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로라 68000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토로라 68000 시리즈는 1979년부터 1990년대까지 모토로라에서 개발 및 생산한 16/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품군이다.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다양한 아키텍처를 거치며, 16/32비트, 완전 32비트, 파이프라인, 슈퍼스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 시리즈는 68000, 68010, 68020, 68030, 68040, 68060 등 여러 모델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주소 지정 방식을 지원했다. 매킨토시, 아미가, 아타리 ST 등 데스크톱 컴퓨터와 게임 콘솔,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x86 아키텍처, PowerPC, ARM 등과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k 아키텍처 - CD-i
CD-i는 필립스와 소니가 개발한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CD 포맷 및 플레이어였으나,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및 교육 시장을 목표로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생산이 중단되었다. - 68k 아키텍처 - VME버스
VME 버스는 1979년 모토로라가 개발한 컴퓨터 버스 표준으로, 유로카드 규격을 기반으로 16비트에서 64비트 버스로 발전했으며, VME64, VME64x, VME320 등의 확장 표준이 개발되었다. - 68k 마이크로프로세서 - 모토로라 68000
모토로라 68000은 1979년에 출시된 16/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32비트 레지스터와 명령어 세트를 갖춘 고성능 설계 덕분에 다양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후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 68k 마이크로프로세서 - 모토로라 68008
모토로라 68008은 8MHz 또는 10MHz로 작동하며, 최대 4MB의 메모리를 지원하는 8비트 데이터 버스와 20 또는 22비트 주소 버스를 갖춘 HMOS 프로세서이다. - 32비트 컴퓨터 - VAX
VAX는 DEC에서 개발한 가상 메모리를 지원하는 32비트 CISC 컴퓨터 아키텍처 및 컴퓨터 시리즈로, PDP-11의 확장이며, 다양한 모델과 운영 체제를 지원하며 슈퍼미니컴퓨터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RISC 아키텍처의 등장으로 대체되었다. - 32비트 컴퓨터 - IBM 시스템/360
IBM 시스템/360은 다양한 모델로 구성되어 단일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를 통해 설계를 통합하고 8비트 바이트, 32비트 워드, 마이크로코드 CPU의 상업적 사용 등 여러 산업 표준을 도입한 1960년대 IBM의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이다.
| 모토로라 68000 시리즈 | |
|---|---|
| 마이크로프로세서 제품군 | |
| 설계자 | 모토로라 |
| 비트 수 | 32비트 |
| 출시 | 1979년 |
| 디자인 | CISC |
| 유형 | 해당 없음 |
| 인코딩 | 해당 없음 |
| 분기 | 조건 코드 |
| 엔디언 | 빅 엔디언 |
| 페이지 크기 | 해당 없음 |
| 확장 | 해당 없음 |
| 오픈 소스 | 해당 없음 |
| 레지스터 | 8 × 32비트 데이터 레지스터 7 × 32비트 주소 레지스터 스택 포인터 (주소 레지스터 7) FP 존재 시 8 × 80비트 부동소수점 레지스터 |
2. 역사
모토로라 68000 시리즈는 1979년 모토로라 68000 출시를 시작으로 큰 성공을 거둔 CPU 및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이다. 이 시리즈는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68000 시리즈는 여러 세대에 걸쳐 발전했다. 초기 1세대는 내부 32비트 구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외부 버스(8비트, 16비트, 32비트)를 지원했으며, 2세대(68020, 68030)에서는 완전한 32비트 아키텍처로 확장되었다. 3세대(68040)는 명령어 파이프라인 기술을 도입했고, 4세대(68060)는 슈퍼스칼라 설계를 통해 당시 인텔의 펜티엄 프로세서와 경쟁할 만한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1] 모토로라는 일반적으로 주요 개선판에는 짝수 번호를, 이전 모델의 개선 버전에는 홀수 번호를 부여하는 명명 규칙을 따랐다.
주력 CPU 라인업 외에도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을 위한 683XX, ColdFire, DragonBall 등 다양한 파생 제품군이 개발되었다. 또한 필립스, IBM, Edge Computer 등 다른 기업들도 68000 아키텍처에 기반한 호환 프로세서나 변형 제품을 개발하기도 했다.[19][20][21]
1990년대 중반, 모토로라는 애플, IBM과 공동 개발한 PowerPC 아키텍처로 주력 CPU 개발 방향을 전환하면서 68000 시리즈의 직접적인 후속 모델 개발은 중단되었다. 하지만 68000 아키텍처는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FPGA 기술을 통해 68080과 같은 호환 코어를 구현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1][38]
2. 1. 1세대 (16/32비트)
1세대 제품군은 내부적으로 16/32비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외부 데이터 버스는 8비트, 16비트, 32비트 인터페이스로 다양하게 생산되었다.- 모토로라 68000
- 모토로라 68EC000
- 모토로라 68SEC000
- 모토로라 68HC000
- 모토로라 68008
- 모토로라 68010
- 모토로라 68012
2. 2. 2세대 (완전 32비트)
- 68020
- 68EC020
- 68030
- 68EC030
2. 3. 3세대 (파이프라인)
- 68040
- 68EC040
- 68LC040
2. 4. 4세대 (슈퍼스칼라)
4세대는 슈퍼스칼라 기술을 적용한 프로세서이다.- 68060
- 68EC060
- 68LC060
4세대 68060은 인텔 P5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기능 대부분을 동일하게 제공했다. 다만,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의 호환성은 없었다.[1]
2. 5. 기타 변형
모토로라 68000 시리즈의 주력 제품군 외에도 다양한 파생형 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존재한다.모토로라는 CPU 코어의 주요 개정판에 주로 짝수 번호(68000, 68020, 68040, 68060 등)를 사용했다. 홀수 번호(68010, 68030)는 이전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일부 기능을 강화한 버전이었지만, 코어의 주요 업그레이드로 간주되지는 않았다. 68050은 한때 개발 프로젝트로 존재했으나, 68040의 전력 소모 및 발열 문제 해결, FPU 개선 등을 목표로 했지만 68060 개발과 맞물려 초기에 취소되었다. 68060 이후의 후속 모델(예: 68070)은 모토로라가 PowerPC 아키텍처로 전환하면서 개발되지 않았다.
주요 제품군 외의 대표적인 68000 기반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다음과 같다.
- 프리스케일 683XX: CPU32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68330, 68360(QUICC) 등이 포함된다.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었다.
- ColdFire: 68000 명령어셋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개선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이다.
- DragonBall: 저전력 프로세서로, 팜의 초기 PDA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 필립스 68070: 필립스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생산한 16/32비트 프로세서이다. 모토로라의 공식 라인업은 아니며, 68000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동작했다. 기본적인 DMA 컨트롤러, I²C 호스트, 온칩 직렬 포트 등을 내장했으며, 필립스 CD-i의 메인 CPU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68000 아키텍처를 활용하거나 호환되는 프로세서를 개발한 사례들이 있다.
- IBM의 XT/370 및 AT/370 개인용 컴퓨터는 수정된 모토로라 68000 프로세서 두 개를 사용하여 S/370 메인프레임 명령어를 에뮬레이션했다.[19][20]
- Edge Computer Corp (이후 Edgcore Technology Inc.)는 68000 시리즈와 호환되면서도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프로세서를 생산했다.[21] Edge 1000 시리즈는 독립적인 명령어 및 피연산자 파이프라인과 분기 예측 기능을 갖추었다.[22] 올리베티, 필립스, 닉스도르프 컴퓨터, 히타치 등 여러 회사와 공급 계약을 맺었으나,[23][24][25][26][27][30] 1989년 Arix Corp.에 인수되었다.[30]
- International Meta Systems (IMS)는 1992년 RISC 기반의 IMS 3250 CPU를 발표하며, 486이나 68040을 네이티브 속도로 에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2] 이 칩은 100MHz 클럭으로 25MHz 486 또는 30MHz 68040 수준의 에뮬레이션 성능을 목표로 했으며, 예상 비용은 개당 50USD에서 60USD 사이였다.[32] 이후 Meta6000 개발을 시도했으나,[35] 특허 분쟁 끝에 파산했다.[33][36][37]
주력 68000 프로세서가 단종된 후에도 68000 제품군은 CPU32, ColdFire, QUICC, DragonBall과 같은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 형태로 명맥을 이어갔다.
최근에는 FPGA 기술의 발달로 68000을 재현하려는 시도도 있다. 국제 하드웨어 개발팀은 68080이라는 이름의 FPGA 코어를 개발했으며, 이는 Vampire 브랜드의 아미가 가속기 등에 사용된다.[1][38]
또한, Magnetic Scrolls와 같은 회사는 자사의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에서 가상 머신을 구현하기 위해 68000 명령어의 일부를 사용하기도 했다.
3. 아키텍처
PDP-11이나 VAX 시스템에 익숙한 개발자들은 모토로라 68000 시리즈의 아키텍처를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범용 레지스터를 데이터 레지스터와 주소 레지스터로 구분한 점을 제외하면, 여러 면에서 32비트 버전 PDP-11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68000 시리즈는 동시대 및 이후의 여러 프로세서(예: 8080, x86)보다 명령어 집합의 직교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특정 명령어를 특정 주소 지정 방식과 함께 사용하는 데 제약이 적어, 연산과 피연산자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프로그래머가 직접 어셈블리어로 코드를 작성하거나 컴파일러가 기계어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
프로세서 내부에는 8개의 32비트 범용 데이터 프로세서 레지스터(D0-D7)와 8개의 32비트 주소 레지스터(A0-A7)가 있다. 주소 레지스터 중 A7은 사용자 스택 포인터(USP) 또는 감독자 스택 포인터(SSP)로 사용되며, 어셈블러에서는 SP라는 이름으로도 참조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그램 카운터(PC)가 명령어 실행 위치를 가리킨다.
16비트 상태 레지스터(SR)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상위 8비트는 시스템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바이트'로, 특권 모드(감독자 모드)에서만 수정할 수 있다. 하위 8비트는 '사용자 바이트' 또는 조건 코드 레지스터(CCR)라고 불리며, 사용자 모드에서도 수정 가능하다. CCR에는 연산 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들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플래그는 다음과 같다.
- Z (제로 플래그): 연산 결과가 0일 때 설정된다.
- C (캐리 플래그): 산술 연산에서 자리올림이 발생하거나 시프트 연산에서 비트가 밀려날 때 설정된다.
- V (오버플로 플래그): 부호 있는 산술 연산 결과가 레지스터 표현 범위를 벗어났을 때 설정된다.
- N (부호 플래그): 연산 결과의 최상위 비트(MSB)가 1일 때(음수일 때) 설정된다.
- X (Extend): 캐리 플래그와 유사하지만, 다중 정밀도 연산을 위해 별도로 존재한다. 산술, 논리, 시프트 연산의 추가 비트를 제어 흐름 및 연결(linking)에 사용되는 캐리와 분리할 수 있게 해준다.
68000은 사용자 모드와 감독자 모드를 지원했지만, 상태 레지스터의 내용을 복사하는 'MOVE from SR' 명령어가 사용자 모드에서도 실행 가능하면서 시스템 상태 정보(감독자 비트 등)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Popek 및 Goldberg 가상화 요구 사항을 완벽하게 만족하지는 못했다. 이 문제는 이후 모토로라 68010에서 해당 명령어를 특권 명령으로 변경하여 가상화 지원을 개선하면서 해결되었다.
68000 시리즈의 명령어 집합은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명령어는 두 개의 피연산자(소스, 대상)를 가지며 연산 결과는 대상 피연산자에 저장된다.
- 데이터 이동: MOVE (데이터 적재 및 저장)
- 산술 연산: ADD, SUB, MULU (부호 없는 곱셈), MULS (부호 있는 곱셈), DIVU (부호 없는 나눗셈), DIVS (부호 있는 나눗셈), NEG (부호 반전), CMP (비교, 결과는 저장하지 않고 상태 비트만 설정)
- BCD 연산: ABCD, NBCD, SBCD
- 논리 연산: EOR (배타적 OR), AND, NOT (논리 부정), OR (포괄적 OR)
- 비트 시프트 및 회전:
- 논리 시프트: LSL, LSR (오른쪽 시프트 시 최상위 비트에 0 삽입)
- 산술 시프트: ASL, ASR (오른쪽 시프트 시 부호 비트 확장)
- 회전: ROL, ROR, ROXL (확장 비트(X) 포함 회전), ROXR (확장 비트(X) 포함 회전)
- 비트 테스트 및 조작: BSET (비트를 1로 설정), BCLR (비트를 0으로 초기화), BCHG (비트 반전), BTST (비트 테스트, 상태 비트 Z만 변경). 이 명령어들은 대상 비트를 먼저 테스트하고 그 결과에 따라 Z 플래그를 설정한다.
- 다중 처리 제어: TAS (테스트 앤 세트) - 메모리 위치에 대한 읽기-수정-쓰기 동작을 원자적으로 수행하여 세마포어 구현 등 공유 자원 동기화에 사용된다.
- 프로그램 제어:
- 분기: BRA (무조건 분기), Bcc (조건부 분기 - 상태 레지스터의 조건 코드 14가지 중 하나를 검사)
- 점프: JMP (점프), JSR (서브루틴 호출), BSR (상대 주소 서브루틴 호출)
- 반환: RTS (서브루틴에서 반환), RTE (예외/인터럽트에서 반환)
- 스택 관리: LINK, UNLK, PEA (유효 주소 스택에 푸시)
- 예외 처리: TRAP (소프트웨어 예외 발생), CHK (조건부 소프트웨어 예외)
- 감소 및 분기: DBcc (지정된 조건이 '''거짓'''일 경우, 데이터 레지스터의 하위 워드를 1 감소시키고 결과가 -1($FFFF)이 아니면 지정된 주소로 분기) - 루프 구현에 유용하며, 종료 값으로 -1을 사용하여 초기 카운트가 0인 경우의 처리를 단순화한다.
대부분의 명령어는 처리할 데이터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해 니모닉 뒤에 점(.)과 함께 접미사를 붙인다. `.b`는 8비트 바이트, `.w`는 16비트 워드, `.l`은 32비트 롱워드를 의미한다.
3. 1. 주요 개선 사항
- '''모토로라 68010'''
- * 가상 메모리 지원 (명령어 재시작 가능)
- * '루프 모드'를 통해 문자열 및 메모리 라이브러리 기본 기능 속도 향상
- * 곱셈 명령어 실행 시간 14 클럭 틱 단축
- * 모토로라 68012 변형에서 2 GiB 메모리 직접 접근 가능
- '''모토로라 68020'''
- * 32비트 주소 버스 및 산술 논리 장치 (ALU) 도입
- * 3단계 명령어 파이프라인 적용
- * 256 바이트 명령어 캐시 탑재
- * 워드 및 롱워드 데이터 접근 시 정렬 제약 완화
- * 최대 8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멀티프로세싱 지원 강화
- * 곱셈(32×32 → 64비트) 및 나눗셈(64÷32 → 32비트 몫, 32비트 나머지) 명령어 기능 확장 및 비트 필드 조작 기능 추가
- * 스케일드 인덱싱(Scaled indexing) 및 추가적인 메모리 간접 주소 지정 방식 지원
- * 저가형 EC 버전은 24비트 주소 버스 사용
- '''모토로라 68030'''
- * 각각 256 바이트 용량의 분리된 명령어 캐시 및 데이터 캐시
- * 메모리 관리 장치 (MMU) 내장 (기존 모토로라 68851 기능 통합)
- * 저가형 EC 버전은 MMU 미탑재
- * 버스트 메모리 인터페이스 지원으로 메모리 접근 속도 향상
- '''모토로라 68040'''
- * 명령어 캐시와 데이터 캐시 용량 각각 4 KB로 증가
- * 6단계 명령어 파이프라인 적용
- * 부동소수점 처리 장치 (FPU) 내장
- * 내장된 FPU는 IEEE 표준 초월 함수 기능 미지원 (소프트웨어 에뮬레이션 필요)
- * FPU 에뮬레이션은 2E71M 이후 칩 리비전부터 정상 작동
- * 저가형 LC 버전은 FPU 미탑재
- * 저가형 EC 버전은 FPU 및 MMU 미탑재
- '''모토로라 68060'''
- * 명령어 캐시와 데이터 캐시 용량 각각 8 KB로 증가
- * 10단계 명령어 파이프라인 적용
- * 2 사이클 내 정수 곱셈 완료 가능한 곱셈 장치 탑재
- * 분기 예측 기능 도입
- * 듀얼 명령어 파이프라인 (슈퍼스칼라 아키텍처) 구현
- * 주소 생성 장치 (AGU)가 ALU보다 2 사이클 먼저 결과 생성 가능
- * 저가형 LC 버전은 FPU 미탑재
- * 저가형 EC 버전은 FPU 및 MMU 미탑재
3. 2. 주소 지정 방식
68000 시리즈는 이전(예: 8080) 및 이후(예: x86)의 많은 프로세서보다 더 직교적인 명령어 집합을 가졌다. 이는 특정 주소 지정 방식을 특정 명령어와 함께 사용하는 데 제한이 적어, 연산과 피연산자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작성하기 쉬웠으며, 컴파일러의 코드 생성기 구현 또한 용이했다.표준 주소 지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레지스터 직접
- 데이터 레지스터 (예: D0)
- 주소 레지스터 (예: A0)
- 레지스터 간접
- 단순 주소 (예: (A0))
- 후위 증가 주소 (예: (A0)+)
- 전위 감소 주소 (예: -(A0))
- 16비트 부호 있는 오프셋 주소 (예: 16(A0))
- 인덱스 레지스터 및 8비트 부호 있는 오프셋 주소 (예: 8(A0, D0) 또는 8(A0, A1))
- (A0)+ 및 -(A0) 모드에서 실제 주소 증가 또는 감소량은 접근하는 데이터 크기(바이트, 워드, 롱워드)에 따라 각각 1, 2, 4가 된다.
- 프로그램 카운터(PC) 상대
- 16비트 부호 있는 오프셋 (예: 16(PC)). 이 방식은 위치 독립 코드 작성에 매우 유용했다.
- 인덱스 레지스터 및 8비트 부호 있는 오프셋 (예: 8(PC, D2))
- 절대 메모리 위치
- 절대 주소 값 (예: $4000) 또는 어셈블러가 변환하는 기호 이름을 사용한다.
- 대부분의 68000 어셈블러는 16진수 표기에 '0x' 접두사나 'H' 접미사 대신 '$' 기호를 사용했다.
- 16비트와 32비트 주소 지정이 가능하다.
- 즉시 모드
- 명령어 자체에 피연산자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 #400).
- 빠른 즉시 모드
- 3비트 부호 없는 값 (또는 moveq 명령어의 경우 8비트 부호 있는 값)이 연산 코드 자체에 포함된다.
- addq 및 subq 명령어에서는 값 0이 8을 의미한다.
- 예시로, moveq #0, d0 명령어는 D0 레지스터를 0으로 만드는 clr.l d0보다 빠르게 실행된다.
이 외에도 상태 레지스터나 이후 모델의 다른 특수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방식도 존재한다.
모토로라 68020에서는 스케일링된 인덱싱(scaled indexing) 주소 지정 방식과 기존 방식에 메모리 간접 참조 단계를 추가하는 기능이 도입되었다.
대부분의 명령어는 연산 대상 데이터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해 점(.)과 함께 접미사 .b(바이트), .w(워드), .l(롱워드)를 사용한다. 이 크기 지정은 특히 레지스터 간접 모드의 주소 자동 증가/감소량에 영향을 미친다.
4. 제품 목록
| 연도 | CPU | 패키지 | 주파수(최대) [MHz] | 주소 버스 비트 | MMU | FPU |
|---|---|---|---|---|---|---|
| 1979 | 68000 | 64핀 듀얼 인라인 패키지 (DIP), 64핀 SPDIP, 68핀 PLCC, 68핀 CLCC, 68핀 핀 그리드 배열 (PGA), 64핀 QFP, 68핀 QFP[2] | 8–50[3] | 24 | - | - |
| 1982 | 68008 | 48핀 듀얼 인라인 패키지 (DIP), 52핀 PLCC[4] | 8–16.67 | 24 | - | - |
| 1982 | 68010 | 64핀 DIP, 68핀 PLCC, 68핀 PGA[5] | 8–16.67 | 24 | 68451 | - |
| 1982 | 68012 | 84핀 PGA[6] | 8–12.5 | 31 | 68451 | - |
| 1984 | 68020 | 114핀 PGA[7] | 12.5–33.33 | 32 | 68851 | 68881 |
| - | 68EC020 | 100핀 쿼드 플랫 패키지 (QFP)[8] | 16.7–25 | 24 | - | - |
| 1987 | 68030 | 132핀 QFP (최대 33 MHz), 128핀 PGA[9] | 16–50 | 32 | MMU | 68881 |
| 68EC030 | 132핀 QFP, 128핀 PGA | 25-40[10][11] | 32 | - | 68881 | |
| 1991 | 68040 | 179핀 PGA,[12] 184핀 QFP[13] | 20–40 | 32 | MMU | FPU |
| 68LC040 | PGA,[13] 184핀 QFP[13] | 20–33 | 32 | MMU | - | |
| 68EC040 | 20–33[13] | 32 | - | - | ||
| 1994 | 68060 | 206핀 PGA[14][15] | 50–133[16][17] | 32 | MMU | FPU |
| 68LC060 | 206핀 PGA,[14][15] 208핀 QFP[18] | 50–133[16][17] | 32 | MMU | - | |
| 68EC060 | 206핀 PGA[14][15] | 50–133[16][17] | 32 | - | - |
5. 활용 분야

68000 시리즈 프로세서는 개인용 컴퓨터부터 전문 워크스테이션, 게임 콘솔, 임베디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고급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계산기(TI-89, TI-92, Voyage 200 시리즈)부터 팜 OS 1.x부터 4.x까지 실행하는 모든 팜 파일럿 시리즈(OS 5.x는 ARM 아키텍처 기반)에 탑재되었다. 심지어 방사선 경화 처리된 버전은 우주 왕복선의 핵심 제어 시스템에도 사용될 정도로 신뢰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680x0 CPU 계열은 데스크톱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 콘솔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매킨토시 128K, 아미가, 신클레어 QL, 아타리 ST와 같은 초기 개인용 컴퓨터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 네오지오 AES, 네오지오 CD, CDTV 등의 게임기가 있다. 새턴에서는 오디오 처리 및 기타 입출력(I/O) 작업에 68000이 사용되었고, 재규어는 기본적인 시스템 제어와 입력 처리를 위해 68000을 포함했으며 종종 게임 로직 실행에도 활용되었다. 캡콤, SNK, 세가를 비롯한 많은 아케이드 게임 기판 역시 68000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1980년대에는 유닉스 워크스테이션 및 서버 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AT&T의 유닉스 PC, 탠디의 모델 16/16B/6000,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선-1, 선-2, 선-3 워크스테이션, NeXT 컴퓨터, 실리콘 그래픽스(SGI)의 초기 시스템 등이 680x0 프로세서를 채택했다.
어도비의 초기 포스트스크립트 인터프리터 중 일부는 68000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애플 레이저라이터 및 레이저라이터 플러스에 탑재된 68000은 당시 매킨토시 컴퓨터에 사용된 것보다 더 높은 클럭 속도로 동작했다. 이후 레이저라이터 IIntx, IIf, IIg, 고해상도 레이저라이터 프로 600 시리즈, 초고해상도 리노트로닉 이미지세터(200PS, 300PS) 등에서는 더 빠른 68030 프로세서가 사용되었다.
68000 계열에서 파생된 마이크로컨트롤러 역시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특히 CPU32 및 콜드파이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등에 사용되어 수백만 개 이상 생산되었다.
전문 비디오 편집 시스템 분야에서도 68000 프로세서가 널리 사용되었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춘 매크로시스템 카사블랑카(1997년 출시)와 그 이전의 전문가용 모델인 드라코(1995년 출시)가 대표적이다. 1981년 처음 등장한 퀀텔 페인트박스 시리즈는 초기 24비트 페인트 및 효과 시스템으로, 68060을 제외한 거의 모든 68000 계열 프로세서를 채택했다. 이 외에도 아베카스 8150 DVE 시스템(680EC30 사용), 플레이 트리니티(이후 글로브캐스터로 변경, 다수의 68030 사용), 보쉬 FGS-4000/4500 비디오 그래픽 시스템(1983년 출시, 68000 사용) 등 다양한 전문 장비에서 68000 시리즈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3D 애니메이션 및 그래픽 작업을 수행했다. 보쉬 시스템은 수정된 모토로라 VERSAdos 운영 체제를 사용했다.
6. 경쟁 제품
모토로라 68000 시리즈는 출시 이후 다양한 컴퓨팅 분야에서 여러 경쟁 프로세서 아키텍처와 마주했다. 주요 경쟁 분야는 데스크톱 컴퓨터 시장과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데스크톱 시장에서는 특히 IBM PC 호환 기종에 주로 탑재된 인텔의 x86 아키텍처가 가장 강력한 경쟁 상대였다.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도 68000 시리즈는 PowerPC, ARM, MIPS, SuperH 등 여러 주요 프로세서 아키텍처들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
6. 1. 데스크톱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68000 시리즈는 데스크톱 컴퓨터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IBM PC 호환 기종에 탑재된 인텔의 x86 아키텍처와 경쟁했다.- 1세대: 68000 CPU는 주로 16비트 프로세서인 인텔 8086, 인텔 8088, 인텔 80286과 경쟁했다.
- 2세대: 68000 시리즈는 최초의 32비트 x86 프로세서인 80386과 경쟁했다.
- 3세대: 68000 시리즈는 80486과 경쟁했다.
- 4세대: 68000 시리즈는 P5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의 펜티엄 라인과 경쟁했지만, 이전 세대만큼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4세대 이후 68000 시리즈의 시장 점유율 하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아타리나 NeXT와 같이 68000 시리즈를 사용하던 주요 시장이 축소되거나 사라졌고, 매킨토시와 아미가가 파워PC로,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SPARC로, 실리콘 그래픽스(SGI)가 MIPS 아키텍처로 전환하는 등 주요 고객들이 더 새로운 아키텍처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6. 2. 임베디드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는 성공적인 프로세서 아키텍처가 다수 존재한다. 이들 중 일부는 68000 시리즈보다 단순하고 저렴한 마이크로컨트롤러 형태인 반면, 다른 아키텍처들은 상대적으로 정교하여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다. 모토로라 68000 시리즈의 임베디드 버전은 주로 PowerPC, ARM, MIPS, SuperH 등 다른 주요 프로세서 아키텍처들과 경쟁 관계에 있다.참조
[1]
웹사이트
APOLLO 68080 - High Performance Processor
http://www.apollo-co[...]
[2]
웹사이트
Motorola 68000 microprocessor family
http://www.cpu-world[...]
2012-11-17
[3]
웹사이트
Amiga projects: Amiga 500 68HC000 accelerator running at 50 MHZ
http://amigaprj.blog[...]
2015-07-12
[4]
웹사이트
Motorola 68008 microprocessor family
https://www.cpu-worl[...]
2012-11-17
[5]
웹사이트
Motorola 68010 (MC68010) family
http://www.cpu-world[...]
2012-11-17
[6]
웹사이트
Motorola 68012 (MC68012) family
https://www.cpu-worl[...]
2012-11-17
[7]
웹사이트
Motorola 68020 (MC68020) microprocessor family
http://www.cpu-world[...]
2012-12-17
[8]
웹사이트
Motorola MC68EC020FG16
http://www.cpu-world[...]
2012-11-17
[9]
웹사이트
Motorola 68030 (MC68030) microprocessor family
http://www.cpu-world[...]
2012-11-17
[10]
웹사이트
Motorola MC68EC030RP25 / MC68EC030RP25B / MC68EC030RP25C
https://www.cpu-worl[...]
[11]
웹사이트
Motorola MC68EC030RP40 / MC68EC030RP40B / MC68EC030RP40C
https://www.cpu-worl[...]
[12]
웹사이트
Motorola 68040 (MC68040) microprocessor family
http://www.cpu-world[...]
2012-11-17
[13]
웹사이트
M68040 User's Manual
http://cache.freesca[...]
2007-05-08
[14]
웹사이트
Motorola 68060 processor family
http://www.cpu-world[...]
2012-11-22
[15]
웹사이트
M68060 User's Manual
http://cache.freesca[...]
2010-07-28
[16]
웹사이트
Happy Birthday Arne!
http://www.natami.ne[...]
2024-06-07
[17]
웹사이트
68060 Masken und Fakes [amiga-wiki]
http://www.amigawiki[...]
[18]
Youtube
Archive.org - Amiga Format review of 68LC060-based accelerator board
https://archive.org/[...]
[19]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IBM System 370 Via Co-Microprocessors/The Co-Processor... - IPCOM000059679D - IP.com
https://priorart.ip.[...]
Priorartdatabase.com
2020-07-23
[20]
서적
Upgrading and Repairing PCs, Second Edition
https://archive.org/[...]
Que Books
[21]
뉴스
Olivetti "to Launch 68020-Compatible Mini from Edge in November"
https://techmonitor.[...]
2022-06-03
[22]
간행물
Edge supermini delivers RISC performance with CISC instruction set
https://archive.org/[...]
2022-06-18
[23]
뉴스
Olivetti to Launch Models of the Edge Computer Machines as Linea Duo
https://techmonitor.[...]
2022-06-03
[24]
간행물
Currents
https://archive.org/[...]
2022-06-05
[25]
뉴스
Edge Computer Corp, Read Edgecore Technology Inc.
https://techmonitor.[...]
2022-06-03
[26]
간행물
Edgcore Wins $20M Philips Contract, Four-Year Agreement for E2000 CPUs
https://archive.org/[...]
2022-06-05
[27]
간행물
Data Topics
https://archive.org/[...]
2022-06-05
[28]
간행물
High-Tech Marketing: A Balancing Act Between Style and Substance
https://archive.org/[...]
2022-06-05
[29]
Edge Computer advertisement
Thinking of getting into bed with RISC?
https://archive.org/[...]
2022-10-18
[30]
간행물
Arix May Buy Edgcore
https://archive.org/[...]
2022-06-05
[31]
간행물
Hitachi Discloses Price, Specs for Latest DASD
https://archive.org/[...]
2022-06-05
[32]
간행물
New RISC Chip to Emulate 486 and 68040
https://archive.org/[...]
2022-06-12
[33]
간행물
IMS Takes On 80x86 Emulation
https://archive.org/[...]
2022-06-12
[34]
간행물
On-Line-Access Services Inconsistent for the Blind
https://archive.org/[...]
2022-06-12
[35]
간행물
IMS Rides Again With The Meta6000
https://archive.org/[...]
2022-06-12
[36]
간행물
Chip Law Firms Kept Busy
https://archive.org/[...]
1998-08-10
[37]
서적
Steal This Id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Corporate Confiscation of Creativity
https://archive.org/[...]
Palgrave
2002-04
[38]
웹사이트
APOLLO 68080 - High Performance Processor
http://www.apollo-co[...]
2017-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