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부는 한국, 중국, 일본의 궁중에서 사용된 여성 신분에 대한 용어이다. 조선 시대의 명부는 내명부와 외명부로 나뉘며, 내명부에는 후궁과 궁녀가, 외명부에는 왕족, 종친, 대신의 부인들이 속했다. 중국의 명부 역시 내명부와 외명부로 구분되며, 황제의 측실과 궁녀, 그리고 남편의 직위에 따라 작위를 받는 여성들이 포함되었다. 일본의 명부에 대한 내용은 본문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명부의 복식은 각 나라와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부 | |
|---|---|
| 명부 (命婦) | |
| 정의 | 조선시대 궁중 여성의 품계 제도 |
| 설명 | 정경부인에서 종9품까지의 품계를 받은 여성 남편의 품계, 본인의 공훈, 왕실과의 관계 등에 따라 결정 |
| 품계 | |
| 정1품 | 정경부인: 왕비의 어머니, 왕세자빈의 어머니, 종친의 부인 숭록대부 이상의 품계를 받은 남편의 부인 |
| 종1품 | 정부인: 공신의 부인, 왕의 외척 자헌대부의 품계를 받은 남편의 부인 |
| 정2품 | 숙부인: 정1품, 종1품을 제외한 종친의 부인, 공신의 부인 가정대부의 품계를 받은 남편의 부인 |
| 종2품 | 숙인: 정2품을 제외한 공신의 부인, 대군의 부인 중직대부의 품계를 받은 남편의 부인 |
| 정3품 | 정부인: 판서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당상관의 품계를 받은 남편의 첩 |
| 종3품 | 인의: 승정원의 승지, 육조의 참의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정4품 | 공인: 사헌부의 장령, 사간원의 헌납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종4품 | 의인: 경연청, 홍문관, 예문관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정5품 | 순인: 승문원의 교리, 성균관의 직강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종5품 | 안인: 춘추관의 기주관, 세자시강원의 보도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정6품 | 온인: 종부시의 주부, 사옹원의 봉사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종6품 | 유인: 군기시의 판관, 사복시의 사승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정7품 | 전인: 상의원의 직장, 세자익위사의 부솔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종7품 | 혜인: 내자시의 주부, 선공감의 감역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정8품 | 수인: 사재감의 봉사, 군자감의 사세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종8품 | 단인: 빙고의 별검, 양현고의 직장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정9품 | 성인: 액정서의 사약, 사섬시의 사승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종9품 | 정인: 관상감의 산술, 전의감의 의학 이상의 관직을 가진 남편의 부인 |
| 역할 | |
| 궁중 의례 참여 | 각종 궁중 행사 및 의례에 참여 |
| 왕실 여성 보필 | 왕비, 대비, 세자빈 등 왕실 여성을 보필 |
| 궁중 생활 관리 | 궁녀 관리, 궁중 재산 관리 등 궁중 생활 전반 관리 |
| 참고 사항 | |
| 품계 변화 | 남편의 품계 상승 또는 본인의 공훈에 따라 품계가 올라갈 수 있음 |
| 예우 | 품계에 따라 의복, 장신구, 거주 공간 등에 차등을 둠 |
2. 조선의 명부
조선 시대 여성의 신분 제도는 크게 궁궐 안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명부(內命婦)와 궁궐 밖 왕족 및 관리의 아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외명부(外命婦)로 나뉜다. 각 제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내명부
내명부(內命婦)는 궁궐 내에서 품계를 받은 여성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크게 후궁(後宮)과 궁녀(宮女)로 나뉜다.2. 1. 1. 후궁
2. 1. 2. 궁녀
궁녀(宮女)는 내명부(內命婦)에 속하는 여성들을 지칭한다. 각국의 궁녀에 대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
- 중국
- 일본
2. 2. 외명부
외명부(外命婦)는 왕족 여성 및 종친과 문무 관리의 아내에게 주어진 봉작 또는 그 봉작을 받은 여인을 가리킨다.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관련 제도를 찾아볼 수 있다.외명부는 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의친녀(議親女): 왕의 딸이나 가까운 여성 친족. 예시로 공주(公主), 궁주(宮主), 옹주(翁主), 군주(郡主), 현주(縣主), 택주(宅主), 부부인(府夫人: 왕비의 어머니) 등이 있다.
- 종친처(宗親妻): 종친의 아내.
- 대신처(大臣妻): 문무 관리의 아내.
종친처와 대신처의 구체적인 칭호는 아래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2. 1. 왕족 및 종친의 처
외명부(外命婦)에 속하는 종친처(宗親妻)는 다음과 같다.2. 2. 2. 문무 관리의 처
문무 관리의 처는 외명부(外命婦)에 속하며, 남편인 문무 관리의 품계에 따라 봉작(封爵)을 받았다. 이를 대신처(大臣妻)라고도 부른다. 주요 칭호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명부 제도는 궁궐 내외 여성에게 주어지는 작위와 지위를 규정하는 제도였다. 이는 크게 궁궐 안에 거주하며 황실을 직접 보좌하는 내명부와 궁궐 밖에 거주하는 왕족 및 고위 관료의 여성 가족에게 주어지는 외명부로 나눌 수 있다. 청나라 시기에는 이를 각각 내정 부인(內廷夫人|네이팅 푸런zho)과 외정 부인(外廷夫人|와이팅 푸런zho)으로 칭하기도 했다.[2]
3. 중국의 명부
내명부에는 주로 황제의 배우자인 후궁과 궁중 업무를 담당하는 궁녀 등이 포함되었으며, 외명부에는 황족 여성이나 종친, 고위 관리의 아내 및 어머니 등이 속했다. 작위는 남편이나 아들의 지위에 따라 정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정 공로나 관계에 따라 특별한 칭호가 부여되기도 했다.[1][5]
3. 1. 청나라의 명부
청나라의 명부(名妇|밍푸zho)는 궁궐 내에서 활동하는 '내정 부인'과 궁궐 밖의 '외정 부인'으로 나뉘었다. 내정 부인은 주로 황제의 측실을 보좌하는 시녀들이었고, 외정 부인은 황제 측실의 어머니나 자매, 유모, 방계 친족 여성 등이었다.[2] 일반적으로 명부의 작위는 남편의 직위에 따라 정해졌으며, 가족이나 자녀의 공적에 따라 승격될 수도 있었다.[1]
궁정 여인에게는 다음과 같은 주요 칭호들이 부여되었다.
그 외에도 특정 공로나 역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작위가 수여되기도 했다. 주로 황제의 유모에게 주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 작위 | 수여자 | 관련 인물 및 비고 |
|---|---|---|
| 부충용 부인(傅忠勇夫人zho) | 나라 탕얼 부인 | 푸헝의 아내, 푸캉안의 어머니. 건륭제가 푸캉안의 공로를 기려 특별히 "푸진(福晉)"으로 승격시킴.[6] |
| 좌성 부인(佐圣夫人zho) | 예헬리 부인 | |
| 우성 부인(佑圣夫人zho) | 리기야 부인 | 만두리의 아내, 순치제의 유모.[7] |
| 보성 부인(宝圣夫人zho) | 과이갸 부인 | 투커산의 아내, 강희제의 유모. 효장문황후가 직접 수여.[8] |
| 봉성 부인(奉圣夫人zho) | 부리 부인 | 정황기 경차도위 사크다 바살리의 아내, 순치제와 강희제의 유모.[9][10] 공작 부인과 동등한 지위.[11] |
| 순선 부인(顺善夫人zho) | 왕 부인 | 옹정제의 유모. |
| 공근 부인(恭勤夫人zho) | 사 부인 | 옹정제의 또 다른 유모. |
| 안근 부인(安勤夫人zho) | 류 부인 | 옹정제의 세 번째 유모.[12] |
| 온숙 부인(温淑夫人zho) | 동 부인 | 건륭제의 유모.[13] |
3. 1. 1. 내명부
내명부(內命婦)는 궁궐 안에 거주하는 왕족 여성과 궁녀 등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주로 왕의 배우자인 왕비와 후궁, 그리고 궁중에서 일하는 여성 관원인 궁녀로 구성된다.[1][2]중국 청나라에서는 명부(名妇|밍푸zho) 제도가 있었으며, 이는 '내정 부인'과 '외정 부인'으로 나뉘었다. 내명부에 해당하는 내정 부인은 황제의 측실들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시녀 등을 포함했다. 예를 들어, 효장문황후의 측근이었던 수말라구가 내정 부인의 사례이다. 황제 측실의 여성 시녀들은 자신이 모시는 측실의 지위에 따라 명부 작위를 받았다. 때로는 황실 공주에게만 사용되는 칭호인 "거거(格格)"라고 불리기도 했다.[2] 황실 장군의 부인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고위 내정 명부들은 황실 의례, 황자 및 황녀의 혼례 등 여러 의식을 주관했으며, 하위 명부들은 이들을 보좌했다.
궁녀는 근무지에 따라 '건청궁 궁녀'와 '자녕궁 궁녀'로 나뉘었다. 건청궁 궁녀는 황제와 황제의 측실들을 보좌했으며, 다음과 같은 작위를 받았다:[3]
| 작위 | 품계 | 인원 |
|---|---|---|
| 숙의부인(淑义夫人zho; 덕망이 있는) | 2품 명부 상당 | 1명 |
| 완시부인(婉侍夫人zho; 온순하고 참을성 있는) | 3품 명부 상당 | 6명 |
| 유완부인(柔婉夫人zho; 온화하고 온순한) | 4품 명부 상당 | 30명 |
| 방완부인(方婉夫人zho; 정직하고 온순한) | 4품 명부 상당 | 30명 |
자녕궁 궁녀는 태황태후, 황후, 황태후를 보좌했으며, 다음과 같은 작위를 받았다:[4]
| 작위 | 품계 | 인원 |
|---|---|---|
| 정용부인(贞容夫人zho; 정숙하고 관대한) | 2품 명부 상당 | 1명 |
| 신용부인(慎容夫人zho; 신중하고 관대한) | 3품 명부 상당 | 2명 |
3. 1. 2. 외명부
외명부는 내명부와 함께 조선시대 여성에게 주어진 품계 및 작위를 통칭하는 명부 제도의 일부로, 주로 왕족 여성과 종친 및 문무대신(文武大臣)의 아내에게 주어졌다. 한국 외에도 중국, 일본에도 유사한 제도가 있었다.한국의 외명부는 크게 의친녀(議親女), 종친처(宗親妻), 대신처(大臣妻)로 구분된다.
| 구분 | 대상 | 주요 작위 |
|---|---|---|
| 의친녀(議親女) | 왕의 적녀 및 서녀, 왕세자의 적녀 및 서녀, 대군의 적녀 등 왕실 여성 | 공주(公主), 궁주(宮主), 옹주(翁主), 군주(郡主), 현주(縣主), 택주(宅主), 부부인(府夫人: 왕비의 어머니) 등 |
| 종친처(宗親妻) | 종친(왕의 친족)의 아내 | 국대부인(國大夫人), 국부인(國夫人), 부부인(府夫人: 대군의 아내), 군부인(郡夫人), 현부인(縣夫人) 등 |
| 대신처(大臣妻) | 문무대신의 아내 | 국대부인(國大夫人), 국부인(國夫人),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 숙부인(淑夫人) 등 |
외명부 작위는 기본적으로 남편의 직위에 따라 주어졌으며, 가족 구성원이나 자녀가 관직에 오르거나 귀족 작위를 받으면 승격될 수 있었다. 8, 9품 관리의 부인까지 외명부 작위를 받을 수 있었다. 이혼한 경우에도 자매나 딸이 황실의 후궁일 경우에는 작위를 유지하기도 했다.[1]
중국의 경우, 청나라 시대에는 황족이 아닌 공신이나 귀족의 아내와 어머니에게 황실 공주나 왕비에게 주어지는 작위인 "복진(福晉)"을 특별히 부여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푸캉안의 어머니 나라 부인과 아내 이르겐 기오로 부인이 "푸진"으로 불린 사례가 있다. 이들은 황실 족보인 옥첩(玉牒)에는 이름이 오르지 않았지만, 황실 공작 부인과 유사한 대우를 받았다.[1] 중국 외명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4. 일본의 명부
- 일본의 후궁
- 일본의 궁녀
- 일본의 외명부
5. 명부의 복식
명부는 세 개의 보석으로 장식된 판과 하나의 산호로 구성된 꼭대기 장식, 불타는 구슬을 쫓는 금색 용이 수놓아진 실크 밴도(bandeaus)를 착용했다. 엄숙한 의식에서는 파란색 바탕의 조복(朝服, chaofu)을 입었다. 명부는 황실 공작부인이나 씨족 여인들과는 달리, 꽃이나 상서로운 상징의 둥근 장식이 있는 외투와 금색 머리띠를 착용할 수 없었다. 방계 씨족 여인들은 장엄한 바다 물결 무늬(lishui) 위에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이 솟아오르는 문양이 있는 외투와 옷에 펜던트처럼 고정하는 흰색의 뾰족한 손수건인 차이수이(caishui)를 착용할 수 있었다. 관료의 아내는 남편의 관복과 유사한 형태의 소매 없는 조끼와 명나라 스타일의 티아라를 착용했으며, 이는 조상들의 초상화에서도 묘사되어 있다.[14]
참조
[1]
서적
《清实录》/ "Chronicles of Qing".
[2]
서적
康熙皇帝一家/ "Home of Kangxi Emperor"
学苑出版社. Xueyuan Typography
[3]
서적
Calendarium of Kangxi era
[4]
서적
皇后那拉氏/ "Empress of the Nara clan"
[5]
서적
最爱读国学系列:弟子规·增广贤文·声律启蒙·幼学琼林 / "Anthology of politic science studies: Social, historical, cultura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view"
四川文艺出版社/Sichuan typography
2015-06-13
[6]
서적
《清实录》/ "Chronicles of Qing"
[7]
서적
《昌瑞山万年统志·卷5·山川》/"1000 years of the Settlement in the Changrui mountains", Volume 5, "Valleys and mountains"
[8]
서적
Yongzheng era "八旗通志初集"
[9]
서적
《辉发萨克达氏家谱》/"Genealogy of Sakda clan"
[10]
서적
满洲皇帝与保母 / "Nursemaids of Manchu emperors"
中国人民大学清史研究所网/State University Typography
[11]
웹사이트
再论清代皇室之乳保-中国社会科学网
http://www.cssn.cn/z[...]
2020-10-03
[12]
서적
續修四庫全書提要/"Studying Siku Quanshu"
臺灣商務印書館
[13]
서적
《溫淑夫人碑》/ "Letter of Madam Wenshu"
[14]
서적
Illustrated precedents of the ritual paraphernalia of the imperial cou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