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용명은 화학 물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비체계적인 이름으로, 체계적인 명명법의 대안으로 사용된다. 이는 화학 물질을 모호하지 않게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체계적인 명명법을 개발했다. 그러나 화학자들은 전통적인 관습이나 편리함 때문에 체계적인 이름 대신 관용명을 사용하며, 준관용명, 유지명과 같은 파생된 형태도 존재한다. 관용명은 원소,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 등 다양한 화학 물질에 적용되며, 물질의 기원, 특성, 모양, 심지어는 허구의 인물이나 작품에서 이름을 따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관용명 |
---|
2. 정의
과학 문서, 국제 조약, 특허 및 법적 정의에서 화학 물질을 명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화학 물질 명칭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체계적 명명법에 의해 충족된다. 그러나 화학자들은 체계적 명칭보다 전통적이거나 더 편리하다는 이유로 체계적이지 않은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를 관용명이라고 한다. "관용"이라는 단어는 종종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여기서는 "흔한"을 의미한다.[1]
화학자들은 관용명 외에도 관용어 어간에 표준 기호를 추가하여 준관용명을 만들기도 한다.[2] 일부 관용명 및 준관용명은 매우 널리 사용되어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는데, 이를 유지명이라고 한다.
2. 1. 체계명 (Systematic name)
과학 문서, 국제 조약, 특허 및 법적 정의에서 화학 물질을 모호하지 않게 식별하기 위해 화학 물질 명칭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체계적 명명법에 의해 충족된다.[1]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이 1950년에 확립한 체계가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미국 화학 학회, 국제 표준화 기구, 세계 보건 기구에서 개발한 체계도 존재한다.[1]2. 2. 관용명 (Trivial name)
화학 물질 명칭은 과학 문서, 국제 조약, 특허 및 법적 정의에서 화학 물질을 모호하지 않게 식별하기 위해 필요하며, 체계적 명명법으로 충족된다.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은 1950년에 체계적 명명법 중 하나를 확립했으며, 미국 화학 학회, 국제 표준화 기구, 세계 보건 기구에서도 다른 체계를 개발했다. 그러나 화학자들은 체계적인 명칭보다 전통적이거나 더 편리하다는 이유로 체계적이지 않은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를 ''관용명''이라고 한다. "관용"은 "흔한"이라는 뜻이다.[1]화학자들은 관용명 외에 관용어 어간에 표준 기호를 추가하여 ''준관용명''을 만들기도 한다.[2] IUPAC는 널리 사용되는 일부 관용명 및 준관용명을 공식적으로 채택했는데, 이를 ''유지명''이라고 한다.
2. 3. 준관용명 (Semitrivial name)
화학자들은 관용명 어간에 표준 기호를 추가하여 준관용명을 만들었다.[2]2. 4. 유지명 (Retained name)
화학자들은 체계적 명칭보다 전통적이거나 더 편리하다는 이유로 체계적이지 않은 많은 명칭을 여전히 사용하는데, 이를 '관용명'이라고 한다. '관용'이라는 단어는 종종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여기서는 "흔한"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1]화학자들은 관용명 외에도, 관용어 어간에 표준 기호를 추가하여 '준관용명'을 만들기도 한다.[2] 일부 관용명 및 준관용명은 널리 사용되어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는데, 이를 '''유지명'''이라고 한다.
3. 원소
원소의 전통적인 이름은 통상적인 것으로, 일부는 연금술에서 유래되었다.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이러한 이름을 받아들였지만,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원소에 대한 체계적인 이름도 정의했다. IUPAC는 원소를 만든 과학자들이 새로운 이름을 제안할 수 있는 절차를 채택했으며, IUPAC가 그러한 (통상적인) 이름을 받아들이면 체계적인 이름은 대체된다.[1]
3. 1. 기원 (Origins)
중세 시대에는 금, 은, 주석, 수은, 구리, 납, 철, 황, 탄소의 9개 원소가 알려져 있었다.[3] 수은은 행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그 기호(Hg)는 그리스어 'hydrargyrum'(액체 은)에서 유래했다.[1]체계적인 명명법은 루이-베르나르 기통 드 모르보가 "지성을 돕고 기억을 덜어주는 일정한 명명 방법"의 필요성을 언급한 후에 시작되었다.[4] 이 체계는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1787년 출판물 ''Méthode de nomenclature chimique''(화학 명명법)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라부아지에는 원소를 그 속성에 따라 명명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많은 화학자들이 그리스어와 라틴어 어원을 사용하여 이름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수소("물 생성"), 산소("산 생성"), 질소("소다 생성"), 브롬("악취"), 아르곤은 그리스어 어원을 기반으로 했고, 요오드와 염소는 특징적인 색깔에서, 인듐, 루비듐, 탈륨은 방출 스펙트럼의 특정 선 색깔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 여러 색의 화합물을 만드는 이리듐은 "무지개"를 뜻하는 라틴어 ''iris''에서 왔다.[3] 비활성 기체는 모두 기원이나 속성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는데, 헬륨은 그리스어 ''helios''(태양)에서 유래했고,[5] 네온("새로운"), 아르곤("느린, 게으른"), 크립톤("숨겨진"), 제논("낯선 사람"), 라돈("라듐에서") 등이 있다.[6]
더 많은 원소들이 그 속성과 거의 관련 없는 이름을 받았다. 헬륨, 셀레늄, 텔루륨은 각각 태양, 달, 지구를, 세륨과 팔라듐은 세레스와 팔라스의 이름을 땄다. 신화적 인물 (티타늄, 프로메튬,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이나 그 후손 (탄탈럼, 니오븀) 및 노르웨이 신 (바나듐, 토륨)의 이름을 따기도 했다.[6]
일부 원소는 발견 역사의 측면을 따서 명명되었다. 테크네튬과 프로메튬은 최초로 감지된 샘플이 인공적으로 합성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6]
일부 원소는 발견자의 모국이나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마리 퀴리는 폴로늄을 폴란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고, 루테늄, 갈륨, 게르마늄, 루테튬은 각각 러시아, 프랑스, 독일, 파리의 라틴어 이름을 기반으로 했다. 터븀, 어븀, 이터븀, 이트륨은 스웨덴 예테르비 마을의 이름을 땄다.[3] 이 외에도 마그네슘, 스트론튬, 스칸듐, 유로퓸, 툴륨, 홀뮴, 구리, 하프늄, 레늄, 아메리슘, 버클륨, 캘리포늄, 다름슈타튬 등이 장소 이름을 따랐다.[6]
92번 원소(우라늄)까지는 사람 이름을 따는 것이 권장되지 않았다. 예외는 가돌리늄과 사마륨인데, 이들은 각각 요한 가돌린과 바실리 사마르스키-비호베츠의 이름을 딴 광물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초우라늄 원소부터는 이러한 제한이 완화되어 큐륨,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등이 사람 이름을 따랐다.[6][20]
3. 2. IUPAC 표준과의 관계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원소 명명에 대한 국제 표준을 확립했다. 원소를 처음으로 분리한 과학자 또는 연구소는 이름을 제안할 권한을 가지며, 검토 과정을 거쳐 IUPAC 평의회에서 최종 결정이 내려진다. 전통에 따라 이름은 신화적 개념이나 인물, 천문 물체, 광물, 장소, 원소의 특성 또는 과학자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4]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의 경우 IUPAC는 체계적인 이름 시스템을 확립했다. 이름은 원자 번호의 숫자를 나타내는 음절을 결합하고 "-ium"을 붙인다. 예를 들어 "unununium"은 원소 111번을 의미한다("un"은 1을 나타내는 음절이다).[7] 그러나 원소가 발견되면 체계적인 이름은 통상적인 이름으로 대체되는데, 이 경우 뢴트게늄으로 대체되었다.[1]IUPAC의 원소 이름은 공식 언어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IUPAC 레드 북(무기 화합물에 대한 규칙을 포함)의 초판이 발간되었을 당시에는 영어와 프랑스어가 공식 언어였지만, 현재는 영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이다.[8] 그러나 다른 언어에서도 여전히 원소에 대한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텅스텐의 화학 기호인 W는 독일어 이름 Wolframde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텅스텐광에서 발견되고, 광부가 광물을 "늑대의 거품"으로 알고 있었던 독일어에서 유래되었다. ''텅스텐''이라는 이름은 회중석을 설명하는 "무거운 돌"을 의미하며, 텅스텐이 발견되는 또 다른 광물이다.[9]
4. 무기 화합물
초기 화합물 화학 물질에 대한 용어는 원소 명명과 유사한 규칙을 따랐다. 명칭은 물질의 외관(오감 포함), 질감, 결정 형태, 사람 또는 장소, 추정되는 의학적 특성, 제조 방법에 따라 결정되었다.[11]
소금은 용해성이 있으며 음식의 맛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비슷한 특성을 가진 물질들은 소금으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특히 잉글랜드 엡솜의 쓴 소금 샘에서 발견된 ''엡솜 소금''(황산 마그네슘)이 그러하다. 암모늄(사용 빈도가 낮은 계통명은 아자늄[12])은 처음에는 "아문의 소금"을 의미하는 암모니아염에서 추출되었다. 고대 로마 제국의 로마인들은 이집트 아문 신에게 바쳐진 사원에서 타는 낙타 똥의 연기에서 응축된 결정체를 발견했다.[13] 아세트산 납은 ''납 설탕''이라고 불렸다.[11] ''납 설탕''(아세트산 납(II)), ''안티몬 버터''(삼염화 안티몬), ''비트리올유''(황산), ''주석 크림''(주석산 수소 칼륨)과 같은 다른 이름들은 주방에서 그들의 언어를 빌려왔다.[11] 적철광, 석황, 녹청과 같이 색상을 기반으로 이름이 붙여진 경우도 있는데, 각각 "피와 같은 돌", "금색 안료", "그리스의 녹색"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11]
일부 이름은 사용을 기반으로 한다. 석회는 탄산염,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과 칼슘을 결합하는 재료의 일반적인 이름이다. 이 이름은 "붙어 있는 또는 부착되는" 뿌리에서 유래했으며, 가장 초기에 사용된 것은 건축용 모르타르였다.[14]
물에는 ''산화수소''(IUPAC 명칭), ''산화 수소'', ''이수소 일산화물''(DHMO)을 포함한 여러 체계적인 이름이 있다. 이수소 일산화물(DHMO)은 이수소 일산화물 소동의 기초가 되었는데, 독자들에게 이 화학 물질의 위험성(예를 들어, 익사하면 치명적임)을 경고하는 문서였다.[15][16]
5. 유기 화합물
유기 화학에서 일부 관용명은 명명되는 대상의 주목할 만한 특성에서 파생된다. 예를 들어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원래 달걀 노른자에서 분리되었으며, 달걀 노른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λέκιθος|lékithosgrc에서 유래되었다.[17][18]
많은 관용명이 계속 사용되는 이유는 공인된 동등한 이름이 일상적인 사용에 너무 번거롭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와인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인 주석산의 체계적인 이름은 2,3-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산이다. 색소 β-카로틴의 IUPAC 이름은 매우 길어서(1,3,3-트리메틸-2-[(1''E'',3''E'',5''E'',7''E'',9''E'',11''E'',13''E'',15''E'',17''E'')-3,7,12,16-테트라메틸-18-(2,6,6-트리메틸시클로헥센-1-일)옥타데카-1,3,5,7,9,11,13,15,17-노나에닐]시클로헥센) 사용하기 어렵다.[19] 그러나 관용명은 잠재적으로 혼란스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오브로민은 이름만 보면 브롬 원자를 포함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카페인과 구조가 유사한 알칼로이드이다.
5. 1. 모양 기반 명명 (Shape-based)
일부 유기 분자는 모양을 기반으로 반자명 이름을 갖는다. 접미사 '-ane'(알케인) 또는 '-ene'(알켄)은 분자의 모양을 기반으로 이름에 추가된다.[20]



다른 예로는 배럴렌(배럴 모양),[20] 페네스트레인(창문 모양 모티프),[20] 래더레인(사다리 모양), 올림피아데인(올림픽 링과 동일한 토폴로지를 가진 모양) 및 사각산(스퀘어산이라고도 함)이 있다.
5. 2. 허구 기반 명명 (Based on fiction)

보헤믹산(bohemic acid) 복합체는 방선균의 한 종을 발효시켜 얻은 화학 물질의 혼합물이다. 1977년에 이 성분들을 분리했으며, 항종양제 및 안트라사이클린 항생제로 유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이 복합체(및 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보헤마민)의 이름을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라 보엠''에서 따왔으며, 나머지 구성 요소는 오페라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알친도로마이신(Alcindoro), 콜리네마이신(Colline), 마르첼로마이신(Marcello), 미미마이신(Mimi), 무세타마이신(Musetta), 루돌포마이신(Rodolfo), 샤우나르디마이신(Schaunard).[20][21] 하지만 등장인물 간의 관계는 화학적 관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22]
피에로 센시가 이끄는 레페티 제약 회사의 연구실에서는 발견한 화학 물질에 별명을 붙이는 것을 좋아했고, 나중에 출판에 더 적합한 형태로 변환했다. 리팜피신이라는 항생제는 보석 강도 사건을 다룬 프랑스 영화 ''리피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들은 또 다른 항생제에 "마타 하리"라는 별명을 붙였다가 나중에 이름을 ''마타마이신''으로 변경했다.[22]
참조
[1]
서적
[2]
학술지
Trivial names for chemical substances: Will they be taught or forgotten in the twenty-first century?
[3]
서적
Chemistry
Thomson Brooks/Cole
[4]
학술지
Naming of new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2002)
http://doc.rero.ch/r[...]
[5]
학술지
Why Helium Ends in "-ium"
http://www.che.uc.ed[...]
2013-11-04
[6]
서적
Encyclopedia of the Elements Technical Data - History - Processing -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Wiley-VCH
[7]
학술지
Recommendations for the Naming of Elements of Atomic Numbers Greater than 100
http://www.chem.qmul[...]
2013-11-04
[8]
학술지
Reply to 'Wolfram vs. Tungsten' by Pilar Goya and Pascual Román
http://www.iupac.org[...]
2013-11-04
[9]
학술지
Wolfram vs. Tungsten
http://www.iupac.org[...]
2013-11-04
[10]
학술지
Chinese Terms for Chemical Elements: Characters Combining Radical and Phonetic Elements
http://www.iupac.org[...]
2013-11-04
[11]
서적
Historical studies in the language of chemistry
Dover Publications
[12]
간행물
[13]
웹사이트
Naming chemical substances
http://www.chem1.com[...]
2013-11-06
[14]
백과사전
lime (n.1)
http://www.etymonlin[...]
2013-11-04
[15]
웹사이트
Mysterious killer chemical
http://www.abc.net.a[...]
America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11-05
[16]
citation
Ban Dihydrogen Monoxide!
http://media.circus.[...]
Coalition to ban DHMO
[17]
학술지
Prospective study on dietary intakes of folate, betaine, and cholin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women.
[18]
학술지
Sur la lécithine et la cérébrine
[19]
웹사이트
beta Carotene - Compound Summar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3-11-10
[20]
서적
[21]
학술지
Antitumor Agents From Bohemic Acid Complex, III. The Isolation of Marcellomycin, Musettamycin, Rudolphomycin, Mimimycin, Collinemycin, Alcindoromycin, and Bohemamine
[22]
학술지
That's show business
BMJ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