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중국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중국인은 지리적, 민족적, 종족적, 국적 또는 법률적, 정치적 개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지리적으로는 중국에서 출생하거나 거주하는 사람, 민족적으로는 주로 한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종족적으로는 화인 또는 화교로 불리며 중국 국적과 관계없이 한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을 지칭한다. 법적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포함하며, 정치적 입장에 따라 하나의 중국 또는 대만 독립과 관련된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다. 중국은 56개의 민족을 인정하며, 한족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을 형성한다. 타이완은 한족계 타이완인과 타이완 원주민으로 구성되며, 재외 중국인은 중국계 혈통 또는 국적을 가지고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마카오를 제외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사람 - 지나
    지나는 중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산스크리트어 '치나'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역사적으로 불경 번역, 일본의 중국 지칭 용어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경멸적 뉘앙스나 반중 감정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이 있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국가 행정 기관이며, 국무원 총리가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하고, 중국 공산당의 지도 하에 운영되며, 2024년 조직법 개정을 통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지도와 이념을 따라야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국어/화어/보통어
광둥어
대만어
객가어
대만 제어
타오어
종교불교
도교
일관도
개신교
천주교 등
유교와 민간 신앙을 배경으로 함
인구14억 967만 명
인구 분포
중국1,496,700,000명
홍콩7,336,585명
마카오 특별행정구663,400명
중화민국 (대만 지역)23,315,822명
미국926,000명
인도네시아208,000명
캐나다156,117명
태국140,000명
브라질70,000명
일본61,000명
베트남60,000명
싱가포르60,000명
말레이시아45,000명
브루나이38,000명
오스트레일리아28,000명
필리핀22,213명
대한민국20,981명
코스타리카14,000명
프랑스11,000명
아르헨티나11,000명
뉴질랜드10,000명
남아프리카 공화국10,000명
독일7,000명
영국6,000명
기타33,000명
민족
주요 민족한족
관련 정보
로마자 표기Zhōngguó-rén
기타 표기

2. 정의

'중국인'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청나라 정부는 '중국인'(中國之人, Zhōngguó zhī rén; Dulimbai gurun i niyalmamnc)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한족, 만주족, 몽골족을 포함한 전통적으로 제국에 속한 모든 원주민을 지칭했다.[18] 중화민족(초민족적 개념)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중국에 거주하는 56개 민족을 모두 포함한다.[19] 이 의미에서는 자치구 등에 거주하는 소수민족(티베트족, 위구르족 등)도 중국인에 포함되지만, 역사적 경위로 인해 중국인으로 불리는 것에 저항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또한,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타이완 지역 주민 중에는 자신을 중국인이 아닌 타이완인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2. 1. 지리적 개념

중국 대륙, 타이완, 홍콩, 마카오 등에서 출생했거나 거주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국적법에 따르면, 부모 중 한 명이 중국 국적이면 출생으로 국적을 취득하거나 귀화를 통해 취득할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시민이다.[24]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는 홍콩 또는 마카오 영주민에게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 또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여권이 발급될 수 있다.

중화민국 국적법에 따르면, 국적은 출생 또는 귀화를 통해 취득한다. 부모 중 한 명이 중화민국 국민이거나, 무국적 부모에게서 타이완에서 태어난 사람은 출생으로 국적을 취득할 자격이 있다.[25] 국민 신분증은 타이완에 호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거주증은 국민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은 중화민국 거주민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중화민국 국적과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간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26]

2. 2. 민족적 개념

주로 한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만주족, 몽골족, 조선족중국 내 소수민족도 포함될 수 있다.[14] 청나라 정부는 '중국인'(中國之人, Zhōngguó zhī rén; Dulimbai gurun i niyalmamnc)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한족, 만주족, 몽골족을 포함한 전통적으로 제국에 속한 모든 원주민을 지칭했다.[18] 중화민족(中華民族|Zhōnghuá Mínzú중국어)은 "중국 민족"을 뜻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중국에 거주하는 56개 민족을 모두 포함하는 초민족적 개념이다.[19]

2. 3. 종족적 개념

멜버른 차이나타운은 서구권에서 가장 오래된 중국인 정착지이자 남반구에서 가장 오래된 차이나타운이다.


'화인(華人)' 또는 '화교(華僑)'라고도 불리며, 한족 혈통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한다. 중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사람도 포함될 수 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중국계 사람들이 ()이라고 자신을 부르는데, 이는 특히 동남아시아의 중국인 공동체에서 두드러진다.

2. 4. 국적 또는 법률적 개념

중화인민공화국 국적법은 중화인민공화국 내의 국적을 규정한다. 국적은 부모 중 한 명이 중국 국적일 경우 출생으로 취득하거나, 귀화를 통해 취득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시민이다.[24] 주민 신분증은 중화인민공화국 거주민을 위한 공식 신분증이다. 홍콩 또는 마카오의 영주민에게는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 또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여권이 발급될 수 있다.

중화민국 국적법은 중화민국(타이완) 내의 국적을 규정한다. 국적은 출생 또는 귀화를 통해 취득한다. 부모 중 한 명이 중화민국 국민이거나, 무국적 부모에게서 대만에서 태어난 사람은 출생으로 국적을 취득할 자격이 있다.[25] 국민 신분증은 대만에 호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거주증은 국민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은 중화민국 거주민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중화민국 국적과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간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26]

중화인민공화국(홍콩, 마카오 포함)과 중화민국(타이완)은 모두 중국을 자칭하며, 어느 나라 국적을 가진 사람이든 법적으로 모두 중국인으로 인정하고, 또한 자칭할 수 있다. 이 의미에서는 자치구 등에 거주하는 소수민족(티베트족, 위구르족 등)도 중국인에 포함되지만, 역사적 경위로 인해 중국인으로 불리는 것에 저항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또한,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타이완 지역 주민 중에는 자신을 중국인이 아닌 타이완인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2. 5. 정치적 개념

3. 민족 구성

중국은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다. 중국에는 여러 민족과 다른 인종적 소수 민족이 있으며, 이들은 중국인으로 불린다.[14]

중국사 학자인 박한제(서울대학교)는 중국 인구가 공식 통계에서는 13억 명이지만 실제로는 17억 명이며, 세계 인구(약 70억 명)의 4분의 1이 중국인이라고 지적한다.[41] 반면, 위스콘신대학교의 이부현(易富賢)은 2018년부터 중국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0년 시점에는 약 12억 8000만 명이며, 1억 3000만 명의 과장이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42]

궁와키 준코는 흉노, 선비, , , 의 다섯 유목민이 십육개의 왕국을 세운 오호십육국 시대, 선비가 북위를 건국하여 화북을 통일하고 오호십육국 시대를 끝맺는 등 중국에서는 지배자는 거의 예외 없이 대부분 북아시아 외부에서 왔다고 지적한다. 반면에 지배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국 땅에 머물러 있는 농민들이며, 중국의 땅을 지배하는 사람과 지배받는 사람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한데 묶어서 “중국인”이라고 생각하면 혼란을 초래한다고 지적하고 있다.[43]

3. 1. 한족 (漢族)

중국의 언어 집단 분포도(역사적)


한족(漢族)은 중국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지만, 영어에서는 종종 잘못되게 "중국인" 또는 "중국계"로 불린다.[15][16][17] 한족은 다른 국가에서도 다수 또는 상당한 소수 민족을 형성하며, 세계 인구의 약 18%를 차지한다.[12][13]

현재 정치적 관점에서 중국인은 주요 민족인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중국 국민이 국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표현할 때는 “중화민족”이라는 말이 사용된다. 한족이 인구의 98%를 차지하지만, 북위선비족 지배를 시작으로 이민족 지배가 매우 길었기 때문에 현재의 한족은 혼혈이다. 청나라 시대에는 어떤 민족에도 포함되지 않았던 노농민 인구가 80%였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으로 한족에 편입되어 한족 인구가 다수가 되었다.[40]

3. 2. 소수민족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식적으로 56개의 민족을 인정하고 있다.[14] 인구가 1,000만 명 이상인 5대 소수 민족은 장족, 후이족, 만주족, 위구르족, 묘족이다. 이족, 토가족, 티베트족, 몽골족은 각각 500만 명에서 1,000만 명 사이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아미족은 타이완의 원주민 부족 중 하나이다.


타이완에는 17개의 원주민 부족이 인정되며, 이들은 중국 정부에 의해 '고산족'으로 통칭된다. 고산족은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56개 민족 중 하나이다.[40]

3. 3. 중화민족 (中華民族)

'''중화민족'''(中華民族, 中华民族|Zhōnghuá Mínzú중국어)은 "중국 민족"을 뜻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중국에 거주하는 56개 민족을 모두 포함하는 초민족적 개념이다.[19] 여기에는 근대 이전 중국 영토 내에 거주해 온 기존 민족들이 포함된다.[19]

1911년부터 1949년까지 중화민국 시대에는 다섯 가지 주요 민족을 지칭하는 데 "중화민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20] 이 다섯 민족은 한족, 만주족, 몽골족, 후이족(전체 무슬림에 적용), 티베트족이다.[20]

현재 정치적 관점에서 중국인은 주요 민족인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중국 국민이 국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표현할 때 “중화민족”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4. 역사적 관점

역사적으로 중국 대륙은 다양한 민족의 지배를 받아왔다. 궁와키 준코는 흉노, 선비, , , 의 다섯 유목민이 십육개의 왕국을 세운 오호십육국 시대와 선비족이 북위를 건국하여 화북을 통일하고 오호십육국 시대를 끝맺은 것을 언급하며, 중국의 지배자는 거의 예외 없이 대부분 북아시아 외부에서 왔다고 지적한다.[43] 반면 지배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국 땅에 머물러 있는 농민들이며, 중국 땅을 지배하는 사람과 지배받는 사람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한데 묶어서 "중국인"이라고 생각하면 혼란을 초래한다고 지적한다.[43] 한족이 인구의 98%를 차지하지만, 북위의 선비족 지배를 시작으로 이민족 지배가 매우 길었기 때문에 현재의 한족은 혼혈이다.[40]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족이 중국 대륙을 지배했다.

5. 대만 지역의 민족 구성



타이완(공식 명칭: 중화민국)은 17개의 타이완 원주민 부족과 여러 개의 "신이민" 부족(대부분 중국 본토동남아시아 출신)을 인정한다. 17개의 타이완 원주민 부족 중 16개 부족은 원주민으로 간주되며,[22] 하나는 비원주민(한족 타이완인)으로 간주된다.[23] 타이완에는 인정받지 못한 원주민 부족도 여러 개 있다.

5. 1. 한족계 대만인

타이완에 거주하는 한족인 한족 타이완인은 일반적으로 타이완 정부에 의해 타이완 호로인, 타이완 객가인, 와이성런(外省人)("중국 본토인 타이완인")의 세 주요 민족 집단으로 분류된다.[22] 진먼인과 마쭈인도 중요한 한족 타이완인 집단이다.

타이완 호로인과 객가인은 400년 전부터 복건성과 광동성에서 타이완으로 대규모 이주를 시작했기 때문에(수세기 전부터 소규모 이주는 시작되었다.) 타이완의 "토착" 주민으로 간주된다.[22] 이들은 타이완 표준어로 "벤성런"(本省人, "이성 출신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불린다. 호로 문화를 자기 정체성으로 여기는 사람들은 타이완 전체 인구의 약 70%를 차지하고, 객가인은 약 14%를 차지한다.[22]

한편, 소위 본토인(타이완인)은 대부분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중국 본토에서 타이완으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이다.[22] 이들은 타이완 표준어로 "와이성런"(外省人, "이성 외부 출신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불린다. 본토인(타이완인)은 타이완 전체 인구의 약 14%를 차지한다.[22]

5. 2. 대만 원주민



대만 원주민들은 대만 전체 인구의 약 2%를 차지한다.[22] 이들은 17세기 중국의 타이완 식민지화 이전 최대 6000년 동안 타이완에 거주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타이완 정부는 17개의 원주민 부족을 인정하고 있다.

6. 국적, 시민권 및 거주

중화인민공화국 국적법은 중화인민공화국 내의 국적을 규정한다. 국적은 부모 중 한 명이 중국 국적일 경우 출생으로 취득하거나, 귀화를 통해 취득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시민이다.[24] 주민 신분증은 중화인민공화국 거주민을 위한 공식 신분증이다.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는 각각 홍콩 또는 마카오의 영주민에게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 또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여권이 발급될 수 있다.

중화민국 국적법은 중화민국(대만) 내의 국적을 규정한다. 국적은 출생 또는 귀화를 통해 취득한다. 부모 중 한 명이 중화민국 국민이거나, 무국적 부모에게서 대만에서 태어난 사람은 출생으로 국적을 취득할 자격이 있다.[25]

국민 신분증은 대만에 호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거주증은 국민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은 중화민국 거주민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중화민국 국적과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간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26]

7. 재외 중국인

[27][28][29][30]

재외 중국인은 중국계 혈통 또는 국적을 가진 사람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또는 타이완을 제외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이는 지속적인 중국인 디아스포라(Chinese diaspora)의 결과이다.[31] 한 명 이상의 중국계 조상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을 재외 중국인으로 여길 수 있다.[32] 이러한 사람들은 문화적 동화의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차이나타운으로 알려진 민족 거주지에 재외 중국인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중국계 사람들이 중화인민공화국 또는 중화민국의 시민을 지칭하는 대신 이라고 자신을 부른다.[33] 이는 특히 동남아시아의 중국인 공동체에서 두드러진다. "Zhongguoren"이라는 용어는 사용 면에서 더 정치적이거나 이념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중국 내 많은 사람들이 "Zhongguoren"을 중국 민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타이완의 일부 사람들은 "Zhongguoren"이라고 불리는 것을 거부할 것이다.[5]

중국인들은 예로부터 전 세계 각지로 이민을 반복해 왔으며, 주요 도시들에서는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어 있다. 현대에는 북미호주로의 이민이 두드러지며, 현지에서의 로비 활동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의 국제적인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

8. 유전자

중국인(한족)의 Y염색체 해프로그룹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요 하플로그룹과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비율
O1a(M119)11.3%
O1b1a1(PK4)6.4%
O1b1a2(Page59)3.3%
O1b2(P49)0.5%
O2a1a(F1876)2.6%
O2a1b(IMS-JST002611)15.0%
O2a2a(M188)4.8%
O2a2b1a1(M117)16.7%
O2a2b1a2(F114)12.1%
O2a2b2(F3223)3.1%
O2b(F742)1.3%
C1b(F1370)0.14%
C2a(L1373)0.9%
C2b1(F2613)8.3%
C2b2(CTS4660)0.29%
D1a1a1a(N1)1.4%
D1a1a1b(F1070)0.5%
D1a1b(P47)0.2%
J1(L255)0.11%
J2(M172)0.31%
N1a(F1206)2.9%
N1b(F2930)3.8%
Q1a1a1(M120)2.4%
Q1a2(M346)0.14%
R1a1(M459)0.6%
R1b1(L278)0.22%


참조

[1]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Themes, Variations and Reservations
[2] 웹사이트 中国人 https://www.zdic.net[...] 2022-03-27
[3] 웹사이트 https://cwn.ling.sin[...] 2022-10-01
[4] 백과사전 http://www.hup.harv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04-01
[5] 서적 Language, Politics and Identity in Taiwan: Naming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1-20
[6] 웹사이트 https://www.cia.gov/[...] 2021-02-13
[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6-01-01
[8] 서적 The Republic of China Yearbook 2014 http://www.ey.gov.tw[...]
[9] 보고서 2016 Population By-census – Summary Results http://www.bycensus2[...]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2016-02-01
[10] 보고서 2016 Population By-Census Detailed Results https://www.dsec.gov[...] Statistics and Census Service 2017-05-01
[11] 보고서 Population By-Census
[12] 논문 Genetic Studies of Human Diversity in East Asia 2007-02-22
[13] 논문 Ancient DNA Reveals That the Genetic Structure of the Northern Han Chinese Was Shaped Prior to three-thousand Years Ago
[14] 백과사전 Chinese Merriam-Webster
[15] 웹사이트 Who are the Chinese people? http://www.huayuqiao[...] 2021-09-06
[16] 백과사전 Han Merriam-Webster
[17] 서적 Learning to Be Tibetan: The Construction of Ethnic Identity at Minzu Lexington Books
[18] 논문 Reinventing China: Imperial Qing ideology and the rise of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webspace.ute[...] Sage
[19] 웹사이트 Brief Introduction Chinese nationality https://web.archive.[...]
[20]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서적 China Since 1919: Revolution and Reform: a Sourcebook Psychology Press
[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aiwan (Republic of China) Rowman & Littlefield
[23] 웹사이트 About Taiwan https://www.taiwan.g[...]
[2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rticle 33) http://english.peopl[...] 1982-05-02
[25] 웹사이트 Nationality Act http://law.moj.gov.t[...] 2006-01-27
[26] 웹사이트 Nationality Act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Chinatown Melbourne http://chinatownmelb[...]
[28] 웹사이트 Melbourne's multicultural history http://www.melbourne[...] City of Melbourne
[29] 웹사이트 World's 8 most colourful Chinatowns http://matadornetwor[...]
[30] 웹사이트 The essential guide to Chinatown https://www.melbourn[...] Food + Drink Victoria
[31] 서적 Overseas Chinese, Ethnic Minorities and Nationalism: De-Centering China Routledge
[32] 서적 A Matter of Honour: Being Chinese in South Africa Lexington Books
[33] 서적 Contemporary Southeast Asia Palgrave Macmillan
[34] 웹사이트 国家统计局:2023年中国出生人口902万人 https://www.chinanew[...]
[35] 웹사이트 国家统计局:2023年中国出生人口902万人 https://www.chinanew[...]
[36] 웹사이트 2016年香港中期人口統計 http://www.bycensus2[...] 2017-05-10
[37] 웹사이트 2018年澳門人口統計 https://www.dsec.gov[...] 2018-11
[38] 논문 The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nferred from genome-wide SNP dat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Ainu and the Ryukyuan populations https://www.nature.c[...] 2012-12
[39] 웹사이트 記者会見「日本列島3人類集団の遺伝的近縁性」 https://www.u-tokyo.[...] 2021-11-08
[40] 서적 中華人民共和国
[41] 뉴스 《大唐帝國的遺產》:中華人民共和國的繼承與「中華民族」的真相 https://www.thenewsl[...] 関鍵評論網 2020-09-18
[42] 뉴스 中国、3年前から減少 https://www.nikkei.c[...] 2023-03-28
[43] 서적 世界史のなかの蒙古襲来 扶桑社 2021-12-22
[44] 서적 いま中国人は中国をこう見る
[45] 논문 Genetic structure, divergence and admixture of Han Chinese, Japanese and Korean populations 2018-04-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