타밀 인도인, 스리랑카 타밀인, 텔루구인, 기타 인도인 기타: 아랍인, 방글라데시인, 미얀마인, 캄보디아인, 코코스 제도 출신, 필리핀인, 일본인, 한국인, 네팔인, 파키스탄인, 러시아인, 태국인, 터키인, 베트남인, 기타 아시아 국적, 영국인, 덴마크인, 네덜란드인,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아일랜드인, 이탈리아인, 포르투갈인, 스코틀랜드인, 스페인인, 기타 유럽 국적, 아프리카인, 미국인, 호주인, 뉴질랜드인, 유라시아인, 기타 국적 | ||
말레이시아 비시민 (영주권자 포함) | ||
아프리카인, 아랍인, 방글라데시인, 미얀마인, 중국인, 동티모르인, 필리핀인, 인도인, 인도네시아인, 이란인, 일본인, 한국인, 네팔인, 파키스탄인, 스리랑카인, 태국인, 베트남인, 난민 / 1951년 난민협약 1조 / UN 전문기구 / UN / 불명 국적, 무국적자 / 1954년 무국적자 협약 1조, 기타 국적 |
인구 조사에서 수집된 민족 및 시민권 정보는 응답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하며 공식 문서를 참고하지 않았다.[1] 시민권 정보는 내용 및 범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특히 비시민의 경우 더욱 그렇다.
2. 1. 인구 통계
말레이시아는 2010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0.4%를 차지하며, 인구 증가와 사회 발전을 위해 이민에 의존해 왔다. 현재 말레이시아인의 약 30%는 1세대 또는 2세대 이민자이며, 2000년대 말레이시아 거주민의 20%는 말레이시아에서 태어나지 않았다. 2031년까지 15세 이상의 말레이시아인 중 거의 절반이 외국 출생이거나 외국 출생 부모를 한 명 이상 둔 것으로 추산된다. 2010년 말레이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미푸트라는 17,523,508명으로 전국 인구 28,334,135명의 61.85%를 차지했다.2. 2. 시민권 및 디아스포라
말레이시아 국적법, 말레이시아 디아스포라도 참고.2019년 기준으로, 유엔 경제사회부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디아스포라 인구는 1,730,152명이다.[1] 말레이시아는 이민 통계를 기록하지 않으므로 해외 말레이시아인 수는 목적 국가가 보관한 통계에 의존한다. 디아스포라에는 초기 말레이시아 이민자의 후손과 최근 말레이시아 이민자가 모두 포함된다.
독립 이후 총 688,766명의 귀화 외국인에게 말레이시아 시민권이 부여되었고, 10,828명의 시민권이 박탈되었다.[12][13] 오스트레일리아의 외부 영토인 크리스마스 섬의 말레이시아인 공동체는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며, 싱가포르에는 말레이시아인 소수 민족 공동체가 952,261명으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미국이 잇는다.
2. 3. 민족 구성
2010년 인구 조사의 민족 분류는 기관 간 기술 위원회(IATC)에서 설정한 기준을 따른다. IATC는 말레이시아 통계부 및 기타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표준화된 코드, 분류 및 정의의 구현 및 사용을 조정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이다.[1]말레이시아 반도, 사바, 라부안 연방 준주 및 사라와크의 지역별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말레이시아 반도 |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 사라와크 |
---|---|---|
말레이시아 시민 | ||
부미푸테라 말레이 | 부미푸테라 말레이 카다잔-두순족 바자우 무룻 | 부미푸테라 말레이 이반 비다유족 오랑 울루족 멜라나우 |
기타 부미푸테라 (하위 섹션 말레이시아 반도 참고) | 기타 부미푸테라 (하위 섹션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참고) | 기타 부미푸테라 (하위 섹션 사라와크 참고) |
기타 말레이인 / 아낙 다강 (하위 섹션 말레이시아 반도 참고) | 기타 말레이인 / 아낙 다강 (하위 섹션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참고) | |
비부미푸테라 (하위 섹션 말레이시아 반도 참고) | 비부미푸테라 (하위 섹션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참고) | |
말레이시아 비시민 (영주권자 포함) | ||
(하위 섹션 말레이시아 반도 참고) | (하위 섹션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참고) |
인구 조사에서 수집된 민족 및 시민권 정보는 응답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하며 공식 문서를 참고하지 않았다.[1] 시민권 정보는 내용 및 범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특히 비시민의 경우 더욱 그렇다.
2. 3. 1. 말레이시아 반도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반도의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민족 분류 |
---|
이러한 민족 정보는 인구 조사 응답자의 답변을 바탕으로 하며, 공식 문서를 참고하지 않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1]
2. 3. 2.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바 및 라부안 연방 준주의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민족 |
---|
부미푸테라 |
기타 부미푸테라 |
기타 말레이인 / 아낙 다강 |
비부미푸테라 |
말레이시아 비시민(영주권자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