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기화학의 IUPAC 명명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기화학의 IUPAC 명명법은 무기 화합물에 대한 체계적인 명칭 부여 규칙으로,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에서 제정되었다. 이온 화합물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순서로 명명하며, 다중 전하를 띠는 양이온의 경우 로마 숫자로 전하량을 표기한다. 분자 화합물은 전기 음성도가 큰 원소를 뒤에 위치시키고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명하며, 수화물은 이온 화합물과 숫자 배수어를 나타내는 접두사, 그리고 '-수화물'을 붙여 명명한다. IUPAC 명명법에는 예외와 관용명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도 IUPAC 명명법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기화학 - 알칼리
    알칼리는 아랍어에서 유래하여 식물 재를 의미하며, 물에 녹아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고 pH가 높으며 부식성이 있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특징을 보이는 물질을 지칭하며, 염기의 하위 집합으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염기성 염, 또는 물에 녹아 수산화 이온을 형성하는 염기를 포함한다.
  • 무기화학 - 동소체
    동소체는 동일한 원소로 이루어졌으나 원자 배열의 차이로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을 지칭하며, 탄소의 다이아몬드와 흑연, 산소의 산소와 오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화학 명명법 - IUPAC 명명법
    IUPAC 명명법은 화학 물질의 명칭을 통일하기 위해 19세기 후반부터 발전해 온 국제적인 체계이며, 무기 및 유기 화합물 명명법과 원자량 표준화 등을 다루며, 다양한 규칙과 유기 화합물 명명법을 포함한다.
  • 화학 명명법 - 화학식
    화학식은 물질의 원소와 비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분자식, 구조식, 실험식, 시성식 등이 있으며, IUPAC 명명법, 괄호, 위첨자, 특수 기호 등을 사용하여 물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입체 이성질체 구분이나 반응 메커니즘 설명에는 한계가 있다.
무기화학의 IUPAC 명명법
명명법 체계
분야무기화학
관할 기관IUPAC
설명화학 물질의 무기화학 명명법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다.
역사
초기 규칙야코브 베르셀리우스
IUPAC 채택1940년
최신 버전2005년
기본 원칙
원소 이름 및 기호IUPAC는 원소 이름 및 기호에 대한 표준을 제공한다.
조성 명명법'조성 명명법'은 화합물의 조성(어떤 원소가 어떤 비율로 존재하는지)을 설명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이원 화합물(두 가지 원소만 포함하는 화합물)에 사용된다.
더 전기 양성적인 원소를 먼저 쓰고, 더 전기 음성적인 원소는 접미사 '-ide'를 붙인다.
예: 염화 나트륨(NaCl)
덧셈 명명법'덧셈 명명법'은 중심 원자에 결합된 리간드의 수를 나타낸다.
리간드는 중심 원자에 결합된 이온 또는 분자이다.
리간드 이름 앞에는 수 접두사(di-, tri-, tetra- 등)를 붙여 각 리간드의 수를 나타낸다.
예: 테트라암민구리(II) 이온([Cu(NH3)4]2+)
치환 명명법'치환 명명법'은 분자 내의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를 다른 원자 또는 기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유기 금속 화합물에서 흔히 사용된다.
예: 페로센(Fe(C5H5)2)
스톡 명명법'스톡 명명법'은 원소의 산화수를 괄호 안의 로마 숫자로 나타낸다.
이것은 원소가 여러 산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에서 특히 유용하다.
예: 염화 철(III)(FeCl3)
이온 명명법
양이온양이온(양전하를 띤 이온)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원소 이름과 같다.
원소가 여러 산화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경우, 전하는 스톡 명명법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예: Fe2+는 철(II) 또는 철(2+)이다.
음이온단원자 음이온(하나의 원자로 구성된 음이온)의 이름은 원소 이름의 어간에 접미사 '-ide'를 붙여 형성된다.
예: Cl-는 염화물이다.
다원자 음이온(여러 원자로 구성된 음이온)은 체계적으로 명명되지만, 예를 들어 황산염(SO42-)과 같은 많은 일반적인 음이온은 고유한 이름이 있다.
리간드 명명법
음이온 리간드음이온 리간드는 이름 끝에 '-o'를 붙여 명명된다(예: 염화물은 염화물로 됨).
중성 리간드중성 리간드는 일반적으로 이름이 바뀌지 않지만, 물(aqua), 암모니아(ammine), 일산화탄소(carbonyl)와 같은 몇 가지 예외가 있다.
복잡한 화합물 명명법
일반적인 절차복잡한 화합물을 명명할 때, 양이온은 음이온보다 먼저 명명된다.
리간드는 중심 금속 이온보다 먼저 명명된다.
리간드의 순서는 음이온 리간드, 중성 리간드, 양이온 리간드이다.
동일한 유형의 리간드 내에서 리간드는 알파벳순으로 배열된다.

2. 역사

무기 화합물에 이름을 붙이는 방식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카페인이나 처럼 관용적인 이름이 널리 쓰였으나, 발견되는 화합물의 종류가 점차 많아지면서 혼동을 줄이고 명확한 소통을 위한 체계적인 명명법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무기 화합물 명명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IUPAC의 공식적인 무기 화학 명명법 권고 사항은 흔히 '''레드 북'''(Red Book)이라고 불리며, 화학자들 사이에서 표준적인 지침으로 사용된다.[2]

2005년판 ''레드 북'' 표지


최초의 IUPAC 명명법 규칙은 1940년에 발표되었으며, 이후 화학의 발전에 따라 여러 차례 개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쳤다. 주요 레드 북의 발간 역사는 다음과 같다.

주요 레드 북(Red Book) 발간 역사
발행 연도제목출판사ISBN
1940/19411940년 규칙학술 저널
19591957년 규칙버터워스
1971확정 규칙 1970버터워스0-408-70168-4
1990권고 사항 1990 (레드 북 I)블랙웰0-632-02494-1
2001권고 사항 2000 (레드 북 II)
(보충)
RSC 출판0-85404-487-6
2005권고 사항 2005 (레드 북)RSC 출판0-85404-438-8



가장 최근의 완전판은 2005년에 출판되었으며, 이 판본이 현재 통용되는 IUPAC 무기 화학 명명법의 기준이 되고 있다.[2]

3. 이온 화합물 명명법

이온 화합물은 양전하를 띤 양이온과 음전하를 띤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화합물을 명명할 때는 일반적으로 양이온의 이름을 먼저 쓰고 음이온의 이름을 나중에 쓴다.[2]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NaCl)은 나트륨 양이온(Na+)과 염화 이온(Cl)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마찬가지로 플루오린화 칼슘(CaF2)은 칼슘 양이온(Ca2+)과 플루오린화 이온(F) 두 개로 구성된다.[2]

양이온의 이름은 보통 해당하는 원소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2] 반면, 단원자 음이온의 경우, 원소 이름 뒤에 '''-화(化物)''' 접미사(영어로는 ''-ide'')를 붙여 명명한다.[1] 예를 들어, H수소화물(hydride)이라고 부른다.[1]

하나 이상의 산화수(전하)를 가질 수 있는 금속 원소(주로 전이 금속)의 경우, 이름이 모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금속 이름 바로 뒤에 괄호 안에 로마 숫자로 산화수를 표기한다.[3] 예를 들어, 구리(Cu)는 +1 또는 +2의 산화수를 가질 수 있는데, Cu+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구리(I)'으로, Cu2+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구리(II)'로 명명한다.[3] FeO는 '산화 철(II)'이고, Fe2O3는 '산화 철(III)'이다. 로마 숫자는 해당 금속 이온의 산화수를 나타낸다.

여러 원자가 결합하여 하나의 이온처럼 작용하는 다원자 이온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탄산 칼슘(CaCO3)은 칼슘 양이온(Ca2+)과 다원자 이온인 탄산 이온(CO32-)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산소를 포함하는 다원자 음이온인 옥시아니온은 결합된 산소 원자의 수에 따라 ''-산 이온(-ate)'' 또는 ''-아산 이온(-ite)''과 같은 접미사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예를 들어, 질산염(NO3)과 아질산염(NO2)이 있다.

과거에는 금속 이온의 산화수를 나타내기 위해 라틴어 이름 어근에 ''-ous'' 또는 ''-ic''와 같은 접미사를 사용하거나,[3] 수소 이온의 존재를 나타내는 ''bi-'' 접두사를 사용하는 등의 명명법이 있었으나, 현재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 명명법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3]

자세한 이온 목록은 다원자 이온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단원자 이온

단일 원자로 이루어진 이온을 단원자 이온이라고 한다. 단원자 이온은 양전하를 띤 양이온과 음전하를 띤 음이온으로 나뉜다.

단원자 음이온은 원소 이름 뒤에 '''-화(化物)''' 접미사(영어로는 ''-ide'')를 붙여 명명한다.

  • 예시:
  • * H: 수소화물(hydride)
  • * Cl: 염화물(chloride)
  • * S2−: 황화물(sulfide)
  • * P3−: 인화물(phosphide)


단원자 양이온은 일반적으로 해당하는 원소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전이 금속과 같이 하나 이상의 산화수(전하)를 가질 수 있는 원소의 양이온은, 이름이 모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원소 이름 바로 뒤에 괄호 안에 로마 숫자로 산화수를 표기한다.

  • 예시:
  • * Cu+: 구리(I) 이온
  • * Cu2+: 구리(II) 이온
  • * FeO의 이온: 철(II) (Fe2+)
  • * Fe2O3 이온: 철(III) (Fe3+)


과거에는 라틴어 이름 어근에 ''-ous''(낮은 전하) 또는 ''-ic''(높은 전하) 접미사를 붙여 구별하는 표기법(예: Cu+는 아산동(cuprous), Cu2+는 산동(cupric))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3. 2. 다원자 이온

양전하를 띤 이온은 양이온이라 하고 음전하를 띤 이온은 음이온이라고 한다. 여러 원자가 결합하여 하나의 이온처럼 행동하는 것을 다원자 이온이라고 한다. 화합물의 이름을 붙일 때는 양이온(금속 또는 양성 다원자 이온)의 이름을 먼저 부르고, 그 뒤에 음이온(비금속 또는 음성 다원자 이온)의 이름을 붙인다. 예를 들어, 탄산 칼슘(CaCO3)은 칼슘 양이온(Ca2+)과 다원자 이온인 탄산 이온(CO32-)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특히 산소를 포함하는 다원자 음이온인 옥시아니온은 결합된 산소 원자의 수에 따라 고유한 이름과 접미사를 가진다.

  • 기준이 되는 옥시아니온은 이름 끝에 ''-산 이온(-ate)''을 붙인다. (예: 질산 이온 NO3, 황산 이온 SO42-, 염소산 이온 ClO3)
  • 기준보다 산소 원자가 하나 적으면 이름 끝에 ''-아(亞)산 이온(-ite)''을 붙인다. (예: 아질산 이온 NO2, 아황산 이온 SO32-, 아염소산 이온 ClO2)
  • 같은 원소로 이루어진 옥시아니온이 4종류일 경우, ''-아산 이온''보다 산소가 하나 더 적으면 접두사 ''하이포-(hypo-)''를 붙여 ''하이포아산 이온(hypo- -ite)''이라 한다. (예: 차아염소산 이온 ClO)
  • ''-산 이온''보다 산소가 하나 더 많으면 접두사 ''퍼-(per-)''를 붙여 ''과산 이온(per- -ate)''이라 한다. (예: 과염소산 이온 ClO4)


염소의 옥시산과 그 짝염기인 옥시아니온의 체계적인 이름은 다음과 같다.

  • 차아염소산(HOCl) → 차아염소산 이온(ClO)
  • 아염소산(HOClO) → 아염소산 이온(ClO2)
  • 염소산(HOClO2) → 염소산 이온(ClO3)
  • 과염소산(HOClO3) → 과염소산 이온(ClO4)


과거에는 산화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접두사와 접미사를 사용하여 양이온, 산, 음이온의 이름을 구분하기도 했다.

산화 상태양이온/산 접사음이온 접사
가장 낮음하이포-(hypo-) + 어간 + -아(-ous)하이포-(hypo-) + 어간 + -아이트(-ite)
어간 + -아(-ous)어간 + -아이트(-ite)
어간 + -익(-ic) 또는 -산(-ic)어간 + -에이트(-ate)
가장 높음퍼-(per-) + 어간 + -익(-ic) 또는 -산(-ic)퍼-(per-) + 어간 + -에이트(-ate)



이 오래된 명명법은 현재는 부분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대 문헌에서는 '염화 제이철'과 같은 표현 대신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산화수를 명확히 밝히는 '염화 철(III)' 같은 이름을 선호한다. 하지만 '과망간산 칼륨'(KMnO4)이나 '황산'(H2SO4)과 같이 널리 알려진 화합물의 이름에는 여전히 과거의 명명법이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과거에 단일 수소 이온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접두사 ''바이-(bi-)''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산수소 나트륨(NaHCO3)은 과거 '중탄산 나트륨'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현대적인 명명법에서는 수소 원자를 명시하여 '탄산수소 나트륨'으로 부른다. 여기서 탄산수소 이온(HCO3-) 역시 다원자 이온의 한 예이다.

3. 3. 전이 금속 화합물

전이 금속은 여러 가지 산화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화합물의 이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규칙이 필요하다.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 명명법에서는 금속 양이온의 산화수를 이름 뒤 괄호 안에 로마 숫자로 표기하여 구분한다.[3] 예를 들어, 구리(Cu)는 +1 또는 +2의 산화수를 가질 수 있는데, Cu+는 '''구리(I)'''으로, Cu2+는 '''구리(II)'''로 명명한다.[3] 마찬가지로, 철(Fe) 화합물인 FeO는 '''산화 철(II)'''로, Fe2O3는 '''산화 철(III)'''로 표기한다. Cu(NO3)2의 경우, 두 개의 질산 이온(NO3)의 총 전하가 2 × −1 = −2이고, 이온 화합물의 순 전하가 0이어야 하므로 Cu 이온은 2+ 전하를 갖는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질산 구리(II)'''로 명명된다. +4 산화 상태를 갖는 양이온의 경우, 로마 숫자 4의 허용되는 유일한 형식은 IIII가 아닌 IV이다. 단순 이온 화합물(예: 금속 착물이 아닌 경우)에서는 이 로마 숫자가 항상 금속의 이온 전하와 같다.

과거에는 라틴 이름 어근에 ''-ous''(낮은 산화수) 또는 ''-ic''(높은 산화수) 접미사를 붙이는 방식도 사용되었다.[3] 이 방식에 따르면, Cu+는 아산동(cuprous), Cu2+는 산동(cupric)으로 불렸다.[3] 또한, 염화 철(III)을 염화 제2철(ferric chloride)로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오래된 명명법은 현재 IUPAC에서 권장하지 않으며,[3] 현대 문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다만, 과망간산 칼륨(potassium permanganate, IUPAC: 망간산 칼륨(VII))이나 황산(sulfuric acid)과 같이 일부 화학 물질일반 이름으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금속 착물의 명명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착물 (화학)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3]

4. 분자 화합물 명명법

무기 분자 화합물은 각 원소 앞에 원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그리스어 접두사를 붙여 명명한다. 전기 음성도가 더 큰 원소를 뒤에 쓰며, 이름 끝에는 '-화(-ide)' 접미사를 붙인다. 예를 들어, H2O는 흔히 이라고 불리지만, 명명법에 따라서는 '일산화 이수소'라고 할 수 있다. 유기 분자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고 별도의 유기화학 명명법을 사용한다.

원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숫자접두사
1일(mono)-
2이(di)-
3삼(tri)-
4사(tetra)-
5오(penta)-
6육(hexa)-
7칠(hepta)-
8팔(octa)-
9구(nona)-
10십(deca)-



다만, 첫 번째 원소의 개수가 하나일 경우에는 '일(mono)-' 접두사를 보통 생략한다. 예를 들어, SO2는 '일황 이산화물'이 아니라 '이산화 황'으로 명명한다.

또한, 접두사의 마지막 모음('a' 또는 'o')이 뒤따르는 원소 이름의 시작 모음과 충돌하는 경우, 발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두사의 마지막 모음을 생략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CO는 '모노옥사이드'가 아닌 '일산화 탄소'이다.

5. 수화물 명명법

수화물(Hydrate)은 분자를 특정 비율로 포함하고 있는 이온 화합물을 말한다. 수화물의 이름을 붙일 때는, 해당 이온 화합물의 이름 뒤에 결합된 물 분자의 수를 나타내는 그리스어 숫자 접두사를 붙이고 마지막에 '-수화물'이라고 명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숫자 접두사는 IUPAC 숫자 배수어 규칙을 따르며, 주로 사용되는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1: 모노- (mono-)
  • 2: 다이- (di-)
  • 3: 트라이- (tri-)
  • 4: 테트라- (tetra-)
  • 5: 펜타- (penta-)
  • 6: 헥사- (hexa-)
  • 7: 헵타- (hepta-)
  • 8: 옥타- (octa-)
  • 9: 노나- (nona-)
  • 10: 데카- (deca-)


예를 들어, 황산 구리(II)(CuSO4)가 5개의 물 분자(H2O)와 결합한 화합물인 CuSO4·5H2O는 황산 구리(II) 오수화물(copper(II) sulfate pentahydrate)이라고 부른다.

6. 예외 및 관용명

화합물에는 체계적인 IUPAC 이름 외에도 널리 사용되는 관용명(일반 이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카페인"과 "3,7-다이하이드로-1,3,7-트라이메틸-1H-퓨린-2,6-다이온"은 같은 화학 물질을 가리킨다. 체계적인 이름은 분자의 구조와 조성을 명확하게 설명하여 정밀성이 요구될 때 유용하지만, 너무 길고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 전문가들도 "카페인"처럼 잘 알려진 화합물에는 관용명을 더 자주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H2O는 다른 화학명이 존재하지만, 보통 단순히 ""이라고 부른다.

과거에 사용되던 명명법 중 일부는 현재 관용명으로 남아있다. 예를 들어, 전이 금속 양이온의 산화수를 나타낼 때, 라틴 이름 어근에 낮은 산화수는 ''-ous'', 높은 산화수는 ''-ic''를 붙여 구분했다(예: Cu+는 아산동, Cu2+는 산동). 또한, 옥시아니온(산소를 포함하는 다원자 음이온)의 산소 원자 수에 따라 ''hypo-'' (더 적음), ''-ite'' (적음), ''-ate'' (많음), ''per-'' (더 많음) 등의 접두사와 접미사를 사용했다. 염소의 옥시산인 차아염소산(HOCl), 아염소산(HOClO), 염소산(HOClO2), 과염소산(HOClO3)과 그 짝염기인 차아염소산염, 아염소산염, 염소산염, 과염소산염 이온 등이 그 예시다. 현대 IUPAC 명명법에서는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산화수를 명확히 표기하지만(예: 염화 철(II), 염화 철(III)), 현대 문헌에는 "염화 철(III)" 대신 "염화 제2철"이라는 언급은 거의 없지만, "과망간산 칼륨"(대신 "망간산 칼륨(VII)") 및 "황산"과 같은 이름은 관용명으로 굳어져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다.

명명 규칙 자체에 대한 예외나 특수한 경우도 존재한다. 때로는 접두사가 첫 번째 원자에서 생략된다. I2O5는 규칙에 따르면 '오산화 이요오드'가 되어야 하지만, 관용적으로 '오산화 요오드'라고 부른다. N2O3는 '삼산화 이질소'라는 체계적 이름 외에 '세스키산화 질소'(sesqui-는 1.5배를 의미)라고 불리기도 한다.

때로는 화합물의 실제 구조와 관용명이 일치하지 않기도 한다. 의 주요 산화물은 흔히 '오산화 인'이라고 불리고 화학식도 P2O5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과거 분자 구조를 잘못 추정했기 때문이며, 실제 분자는 P4O10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데카산화 사린'이라는 체계적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화학식을 쓸 때, 전기음성도 순서 규칙(일반적으로 전기음성도가 낮은 원소를 먼저 표기)을 따르지 않는 관행이 있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는 질소(N)가 수소(H)보다 전기음성도가 높지만 NH3로 표기하며, 메테인 역시 탄소(C)가 수소(H)보다 전기음성도가 높음에도 CH4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힐 시스템과 같은 다른 표기 규칙과는 차이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2005 http://old.iupac.org[...]
[2] 서적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https://old.iupac.or[...] RSC–IUPAC 2005
[3] 웹사이트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2005 http://old.iupac.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