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리스 비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스 비숍은 1944년 아루바에서 태어나 그레나다에서 성장한 정치인으로, 1979년 쿠데타로 총리에 취임하여 인민혁명정부를 이끌었다. 그는 쿠바 등 공산권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1983년 당내 파벌 간의 갈등으로 가택 연금되었다가 석방 시도 중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의 사망 이후 미국은 그레나다를 침공하여 혁명 군사 평의회를 붕괴시켰다. 비숍은 제3세계 민족 해방 운동의 지도자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권위주의적 통치와 친소련 정책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현재 그레나다의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가 - 넬슨 만델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을 이끌고 27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석방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이 되어 국민 화합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혁명가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 반수정주의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반수정주의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스탈린주의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은 쿠바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당 대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다양한 대중 조직과 연계하여 정책을 전파하고 국제적으로는 좌파 정권 지원과 쿠바 의료 국제주의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스탈린주의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모리스 비숍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모리스 비숍 (1982년 6월 11일, 작센, 동독)
이름모리스 루퍼트 비숍
출생일1944년 5월 29일
출생지아루바, 퀴라소 속령
사망일1983년 10월 19일
사망 장소포트 루퍼트, 세인트조지스 (그레나다)
사망 원인총살형
배우자안젤라 레드헤드 (1966년 결혼)
파트너재클린 크레프트
아버지루퍼트 비숍
어머니알리멘타 비숍
자녀존 (1967년 출생)
나디아 (1969년 출생)
블라디미르 (1977년–1994년)
교육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직위
직책그레나다의 총리
정부그레나다 인민혁명정부
명예 호칭각하
부총리버나드 코어드
군주엘리자베스 2세
이전 총리에릭 게리 경
다음 총리버나드 코어드
소속 정당신보석운동
재임 시작1979년 3월 13일
재임 종료1983년 10월 16일
총독폴 스쿤 경 (권한 제한적)

2. 초기 생애 및 교육

모리스 루퍼트 비숍(eng)은 1944년 5월 29일, 당시 네덜란드령 쿠라카오 영토(Territory of Curaçao)의 일부였던 아루바 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인 루퍼트(Rupert)와 알리멘타(Alimenta) 비숍은 그레나다 북동부 출신이었다. 아버지 루퍼트는 하루 수입이 5펜스에 불과할 정도로 경제적으로 어려웠고, 1930년 말 더 나은 삶을 찾아 아내와 함께 아루바로 이주하여 정유 공장에서 일했다.[2]

비숍은 두 누나 앤(Ann), 모린(Maureen)과 함께 아루바에서 자라다가, 6세가 되던 1950년에 아버지를 따라 그레나다로 돌아왔다. 가족은 수도 세인트조지스에 작은 소매점을 열었다.[2] 그는 웨슬리안 초등학교에 잠시 다니다가 로마 가톨릭계 세인트조지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로 옮겼다.[3] 어린 시절부터 키가 컸던 그는 이 때문에 놀림을 받기도 했다. 외아들이었던 비숍에게 아버지는 학업적으로 매우 엄격하여 항상 완벽한 성적을 요구했다.[2]

중등 교육 과정에서는 정부 장학금을 받아 로마 가톨릭계 학교인 프레젠테이션 브라더스 칼리지에 진학했다.[4] 학창 시절 그는 학생회장, 토론 클럽 회장, 역사 연구 그룹 회장을 맡았으며, 교내 신문 ''학생의 목소리(Student Voice)'' 편집과 스포츠 활동에도 참여했다. 비숍 스스로 "여기서 저는 정치, 역사, 사회학에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라고 회상할 정도로 이 시기부터 사회 문제에 눈을 떴다.[2] 그는 1958년 결성된 서인도 제도 연방과 카리브해 민족주의를 열렬히 지지했으며, 특히 1959년 쿠바 혁명에 큰 감명을 받았다. 그는 훗날 "우리에게는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의 용기와 전설적인 영웅주의로 귀결됩니다. ...쿠바 혁명의 이러한 측면을 가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줄리어스 니에레레프란츠 파농의 저작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2]

1962년 졸업 직전, 비숍은 성공회 그레나다 보이스 세컨더리 스쿨 출신의 버나드 코아드와 함께 '진실을 위해 싸우는 그레나다 청년 집회(Grenada Assembly of Youth Fighting for Truth)'를 결성했다. 이 조직은 섬 청년들의 정치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시사 문제에 대한 토론을 활발히 벌였고, 매주 금요일 세인트조지스 중앙 광장에서 공개 토론을 열었다. 비숍은 뛰어난 카리스마와 연설 능력, 재치 있는 유머로 주변의 인정을 받았다.[3] 그는 1962년 "뛰어난 학업 능력과 전반적인 능력"을 인정받아 교장상 금메달을 받고 졸업했다.[4]

1963년 12월, 19세의 비숍은 법학을 공부하기 위해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런던대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도 수학하며 흑인 민족 해방 운동(Black Power movement)을 깊이 연구했다. 유학 중 학비를 벌기 위해 우편 배달부나 채소 포장공으로 일하기도 했다. 1966년에는 그레이즈 인에서 법학사 학위를 취득했다.[4]

런던 유학 시절 비숍은 활발한 사회 및 정치 활동에 참여했다. 1963년부터 1966년까지 홀본 칼리지 학생회장을, 1967년에는 로열 칼리지 학생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그레나다의 역사, 특히 반영국적 노예 반란 지도자 쥘리앙 페돈(Julien Fédon)과 1795년 봉기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영국의 서인도 제도 상임 회의(WISC)와 인종차별 반대 운동(CARD)에 참여했으며, 사회주의 국가인 체코슬로바키아와 독일 민주 공화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이 시기 그는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 마오쩌둥의 저작을 공부했으며, 특히 줄리어스 니에레레우자마 사상과 1967년 아루샤 선언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4]

1967년부터 1969년까지 "그레나다의 헌법 발전"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준비했으나, 1951년 그레나다 소요 사태에 대한 해석 차이로 지도 교수와 갈등을 겪어 완성하지 못했다. 1969년 법학 학위를 받은 후, 런던 노팅힐 게이트에 서인도 제도 공동체를 위한 법률 지원 사무소를 공동 설립하여 자원봉사 활동을 했다. 당시 그의 주 수입원은 세무 조사관으로 일하는 공무원직이었다.[3] 영국 유학 중에도 비숍은 그레나다의 친구들과 서신을 교환하며, 귀국 후 변호사 활동을 잠시 접고 섬의 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조직을 만들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2]

3. 그레나다 귀국 및 정치 활동

1970년 12월 그레나다로 돌아온 비숍은 세인트조지스 종합병원에서 파업 중인 간호사들을 변호하며 환자 처우 개선 운동에 참여했다. 이 일로 파업 지지자 30명과 함께 체포되었으나, 7개월간의 재판 끝에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다.[3] 1972년에는 마르티니크에서 열린 해방 운동 전략 회의 조직에 기여했다. 율리우스 니에레레의 철학과 탄자니아식 사회주의는 비숍이 1972년 선거 이후 조직한 국민회의운동(MAP, Movement for Assemblies of the People)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 비숍과 공동 창립자인 케너릭 래딕스, 자클린 크레프트는 광범위한 국정 참여를 위해 마을 중심의 대중 기관 건설을 목표로 MAP를 이끌었다.[2]

1973년 1월, MAP는 복지, 교육, 해방을 위한 공동 노력(JEWEL, Joint Endeavor for Welfare, Education and Liberation) 및 혁명적 교육 및 해방을 위한 조직(OREL, Organization for Revolutionary Education and Liberation)과 통합하여 새로운 보석 운동(NJM, New Jewel Movement)을 결성했다. 비숍과 JEWEL의 창립자 유니슨 화이트맨이 NJM의 공동 조정 간사로 선출되었다.[2][5]

당시 그레나다 총리였던 에릭 게일리는 영국, 프랑스 등 해외 자본과 결탁하여 노동 운동을 탄압했으며, 자신의 취약한 지지 기반을 보강하기 위해 지역 갱단을 동원한 몽구스 갱을 정치깡패로 활용하여 사회 운동가들을 탄압했다.

1973년 11월 18일, 비숍을 포함한 NJM 지도부는 그레나빌의 사업가들과 만나기 위해 이동하던 중, 이너센트 벨마르 부경찰청장이[6] 이끄는 경찰과 몽구스 갱에게 습격당했다. 비숍을 포함한 9명이 체포되어 심하게 구타당했으며,[7] 투옥 중 수염이 강제로 깎이자 비숍의 부러진 턱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 사건은 그레나다에서 "피의 일요일"[8][3]로 알려지게 되었다.

1974년 1월 21일, 비숍은 게일리 총리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에 참여했다. 시위대가 오트웨이 하우스로 돌아올 때 게일리의 보안군이 돌과 병을 던지고 최루탄을 발사하며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비숍의 아버지 루퍼트 비숍은 여성과 어린이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던 중 오트웨이 하우스 입구에서 등에 총을 맞고 사망했다.[9] 범인들은 게일리의 지시를 받고 NJM과 비숍 가족에 대한 테러를 자행한 몽구스 갱 단원들이었다.[10] 이날은 "피의 월요일(Bloody Monday)"[11]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탄압을 겪으며 비숍은 NJM이 도시 노동조합이나 게일리에게 충성하는 농촌 주민들에게 영향력이 부족하다는 현실을 깨닫고, 선전 활동과 반정부 시위 동원에서 당 조직 및 세포 조직 강화로 전략의 초점을 옮겼다.[2]

1974년 2월 6일, 그레나다 독립국 선포 전날, 비숍은 무장 반정부 음모 혐의로 다시 체포되어 포트 조지 감옥에 수감되었다. 경찰은 그의 집에서 무기, 탄약 등과 함께 게일리 암살 계획 및 게릴라 캠프 설립 계획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비숍은 이틀 후 보석으로 풀려나 잠시 미국으로 피신했다. 1974년 3월 29일에는 가이아나에서 열린 전아프리카인 의회(Pan-African Congress) 지역 운영위원회 회의에 참석했으며, 변호사 활동도 계속하여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인 관광객 살해 혐의를 받은 데스몬드 트로터와 로이 메이슨을 변호했다.[12]

1976년, 비숍은 1976년 그레나다 총선에서 세인트 조지 사우스이스트 지역구 의원으로 그레나다 의회에 진출했다. 그는 1979년까지 그레나다 하원에서 그레나다 야당 대표를 역임하며,[13] 위협과 협박,[10][14][15] 부정 선거[16][17]를 통해 권력을 유지하던 게일리 총리와 그의 그레나다 연합노동당(GULP) 정부에 맞섰다. 1977년 5월에는 NJM 지도자로서 유니슨 화이트맨과 함께 쿠바 인민친선연구소(ICAP)의 초청으로 쿠바를 처음 방문했다.[3]

4. 총리 재임 (인민혁명정부)

1979년 모리스 비숍과 그의 정당 뉴주얼 운동(New Jewel Movement, NJM)은 당시 유엔 연설을 위해 해외에 나가 있던 총리 에릭 게일리를 쿠데타로 축출하고 인민혁명정부(People's Revolutionary Government, PRG)를 수립했다. 게일리는 집권 시절 영국 및 프랑스 등 해외 자본과 결탁하여 노동 운동을 탄압하고, 지역 갱단을 동원해 사회 운동가를 탄압하는 등 부정부패와 권위주의로 비판받았기에, 비숍의 쿠데타는 많은 그레나다 국민과 해외로부터 환영받았다.

비숍은 쿠데타 성공 직후 스스로 그레나다 총리가 되었으며, 기존 헌법을 정지시키고 의회를 해산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다. 비숍은 서구식 민주주의를 "살인을 방관하는 제도"라고 비판하며, 쿠바식 혁명 독재 체제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34] 그는 풀뿌리 민주주의와 노동자 평의회를 추구한다고 밝혔으며, 여성, 농민, 청년, 노동자, 민병대 등 자발적인 대중 조직의 설립이 선거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선거가 외세의 자금 개입으로 조작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20] 비숍은 표현의 자유보다 일자리, 적절한 주거, 좋은 식사와 같은 기본적인 인권 보장이 더 중요하며, 이것이 다수에게 처음으로 보장되는 것이 진정한 민주주의라고 역설했다.[21]

1982년 독일 민주 공화국 바우첸에서의 비숍


1982년 동베를린에서


인민혁명정부는 여러 사회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노동자 권리, 여성 권리, 인종 차별 및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투쟁을 핵심 원칙으로 삼았다.[18] 전국 여성 단체를 결성하여 정책 결정에 참여하도록 했고, 주요 직책 여성 할당제, 남녀동일임금법, 유급 출산휴가제를 도입했으며 성차별을 불법화했다.[2] 교육법과 공공의료법을 제정하여 교육비와 의료비 전액을 국가가 부담하게 했고, 무료 공공 의료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각 지역에 진료소와 국영 탁아소를 건설했다. 이러한 개혁을 통해 집권 기간 동안 실업률은 50%에서 14%로, 문맹률은 35%에서 5%로 크게 감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5][22][23]

그러나 비숍 정부는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고 언론과 야당을 억압했다.[2] 인민혁명군(PRA)을 창설했는데, 일각에서는 군대가 자원 낭비이며 정치 반대파 구금 등 인권 침해에 동원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9] 경제적으로는 의료, 교육, 관광 사업의 근대화를 시도하고 집단 농장 도입과 여러 산업 부문의 국유화를 추진했지만, 경제 성장은 침체된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관광 산업 활성화에는 어려움을 겪었다.[6]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섬 남단에 새로운 국제공항 건설을 추진했다.[6][24] (2009년 이 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 모리스 비숍 국제공항으로 명명되었다.)

정부 내 권력 투쟁도 심화되어, 1983년 10월 14일 비숍은 부총리였던 버나드 코드를 지지하는 군부 세력에 의해 가택 연금되었다. 지지자들의 시위로 잠시 풀려났으나, 군 총사령부에서 다시 체포되어 같은 날 지지자 7명과 함께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 이후 허드슨 오스틴 장군을 중심으로 한 혁명 군사 평의회가 권력을 장악했다.

4. 1. 외교 정책

1979년 쿠데타로 집권한 직후, 모리스 비숍은 쿠바와 국교를 수립하였다.[34] 또한 쿠바의 지원을 받아 포인트 살린 국제공항(Point Salines Airport) 건설을 추진했다. 비숍이 이끈 인민혁명정부(PRG)는 쿠바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 및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이는 그레나다를 사회주의 국가로 변화시키려는 비숍 정부의 목표와 맞닿아 있었다. 이러한 친공산권 외교 노선은 당시 냉전 체제 하에서 미국과의 긴장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5. 체포 및 처형

1983년 9월, 인민혁명정부(PRG) 지도부 내에서 버나드 코아드(Bernard Coard) 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파벌과 모리스 비숍 총리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코아르 파벌은 비숍에게 권력을 분점하거나 총리직에서 사퇴할 것을 요구했다.[26] 비숍은 이를 거부했고, 결국 코아르 파벌은 인민혁명군(PRA)과 손잡고 1983년 10월 13일 비숍을 가택 연금 상태에 두었다.[25]

비숍의 가택 연금 소식은 광범위한 대중 시위를 촉발했다. 그레나다 인구 약 10만 명 중 최대 3만 명이 거리로 나와 비숍의 석방과 복귀를 요구했으며, 일부 비숍 경호원들도 시위에 동참했다. 이러한 대중적 지지에도 불구하고, 비숍 자신은 코아르 파벌의 강경한 의도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한 기자에게 "나는 죽은 목숨이다"라고 말하며 비관적인 전망을 내비치기도 했다.[26]

10월 19일, 시위대는 마침내 비숍을 가택 연금에서 해방시켰다. 비숍은 지지자들과 함께 당시 포트 루퍼트(현 포트 조지)에 위치한 군 본부로 이동하여 그곳을 장악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코아르의 지시에 따라 포트 프레데릭에서 파견된 군대가 즉각 반격에 나섰고, 포트 루퍼트를 다시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비숍과 그의 측근인 내각 장관 7명이 체포되었다.

체포 직후, 4명으로 구성된 인민혁명군(PRA) 총살대는 포트 루퍼트 안뜰에서 비숍과 다른 체포된 이들을 기관총으로 사살했다. 비숍의 시신은 이후 잔혹하게 훼손되었으며, 다른 시신들과 함께 칼리비니 반도의 군 캠프로 옮겨져 구덩이에서 소각 처리되었다. 이들의 유해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27][28]

비숍의 사망 이후, 허드슨 오스틴(Hudson Austin) 장군이 이끄는 혁명 군사 평의회가 그레나다의 실권을 장악했다.

6.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

1983년 10월 14일 모리스 비숍이 처형된 후, 허드슨 오스틴 장군을 수장으로 하는 혁명 군사 평의회가 실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비숍 처형 6일 후, 미국은 "그레나다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들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군사 침공을 감행했다.[36] 이 침공으로 혁명 군사 평의회는 붕괴되었고, 이후 버나드 코드, 허드슨 오스틴 등 비숍 살해에 연루된 관계자들이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코드와 오스틴은 1986년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2007년 재심을 통해 형이 추가로 감형되었다. 오스틴은 2008년, 코드는 2009년에 각각 석방되었다. 미국의 침공으로 인해 혁명 정부가 추진했던 사회 변혁 정책들은 모두 폐지되었다.

7. 유산

그레나다 혁명의 깃발, 그레나다 국립 박물관 소장


모리스 비숍은 집권 기간 동안 교육, 식량, 의료, 주거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를 추진했다. 그는 소비에트 연방의 제도를 참고하여 주요 직책 여성 할당제, 남녀동일임금법, 출산휴가제도 등을 도입했다. 또한 교육법과 공공의료법을 제정하여 의료비와 교육비를 국가가 부담하도록 했으며, 각 지역에 진료소와 국영 탁아소를 건설했다. 의료, 교육 및 관광 사업의 근대화를 실시하고 국민 건강 보험 제도를 도입하여, 당시 50%에 달했던 실업률은 14%로, 35%에 달했던 문맹률은 5%로 낮아지는 성과를 거두었다.[35]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언론과 야당 탄압을 동반하며 빠르게 진행되었다. 비숍은 쿠데타 직후 선거 없이 총리가 되었으며, 의회를 해산하고 집권 기간 동안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다. 그는 서구식 민주주의를 "살인을 방관하는 제도"라고 비판하며[34], 쿠바식 혁명 독재 체제 구축을 시도했다. 통치는 폴리트뷰로(Politburo)와 뉴 주얼(New Jewel) 당의 당 조직 장악에 집중되었으며, 그레나다를 사회주의 국가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쿠바, 소비에트 연방 및 기타 동구권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경제적으로는 여러 산업 부문의 국유화집단 농장 도입을 시도했으나, 경제 성장은 침체되었다.

1983년 10월 14일, 비숍은 부총리였던 버나드 코드(Bernard Coard)를 지지하는 군부에 의해 가택 연금되었고, 지지자들에 의해 잠시 석방되었으나 결국 같은 날 세인트 조지스의 포트 루퍼트(현재의 포트 조지) 군 총사령부에서 7명의 지지자들과 함께 총살형에 처해졌다. 이후 허드슨 오스틴(Hudson Austin) 장군이 이끄는 혁명 군사 평의회가 권력을 장악했다. 비숍 처형 6일 후, 미국은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그레나다 침공을 감행하여 혁명 군사 평의회를 무너뜨렸다.

2009년 5월 29일, 그레나다의 포인트 살린스 국제공항(Point Salines International Airport)은 모리스 비숍 국제공항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30][31][32] 이 행사에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총리 랄프 곤살베스는 "뛰어난 카리브해의 아들에게 늦었지만 돌아가는 이 영광은 그레나다 역사의 부정의 한 장을 덮을 것입니다."라고 연설하며 비숍을 기렸다.[33]

8. 가족

모리스 비숍은 1966년 간호사 안젤라 레드헤드(Angela Redhead)와 결혼하여 슬하에 존(John, 1967년생)과 나디아(Nadia, 1969년생) 두 자녀를 두었다. 안젤라는 모리스가 총리로 재직 중이던 1981년, 두 자녀와 함께 캐나다 토론토로 이주했다.

비숍은 또한 오랜 동반자이자 그레나다 교육부 장관이었던 자클린 크레프트(Jacqueline Creft)와의 사이에서 아들 블라디미르 레닌 크레프트-비숍(Vladimir Lenin Creft-Bishop, 1978년생~1994년)을 두었다.[29] 자클린 크레프트는 1983년 10월 19일 포트 루퍼트(Fort Rupert)에서 모리스 비숍과 함께 총살대에 의해 처형되었다. 부모가 사망한 후 블라디미르는 캐나다로 건너가 이복 형제자매들과 함께 지냈으나, 16세였던 1994년 토론토의 한 나이트클럽에서 칼에 찔려 사망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Maurice Bishop http://www.gov.gd/bi[...] 2009-09-23
[2] 서적 Granada, La Nueva Joya del Caribe https://books.google[...] Editorial de Ciencias Sociales
[3] 웹사이트 Maurice Rupert Bishop (1944-1983) http://www.thegrenad[...] 2019
[4] 뉴스 Slain Grenada revolutionary leader Maurice Bishop https://www.caribbea[...] 2015-02-05
[5]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New Jewel Movement in Grenada https://www.academia[...]
[6] 웹사이트 Innocent Belmar - Caribbean Glossary https://grenadarevo.[...] 2019-03-10
[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on Rojas: Grenada - What Went Wrong? https://www.marxists[...]
[8] 웹사이트 Bloody Sunday - Caribbean Glossary https://grenadarevo.[...] 2019-03-10
[9]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21 January 1974 https://nowgrenada.c[...] 2023-01-21
[10]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Rise and Fall of Grenada's New Jewel Movement https://therealnews.[...] 2023-12-04
[11] 웹사이트 Bloody Monday - Caribbean Glossary https://grenadarevo.[...] 2019-03-10
[12] 서적 Jahmaica: Rastafari and Jamaican Society, 1930-1990 ISOR 1993-12-07
[13] 웹사이트 Opposition Leaders - Grenada Parliament https://grenadaparli[...]
[14]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3 January 1978 https://nowgrenada.c[...] 2023-01-03
[15] 웹사이트 Vision Towards Independence Blindsided by Power https://nowgrenada.c[...] 2019-02-18
[16] 서적 Elections in the Americas: A Data Handbook
[17] 웹사이트 Chronology of Events https://www.cia.gov/[...]
[18] 웹사이트 Maurice Bishop's Speech to the 34th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New York http://www.assatasha[...] 2005-01-29
[19] 서적 Urgent Fury: The Battle for Grenada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1989
[20] 뉴스 Analysis: The long history of the U.S. interfering with elections elsewhere https://www.washingt[...] 2017-06-05
[21] 웹사이트 Forward Ever, Backward Never: Remembering Maurice Bishop http://www.invent-th[...] 2017-06-06
[22] 웹사이트 Maurice Bishop: A Revolutionary Leader https://africaotr.co[...] 2021-01-23
[23] 웹사이트 March 13, 1979: The Grenada Revolution https://www.zinnedpr[...]
[24] 간행물 Grenada’s Revolution Should Never Be Forgotten https://jacobin.com/[...] 2019-09-02
[25] 웹사이트 The Grenada 17: Last of the cold war prisoner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3-10
[26] 뉴스 'Apocalypso now': Granada, sol y playa once años después de la invasión https://elpais.com/d[...] 1994-08-19
[27] 웹사이트 Grenada trying to find remains of slain Marxist PM https://www.foxnews.[...] 2019-10-09
[28] 뉴스 'The Empty Grave of Comrade Bishop': Podcast episode guide https://www.washingt[...] 2023-10-23
[29] 웹사이트 Jacqueline Creft (1947-1983) http://www.thegrenad[...] 2019
[30] 뉴스 Welcome to Maurice Bishop International Airport http://www.workers.o[...] 2009-06-14
[31] 웹사이트 What About the Airport? http://www.thegrenad[...] 2019
[32] 뉴스 Grenada names airport in honour of fomer PM Maurice Bishop http://jamaica-glean[...] 2009-05-31
[33] 뉴스 Grenada: "Welcome to Maurice Bishop International Airport" https://hcvanalysis.[...] 2009-05-31
[34] 서적 Granada, La Nueva Joya del Caribe https://books.google[...] Editorial de Ciencias Sociales
[35] 뉴스 'Apocalypso now': Granada, sol y playa once años después de la invasión http://elpais.com/di[...] 1994-08-19
[36] 웹사이트 Grenada trying to find remains of slain Marxist PM http://www.foxnews.c[...] 2012-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