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정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정맥은 목에 위치한 정맥으로, 속목정맥과 바깥목정맥으로 분류된다. 속목정맥은 뇌에서, 바깥목정맥은 머리 바깥쪽과 목의 얕은 부위에서 혈액을 모아 각각 위대정맥과 빗장밑정맥으로 배출한다. 목정맥압은 심장 및 폐 질환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목정맥 팽창은 심부전의 징후일 수 있다. 영어 관용구 "go for the jugular"는 상대방의 취약점을 공격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정맥 - 빗장밑정맥
    빗장밑정맥은 겨드랑정맥에서 이어져 속목정맥과 합류하여 팔머리정맥을 형성하는 중심 정맥으로, 가슴림프관이 합류하는 정맥각의 위치이자 중심 정맥관 삽입에 사용되지만 특정 질환과도 관련될 수 있다.
  • 두경부 정맥 - 구불정맥굴
    구불정맥굴은 뇌의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머리뼈 내 정맥굴로, 굴곡진 형태로 마루뼈, 관자뼈, 뒤통수뼈를 따라 위치하며 다양한 뇌 정맥들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목정맥
기본 정보
이름목정맥
영어 이름jugular vein
설명머리에서 산소가 없는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정맥
배수 위치머리
배수 목적지팔머리정맥(속목정맥), 빗장밑정맥(바깥목정맥)
동맥온목동맥(속목정맥)
계통순환계
목의 정맥 모습
목의 정맥 모습

2. 구조와 기능

목정맥은 크게 속목정맥바깥목정맥으로 나뉜다. 바깥목정맥은 해당 방향의 빗장밑정맥으로 합류한다. 속목정맥은 바깥목정맥보다 안쪽에서 빗장밑정맥과 만나 팔머리정맥을 형성한다. 양쪽 팔머리정맥은 합쳐져서 위대정맥이 되고, 위대정맥은 산소가 소모된 혈액을 심장의 우심방으로 보낸다.[8]

2. 1. 속목정맥 (내경정맥)

속목정맥은 경막구불정맥굴아래바위정맥굴 혈액이 문합(이어짐)하면서 형성된다.[8] 온목동맥, 미주신경과 함께 목혈관신경집 안에서 주행하며,[8] 머리뼈 안의 혈액을 들이는 역할을 한다.[8]

S상 정맥동하추체 정맥동에서 나온 혈액이 문합(이어짐)하여 두개골 내용물의 정맥 배출을 담당하는 속목정맥은[2] 총경동맥 및 미주 신경과 함께 경동맥초 안에서 주행한다.[2]

2. 2. 바깥목정맥 (외경정맥)

바깥목정맥은 목빗근보다 얕은쪽에서 주행한다.[8] 머리 바깥쪽과 목의 얕은 부위에서 혈액을 모아 양쪽 빗장밑정맥으로 각각 합류한다.[2]

앞목정맥은 턱밑 부위의 혈액을 바깥목정맥으로 운반하는, 크기가 작은 목정맥이다.[8]

2. 3. 기타 정맥

바위정맥굴, 얼굴정맥, 혀정맥, 위갑상정맥, (간혹) 뒤통수정맥 등 다양한 정맥들이 목정맥으로 합류한다.[9]

3. 임상적 중요성

목정맥압(JVP)은 정맥계의 압력, 특히 중심정맥압(CVP)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지표이다. 이는 다양한 심장 질환이나 폐 질환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목정맥압 파형은 심방 수축(A파), 심실 수축(C파), 심방 충만(V파), 심방 이완(X 하강), 심실 충만(Y 하강)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심부전 환자는 목정맥이 부풀어 올라 두드러져 보이기도 한다. 환자가 앉아 있거나 반쯤 앉은 자세(반좌위)일 때, 목정맥의 높이와 박동은 중심정맥압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는 심장이 혈액 수요를 잘 맞추고 있는지 판별하는 중요한 정보이다.[10] 목정맥 팽창은 심부전, 심낭압전, 관상동맥질환 등의 잠재적인 소견일 수 있다.

호흡곤란, 부종, 저혈량증이 있는 환자는 우심방압을 평가하고 혈관 내 용적을 추정하기 위해 목정맥 검사를 루틴으로 실시한다.[7] 정맥압이 상승한 경우 심부전이나 각종 심혈관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일 수 있다.[7]

목정맥의 비정상적인 혈류나 압력과 연관된 증상에는 청력상실, 어지럼증, 흐린 시야, 부어오른 눈, 두통, 목의 통증, 수면 이상 등이 있다.

3. 1. 목정맥압 (JVP)

목정맥압(JVP)은 정맥계의 압력, 특히 중심정맥압(CVP)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지표이다. 이는 다양한 심장 질환이나 폐 질환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목정맥압 파형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 A 파 (심방 수축): 우심방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 C 파 (심실 수축): 심실 수축기 초기에 우심실의 압력이 상승하고 삼첨판이 닫히면서 우심방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반영한다.
  • V 파 (심방 충만): 심방의 정맥 충전에 해당한다.
  • X 하강 (심방 이완): 심방이 이완되고 삼첨판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나타난다.
  • Y 하강 (심실 충만): 삼첨판이 열린 후 혈액이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우심방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다.


3. 2. 질환

심부전 환자는 목정맥이 부풀어 올라 두드러져 보이기도 한다. 환자가 앉아 있거나 반쯤 앉은 자세(반좌위)일 때, 목정맥의 높이와 박동은 중심정맥압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따라서 이는 심장이 혈액 수요를 잘 맞추고 있는지, 아니면 그렇지 못한지 판별하는 중요한 정보이다.[10] 목정맥 팽창은 심부전, 심낭압전, 관상동맥질환 등의 잠재적인 소견일 수 있다.

호흡곤란, 부종, 저혈량증이 있는 환자는 우심방압을 평가하고 혈관 내 용적을 추정하기 위해 목정맥 검사를 루틴으로 실시한다.[7] 정맥압이 상승한 경우 심부전이나 각종 심혈관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일 수 있다.[7]

목정맥의 비정상적인 혈류나 압력과 연관된 증상에는 청력상실, 어지럼증, 흐린 시야, 부어오른 눈, 두통, 목의 통증, 수면 이상 등이 있다.

4. 관용구

go for the jugular영어는 "급소를 노리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공격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구절은 해부학적으로는 정확하지 않다. 목정맥은 심혈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거나 취약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목정맥은 경동맥과 평행하게 주행하며, 산소가 고갈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하는데, 압력이 훨씬 낮게 작용한다. 반면 뇌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고압 혈관인 경동맥은 뇌 순환을 유지하는 데 훨씬 더 중요하고 취약하다.[5][6] 따라서 가장 약한 부분을 공격한다는 관용구는 to go for the carotid영어가 되어야 한다.

참조

[1] 학술지 Examination of the Neck Veins https://www.nejm.org[...] 2020-12-09
[2] 웹사이트 Jugular vein definition - Medical Dictionary definitions of popular medical terms easily defined on MedTerms http://www.medterms.[...] 2006-07-24
[3] 서적 Anatomy, Head and Neck, Internal Jugular Vein StatPearls Publishing
[4]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Jugular vein https://www.medicine[...] 2022-11-03
[5] 문서 Sethi, D, Gofur, EM, Munakomi, S. “Anatomy, Head and Neck: Carotid Arteries.” StatPearls. Updated 2023 Jul 24. StatPearls Publishing, 2024. https://www.ncbi.nlm[...]
[6] 문서 Tucker, WD, Arora, Y, Mahajan, K. “Anatomy, Blood Vessels.” StatPearls. Updated 2023 Aug 8. StatPearls Publishing, 2024. https://www.ncbi.nlm[...]
[7] 저널 Examination of the Neck Veins https://www.nejm.org[...] 2020-12-09
[8] 웹인용 Jugular vein definition - Medical Dictionary definitions of popular medical terms easily defined on MedTerms http://www.medterms.[...] 2024-01-03
[9] 서적 Anatomy, Head and Neck, Internal Jugular Vein StatPearls Publishing
[10] 웹인용 Medical Definition of Jugular vein https://www.medicine[...] 2022-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